② 플라시 전투

Download Report

Transcript ② 플라시 전투

◈ 영국과 싸우며 형성된 인도 민족주의
1) 인도에 대한 유럽 세력의 침략
① 18세기 이후:영국과 프랑스가 상업 중심지에 군대 주
둔 → 실질적 지배권 행사
② 플라시 전투:영국과 프랑스가 인도에 대한 무역 독점
권을 놓고 경쟁 → 영국이 승리하여 인도의 동부를 실
질적으로 지배함
③ 19세기 중엽:영국이 인도의 대부분 지역 점령
2) 세포이 1) 항쟁
① 항쟁 이전의 인도:언어와 풍습이 다른 작은 나라들
로 분리되어 있었고, 개별적으로 영국의 침략에 대항
② 세포이 항쟁 1)
● 시작:영국의 동인도 회사에 고용된 인도인 용병
(세포이)들의 투쟁
● 전개:지역과 계층을 넘어선 반영 투쟁으로 확대
● 결과:통일 조직의 부재로 인한 내부 분열과 영국
군의 반격으로 진압됨
③ 인도 제국 수립(1877):세포이 항쟁을 진압하면서
영국은 무굴 제국을 무너뜨리고 인도를 직접 통치 →
영국 왕이 인도 황제를 겸함
(3) 계몽 운동의 전개
① 주도 세력:종교 지도자나 학생, 지식인들 중심
② 내용:잘못된 관습과 카스트 제도에 따른 신분과 직
업 차별의 철폐 주장, 고대 인도 문화의 재발견 시도,
영국의 침략 정책 비판
(4) 인도 국민 회의의 결성(1885)
① 초기:중상류층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 영국의 인
도 지배 인정
② 벵골 분할령 이후:영국의 인도 정책 비판, 인도인의
이익 대변
③ 내용:국산품 애용, 영국 상품 배척, 완전 자치, 민족
교육 등 반영 운동 전개 → 민중들의 광범위한 참여
④ 결과:계층과 지역, 종교의 차이를 넘어 인도인들이
한민족으로 결집
◈ 동남 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1) 유럽의 동남 아시아 침략
① 네덜란드:자바 섬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
지배
② 프랑스:인도차이나 반도 침략 → 베트남과 주변 지
역 정복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형성
③ 영국:미얀마, 말레이 반도 합병 → 인도에서 중국에
이르는 해상교통의 중심지 차지
④ 미국:에스파냐로부터 필리핀 차지
⑤ 타이:지속적인 개혁과 국제 정세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로 독립 유지
2) 동남 아시아 여러 나라의 독립 운동
① 베트남:유학자와 농민들이 군사를 일으켜 프랑스 군
에 대항, 지식인들 중심으로 유신회 조직, 근대 문물
의 수용, 문맹 퇴치, 독립 정신 고취를 목적으로 한 계
몽 운동 전개
② 필리핀:필리핀 연맹(호세 리살, 계몽 운동 전개), 아
기날도(독립군 조직, 에스파냐.미국과 전쟁)
③ 인도네시아:이슬람 동맹 조직, 민족 산업의 육성과
자치 요구
용어정리
● 플라시 전투 : 영국군이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벵골
지역의 인도인들과 벌인 전투. 이 전투에서 이긴 영국은
벵골 지방을 완전히 지배하였고, 프랑스 세력을 인도에
서 몰아냈다.
● 세포이 항쟁 : 오늘날 인도나 파키스탄에서는 ‘세포이
의 반란’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신 ‘대반란’,
‘1857년 대반란’ 또는 ‘제1차 독립 전쟁’이라는 말을 사
용한다. 세포이는 보낼 병사를 뜻하는 ‘시파히’라는 우
르드 어로, 동인도 회사에 고용된 인도인 용병을 가리킨
다. 시파히가 이 반란에서 커다란 역할을 수행한 것은 사
실이다. 그러나 세포이의 반란은 구 지배층, 농촌 사람들,
종교 지도자들, 특히 이슬람 교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하여 전 민족적인 항쟁으로 전개되었다. 그런데 ‘세포이
의 반란’이란 말에는 이 의미가 빠져있다.
● 세포이의 항쟁 이후 인도의 민족 운동 : 영국의 근대
사상과 교육이 도입됨에 따라 로이 등을 중심으로, 서구
문화를 수용하고 전통적인 관습(카스트제, 조혼, 사티 등)
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한편, 이 시기에 힌두 사상을 고대 인도의 문화적 전통
과 연결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었다. 이 운동은 인
도 고전 사상의 재해석과 부활을 강조함으로써 인도인들
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초기의 인도 국민 회의 : 19세기 후반, 인도에서는 계
급과 지역, 종교를 초월한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시
작했다. 이에 영국의 지배자들은 ‘영국인들의 통치를 파
괴시킬지도 모르는 저항 세력에 대한 안전 벨트’로서 인
도 국민 회의의 창설을 서둘렀으며, 친영적 입장을 가진
인도인들로 구성하였다. 그래서 초기 국민 회의는 완전
자치나 독립을 주장하기보다는 스스로 대영 제국의 신민
으로 생각하면서 총독부에 건의하는 방식으로 활동했다.
● 카스트 제도 : 인도의 새로운 통치 계급이 된 아리아
족은 원주민을 다스리기 위하여 자신과 차별을 두어 엄
격한 계급 제도를 만들었다. 이것이 발달하여 인도의 '계
급 제도', 즉 카스트 제도가 되었다.
카스트 제도는 원래 크샤트리아('아리아족'. 귀족 및 무
사 계급), 바이샤(원주민, 평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창
조자 '브라마신'을 섬기는 '[브라만교]'가 발달하면서 승
려 계급이 귀족보다 높은 브라만 계급이 되었고, 정복당
한 '드라비다족' 등 천민, 노예 계급인 수드라 계급이 생
겨났다.
인도의 카스트는 넷으로 나누어져 그 누구도 자신의 계
급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며, 다른 계급과 결혼은 물
론 섞여 살지도 못하는 엄격한 차별 사회를 이루었다.
● 벵골과 벵골 분할령 : 1903년 영국은 벵골 지역을 동
과 서로 분할하는 벵골 분할령을 발표하였다. 인종과 언
어가 같은 이 지역을 분할하려는 영국의 의도는 민족 운
동 중심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힌두 교도들과 이슬람 교
도들을 경쟁·대립시켜 민족 운동의 성장을 저지하는 것
이었다. 이에 대해 인도인들은 강하게 저항했고, 국민 회
의 내에서도 반영 운동을 주도하는 급진파들이 큰 세력
을 형성하였다. 마침내 국민 회의의 반대 운동은 성공하
였으나, 이후 영국이 이슬람 교도들과 힌두 교도들을 차
별적으로 지원 또는 통제함으로써 인도인들의 영구적 분
할이 시작되었다.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인들의 초기 식민 활동은 자바
섬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1850년대에는 셀레베스와
보르네오(영국령 제외)를 차지하였다. 수마트라는 이보
다 늦게 통합되었다. 1900년대 이후에는 오늘날 인도네
시아의 영역 대부분이 네덜란드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 : 인도차이나에 대한 프랑
스의 공격은 1857년에 본격화되었다. 그 해 프랑스 군
대는 프랑스 선교사 살해를 빌미삼아 베트남을 공격했다.
베트남은 사이공을 프랑스에 빼앗겼으며, 프랑스는 이 곳
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과 북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863년에는 캄보디아를 보호국으로 삼았다. 이후 프랑
스는 북으로 세력을 뻗어 갔으며 저항하는 베트남과 여
러 차례 싸움을 벌였다. 1884년 청·프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는 베트남 전역은 물론, 라오스까지 지배하게 되었
다.
● 타이의 개혁 : 타이의 라마 4세(1851~1868)와 라마
5세(1868~1910)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대립을 교묘
히 활용하면서 여러 제도를 개혁하고 주체적인 외교 활
동을 벌임으로써 독립을 유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 베트남의 민족 운동 :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
고 여러 차례에 걸친 무장 항쟁이 실패로 끝난 후, 판보
이차우는 중국의 변법 자강,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
로 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젊은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키자는 동유운동 (東遊運動) 을 벌이고 하노이에
통킹 의숙이라는 근대 학교를 설립 하는 등 문화 계몽 운
동을 전개 하였다.
● 판보이차우 : 1904년 항(抗)프랑스 단체인 유신회(維
新會)를 결성하고, 일본정부의 원조를 얻기 위하여 1905
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는 중국의 망명정치가
량치차오[梁啓超]와 교분을 맺었고, 재야정치가인 오쿠
마 시게노부[大隈重信] 등에게 입헌군주제에 의한 베트
남의 독립을 호소하면서 일본의 원조를 요청하였으나,
량치차오의 만류로 일본정부로부터의 무기 ·군대의 원조
를 단념하고, 베트남의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켜 인재
를 육성하겠다는 동유운동(東遊運動)을 일으켰다.
● 필리핀의 독립전쟁 : 필리핀이라는 국명은 16세기 에
스파냐 영유했을 때 왕위 계승자였던 필립의 이름을 따
서 붙인 것이다. 식민지가 되기 이전의 필리핀에는 통일
된 국가가 없었는데, 1840년대부터 각지에서 독립 투쟁
이 벌어졌다. 1890년대에는 민족 운동이 크게 고양되어,
호세 리살이 필리핀 연맹을, 보니파키치오는 카프티난
(동맹)을 조직하여 에스파냐에 맞섰다. 호세 리살은
1896년 체포되어 총살되었지만, 산속에 근거지를 마련
하여 투쟁한 독립군은 1898년 독립을 선언하고 무장 투
쟁을 계속했다. 1898년 독립군은 미국군과 함께(미국과
에스파냐의 전쟁) 에스파냐를 물리치고 마닐라를 함락시
켰다. 이후 총선거를 실시하여 소집된 혁명 의회가 국가
건설 작업을 추진하고 있을 때, 미국은 에스파냐와 조약
을 맺고 필리핀의 지배권을 이양 받았다. 이에 필리핀 인
들은 미국에 맞선 독립 투쟁을 계속하였으나 3년에 걸친
항쟁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
● 호세 리살 : 호세 리살은 필리핀이 에스파냐의 지배를
받던 1861년에 태어났습니다. 마닐라에서 대학을 마친
후 에스파냐, 독일, 프랑스 등에서 공부한 뒤 필리핀으로
돌아와 의사로 생활하면서, 농촌 계몽 활동을 전개하였
다.
식민지 당국에 의해 추방당한 뒤에도 일본과 미국 등에
서 필리핀의 독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고, 1892년에
는 위험을 무릅쓰고 귀국하였습니다. 그리고 필리핀 연
맹을 결성하여 에스파냐에 맞서 필리핀 인들의 독립 활
동을 주도하다 결국 체포되었습니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통일 국가의 경험을 갖지 못했던 필
리핀 인들에게 ‘필리핀 인의 단결, 그리고 독립’이란 의
식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여 필리핀의 독립 영웅으
로 추앙 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민족 운동과 카르티니(1879~1904) :
인도네시아의 민족 운동은 20세기에 이르러서야 본격적
으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람이 바로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의 국모로 추앙
받고 있는 카르티니이다. 자바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그녀는 학교를 세우는 등 민족적 자작의 향상과 여성 교
육의 보급에 힘썼다. 서민들과 함께 생활하려는 생각이
담긴 주옥같은 편지글은 수많은 인도네시아 인들을 감동
시켰고, 그녀가 죽은 후에는 카르티니 학교 설립 운동으
로 이어졌다. 이 운동을 주도한 ‘부드우토모(아름다운
노력)’는 최초의 민족주의 운동으로 평가받는다.
● 이슬람 동맹(Sarekat Islam) : 인도네시아 최초의 대
중적 민족주의 정당으로 인도네시아 국민당(1927)이 성
립될 무렵까지 인도네시아의 민족 운동을 이끌었던 단체
로 외국 자본 유입과 크리스트 교에 반대하는 민족 운동
을 전개하였다.
세포이 :
동인도 회사에
고용되어 군인
으로 일하던 사
람들을 일컫는
말로, 인도인들
가운데서는 교육
받은 계층이 많
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