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Document
제9장
환경정책평가의
기준
McGraw-Hill/Irwin
시그마프레스
1- 1
Copyright © 2009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 한택환 김금수 임동순 홍인기
환경정책 평가기준
• 한 환경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이고 적절한지를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평가기준으로서,
• 효율성, 비용효과성, 공평성, 기술혁신을 위한
인센티브, 강제가능성, 도덕적 개념과의 합치성
등이 있다.
8-2
비용효과성
• 투여된 자원에 대해 최대의 환경개선이 이루어질
때 혹은 일정한 환경개선의 성과를 가능한 최소의
비용으로 달성할 때 비용효과적이라고 한다.
• 어떤 정책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용효과적이어야 하지만 역은 성립하지 않음.
• 비용효과적이지 않은 정책으로 사회는 효율적
배출수준을 낮게 설정할 우려 : 그림9.1
8-3
효율성
• 효율적이라는 것은 사회에 최대의 편익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 환경정책의 효율성은 한계저감비용과
한계피해액이 균등화되는 것을 요구한다.
• 중앙집권화된 방식의 정책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해야 하지만 분권화된 방식의 정책은
개인들로 하여금 ‘스스로’ 그러하게 만든다.
8-4
8-5
공평성
• 공평성은 주로 도덕성의 문제이며 편익 및 비용이
사회구성원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어야 하는가와
관련된다.
• 특정지역의 대기오염을 통제하는 몇 가지 방식의
비용과 편익의 예 : 다음 슬라이드의 표
- 순편익은 같으나 분배상태가 다른 정책 : A, B
- 순편익은 높으나 분배가 고르지 못한 정책 : B 대비 C
- 순편익이 높고 분배가 고르지 못하나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분배 : B 대비 D
8-6
8-7
기술혁신을 위한 인센티브
•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방식을
발견하도록 하는 강력한 인센티브의 제공 :
명령통제형 접근방식, 인센티브에 기초한
접근방식
• 기술기준을 강제할 수도 있다.
• 환경기술산업의 건강성과 활력 기술의 장기적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
8-8
강제가능성
• 규제는 강제되어야만 한다 : 법 제정이 능사가
아님
• 강제는 다른 활동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자원이
소요된다.
• 강제에는 감시와 처벌이라는 두 가지 중용한
단계가 있다.
8-9
도덕적 고려와 정부실패
• 도덕적 고려란 분배문제에 대한 견해를 훨씬 넘어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말함. 가령, 문제를
야기한 사람이 ‘보상’받아서는 안된다라고
생각하여 오염보조금에 반대할 수도 있다.
-특정 오염행위는 불법이라고 분명히 선언한 정책들이
그렇지 않은 것들보다 선호되는 경향.
• 효율적이고 공평한 정책의 달성을 방해하는
법제와 정책당국에 내재하는 경향 및 인센티브를
정부실패라고 부른다.
8-10
제10장
분권화정책 :
책임법, 재산권,
자발적 행동
McGraw-Hill/Irwin
McGraw-Hill/Irwin
1- 11
Copyright © 2009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3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분권화된 정책의 정의
• “환경오염에 관련된 개인들로 하여금 스스로 그
문제를 처리하도록 하는 정책”
- 당사자들이므로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강한
동기를 갖는다.
- 관련정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다.
• 책임법, 재산권, 자발적 행동을 예로 들 수 있다.
8-12
책임법
• 어떤 환경피해에 대해 누군가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안다는 것은 그 사람으로 하여금 몰랐다면
무시되었을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도록 한다.
• 어떤 생산공정 잔여물의 배출량에 관한 예
(그림10.1)
8-13
8-14
불문법과 성문법
• 불문법 : 법정심리와 판례에 의존함
- 입증책임 : 무과실책임주의와 과실책임주의
- 책임범위 : 복수결합, 비결합
• 성문법 : 법전 내에 적절한 조항을 포함시킴
- (미)석유오염방지법, 방사능피폭보상법, 포괄적 환경대응,
보상 및 책임법의 예
8-15
재산권 : 원칙
• 다시 그림 10-1 의 예
• 코즈정리 : 환경자산에 대한 재산권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고, 소유권자와 예상되는 이용자
사이에 협상이 허용된다면, 초기에 그 재산권이
누구에게 부여되어 있든지에 무관하게 효율적인
오염배출수준이 결정됨.
8-16
재산권 접근방식이 올바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
1. 재산권이 잘 정의되고, 강제할 수 있으며, 양도가능해야
한다.
2. 관련주체들간의 협상이 효율적이고 경쟁적이어야 한다.
3. 환경자산의 이용과 관련된 조건이 잘 구비된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8-17
재산권 : 난점
• 거래비용
• 공공재 : 영향을 받게 되는 사람들의 숫자가 많을 때
무임승차의 문제와 선호현시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
• 시장의 부재 : 투자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시장이
있어야 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시민 환경
의식의 성장에 따라 새로운 시장이 생겨날 수도
있다. (그림10.2)
8-18
8-19
자발적 행동
• 도덕적 권고 : 대중캠페인, 환경윤리교육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유발하고자 함.
- Smokey Bear and Woodsy Owl
- “쓰레기를 버리는 벌레가 되지 말자”
• 공동체의 비공식적 압력 : 법률적 수단외의 수단을
통해 행사되는 압력
- 시민단체활동, 방송, 시위, 오염자와의 논의를 통해,
명성의 하락, 불매운동, 주가하락 등을 유발할 수 있다.
8-20
제11장
명령통제전략 :
환경기준
McGraw-Hill/Irwin
McGraw-Hill/Irwin
1- 21
Copyright © 2009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3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정의
•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행위를
법으로 정하고 이를 공권력으로 강제하는 것.
• 우리의 경우 효율적인 오염수준까지 오염배출을
허용하는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를 강제하는
*
것이다. (그림11.1의 배출기준치 e )
8-22
8-23
환경기준의 형태
• 주변부 환경기준 (Ambient standards) :
주변환경에서 어떤 오염물질이 결코 넘어서는 안 되는
수준
• 배출기준 (Emission standards) : 오염원의 배출량에
직접 적용되는, 넘어서는 안 되는 배출수준
• 기술기준 (Technology standards) : 최종결과를
명시하지 않고 오염자가 채택해야 하는 기술, 기법, 사례
8-24
환경기준의 경제학
• 환경기준의 강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 피해액과
저감비용간 균형 맞추기 (그림11.1)
• 환경기준을 모든 지역에 균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환경기준은 비용효과적인가?
8-25
환경기준의 균일성
• 행정편의를 위해 도입한 단일 환경기준은
효율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 도시와 농촌에 적용된 단일의 환경기준의 예 :
그림11.2
• 위 예는 동일지역 다른 시간대에 동일한
환경기준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8-26
8-27
환경기준과 한계량 균등화의 원리
• 동일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원이
있는 곳에서 한계량 균등화의 원리는 상이한
오염배출원들이 모두 동일한 한계비용을 가져야
함을 요구한다.
• 상이한 두 배출원의 예 : 그림11.3
• 동일비율감축 (환경기준의 적용) 방식과 한계량
균등화 감축방식의 비교 : 표11.1
8-28
8-29
8-30
환경기준과 인센티브
• 환경기준에 기초한 명령통제형 접근방식은
오염원으로 하여금 배출량을 효율적인 수준으로,
또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하게 하는
인센티브가 결여되어 있다.
• 또, 규제로 인한 저감기술개발 인센티브도 경제적
인센티브 접근방식보다 약하다. (그림11.4)
- 이 마저도 오염자 (피규제자) 가 기술개발후 환경기준이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더욱 작아지게 될
것이다.
8-31
8-32
강제이행의 경제학
• 강제이행 : 감시와 처벌, 이것은 한계벌금함수로
요약할 수 있다.
• 오염자의 의사결정 : 한계저감비용과
한계벌금량을 비교하여 배출량을 결정.
(그림11.5)
- 감시 또는 처벌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한계벌금함수를
이동시킬 수 있고 기업의 배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8-33
8-34
기술기준의 강제 등
• 정부가 요구하는 기술을 갖춘 시설을 설치했다
하더라도 (초기준수) 이를 계속해서 적용하고
유지보수 (연속준수) 하리란 보장은 없다.
• 이행강제비용을 분석에 포함시킬 때 생기는
맞교환관계 : 큰 강제비용을 들여 엄격한
환경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아니면 적은
강제비용을 들여 덜 엄격한 환경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8-35
제12장
인센티브에 기반을
둔 전략 :
배출부과금과
보조금
McGraw-Hill/Irwin
McGraw-Hill/Irwin
1- 36
Copyright © 2009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3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배출부과금 : 명칭과 정의
• 오염배출세 (emission taxes) 또는 오염세
(pollution taxes) 라고도 한다.
• 오염배출량은 오염자 임의로 정하되
오염배출량 단위당 부과금을 납부하도록 한
제도
8-37
배출부과금 : 개별 오염원의 선택
• 개별오염원은 한계오염저감비용과 부과금요율을
비교한다. (그림12.1)
• 균형 : 한계오염저감비용 = 부과금요율을
만족시키는 배출량을 선택한다.
• 균형에서의 총비용 : 저감비용+부과금
8-38
8-39
배출부과금 : 부과금의 수준
• 최적부과금요율, 즉 효율적 부과금 요율이란
최적오염수준을 만들어내는 부과금요율, 즉
순편익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요율을 말한다.
(그림12.2)
• 최적부과금요율은 최적오염수준에서의
한계피해비용 (혹은 한계저감비용) 과 같도록
설정한다. (그림에서 t *)
8-40
8-41
부과금제의 운영
• 배출부과금은 이전지출 (transfer payment) 에
불과하며, 저감비용이야말로 실질 사회적 비용
• 감소된 피해액보다 조세납부액이 더 크다.
(그림12.2 참조), 이 같은 논리로 조세저항이 있을
수도.
- 조세납부액을 감소된 피해액 수준으로 줄여주되
배출량수준은 최적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이부
배출부과금 ( two part emission charge)을 생각할 수도
있겠다.
8-42
배출부과금과 비용효과성
• 모든 오염원은 자신의 한계오염저감비용과
부과금요율을 일치시키고자 한다. (그림12.3)
- 이 과정에서 모든 오염원의 한계오염저감비용이
균등화된다.
- 따라서, 배출부과금제는 비용효과적이다.
• 총20톤 감축하기 위한 두 가지 감축방식의 비교 :
동일비율 감축방식과 배출부과금제 (아래의 표
참조)
8-43
8-44
8-45
배출부과금과 비균등배출
• 오염원마다 상이한 피해를 만들어낼 수 있다 :
그림12.4
• 이전계수 : 특정 오염원이 환경질에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이전계수가 높은 오염원에 높은 요율의 부과금을
부과하여 단위저감비용당 피해액이 균등화되도록
한다 : 그림12.4의 예에서 오염원B에게는
오염원A에게 부과되는 부과금 요율의 2배의
요율을 부과한다.
8-46
8-47
배출부과금과 불확실성
• 오염피해에 대한 불확실성 : 오염원들이 정확히
어떤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는지, 배출된
오염물질이 환경에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불확실성.
• 저감비용에 대한 불확실성 : 부과금부과로 과연
어느 정도의 오염감축이 이루어질지 불확실하다.
- 저감비용은 기업의 사적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 부과후의
변화를 보고 요율을 수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림 12.6)
8-48
8-49
배출부과금과 조세수입
• 이중배당가설 (double dividend hypothesis) :
오염배출세의 부과를 통해 (오염피해를 줄임을
통해) 이익을 얻고, 동시에 다른 부분의 세금을
줄임으로써도 이익을 얻는다는 가설.
• 오염배출세가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것은 한계저감비용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어려울 수도 있다. (다시 그림12.6 참조)
8-50
배출부과금과 혁신 인센티브
• 배출부과금제는 환경기준제 하에서보다 기업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운다. 따라서 기술개발로 인한
이익이 환경기준제 하에서보다 크다. (그림12.7)
• 배출부과금제 하에서 기업들은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자발적으로 배출량을 줄이고자 하나,
환경기준제 하에서는 기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기준치 이하로 줄일 인센티브가 없다.
8-51
8-52
저감 보조금
• 배출부과금제 하에서와 동일한 인센티브 효과를
갖는다.
- 왜냐하면, 오염배출을 하는 기업은 보조금수령을
포기해야 하는 기회비용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 저감보조금이 동일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총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할 수도 있다.
(그림12.1, 표12.1 참조)
- 보조금부과가 새로운 기업진입을 부를 수 있기 때문에.
8-53
8-54
제13장
인센티브에 기반을
둔 전략 :
양도가능한 배출권
McGraw-Hill/Irwin
McGraw-Hill/Irwin
1- 55
Copyright © 2009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3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배출권 및 배출권거래제도의 정의
• 배출권이란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증서로서
주차권과 본질적으로 같다.
• 배출권거래제도 : 인증 배출권 거래제도 (CRE) 와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도 (CAP)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인증 배출권 거래제도 : 기존의 규제가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이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만든 인증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도 : 총허용배출량을 기초로 만든
배출권이 거래되도록 하는 제도
8-56
CAP 거래제도 하의 기업의 선택
• 오염원은 배출권시장가격과 자신의
한계오염저감비용을 일치시키고자 한다.
• 따라서 한계오염저감비용이 곧 배출권에
대한 수요곡선이 된다.
• 할당받은 배출권이 수요량 보다 많다면
배출권시장에서 공급자가 되며, vice versa
8-57
8-58
배출권시장의 균형
•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도가 비용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단일의 배출권시장에서 공개적으로 서로 거래하고
거래가격에 대한 정보를 모두 알 수 있어야 한다.
• 배출권의 시장수요함수는 곧 모든 기업들의
한계저감비용함수의 수평합이다. 한편 시장공급함수는
정책당국에 의해 정해진 수준에서 수직이다.
• 여늬 시자에서 처럼 배출권시장의 균형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될 때 달성된다. (그림13.2)
8-59
8-60
배출권거래제와 비용효과성
• 모든 오염원이 자신의 한계오염저감비용과
배출권가격을 일치시키려는 과정에서 모든
오염원의 한계오염저감비용이 균등화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제도는 비용효과적이다.
• 배출권거래제도는 총배출량이 먼저 결정되고
배출권가격을 통해 개별배출량이 조정되는 반면,
배출부과금은 부과금을 통해 개별배출량이
조정된 후 총배출량이 결정된다.
8-61
권리의 초기배분
• 균등분배 : 공정하지 않을 수 있다.
• 기존 배출량에 따른 분배 : 그릇된 유인의 제공할
수 있다.
• 무상분배, 매각, 경매처분, 무상분배-경매 혼합식
등
8-62
거래규칙의 설정
• 누가 참여하는가, 절차는 무엇인가에 관한
명쾌한 규칙이 존재해야 한다.
- 가령, 누가 참여하는가와 관련하여, 오염자에게 한정할
것인가 아니면 환경단체도 포함할 것인가를 명확히
해야.
• 정책당국은 간단명료한 규칙을 설정하고 되도록
개입하지 않으면서 거래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8-63
배출권 매수의 감축
• 기술진보로 인해 최적배출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배출권 유통매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 두 가지 방법 : 시장에서 매입, 퇴출. 다른 하나는
배출권에 시간을 명기하고 차기의 발행매수를
감축하는 방법.
8-64
배출권거래제와 비균등 배출
• 그림13.3은 서로 다른 수많은 배출원들이 위치한
한 지역을 보이고 있다.
• 각각의 오염원은 서로 다른 이전계수를 가지고
있다.
• 이때, 영향이 다른 지구들간의 배출권거래시
교환비율을 상대적 피해규모에 따라 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8-65
8-66
배출권거래제도와 경쟁의 문제
• 배출권거래제도 작동의 원리 : 경쟁
• 불완전 경쟁 : 환경적 성과가 미약할 뿐만 아니라
해당산업의 불공정경쟁으로 이어질 수도.
• 생태학적 사실과 산업의 경쟁조건 사이의 갈등
- 거래구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한정해야 하는 기상학적
또는 수문학적 이유들이 있을 수 있다.
8-67
총량제한 배출권거래제도의 강제이행
• 당국이 챙겨야 할 사실 : 각 오염원의 보유매수,
배출량.
• 이는 거래의 추적, 배출량에 대한 감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 자발적 기초 위에서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도가
설정될 수도 있다 : 미국의 옵셋 시장
8-68
배출권거래제와 연구개발 인센티브
• 기본적으로 배출부과금제 하에서와 동일한
인센티브 효과를 갖는다.
• 배출권거래제 하에서 기술개발을 하고자 하는
인센티브는 저감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줄어든 배출량만큼 배출권을 판매하여 얻을 수
있는 수입이다.
8-69
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