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성장, 불확실성

Download Report

Transcript 인플레이션과 성장, 불확실성

인플레이션과 성장, 불확실성
Inflation uncertainty, output growth
uncertainty,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1990년대의 안정화
 1980년 대비 1990년대의 인플레이션과 생
산의 변화율(Variability) 안정화.
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생산 변동성사이의
Trade off 관계 - (Cecchetti and Krause ,
2001, 23개국 조사)
Percent change from previous
quarter, at annual rate
미국의 분기별 실질경제 성장률, 1960-2004
15
10
5
0
-5
-10
196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문제제기
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인플레이션 변동성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가?
 인플레이션의 하락과 인플레이션 변동성의
감소가 경제성장에 양의 효과가 있는가?
(M. Friedman의 예측)
 안정화된 성장은 성장률 증가에 기여하는
가?
네가지 변수


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변동성
생산량(실질경제성장)
생산량 변동성(실질경제성장의 불확실성)
불확실성(uncertainty)과 경제
 통화당국의 목표: 목표 인플레이션과 목표
성장률 유지
 외부 충격 – 목표(인플레이션, 성장률)이탈
– 재정 및 통화 정책 – 안정화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경제성장
- M. Friedman(1977)
 인플레이션의 불확실성은 두 가지 경로로
성장률을 저해한다.
- 첫째, 시간적 자원배분의 왜곡
(intertemporal) - 이자율을 통해서
- 둘째, 현재(intratemporal) 자원배분의 왜곡
– 가격의 경직성을 통한 상대가격의 왜곡을
통해서
 인플레이션의 증가는 인플레이션 변동성의
증가를 가져온다.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경제성장
 인플레이션 변동성 증가가 경제성장에 미
치는 영향
 투자 지연 유발을 통한 부정적 효과
- 투자의 불가역성(irreversibility)
- 투자는 기회비용이므로 인플레이션의 증
가는 장래 투자회수가치의 불확실성을 증
가시키게 됨. 투자의 축소 혹은 연기
- Pindyck(1991)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경제성장
 반대로, 경제의 불확실성을 싫어하는(risk
averse) 경제주체가 인플레이션이 증가하
는 경우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저축을 증가
시키고 이는 투자를 증대- 성장률 증가
- Dotsey and Sarte (2000)
인플레이션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의 불확실성이 존재
하는 상황에서 통화량을 급격하게 늘림으
로 경제를 자극하고자 한다. 따라서 인플레
이션 불확실성은 인플레이션 증가를 가져
온다.
- Cukierman and Meltzer (1986)
인플레이션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 반대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의 불확실
성이 증가하는 경우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
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화공급을 줄인다. 따
라서 인플레이션도 감소한다.
- Holland (1990), 중앙은행의 안정화 가설
(stabilizing Fed hypothesis)
불확실한 경제성장률과 경제
 경기 순환모형에서 경제성장률의 변동과
경제성장률 자체는 서로 무관하다는 가정
을 하고 있다.
 경제성장률의 변동은 상대가격에 대한 경
제주체들의 반응에 의한다고 가정( 예: 총
공급이론 13장)
 경제성장률 자체의 변화는 생산기술 수준
의 변화 등에 따른다. 예) Y=f (K, L)
불확실한 경제성장률과 경제
 위험요소가 많은 첨단산업은 이에 따른 보상이 큰
경우에만 시도 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성장률의
변동성이 증가하면 첨단산업의 투자가 일어날 가
능성이 높고 이에 따른 경제성장률도 증가한다.
- Black(1987)
 반대로 투자의 불가역성은 위험이 증가할 수록 투
자를 회피하게 만든다. 따라서 경제성장의 불확실
성은 경제성장을 낮추게 된다.
- Pindyck(1991)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의 양의 관계 (단기 필립스
커브)
- 그러나 최근 경제학자들의 논의는 위와 같은 논의
를 지지하는 경우가 드물다.(Temple,2000)
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경제성장을 저해하거나 적
어도 별 영향이 없다고 주장함
- Klump(2003), Gylfason and Herbertsson(2001)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경제의 불확실성
 정책당국의 목표가 인플레이션과 성장률의
안정화라는 것에 대부분 경제학자들의 동
의
 그런데 인플레이션의 변동성과 성장률 변
화의 안정화가 정책당국의 목표라는 주장
도 있음 (Cecchetti and Krause, 2001)
 Taylor (1979)는 두 변동성 사이의 tradeoff관계가 있음을 주장(Taylor effect)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경제의 불확실성
 반면에 높은 인플레이션은 생산자로 하여
금 명목 혹은 실질수요의 변화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가져오고 이는 상대가격 변화
의 변동성을 높이게 된다.
 상대가격의 변화가 생산자의 불확실성을
높인다고 가정하면 결과적으로 이는 실질
투자와 경제활동의 불확실성을 높인다.
- 양의 관계, Logue and Sweeney(1981)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이들 변
수의 변동성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 변동성↑
- 프리드만 : 정책당국의 재정확대,인플레이
션↑, 통화당국의 긴축, 인플레이션↓
- Ball : 두 종류의 통화정책당국자
약한(weak), 강한(tough) types
Inflation ↑ 어떤 type의 통화당국자
가 정책의 담당자가 될 수 있을 지
모름 , 따라서 불확실성 증가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이들 변
수의 변동성
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경제주체
들은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데 자원을 많
이 사용하게 됨으로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의 변동성이 낮아 진다.
- Ungar and Zilberfarb (1993)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이들 변
수의 변동성
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경제성장의 변동성
에 미치는 영향도 각기 다를 수 있다.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변동성↑(프리드
만) , 경제성장의 변동성↓ (Taylor effect)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변동성 ↓(Ungar
and Zilberfarb ) , 경제성장의 변동성↑
(Taylor effect)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이들 변
수의 변동성
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필립스커브),
인플레이션 변동성↑ (프리드만) –positive
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필립스커브),
인플레이션 변동성↓ (Ungar and Zilberfarb )negative
- 경제성장의 둔화는 통화당국의 정책대응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 시킨다. Brunner (1993)
-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의 안정화
정책), 인플레이션 변동성↓ (프리드만)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그리고 이들 변
수의 변동성
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필립스커브),
인플레이션 변동성↑ (프리드만),
경제성장 변동성 ↓ (Taylor effect)
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필립스커브),
인플레이션 변동성↓ (Ungar and
Zilberfarb),
경제성장 변동성 ↑ (Taylor effect)
선행연구
 선행연구 (The Empirical evidence)

불확실성의 측정
-
Cross sectional data
• 인플레이션의 표준편차를 이용 국가간 비교연구
-
Time series
• 미래 인플레이션 예측 survey와 실재 값과의 차이
- survey참여자 불확실성에 대한 계측의 어려움
• 이동 표준편차 (moving standard deviation)
- 이동 표준편차의 예측가능성- 불확실성과의 괴리
• GARCH모형의 조건부분산
- 예측할 수 없는 확률과정인 오차로부터 추정된 분산 (the time
varying variance of unpredictable innovations in a variable)
선행연구
 실증연구
-
πt↑→ hπt↑
이전연구 대부분 실증연구결과 일치 (for a review
Holland, 1993; Davis and Kanago, 2000
GARCH
모형
-
hπt↑→ yt↓
Grier and Perry, 1998; Fountas, 2001;
Karanasos et al., 2004
이전연구 대다수 연구가 인플레이션 변동성의
negative welfare 효과인정
GARCH
모형
Grier and Perry, 2000; Grier et al.,2004
는 미국; Fountas et al.2004의 경우 유럽6
개국연구 결과는 국가별 mixed
선행연구
-
-
hπt↑→ πt↑
Baillie et al.1996 UK와 high inflation 국가들;
Karanasos et al.2004 미
hπt↑→ πt↓
Grier and Perry,1998 미,영,독 ;Grier and Perry 2000 미
hyt ~ yt
Speight 1999; Fountas et al. 2002; Karanasos and
Mendoza 2004
hyt↑→ yt↑
Caporale and McKiernan 1996,1998; Grier and Perry
2000; Grier etal. 2004
hyt↑→ yt↓
Henry and Olekalns 2002
연구 방법
 GARCH 모형
-
본래 Finance 자료는 이분산 (time varying variance), 변동성 응집
(Volatility clustering), 시계열자체는 독립적 (serially uncorrelated)
이나 그 제곱값은 자기상관적(correlated) 등의 특징 (Mendelbrot,
1963; Fama, 1965)
-
Engle 의 1982년 ARCH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model을 발표 최초로 자기회귀적 조건부 분산
을 추정
-
이후 GARCH (Bollerslev, 1986), EGARCH (Nelson,1990), TGARH,
APGARCH 등 여러 GARCH 모형들이 제시되었으며 주로 금융관련
분야에서 무수히 적용됨 (for a review Bollerslev et al. 1992), 한편
불확실성과 관련되어 거시경제 분야 역시 차츰 사용범위가 확대
연구 방법
 A Bivariate GARCH 모형 (Bollerslev,1990)
-
πt 인플레이션, yt 실질경제성장률
xt   0 
with  0
p

i 1
i
xt 1   t
,
 0 
 ,i
 
 , and  i  

 y0 
 y ,i
(1)
y ,i 
 yy ,i 

- xt=(πt yt)′, Φ0 상수, 2x1 column vector
Φi , i=1,….,p , 2x2 parameter matrix, εt =(επt εyt ) ′, (εt |Ωt-1) ~ N(0,Ht)
단 Ωt-1는 t-1시점까지의 정보 set, Ht는 covariance matrix
연구 방법
-
Covariance matrix Ht
ht  t    h ,t 1     2 ,t 1 ,
( 2a )
hyt  t   y hy ,t 1   y  y2,t 1 ,
( 2b)
hy ,t  
( 2c )
ht
hyt
ht , hyt 는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의조건부분산,
hy ,t 는 공분산 (  , y , )
i ;  i  0,  i  0 for i   , y,
-
1    1
επt= zt hπt1/2 , zt i.i.d., E(zt)=0, var(zt) =1, 때문에 επt는 독립적
(serially uncorrelated) 이고 평균=0 , 조건부 분산인 hπt는 GARCH
형태
연구 방법
 Granger 인과관계 검증(two-step approach)
-
일차로 GARCH모형을 통해 변동성을 추정한 후에 각각 변수들 사이
의 Granger인과관계 검증 (Grier and Perry,1998)
동시적 접근(simultaneous approach)
예) • ARCH in mean (Grier and Perry 2000 )
- Lagged causal effect 분석의 어려움
• ARCH in mean –X, BEKK모형(Grier et al. 2004)
- 조건부분산의 non-negativity
- 추정하는 parameter의 수의 상대적 과다
- BEKK 모형의 경우 변동성 인과관계가 negative인 경우
모형설정 오류 가능성
연구 방법
 Data 및 테스트
-
G7국가의 월별 물가지수와 산업생산지수사용 (Table1a)
-
모형의 추정을 통해 구해진 조건부분산을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
의 변동성으로 사용
-
단위근 검정: Augmented Dickey Fuller(ADF), Phillips-Perron(PP)
테스트
-
Ljung-Box Q 테스트 등
인과관계 검증결과 및 결론
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
πt↑→ hπt↑ : 6개국(영 제외), (Table5c, panel A)
-
hπt↑→ yt↓ : 5개국(프, 이 제외), (Table5a, panel A)
-
πt ↑→ yt↓ : 6개국(캐 제외), (Table5b, panel B)
- 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에 Negative effect : 직접적, 혹은 간접적( via
변동성 확대를 통해 πt↑→ hπt↑ → yt↓ )
인과관계 검증결과 및 결론
 결론1: 인플레이션의 경제성장저해 효과를 감안할 때 중앙은행 금융
정책의 목표는 인플레이션 안정화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감수하고서라도 경제성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
장은 본 연구를 통해 지지되지 않음
 인플레이션 변동성과 인플레이션
-
hπt↑→ πt↑ : 영,프,이,캐
-
hπt↑→ πt↓ : 미, 일 (Table5a, panel B)
-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증가할 때 인플레이션 상승을 가져오는 국가들은
Alesina and Summers (1993)기준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상
대적으로 약함 경우임
인과관계 검증결과 및 결론
 결론2: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될 때 중앙은행이 시중에 통화량을 급
격히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경제활성화를 의도하는 국가는 인플레이
션 안정화라는 중앙은행의 정책목표가 정치적 간섭을 받고 있다고 생
각할 수 있음(Cukeierman and Meltzer (1986)와 Alesina and
Summers (1993)의 논의를 따르면)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앙은행의 독립성 확보가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을 지지함
 경제성장의 변동성과 경제성장
- hyt↑→ yt↑ : 6개국 (일 제외) (Table5a, panel C)
- 경제성장 변동성이 상승하면 경제성장률 역시 상승하는 경우: 7개국 가
운데 6개국
인과관계 검증결과 및 결론

결론3: 경제성장률 변동성의 증가가 경제성장률에 positive effect를
가져온 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성장의 변동성과 경제성장은 관
련이 없다는 경기변동모형(Business cycle model)이 두 변수의 관
련성을 감안하여 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줌
또한, 경제의 안정화가 경제성장을 위한 선결요건이라는 대부분
OECD경제학자들의 주장은 본 연구에서 지지 받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