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인사말 - 충북대학교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BNU
충북대학교동물생명과학연구소
창 간 호 2009. 03. 31
Volume 1. March 2009
충북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1
주
소
홈페이지
전
화
이메일
:
:
: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봉로 410 (우 361-763)
http://anbioins.chungbuk.ac.kr/
043-261-3453. 043-261-2545
[email protected]
창간호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NTENTS
3 인사말
4 연구소 설립목적 및 연혁
5 연구소 조직도
6 운영위원 편집위원 위촉기간
7 학술초청 강연회 개최현황
8 07년 08년 연구현황
9 사업보고 사업추진계획
10 연구원 동정
11 연구소 동향
12 실험실 소개
창간호
2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I message
창간호를 내면서…
……………………………………………………………………………………………...........
충북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장 송 만 강
본 연구소는 동물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동물 자원 산업인 축산업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이론과
기술을 신속히 보급하며, 생산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
대학 본부 직속 기관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비록 설립 연한이 짧지만 본 연구소의 동물 생명 산업에
대한 기여도는 타 연구소에 비해 손색이 없을 정도라
자부합니다. 본 연구소는 앞으로도 설립목적에 부합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서 이 지역과 국가 전체의
동물 자원 산업 발전에 기여 할 것을 약속합니다.
아울러 세계적인 연구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창간호
3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소 설립목적 및 연혁
설립목적
본 연구소는 동물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충청 지역의 동물자원 산업인 축산업
발전을 위하여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를 중심으로 2003년에 설립되었다.
본 연구소는 이 지역의 축산업 관련 업무의 국가기관 및 민간단체와의 협력 하에 지역 내
축산업 생산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고 새로운 이론과 기술을 신속히 보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현장의 문제를 교육에 반영함으로서 산학 협동을 통하여 충북 지역 축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동물 유용유전자 분석, 복제 수정란 생산 보급, 그리고 사료개발과 가축 사양관리
관련 각종 수탁 사업을 수행하며, 연구기술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사업
1)
2)
3)
4)
5)
6)
7)
동물생명 응용 및 산업 관련 분야의 제반 연구
동물생명과학 산업과 연관된 각종 수탁 연구사업
축산 관련 종사자의 교육, 기술훈련, 현장지도
지역 축산 농민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연구사업
지역 축산업 관련 정보의 수집ㆍ분석과 진단
연구소 논문집 및 소식지 발간
심포지엄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연구소 주요연혁
2002년
2003년
2003년
2007년
2008년
11월 1일 충북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설치인가
6월 30일 김남형교수 소장취임
7월 1일 연구소 규약 제정
6월 30일 송만강교수 소장취임
5월 1일 연구소 홈페이지(서버) 구축 및 운영
(http://anbioins.chungbuk.ac.kr)
2008년 6월 1일 동물생명과학연구논문 제1권 발간
창간호
4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소 조직도
소장
송만강
기획연구부
송창섭
산업지원부
최양일
국제협력부
김남형
축산학
참여교수
송
만
강
식물의학
차
병
진
우
수
동
지역건설공학
조
수
원
송
창
섭
윤
성
수
김
남
형
식품의학
한
남
수
정
정
수
김
관
석
수의학
김
태
집
이
완
규
창간호
최
양
일
조
성
구
김
내
수
농업경제학과
송
양
훈
목재종이공학과
한
규
성
5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운영위원 (위촉기간 : 07.07.01-09.06.30)
구분
성명
소속
직급
비고
위원장
송만강
축산학과
교수
소장(당연직(겸무)
위원
정정수
축산학과
“
최양일
축산학과
“
조성구
축산학과
“
김남형
축산학과
“
송창섭
지역건설공학과
“
한남수
식품공학과
“
차병진
식물의학과
“
이완규
수의학과
“
• 편집위원 (위촉기간 : 08.05.01-10.04.30)
구분
성명
소속
직급
구분
성명
소속
직급
편집위원
김내수
축산학과
교수
편집위원
이홍구
부산대학교
교수
정정수
“
“
김영준
고려대학교
“
최양일
“
“
홍성구
축산과학원
송만강
“
“
강희설
농촌진흥청
조성구
“
“
오영균
축산과학원
김남형
“
“
김경훈
농촌진흥청
김관석
“
“
장선식
축산과학원
차병진
식물의학과
“
최창원
축산과학원
한남수
식품공학과
“
백경훈
축산과학원
최향순
축산학과
“
창간호
6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학술초청 강연회 개최현황
일자
2007. 5. 15
연사
소속
세미나제목
Dr. Steve
Kemp
영국 Liverpool 대학 교수 겸
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Understanding the biology
underlying response to
trypanosome infection
Dr. Harry
Noyes
영국 Liverpool 대학교수
Identific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regulating gene
expression
오성종 박사
국제 축산연구소 객원 연구원
Introduction of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2007. 8. 27
Dr. Phillip
Owens
Carroll College Waukesha WI
USA Division of Natural and
Health sciences
Development of adiposity
2007. 10. 4
홍성구 박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한우사양표준의 이해
2007. 10. 11
이홍구 교수
김영준 교수
최성호 박사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충북대학교
반추가축에서의 CLA 생산 기술
2007. 11. 14
원유석 소장
가축개량 사업소장
한우 행동습성 관찰을 통한 효과적
인 사양관리 방법
2007. 12. 3
오성종 박사
국제 축산연구소 객원 연구원
국제 축산연구소의 연구현황
2008. 4. 1
황일기 장장
농협중앙회 축산사료연구소
사료 R&D센터
주요 동계사료의 활용 방법
정준 박사
농협중앙회 축산사료연구소
R&D센터
TRM사료와 TMF사료의 체내 이용
성
2008. 4. 4
한영근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료에너지 질감용 폐식용유 이용
성 제고
2008. 4. 25
이상철 박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한우 사육시 배합사료비 절감 방안
2008. 7. 15
고종열 박사
농협사료 연구부장
동계 사료작물을 이용한 한우 비육
용 TMR 제조와 이용성 평가
2008. 8. 27
엄창국 교수
중국 연변농학원
Microbial Additives For The
Animal Production
2008. 9. 11
Carolyn
Fitzsimmons
Adelaide University Australia
Placental Development in a
Bovine Heterosis Model
2008. 11. 28
최창본 교수
영남대학교
사료비 절감용 대체사료 개발
이홍구 교수
부산대학교
CLA 함유 젖산양 생산
최창원 교수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한우 불가식 지방과 특이 항체
창간호
7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07년 – 08년 연구 현황
순서
연구비
(천원)
연구과제
지원기관
1
지방조직, 근육에서 돼지특이 steroid와 steroid receptor의 기능 연구
40,000
농촌진흥청
2
Growth Factors에 의한 돼지 지방세포 분화조절 구명
40,000
농촌진흥청
3
면역력 증강 및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돼지사양관리체계 확립
55,000
농림기술관리센터
4
IGF-2와 TGF-b가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 구명
40,000
농촌진흥청
5
돼지의 생산성 및 면역력 향상을 위한 사양관리체계 확립
55,000
농림기술관리센터
6
형질전환 수정란의 생산 및 이식 기술 개발
200,000
농촌진흥청
7
체외 성숙 난자를 이용한 개 수정란 및 복제란 생산
100,000
과학기술부
8
형질전환 수정란의 생산 및 이식 기술 개발
210,000
농촌진흥청
9
RNA 간섭 기법을 이용한 질병저항 후보유전자의 검증
50,000
농촌진흥청
10
제주흑우의 대량증식 기술개발 및 산업화
50,000
농림기술관리센터
11
복제 초기 배아(개와고양이)의 발달기전 규명과 효율 향상
80,000
과학기술부
12
한우 육량.육질 조기 선발용 DNA Kit 산업화 기술 개발
85,000
농림기술관리센터
13
한우집단 조성, 개량 평가 및 산업 시스템 구축
75,000
농림기술관리센터
14
질병 저항성 유전자 형질전환 동물생산
40,000
농촌진흥청
15
초정한우 브랜드화 및 메뉴개발을 위한 육질관리 및 상품화 개발
13,000
㈜초정한우
16
복합광물질 (네이온-200)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8,000
17
2007년 진천군 축산물브랜드육성 실시 용역
19,000
진청군청
18
CLA 생성, 흡수 및 조직내 축적에 관여하는 효소작용규명을 통한 기능성 한우고기 생산
50,000
농촌진흥청
19
CAL 함유 기능성 산양유 생산기술 개발 및 영양적 기능성 평가
30,000
농촌진흥청
20
민들레 발효사료 뷴석
21
청보리와 호밀 TMR을 이용한 한우 및 낙농 사양 프로그램 개발
80,000
농림기술관리센터
22
돼지유전체 육질 및 지방축적 관련SNP변이 대량 발굴 및 분자유전학적 활용기술 개발
190,000
축산기술연구소
23
한우 육량.육질 형질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특성 분석
24
한우육 식별 표준 프로토콜 확립과 SNP 검증을 통한 실용화 기술개발
100,000
농촌진흥청
25
바이오그린21사업 동물유전체연구단장 활동비
15,000
농촌진흥청
26
한우 육량 육질 형질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특성 분석
50,000
농림기술관리센터
27
육질판별 방법 및 평가시스템의 검증 및 최적화
5,000
농림기술관리센터
1,500
57,000
창간호
㈜대안네이온
이두환
농림기술관리센터
8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사업보고
11%
2년간 사업보고
2%
30%
11%
46%
농림기술관리센터
농촌진흥청
한국과학재단
축산기술연구소
민간업체
• 사업추진 계획
일정
사업내용
Newsletter 발간
제2권 연구소 논문집 발간
각종 세미나(전문가초청) - 15회
2009년 1월 – 12월
국제심포지엄 개최
연구소 사무실 - 확보 및 보수
운영위원회 위원 위촉 등 조직 - 점검 및 개편
협약체결을 위한 준비 - 지원기관
창간호
9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원 동정
송 만강 교수 2007년 9월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한중일 반추미생물학회와 2008년도 6월 서울대학교 한국동물자원과학
회,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아세아태평양 축산학회에 참석하여 새로운 연구동향의 파악과 선진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하여 돌아왔다.
김 남형 교수 2008년도 9월 17일 일본 큐슈대학을 방문하여, 일본의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실험 수행하였던
결과발표를 하여 일본과의 연구교류의 폭을 넓혀가는 계기가 되어 돌아왔다.
정 정수 교수 2008년 6월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된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에서 공동연구과제에 관한 의견교환과
자료수집을 하고 연구정보를 교환하고자 참석하였다.
김 관석 교수 2007년 9월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한중일 반추미생물학회에 참석하여 학술정보를 교환하고 국외 과학자들
과 의견 교환 및 토론을 통해 실험 수행에 많은 연구정보를 안고 돌아왔다.
김 내수 교수 2008년 6월 27일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에 참석하여 젊은 과학자 특강 좌장과 젖소 개량기술의 응
용 활용전략 심포지엄 좌장을 맡았다.
조 성구 교수 2008년도 6월 한국동물자원과학회에 참석하여 연구에 필요한 자료수집을 하고, 2008년도 8월 일본 구주지
역 구주대학에 학생 영농정책과정 선진지 방문을 하였다.
최 양일 교수 2008년도 6월 한국동물자원과학회에 참석하여 축산업 발전에 필요한 최신 연구동향과 선진기술습득에 좋은
기회를 가졌으며, 2008년 9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아세아태평앙 축산학회에 참석하여 새로운 연구성과를 발
표하였다.
창간호
10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소 동향
연구소 사무실 마련
07. 7. 연구소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구소 사무실 마련
홈페이지 구축
08. 5. 연구소 홈페이지(서버) 구축 및 운영
(http://anbioins.chungbuk.ac.kr/)
논문집 발간
08. 6. 동물생명과학연구논문 제1권 발간
심포지엄 개최
일시 : 2008. 7. 22
장소 : 충북대학교 91동 교수세미나실
주제 : The 1s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ohoku University Joint
Seminar on Animal Reproduction
내용 :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일시 : 2008. 11. 10
장소 :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
주제 : CBNU ANIMAL BIOTECHNOLGY INSTITUT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Domestic Animal Genome Sciences”
내용 : 유전체 연구의 축산업 적용현황과 미래
창간호
11
Animal Biotechnology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실험실 소개
충북대학교 동물분자발생연구실 (책임교수 김남형)
연구내용
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번식학 실험실에서는 현재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연구원 김남형교수를 비롯하여 10명의 연구
인력이 온 열정을 다하고 있다.
현재연구진행으로 복제 초기배아(개와 고양이)의 발달기전 규명과 효율 향상, RNA 간섭 기법을 이용한 질병저항 후보유전
자의 검증, 형질전환 수정란의 생산 및 이식 기술 개발, 제주흑우의 대량증식 기술개발 및 산업화, 농가 맞춤형 신개념 수정
란 이식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산업화 등 실험동물 마우스와 고양이를 통하여 연간 수행하고 있는 과제가 현재 동물생명과
학연구소의 대부분을 차지 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험실 구성원
지도교수
김남형
박사
박사과정
석사
석사과정
학사
최향순
한영준
김영훈
허영남
심성휘
장정교
태진철
이영화
이성현
박원준
주요 연구활동
- 미세조작 기술 기법으로 생산된 수정란 내 유전자 발현을 연구
- RNA 분리 기술과 핵이식 기술 연구
- 수정란 및 정자의 성감별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
- 고양이 배란 유도, 체외 수정 방법 및 효율 향상, 및 수정란 체
외 성숙 메카니즘분석에 관한 연구
- 마우스 난자에 고양이, 햄스터, 생쥐의 정자를 미세주입 함으
로서 난자발생과정을 조사 연구
- 초기배아의 발달과 관련되어있는 microRNA의 발현을 조사
연구
- 체외수정난자와 복제난자의 microRNA의 발현을 비교조사
연구
창간호
12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차세대 축산업 생산을 이끌어갈 연구소와 함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동물생명과학연구소
2009년 창간호 / 발행일 : 2009년 3월 31일
발 행 인 : 송만강
발 행 처 : 동물생명과학연구소
주
소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봉로 410 (우 361-763)
홈페이지 : http://anbioins.chungbuk.ac.kr/
전
화 : 043-261-3453, 043-261-2545
이 메 일 : [email protected]
창간호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