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바울에 관한 새로운 전망들

Download Report

Transcript 역사적 바울에 관한 새로운 전망들

역사적 바울에 관한
새로운 전망들
제3시대 그리스도교 연구소
신학 아카데미 탈/향, 여름강좌
바울은 진정한 예수의 후계자인가?
• 왜 바울은 역사적 예수에 침묵하는가?
• 예수와 바울의 차이점
1) 선교배경: 갈릴리 촌락 vs.
그레코-로만의 대도시
2) 가르침의 방식: parables in Aramaic
vs. exhortation in Greek
3) 가르침의 내용: the imminent Kingdom
of God vs. the righteousness
of God
• 4) 스타일: 예언자 vs. 견유 철학자
• 5) 목표: 이스라엘의 갱신 vs. Ekklesia
건설
• 6) 역사적 예수는 자신을 선포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나, 바울은 예수를 선포의
대상으로 삼았음.
Cf. 그렇다면 예수의 가르침과 바울의 복음
은 불연적인가?
Who was a historical Paul?
• 출신지: 다소
• 용모: <바울과 테클라 행전>
•
<고후 10:10> “저희 말이 그 편지는
중하고 힘이 있으나 그 몸으로 대할 때는
약하고 말이 시원치 않다”
• 교육배경: 헬라적 중등교육 (김나지움)
기초적인 수사학 교육
cf. 사도행전-> 가말리엘의 제자
• 출신 성분: 베냐민 지파 <빌립보서 3:5절>,
•
•
•
로마의 시민권 <행전 22:26>
직업: 가죽 수공업자(스케노포이오스),
문서 선교자 및 순회 설교가
오해의 인물: 유대교의 파괴자 (보수적 유대인)
‘도’(the Way)의 박해자 (예수 운동 그룹)
영지주의자 (마르시온)
“또 그 모든 편지에도 이런 일에 관하여 말하였으되
그 중에 알기 어려운 것이 더러 있으니 무식한 자들
과 굳세지 못한 자들이 다른 성경과 같이 그것도 억
지로 풀다가 스스로 멸망에 이르느니라” (벧후
3:16).
바울과 그의 편지에 관한 몇 가지 오해
들
•
•
•
•
•
•
•
바울은
바울의
바울은
바울은
바울의
바울의
바울은
체계적인 신학자?
서신들은 신학적 교리서?
현대적 사상가?
여성차별주의자?
중심 사상은 ‘의인론’?
다메섹 체험은 ‘회심’?
기독교의 창시자?
New perspectives on historical
Paul
• Paul is the apostle to the Gentiles -> Paul is
•
•
the apostle to Israelites living among nonIsraelite peoples outside Judea.
Paul is an apostle with a ministry -> Paul is a
change agent with an innovation to
communicate to Israel.
Paul is the source of theology -> Paul is
focu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 in Jesusgroup formation.
• Paul is the second founder of
Christianity, after Jesus. -> God is the
founder of Christianity.
• Paul is apostle to heterophilous groups,
that is, non-Israelite Gentiles. -> Paul
is a change agent to homophilous
groups, that is, Israelites living among
non-Israelite people.
• Paul’s doctrine is eschatological,
sometimes apocalyptic. ->Paul’s
doctrine is political religion, proclaimed
theocracy, for fictive kin groups.
• Paul’s writes to religious groups. ->
Paul writes to fictive kin groups with a
domestic religion, awaiting the kingdom
of God (political religion in abeyance)
• Paul is directly and immediately relevant
to twenty-first-century churches. ->
Paul was directly and immediately
relevant to first-century Jesus groups.
• Paul is a monotheist. -> Paul is a
henotheist.
• Paul is a universalist. -> Paul is an
ethnocentric particularist.
바울 연대기 (Pauline Chronology)
•
•
•
•
•
•
A.D. 5-10 (?) 길리기아, 다소 출생(행 21:38; 22:3).
A.D. 32 예수 운동 박해 (행 9:1; 갈 1:13-14).
A.D. 32 다메섹 체험과 아라비아 선교 (갈 1:15-16; 고후 12:2).
A.D. 34-35 첫 번째 예루살렘 방문 (갈 1:18).
A.D. 36-37 안디옥을 거점으로 이방선교 시작.
A.D. 48-49 두 번째 예루살렘 방문과 사도회의 (갈 2:1-10, 행
15:1-12).
• A.D. 49-50 고린도(갈라디아, 빌립보, 데살로니아)를 향한 첫 번째
독립선교 여행(행 18:2)
• A.D. 49
Edict of Claudius expelling Jews from Rome
• A.D. 50-51 데살로니아 전서 집필
•
•
•
•
•
•
•
•
•
•
•
•
•
•
•
•
A.D. 52-56 에베소와 아시아 체류
A.D. 54 고린도 전서 집필 (고전 7:1)
A.D. 54 고린도 후서에 언급된 “눈물의 편지” 작성 (고후 2:3-4, 9;
7:8-12)
A.D. 54-55 에베소에서의 투옥과 죽음의 위기 (고후 1:8-11)
A.D. 54-55 빌레몬서를 보냄
A.D. 54-55 옥중서신인 빌립보서를 집필
A.D. 55-56 에베소에서 고린도를 향한 여행 (드로아와 마케도니아를 경유
한 소위 헌금여행) cf. 고후 2:12-13; 7:5-7.
A.D. 56 갈라디아서 집필
A.D. 56 고린도 후서에 언급된 “화해의 편지”를 작성
A.D. 56년 겨울 세 번째 고린도 방문 (3개월 체류)
A.D. 56-57 로마서 집필
A.D. 56-57 구제 헌금을 위한 여행 (고린도를 거쳐 예루살렘으로) (행
21:17)
A.D. 57-58 세 번째 예루살렘 방문과 체포 (행 21:27; 롬 15:25-33)
A.D. 58-60 재판을 받기 위해 로마로 이송 (행 27:1)
A.D. 60-62 로마 체류와 순교 (행 28:16-31)
어거스틴과 루터의 바울 이해
• 어거스틴(Augustine): 롬 13:13절에 의해 회심체험. 바
•
•
울의 메시지를 인간의 내향적인 고민에 대한 실존적 응
답으로 해석. 바울에 근거하여 ‘원죄’, 인간의 자유의지
의 결여. 이중예정론을 주장.
루터 (M. Luther): 카톨릭의 면죄부를 비판하면서, 율법
의 행위를 비판하고, 신앙에 의해서만 인간은 하나님 앞
에 의롭게 설 수 있다는 ‘신앙의인’을 주장. 이후부터 ‘신
앙의인’은 바울의 중심사상으로 간주되어 왔음. 그러나
루터는 ‘신앙의인’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율법에
관한 바울의 긍정적인 언급을 도외시.
칼빈 (J. Calvin): 바울의 사상을 구약과의 연속성 상에서
이해. 그에 따르면 바울의 비판은 율법에 관한 협소하고
잘못된 이해를 비판 한 것이지, 구약의 율법 자체를 공격
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
19세기 바우르와 튜빙겐 학파의
바울 연구
• 역사적 주석(historical exegesis) vs. 교리적 연
•
구(dogmatic exposition)을 구분
바우르(F.C. Baur, 1826-1860): 1831년, “The
Christ-Party in the Corinthian Church, the
Conflict Between Petrine and Pauline
Christianity in the Early Church, the Apostle
Peter in Rome”-> 고전 1:11-12절을 헤겔의 변
증법적 철학으로 해석. 즉 바울과 아볼로에 의해
대표되는 이방 기독교와 게바로 대표되는 유대
기독교가 대립 -> 2세기 공교회의 성립으로 갈
등 해소
• 바우르는 13권의 서신 중 진정한 바울의 저작을
•
구분하려고 시도 -> 율법/복음의 갈등구조와 이
신칭의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들을 진정
성이 있다고 봄. 한편, 영지주의나 마르시온과의
대결이 보이는 서신들은 200년 경의 것으로 추
정. 따라서 목회서신은 가장 신빙성이 없는 것을
판단.
바우르 연구의 의의: 1) 바우르는 역사적으로 기
독교의 발전 과정을 설명. 2) 역사적예수의 삶과
가르침, 바울의 신학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토
대를 제공. 3) 이후 바울 연구자들에게 문제를 제
기-> 바울의 생애와 사상 연구에 있어 적대자들
의 중요성, 율법과 복음에 대한 바울의 이해, 바
울 신학의 중심 주제에 대하여.
바울 신학의 중심에 관한 논의
들
• 전통적 견해에 대한 도전들
• 1904, W. Wrede, Paulus -> 칭의론은 바울 사
•
상의 일반적인 원리가 아니라, 그 당시 유대교를
목표로 한 논쟁교리. 브레데는 바울의 중심 사상
을 종말론적 확신으로 보았음. 즉 그리스도가 하
나님 나라의 예비적 시작으로 인도한다는 것.
A. Schweitzer, Paul and His Interpreters: A
Critical History (1912), The Mysticism of
Apostle Paul (1930) -> 두 범주로 바울 연구자
구분: 1) 바울은 유대 사상가인가 헬라 사상가인
가, 2) 바울 신학의 핵심은 무엇인가?
• 첫 번째 범주에 대해, 슈바이처는 유대적 컨텍스
•
•
트를 강조. 헬라적 범주에서 바울을 이해하는 것
에 대해 반대. 즉 바울은 이방인을 향한 유대인
사도(Jewish apostle), 즉 a apocalyptic Jew.
두 번째 범주에 대해, 슈바이처는 칭의론이 바울
신학의 핵심이 아니라고 주장. 왜? 두 개의 서신
(롬, 갈)에 등장. 논쟁의 산물. 할례 받지 않은 이
방인들을 교회에 들어오도록 허용하는 문제와
관련.
슈바이처가 생각한 바울 신학의 중심: W. Wrede
의 종말론 + A. Deissmann의 Christ-mysticism
(헬라의 신비종교와의 관련성) -> 둘 다 헬라적
범주에서 바울 신학을 연구.
• Christ-mysticism, Being in Christ
•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이 세상 안에서, 메
시야 예수를 통하여 극적으로, 묵시적으로
역사한다.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은 종
말론적 현실. 이 현실은 성례전적으로 경
험되고, 개막되는 하나님 나라에 의해서
도래.
• 그리스도 안에 사는 새로운 삶 -> 개인적
차원
• 슈바이처 연구의 의의: 4 가지 기준을 제시,
즉, History, theology, exegesis,
application 등.
R.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 vols, 1948)
• 자신의 신약 신학의 두 중심축으로 요한과 바울을 선정
• Hellenistic Context에서 바울 연구
• 바울은 역사적 예수나 초기 교회의 유대 팔레스타인 전
•
•
•
승의 자취를 거의 보여주지 않음.
바울은 세상이 곧 끝날 것이라는 유대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고, 이 신념으로 인해 유대적인 역사적 희망을 버리
고 무시간적인 헬라 사상 범주로 변환.
실존론적 해석: 바울은 인간이 스스로를 그 안에서 발견
하는 바, 곤경(죄, 율법, 죽음)과 거기에서 탈출할 수 있
는 방법(은총, 신앙, 의, 생명)에 관한 결정적인 분석을
제공.
불트만의 한계: 인간의 사회적 실존을 종교적인 실존만
으로 후퇴시킴.
W.D. Davies, Paul & Rabbinic
Judaism (1948, 4th ed. 1980)
• 유대 랍비와 바울을 비교
• Jewish Context를 강조
• 바울 신학의 핵심을 율법 vs. 복음을 대조
시키는 칭의론으로 보는 것에 반대
• The Age to come이 예수와 함께 도래
• 데이비스 연구의 의의와 한계: 1) 유대교에
대한 인식전환, 2) 랍비 유대교는 바울 이
후의 산물.
K. Stendahl, Paul Among Jews and
Gentiles (1976)
• 스텐달은 종교개혁 신학과 루터 자신의 회심 경험이라
•
•
•
는 잣대로 인해 바울의 이신칭의의 가르침은 원래의
setting에서 떨어져 나와 개인적 구원에 대한 그의 가르
침을 중앙으로 옮겨 졌다고 주장.
서구인들의 내적인 양심이 바울을 오해
회심보다는 소명(Calling)
“바울의 이신칭의 주장은 유대교에 대한 불만이나 율법
주의에 대한 최전방의 공격을 위해 의도된 것이다. 하나
님이 이스라엘에게 한 약속에 충분하고 참된 상속자가
될 이방 개종자들의 권익을 수호하려는 특수하고 제한된
목적을 가진 것이다. 이런 권한은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것에 토대한다… 이방 그리스도인의 지위를 영예로운 유
대인과 같이 정당화하려는 변증적인 교리이다.”
E. Käsemann, Perspectives on Paul
(1969), Commentary on Romans (1973)
• 바울신학의 배경 -> Apocalyptic Judaism
• 하나님의 의의 내용이란 곧 하나님의 최종적인
•
•
우주적 승리를 내다보는 가운데 세상과 그의 백
성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통치.
바울 신학의 핵심: 인간들의 율법주의와 종교적
자만심을 강타하는 ‘의인론’
바울은 무엇보다 악의 세력과 모든 반란 세력들
에 대한 참 하나님의 승리에 관심.하나님의 의는
우주적이고 창조적인 파워. 그 능력 안에서 인간
들은 세례를 받고 죄와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하나님의 백성의 일부로 살도록 부르심을
받는다.
• 하나님의 의는 그의 피조물과 그의 백성들에게
•
•
한 언약을 성실히 행하는 바로 그 구원 행위 안
에 나타난 하나님 자신의 의로운 행위를 말한다.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에 순
종할 때 이루어진다.
케제만 연구의 의의: 1) 바울을 유대적 배경 안에
둔 동시에 유대교를 비판한 것으로 이해, 2) 십자
가에 죽은 예수는 유대적 오만과 반항을 포함하
여 모든 인간의 오만과 반항을 책임지기 위해 부
름 받은 정의로운 주님이다. 이러한 케제만의 바
울 주석은 사회/정치적 저항 정신에 토대. 그는
반나치 운동으로 구속되기도 하였음.
E. P. Sanders,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1977), Paul,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1983), Paul (1991)
• The Sanders Revolution
• 바울 시대의 팔레스타인 유대교에 대한 폭
넓은 청사진을 제시
• legalisitic works-righteousness (X)
• Covenantal nomism (0)
• 바울의 유대교 비판은 그것이 기독교가 아
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바울은 그리스
도 안에서 구원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유대
교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
• 샌더스가 파악한 바울 사상의 핵심:
1) “칭의론”이나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은 바
울 사상의 핵심일 수 없다.
2) ‘참여’(participation), 즉 구원은 그리스
도와 하나가 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
3) 바울 당시 유대교가 계약적 규범주의
(covenantal nomism)이라면, 바울의
종교는 참여적 종말론(participationist
eschatology)
J. Christian Beker, Paul the Apostle
(1980)
• 하나님의 의는 바울 신학의 중심이 아님
• 케제만의 생각을 계승 -> 묵시사상
• The apocalyptic triumph of God which has
•
now been brought about proleptically in
Christ-event, but which will reach its final
victory in the imminent future triumph of God,
is nevertheless the coherent and symbolic
center of Paul’s gospel.
바울 신학= 일관된 중심(coherent center)+ 우
발적 상황(contingent situations)
James D. G. Dunn: the law as a
social barrier
• 율법에 관한 바울의 일관성
• 바울은 율법 자체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율법의 오용(misuse), 즉 교회내부에서 유
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사회적 방벽으로 이
용되는 것을 비판
• “율법의 행함”(the works of the law)->
“선행”(good works)가 아니라 할례, 음식
법, 안식일 준수와 같은 유대인의 특정한
외형적 표지(badges)를 의미
N. T. Wright, What Saint Paul Really
Said (1997)
• 바울 복음의 핵심: ‘칭의론’이 아니라, J.X의 죽음과 부
•
•
•
활이며, 주님으로서의 ‘고양’(exaltation)과 이스라엘
의 기대를 실현한 메시야로서 예수에 관한 선포가 바
울의 핵심 (Rom 1:3,4)
‘복음’은 어떻게 사람들이 구원을 얻는가에 대한 설명
이 아니라, 예수의 lordship!
칭의론은 바울이 이방인을 대상으로 한 그의 구원 메
시지가 아니라, 회심자들이 진실로 하나님의 백성의
일부라는 사실을 확신시키기 위해 설파된 것!
칭의론은 구원론이라기 보다는 교회론에 가까움
최근의 바울 연구
• 수사학적 연구: H.D. Betz, Galatians (1979)
• 사회학적 연구: W. A. Meeks, The First Urban Christians
•
•
•
•
(1983), J. Dominic Crossan & Jonathan L. Reed, In Search
of Paul (2004)
G. Theissen, The Social Setting of Pauline Christianity (1982)
New perspectives on Paul: John G. Gager, Reinventing Paul
(2000); J.D.G. Dunn, The New Perspective on Paul (2005);
Stephen Westerholm, Perspectives Old and New of Paul
(2004). N.T. Wright, Paul: Fresh Perspectives (2005)
Anthropological approaches on Paul: J. H. Neyrey, Paul in
Other Words (1990); D. Boyarin, A Radical Jew (1994)
Paul & Politics: R. Horsely (ed), Paul and empire (1997);
Paul and Politics (2000); Paul and the Roman Imperial Order
(2004). Bruno Blumenfeld, The Political Paul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