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자가 본 한옥마을의 문화경관

Download Report

Transcript 문화인류학자가 본 한옥마을의 문화경관

전통문화와
콘텐츠
-한옥마을의
경우-
함한희
전북대학교
한옥마을의 전통문화경관 (I)
• 역사적 검토: 보존에서 개발로
– 1977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되면서 개보수
와 신축이 불허된 채 점차 박제화되었다.
– 1990년 후반 한옥마을 개발에 착수
– 1999년에는 ‘한옥마을조성사업’을 착수하면
서 경관정비 사업을 시작
– 2002년도 월드컵 전주개최를 계기로 전통한
옥마을로 홍보에 주력
– 2004년도 부터 ‘전통문화중심도시’ 육성사업
의 중심이 됨
한옥마을의 전통문화경관(II)
• 특징: 전통의 재발견
– 조선왕조의 발상지로서의 한옥마을 (경기전, 오목대, 이목대 등)
그 밖에 주요한 사적들(향교/학인당/최씨종대, 600년 수령의 은
행나무/풍남문/전라감영/한벽루/객사)
– 천년 전주란 구호는 견훤이 세운 후백제의 도읍지였다는 역사적
사실에서 나온 것 (견훤, 전주성 등). 2006년도 전주시의 전주전
통문화도시 육성기본계획에 명시된 내용
– 공예품전시관, 전통문화센터, 한옥생활체험관 등이 들어섬.
– 전통문화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 예술가들이 이주해 오기 시작함.
2006.12월 <전통문화구역지구단위계획보완>에
나타난 전주시의 개발정책
• 한옥마을은 5구역으로 나누어서 개발하였다.
• <전통한옥지구>: 1977년 처음 한옥지구로 지정된 곳으로 비교적 상
태가 양호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한옥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제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규제가 엄격하고 이에 따른
보상도 크다.
• <태조로지구(상업지역/주거지역>: 한옥마을 안 중심에 동서로 나있
는 태조로를 따라 좌우에 늘어선 상가와 문화시설 등이 자리한 일반
상업지구와 제2종 일반주거지역을 말한다.
• <향교지구>: 향교 소유의 땅과 향교 인근지역을 말한다. 여기에는
한옥이 밀집되어 있으나 개량된 한옥이 많아,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속한다.
• <주거환경개선지구>: 1960년대 전주천이 범람해서 이주한 사람들
이 정착해 살았던 곳이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곳이다.
• 이를 제외한 곳은 <전통문화지구>라고 구분한다.
전주 전통문화도시 육성을 위한
핵심 전략사업
• 1. 한옥마을 경관조성사업: 지붕, 담장, 보
도, 골목길 정비. 마을 쌈지공원 조성, 마
을공용주차장,
• 2. 문화, 체험시설의 정비: 전통문화센터,
공예품전시관, 한옥생활체험관, 술박물관,
최명희문학관, 양사재, 동락원, 공예공방
촌등
•
한옥마을 경관조성의 문제점
• 한옥마을 전체 환경개선에 중심이 있으므
로 마을주민들이 겪는 생활상이 개선안을
돌볼 겨를이 없다.
– 난방시설, 화장실, 부엌, 목욕탕 등 개선 안
• 각각의 문화, 관광시설을 중심으로 거점개
발이 이루어지므로 마을의 역사를 전체적
으로 조망하기 힘들다.
• 문화경관의 조성을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
전통문화 경관의 예 1전체 구조적 측면
• 700여 채의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마을,
– 시대별 양식: 당시의 생활상 재현 가능
• 1920년대 30년대 지어진 한옥
• 1960년 70년대 지어진 한옥
– 다른 나라의 건축양식: 문화의 혼성적 특성 탐구
• 일본식
• 서구식과의 혼합
– 계급별 양식: 양반과 서민의 생활상을 있는 그대로.
• 양반가옥
• 서민가옥
문화경관의 예 2역사적 측면
• 개별적인 사적들을 이어 줄 역사서사기법/
스토리라인 개발이 필요함
• 거점/개체 중심에서 ‘길/연결’ 중심으로
– (현재)태조로 지구 조선왕실의 맥
– (현재)향교지구 거점선비의 길
– (현재)강암서예관 주변 거점예술가의 혼이
깃든 길
문화경관의 예 3
-생활의 측면• 주민들의 삶이 아직도 남아있는 곳으로서의 한
옥마을
–
–
–
–
–
–
–
–
주거지역
상업지역
수공업 시설
교육시설
종교 및 제례장소
의료시설
예술문화시설
놀이시설
복
구
를
위
한
생
활
의
발
견
한
옥
마
을
문
화
경
관
• 주거: 목욕탕 가기-> 마을 공동체 목욕탕
설치, 주민들이 서로 이용하며, 관광객들
에게도 개발한다. 소규모이면서도 시설이
좋은 목욕탕을 만든다.
• 작은 수공예점: 바느질, 뜨개질, 옷수선집
등
• 이발소, 미용실, 세탁소, 방앗간, 책방, 문
구점-기존 시설들
전통문화 경관의 의미찾기
• 다양한 상징의 공존
– 전통과 현대가 공존
• 1920,30년대, 1950,60년대, 1970,80년대의 생활사가 한눈에
• 2000년 이후에 들어선 문화시설들
• 한정식과 피자, 전통차와 커피
• 우리문화와 타 문화의 혼종
– 일본식 건축물 등
– 경기전과 전동성당
– 유교, 기독교
• 다양한 상징의 공존
–
–
–
-
다양한 계급의 공존
권력과 항거 상징의 공존
느림과 빠름의 동시성
신성성과 유희성의 공존
3. 개발과 전통문화 경관의 갈등
• 정책의 성과물
– 개발정책으로 인해서 새로운 담, 길, 지붕, 주차장, 쉼
터 등이 생겼지만, 주민들의 생활과는 어떤 영향을 주
고 받았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함.
– 환경개선사업에 주민자치권이 행사되었는지
– 주민생활개선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정부의 후
원이 있었는지. 살기 불편한 노후화된 한옥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있었는지.
• 전통소비의 결과물
– 한옥마을의 관광사업이 주민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
– 음식점, 찻집 등 상업용 건물의 과도한 신축
4. 전통문화 경관의 보존방법
• 정부와 지자체는 문화경관 보존정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
– 문화경관에서는 주민들의 생활이 유지되고 지속될 수 있는 방향
이 가장 중시되어야 한다.
– 역사적인 장소들이 마을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방향으
로 스토리개발이 되어야 한다.
– 한옥마을을 관광우선 정책으로만 밀고나간다면, 주민들과는 무
관한 장소가 되어버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 한편, 박제화시키는 보존정책과 운동은 피해야 한다.
•
5. 전통문화 경관의 활용
• 관광지로서의 개발과 주민들의 생활유지
를 동시에 고려하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
다.
• 그러기 위해서는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전
통문화 경관보존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 주민들이 자신들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주체의식이 고양되어야 할 것이다.
• 지나치게 경제적 가치만을 내세운 개발이
나 보호는 모두 문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