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소문의 벽 작품의 구성

Download Report

Transcript 01 소문의 벽 작품의 구성

작품의 구성

01 소문의 벽

‘ 나 ’ 가 박준의 이야기를 전달함.

외부 이야기 (1인칭 관 찰자 시점) 내부 이야기 (전지적 작가 시점) 박준이 ‘ G ’ 의 이야기를 서술함.

작품 해제

갈래 현대 소설, 중편 소설 성격 상징적, 실존적 배경 ① 시간적: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② 공간적: 어느 도시 시점 제재 ① 외부 이야기: 1인칭 관찰자 시점 ② 내부 이야기: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자기 진술의 욕망을 폭력과 억압으로 막는 사회

작품 해제

주제 특징 자기 진술의 욕망을 억압당한 한 인간의 정신적 상처 ① 박준의 광기의 원인을 찾아가는 ‘나’의 이야기(외부 이야기)와 박준의 소설 이야기 (내부 이야기)로 이루어진 액자식 구성을 취하고 있음.

② 박준이 지은 세 편의 소설이 각기 주제 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등장인물의 특징

잡지사의 편집장으로 일에 회의를 느끼고 있음. 박준의 진술 공포증을 이해하고 그를 통해 자신 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나’ 6.25 전쟁 때 겪은 전짓불의 공포와 현재의 불안 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신병원에 들어감.

억압적 현실의 희생양을 상징함.

박준 권위적이고 오만한 태도를 지닌 인물 진술 강요를 통해 박준의 진술 공포증을 해결하 려 함.

김박사

주요 구절 풀이

외부 이야기 어찌 보면 박준 자신이 전짓불 아래 앉아 끊 임없이 그 전짓불의 강한 조명을 받으면서, 소설을 쓰고 있었던 것 같기도 했다.

박준의 여동생에게 소설의 원고를 건네 받아 읽는 대목 박준은 한국 전쟁 당시의 충격적 경험으로 심 리적 상처를 지닌 인물, 그 상처는 치유되지 않 고 현재에까지 박준을 괴롭히고 있음.

주요 구절 풀이

내부 이야기 저는 그가 순경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도 그 무시무시한 전짓불 때문에 가슴을 진정시킬 수가 없었어요.

주인공 G가 전짓불에 관한 과거를 고백하는 대목 순경임을 인식했음에도 주인공은 가슴이 진정되 지 않음.

전짓불로 상징되는 시대적 폭력과 억압이 공권력 을 통해 강하게 드러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음.

주요 구절 풀이

내부 이야기 그러나 심문관은 G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으 모 사건이 모의되고 있었으며, 그것과는 G가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추궁 하지 않는다.

심문관이 구체적인 혐의 사실 없이 G를 잡아들임.

증거나 객관적인 사실 없이도 개인을 구속하던 권력의 억압을 의미

주요 구절 풀이

내부 이야기 심문관은 한 번도 G가 본 일이 없는 제복을 입고 있다. 모자의 모양도 이상스럽고 제복 에 달린 부착물이나 장신구의 풍속도 모두 눈에 선 것들뿐이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가 권력의 탈을 쓰고 개인을 억압하는 광경을 복장으로 형상화함.

정식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닌 이상스러운 복장 은 그 권력이 정당하지 못함을 암시함.

주요 구절 풀이

내부 이야기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 앞에 가장 정직한 자 기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사실부터가 바로 불안한 일이다.

심문관을 보고 불안을 느끼게 된 이유 전짓불의 경험과 연결되어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 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진술해야 하는 데서 오는 두려 움과 공포감이 드러남.

소재의 상징적 의미

전짓불 박준이 지은 소설의 핵심 요소이자 주제 박준이라는 인물이 지닌 공포감의 근원, 정신적 상처 국가 권력의 폭력적 면모 한국 전쟁 당시의 충격적 경험을 상기하 게 하는 매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