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벌식,세벌식 자판의 짜임새와 개선 방안_20141104
Download
Report
Transcript 두벌식,세벌식 자판의 짜임새와 개선 방안_20141104
만든이 : 팥알 (http://pat.im | [email protected])
초안 만든 날 : 2014. 7. 21.
공개한 날 : 2014. 10. 29.
마지막으로 고친 날 : 2014. 11. 4.
두벌식/세벌식 자판의 짜임새와 개선 방안
1. 두벌식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3. 신세벌식 자판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두벌식 자판
(1) 두벌식 자판의 짜임새
(2)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3) 박영효·송계범 자판의 설계 원리
(4) 같은 손가락 거듭치기 비교 (박영효·송계범, 표준)
(5) 두벌식 자판의 배열 특징
(6) 두벌식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1. 두벌식 자판
(1) 두벌식 자판의 짜임새
표준 두벌식 자판 (KS X 5003)
왼쪽 - 닿소리(푸른 색),
오른쪽 - 홀소리(붉은 색)
된소리 ㄲ·ㄸ·ㅃ·ㅆ·ㅉ은 ㄱ·ㄷ·ㅂ·ㅅ·ㅈ의 윗글 자리에 있음
ㅒ·ㅖ는 ㅐ·ㅔ의 윗글 자리에 들어감
(KS X 5002에서 ㅒ·ㅖ는 강제 요소가 아닌 선택 요소임)
1. 두벌식 자판
(1) 두벌식 자판의 짜임새
같은 손가락을 되도록 거듭 쓰지 않게 하는 닿소리 조합으로 짜임
☞ 표준 두벌식 자판 : ㅂ·ㅁ·ㅋ, ㅈ·ㄴ·ㅌ, ㄷ·ㅇ·ㅊ, ㄱ·ㄹ·ㅅ·ㅍ·ㅎ
겹닿소리(된소리)가 따로 들어감
☞ 한글 조합을 따로 끊지 않고 넣을 수 있게 구실함
1. 두벌식 자판
(2)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박영효·송계범 자판 (전신 타자기용 설계안, 1968)
박영효·송계범이 전신기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설계법을 제시함
(박영효·송계범, 「한글 타자기의 건반 배열에 관하여」, 1968년)
닿소리의 잦기와 함께 닿소리가 이어 나오는 잦기도 따짐
→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쓰는 때를 줄이기 위함
1. 두벌식 자판
(2)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닿소리들의 이음 잦기를 나타낸 통계분석표 (박영효, 송계범 「한글 타자기의 건반 배열에 관하여」, 1968)
1. 두벌식 자판
(3)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한글 타자기의 건반 배열에 관하여」에 나온 닿소리 이음 잦기를 옮긴 도표
1. 두벌식 자판
(3)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2011.9.1~2011.10.14 국회 회의록의 닿소리 이음 잦기 도표
(http://pat.im/849)
1. 두벌식 자판
(3)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
자주 쓰이는 닿소리를 힘이 센 손가락 자리에 놓음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쓰지 않게 하는 집합으로 닿소리들을 놓음
→ ㅇ(이응)은 집게 손가락 자리에 들어가지 않음
→ ㄱ/ㄴ, ㄴ/ㅇ, ㄹ/ㅇ, ㄴ/ㅎ처럼 자주 이어 쓰이는 닿소리들은 다른 손가락 자리에 놓임
1. 두벌식 자판
(3) 박영효·송계범 자판의 설계 원리
박영효·송계범 자판의 설계 원칙
① 두 손으로 번갈아 칠 수 있게 한다
② 각 손가락의 부담은 두째>세째>네째>다섯째 손가락 차례로 대략 4:3:2:1인
비율이 되게 한다.
③ 바탕 자리(home position)에는 자주 나오는 것을 둔다.
④ 자주 이어 나오는 낱소리들을 같은 손가락으로 거듭 치지 않도록 한다.
⑤ 바탕 자리의 윗줄에는 아랫줄보다 자주 나오는 것을 놓는다.
⑥ 기억하기 좋게 글쇠를 놓는다.
⑦ 두 손의 손가락에 대칭으로 부하가 걸리도록 한다.
⑧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끝소리로 더 자주 나오
는 닿소리를 놓는다.
1. 두벌식 자판
(3) 박영효·송계범 자판의 설계 원리
닿소리를 놓은 차례
• 가장 드물게 나오는 'ㅋ'을 다섯째 손가락 아랫줄에 놓는다.
• 가장 자주 나오는 'ㅇ'을 세째 손가락 가운뎃줄에 놓는다.
• 'ㅇ'과 이음 잦기가 많은 'ㄴ, ㄱ, ㄹ, ㅅ'은 세째 손가락에 놓을 수 없다. 이들 가운데
잦기가 큰 'ㄴ, ㄱ'을 바탕 자리에 놓는다.
• 잦기로 보면 바탕 자리의 다섯째 손가락에 'ㄹ'이나 'ㅅ'을 놓아야 하지만, 원칙 ②
에 맞추기에는 이들이 너무 자주 나오므로(각각 약 10%), 그 다음으로 자주 나오는
'ㄷ'(6~7%)을 놓는다.
1. 두벌식 자판
(3) 박영효·송계범 자판의 설계 원리
• 다섯째 손가락 윗줄에는 'ㄷ', 'ㅋ'과 거의 붙지 않는 'ㅊ'을 둔다.
• 네째 손가락의 위·아랫줄에는 'ㄱ'과의 이음 잦기가 적은 'ㅁ, ㅈ, ㅌ, ㅍ' 가운데 골라
놓는데, 원칙 ⑧에 맞추어 넷째 손가락의 윗줄에는 'ㅈ', 아랫줄에는 'ㅍ'을 놓는다.
• 나머지 닿소리의 잦기 및 'ㅇ'과의 이음 잦기와 저마다의 이음 잦기를 헤아려 셋째
손가락 위·아랫줄에는 'ㅂ, ㅎ'을 놓고 'ㄹ,ㅁ,ㅅ,ㅌ'은 둘째 손가락 자리에 놓는다.
• 원칙 ⑧을 따라 'ㅂ, ㅎ'과 'ㅅ, ㅁ, ㅌ'의 자리를 잡는다.
1. 두벌식 자판
(4) 같은 손가락 거듭치기 비교 (박영효·송계범, 표준)
2011.9.1~2011.10.14 국회 회의록을 말뭉치로 쓴 통계
(http://pat.im/849)
박영효·송계범 자판이 네째/다섯째 손가락으로 거듭 치는 때가 적음
☞ 오래 작업할 때 네째/다섯째 손가락이 느끼는 피로가 적음
세째 손가락으로 거듭 치는 때는 박영효·송계범 자판이 더 잦음
☞ 힘이 센 손가락이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음
1. 두벌식 자판
(5) 두벌식 자판의 배열 특징 ①
닿소리 배열과 홀소리 배열이 얽히지 않음
→ 닿소리와 홀소리를 치는 손가락이 다르므로, 둘을 따로 생각하여 배열을 고칠 수 있음
닿소리들의 자리가 서로 얽음
→ 이미 틀이 잡힌 닿소리 배열은 부분 개선이 어려움
두째 손가락으로 치는 닿소리가 많음
→ 두째(집게) 손가락을 너무 자주 거듭 쓰지 않게 조율할 필요 있음
1. 두벌식 자판
(5) 두벌식 자판의 배열 특징 ②
된소리 낱자들이 따로 들어감
→ 낱내 경계가 뚜렷이 갈리게 하는 장치 (한글 조합을 끊으며 치지 않아도 됨)
→ 된소리를 윗글쇠(shift)를 눌러 넣음 (손이 불편한 사람에게 불리함)
ㅒ, ㅖ가 윗글 자리에 따로 들어감
→ KS X 5002에서는 ㅒ, ㅖ를 조합하여 넣는 방법(ㅑ+ㅣ, ㅕ+ㅣ 따위)도 허용함
1. 두벌식 자판
(6) 두벌식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요즘한글 낱자와 기호
홑닿소리
(14개)
한글
(32개)
필수
요소
겹닿소리
(4개)
홀소리
(14개)
(74개)
숫자 (10개)
기호
(42개)
영문 자판의
기호
(32개)
선택
요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ㅛ, ㅜ, ㅠ,
ㅡ, ㅣ
0, 1, 2, 3, 4, 5, 6, 7, 8, 9
`~!@#$%^&*()-_=+\|[]
{};:'",.<>/?
한글
ㅘ, ㅝ 등
기호
·―○×÷→₩※『』「」등
☞ 겹닿소리(ㄲ,ㄸ,ㅃ,ㅆ,ㅉ)가 빼면 한글 조합을 따로 끊어 주어야 할 때가 생김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1) 공병우 세벌식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의 짜임새
(3) 헛갈리는 배열 이름 - 공병우 자판, 세벌식 자판, …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5) 공병우 자판의 특징
(6) 공병우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1) 공병우 세벌식 자판
(초창기 공병우 타자기 자판 배열)
• 1949년에 나온 '공병우'의 세벌식 수동 타자기 자판에서 비롯함
• 1989년에 셈틀 환경에 맞춘 일반 보급용 배열이 나옴 (3-89 자판)
• 일반 사무용인 3-90 자판과 문장 입력용인 3-91 자판이 널리 쓰이고 있음
(공병우가 세운 사설 문화 단체인 한글문화원이 보급함)
• 순아래 자판과 3-93 옛한글 자판은 3-90 자판의 응용안임
• 1995년에 나온 신세벌식(신광조 세벌식) 자판이 나오는 실마리가 됨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1) 공병우 세벌식 자판
1990년대 초에 한글문화원이 보급한 3-90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의 짜임새
•
첫닿소리(푸른 색)가 오른손 쪽에 있고,
가운뎃소리(갈색)와 끝소리(붉은 색)가 왼손 쪽에 있음
•
겹홀소리를 넣을 때 쓰는 ㅗ, ㅜ와 ㅢ가 오른쪽에 따로 있음
•
대체로 겹받침 ㄲ, ㄶ, ㄺ, ㄻ, ㅀ, ㅆ 등이 따로 들어감
•
영문 자판의 숫자 자리까지 한글 낱자가 들어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3-1) 헛갈리는 배열 이름 - 공병우 자판? 세벌식 자판?
세벌식 자판?
• 1980년대까지는 실무에 널리 쓰이며 세벌식으로 알려진 한글 자판은
공병우식 세벌식 자판뿐이었음
• 이 때문에 '공병우 세벌식 자판'을 '세벌식 자판'과 혼동하기 쉬움
• 오늘날의 '세벌식 자판'은 공병우 자판, 신세벌식 자판, 안마태 자판, 카스, 소리
자바를 비롯한 여러 세벌식 자판 배열들을 두루 가리키는 말임
공병우 자판?
• 1990년대 초까지는 '공병우가 만든 자판'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함
('공자판', '공병우 글자판'으로 불림)
• 3-90 자판처럼 공병우가 아닌 사람이 연구를 주도한 배열은 옛 한글문화원에서
'공병우 자판'으로 부르지 않고 '세벌식 자판'으로 부름
• 지금은 첫소리를 오른쪽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병우 세벌식'을 따르는
한글 자판 배열들을 두루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임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3-2) 헛갈리는 배열 이름 - 공병우 최종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3-91 자판)
• '공병우 자판(공병우가 만든 자판)'의 마지막판이라는 뜻의 배열 이름
• 처음 나온 해(1991년)를 따서 '3-91 자판'이라고도 부름
('3-91 자판'이 '최종'이 붙은 이름보다 중립성 있음)
• 한글문화원에서는 3-91 자판을 일관되게 '공병우 최종 자판'으로 불렀으나,
많은 사람들이 '최종 자판' 또는 '세벌식 최종 자판'이라고 일컬음
오한중, 「공병우 최종 자판과 390 자판의 비교」 , 1993.5.7
(한글문화원 배포 자료)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3-2) 헛갈리는 배열 이름 - 공병우 최종 자판
공병우 최종 자판 (3-91 자판)
한글문화원 배포 자료에 나온 3-91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3-3) 헛갈리는 배열 이름 - 세벌식 최종 자판?
세벌식 최종 자판?
• 공병우 최종 자판(3-91 자판)이 잘못 불리며 알려진 이름
• 윈도 95의 입력기를 통하여 '세벌식 최종 자판'으로 널리 알려짐
• 1995년까지 한글문화원과 공병우는 공식 기록에서 3-91 자판을 '세벌식 최
종 자판'으로 일컬은 적이 없음
(윈도 3.1 한글 입력기 설정 화면)
(윈도 95 한글 입력기 설정 화면)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사무용 (일반 보급용)
문장 입력용
3-90
3-91 (공병우 최종)
3-2012
3-2011
(윈도 3.1 한글 입력기 설정 화면)
(윈도 95 한글 입력기 설정 화면)
아랫글
옛한글
안종혁 순아래
3-93 옛한글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사무용 배열
• 일반 작업에 필요한 영문 자판 기호들(@, #, $, % 따위)이 모두 들어간 배열
☞ 영문 자판과 기호 자리가 비슷하여 사무 작업에 편함
• 문장 입력용 배열보다 겹받침이 적게 들어감
☞ 문장 입력용 배열보다 빨리 익힐 수 있음
3-90 자판
3-2012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문장 입력용 배열
• 1970년대에 소설가 정을병의 제안으로 나온 공병우 문장용 타자기에서 비롯함
☞ 문인, 언론인들이 자주 쓸 만한 기호들( · 「 」 따위)이 들어감
☞ 사무용 배열보다 겹받침이 더 들어가고 사무용 기호는 적게 들어감
• 초창기 공병우 타자기 자판과 3-89 자판 등에서도 문장용 배열의 특징이 보임
• 3-89 자판, 3-91 자판은 직결식 한글 처리를 헤아린 꼴임
• 한글 낱자를 많이 두어서 사무용 배열보다 한글을 넣는 능률이 더 좋음
• 영문 자판에 있는 기호들을 덜 갖춤
(사무 작업에 쓰기에 불편함)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문장 입력용 배열 ①
공병우 문장용 타자기 자판
3-90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문장 입력용 배열 ②
3-2011 자판
3-2011 직결식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아랫글 배열
• 윗글쇠(시프트, shift)를 쓰지 않고 요즘한글을 칠 수 있게 한 배열
• 손이 불편한 사람에게 대안 자판이 될 수 있음
• 안종혁 순아래 자판 (1990년)
☞ 한글을 한 손으로 이어 치기 좋게 바꾼 3-90 자판의 응용안
☞ 기호 자리까지 한글 낱자가 더 들어감 (46글쇠)
• 3-2012 아랫글 자판
☞ 왼쪽 ㅗ와 오른쪽 ㅢ 자리 글쇠를 이어치는 방식으로 윗글쇠를 갈음해 쓰는
3-2012 자판의 응용 배열
☞ 숫자와 기호까지 윗글쇠를 쓰지 않고 넣을 수 있음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4) 쓰임새에 따라 나눈 공병우 자판 종류
아랫글 배열
안종혁 순아래 자판
3-2012 한 손가락 자판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1) 공병우 자판의 특징 - 윗글쇠 눌러 넣기
3-2012 자판
첫소리의 된소리와 ㅖ를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넣음
☞ 표준 두벌식 자판보다 윗글쇠를 적게 씀
윗글쇠를 함께 눌러서 넣는 받침 종류가 많음
☞ 윗글쇠를 자주 쓴다고 잘못 알려지는 원인이 됨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2) 공병우 자판의 특징 - 한글, 기호
3-2012 자판
숫자와 몇몇 기호들이 영문 자판과 자리가 다름
☞ 두벌식 자판보다 한글 낱자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
☞ 적어도 기호 4개는 영문 자판과 다른 자리에 들어감
다른 세벌식 자판보다 한글 낱자가 많이 들어감
☞ 겹받침과 겹홀소리에 쓰이는 낱자가 따로 들어가기 때문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3) 공병우 자판의 특징 - 같은 손가락 거듭치기
같은 손가락 거듭치기 비교 (3-91 자판과 표준 두벌식 자판)
다른 공병우 자판들의 왼손가락 거듭치기 비율도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과 비슷함
2011.9.1~2011.10.14 국회 회의록을 이용함
(http://pat.im/849)
두벌식 자판보다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쓰는 잦기가 더 적음
☞ 왼손에서 3째 손가락이 거듭치기가 많고 4째/5째 손가락은 적음
☞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쓸 때가 적어서 부분 개선을 꾀하기 쉬움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3) 공병우 자판의 특징 - 같은 손가락 거듭치기
같은 손가락을 거듭 쓸 때가 생기는 글쇠 자리
표준 두벌식
(KS X 5002)
공병우
세벌식
(3-2012)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4) 공병우 자판의 특징 - 왼손가락 이어치기
받침이 나올 때 2째/3째 손가락에서 4째/5째 손가락으로 이어짐
☞ 힘세고 재빠른 손가락에서 약하고 굼뜬 손가락으로 이어짐
☞ 왼손 타자 흐름이 규칙성 있게 이어짐 → 율동감을 느낌
☞ 왼손 타수 비율이 두벌식 자판과 비슷해도 힘을 덜 들여 빨리 칠 수 있음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5-4) 공병우 자판의 특징 - 왼손가락 이어치기
나ㅈ
날짐ㅅ
날
ㄴ
날짐승
날짐스
날짐
지
두벌식
(KS X 5002)
공병우
세벌식
(3-2012)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6) 공병우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요즘한글 낱자와 기호
필수
요소
(84개)
첫소리
(14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가운뎃소리
(14개)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ㅛ, ㅜ, ㅠ,
ㅡ, ㅣ
끝소리
(14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숫자 (10개)
선택
요소
0, 1, 2, 3, 4, 5, 6, 7, 8, 9
영문 자판 기호
(32개)
`~!@#$%^&*()-_=+\|[]
{};:'",.<>/?
가운뎃소리
(겹홀소리 만듦)
ㅗ, ㅜ, ㅢ
끝소리
(겹받침)
기호
ㄲ, ㄳ,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ㅆ
·―○×÷→₩※『』「」등
2. 공병우 세벌식 자판
(6) 공병우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선택 요소인 오른쪽 ㅗ·ㅜ·ㅢ, 겹받침이 필요한 까닭
• 겹받침과 오른쪽 ㅗ·ㅜ는 왼손가락 타수/거듭치기를 줄이는 구실을 함
(오래 작업할 때 왼손가락의 피로를 줄임)
• 확장 배열을 붙여 쓸 때에 둘씩 있는 홀소리(ㅗ, ㅜ, ㅢ)를 이용할 수 있음
3. 신세벌식 자판
(1) 신세벌식 자판 (신광조 세벌식 자판)
(2) 신세벌식 자판의 종류
(3) 신세벌식 / 공병우 세벌식 입력 비교
(4) 공병우 자판에 견준 신세벌식 자판
(5) 신세벌식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6) 신세벌식 자판을 지원하는 한글 입력기
3. 신세벌식 자판
(1) 신세벌식 자판 (신광조 세벌식 자판)
• 1995년에 신광조가 창안함
• 벌이 다른 두 낱자를 한 글쇠로 넣는 방식 (갈마들이 타법)
☞ 한글을 넣는 차례에 따라 한 글쇠에서 벌이 다른 낱자가 들어감
☞ 한글 낱자가 차지하는 글쇠를 29개로 줄임
☞ 영문 자판의 숫자열에 한글 낱자가 들어가지 않음
☞ 윗글쇠를 쓰지 않고 한글을 넣을 수 있음
☞ 반드시 한 글쇠씩 이어쳐야 함 (모아치기를 할 수 없음)
☞ 같은 세벌식이지만 공병우 세벌식과 입력 방식이 다름
• 공병우 자판과 배열이 비슷한 배열을 씀
☞ 공병우 자판을 쓰던 사람이 적응하기 쉬움
• 수정판 : 박경남 신세벌식,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2003), 신세벌식 2012
3. 신세벌식 자판
(2) 신세벌식 자판의 종류
신광조 원안 (1995)
•
두벌식 자판을 지원하는 도스(DOS) 응용 풀그림에서 한글을 넣으면 신세벌식 배
열에 맞게 낱자를 바꾸어 주는 램 상주 풀그림(SHIN3.COM)과 함께 공개됨
3. 신세벌식 자판
(2) 신세벌식 자판의 종류
박경남 신세벌식
• 손톱 묶음 ( )이 아랫글에 있고 참고표(※)가 있음
• !, ?, *, @, %의 자리가 영문 자판과 다름
• 3-89 자판의 기호 배열을 따른 듯한 모습임
3. 신세벌식 자판
(2) 신세벌식 자판의 종류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2003)
• 박경남 신세벌식 자판을 영문 자판의 기호 배열에 맞추어 고친 판
3. 신세벌식 자판
(2) 신세벌식 자판의 종류
신세벌식 2012 자판
• 공병우 세벌식인 3-2012 자판과의 호환형
3. 신세벌식 자판
(3) 신세벌식 / 공병우 세벌식 입력 비교
이
있습니다
있스
ㅇ
있습니ㄷ
있습니
있습ㄴ
있습
ㅅ
신세벌식
(2012)
공병우
세벌식
(3-2012)
3. 신세벌식 자판
(4) 공병우 자판에 견준 신세벌식 자판의 특징
• 공병우 세벌식보다 한글이 차지하는 글쇠가 적음
☞ 공병우 세벌식: 39글쇠 / 신세벌식: 29글쇠
☞ 화면을 눌러 쓰는 이동 기기 자판으로 더 알맞음
• 윗글쇠를 쓰지 않고 한글을 넣을 수 있음
☞ 손이 불편한 사람에게 대안 자판이 될 수 있음
• 공병우 자판과 비슷한 배열을 씀
☞ 공병우 자판을 쓰던 사람이 쉽게 쓸 수 있음
• 기본 배열에 겹받침이 따로 들어가지 않음
☞ 공병우식보다 초보자가 익히기 쉬운 꼴
☞ 왼손가락 거듭치기는 공병우식보다 잦음
3. 신세벌식 자판
(5) 신세벌식 자판의 필수/선택 요소
요즘한글 낱자와 기호
필수
요소
(87개)
한글
(45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가운뎃소리
(14개)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ㅛ,
ㅜ, ㅠ, ㅡ, ㅣ
겹홀소리를
만드는 가운
뎃소리 (3개)
ㅗ, ㅜ, ㅢ(또는 ㅡ)
끝소리
(14개)
기호
(42개)
선택
요소
첫소리
(14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숫자 (10개)
0, 1, 2, 3, 4, 5, 6, 7, 8, 9
영문 자판의
기호
(32개)
`~!@#$%^&*()-_=+\|
[]{};:'",.<>/?
끝소리
(겹받침)
기호
ㄲ, ㄳ,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ㅆ
·―○×÷→₩※『』「」등
3. 신세벌식 자판
(6) 신세벌식 자판을 지원하는 한글 입력기
•
날개셋 (윈도) : http://moogi.new21.org
•
libhangul 수정판 (리눅스, 맥 OSX의 입력기들에서 쓰이는 한글 라이브러리) :
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f=6&t=9394
•
온라인 한글 입력기 수정판 (웹) : http://ohi.pat.im
•
MN 로그인 키보드 (안드로이드에서 신세벌식 2003 지원)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obileNeuron.MNLogIn
Keyboard&hl=ko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1) 생각해 볼 만한 문제
(2) 흔히 쓰이는 글쇠판 규격의 모순
(3) 더 많은 문자 넣기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1) 생각해 볼 만한 문제
• 한글 배열, 입력 방식 개선
☞ 어떻게 바꾸는 것이 개선일지?
☞ 새로운 입력 방식을 시도한다면?
• 글쇠판 규격에 모순
☞ 수동 타자기에서 오늘 흔히 쓰이는 셈틀 자판 규격이 이어짐
• 한글 배열의 왼쪽/오른쪽 배열을 뒤집는다면?
☞ 흔히 쓰이는 한글 배열들은 오른손잡이에게 유리하지 않음
• 더 많은 기호를 더 넣으려면?
☞ 표준 한글 자판으로는 한글맞춤법에 나온 문장 부호를 다 넣지 못함
【줄표(―), 가운뎃점(·), 낫표(「 」), 겹낫표(『 』), 숨김표(×, ㅇ)】
☞ 만드는 문서나 글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기호가 다양함
(논문, 회계장부, 대화문, 사전, 기술 문서, 수학 풀이집, …)
☞ 기호를 더 넣는 것은 표준화할 수 없더라도 넣는 방법은 생각해 봄직함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1) 생각해 볼 만한 문제
• 확장 한글?
☞ 옛한글 자판보다 더 많은 한글 낱자를 담으려면?
☞ 옛한글/확장한글 자판을 실무에 쓸 수는 없는지?
• 몸이 불편한 사람을 배려하는 방안
☞ 손이 불편한 사람에게 알맞은 배열 방식?
☞ 앞을 못 보는 사람에게 알맞은 배열 방식?
• 새 배열을 보급할 방안
☞ 새 배열을 사람들에게 알리려면?
☞ 새 배열을 사람들이 쓸 수 있게 하려면? (입력기 지원 등)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2) 흔히 쓰이는 글쇠판 규격의 모순
• 오늘날 흔히 쓰이는 셈틀 자판은 좌우 대칭이 아님
☞ 왼손이 놓이는 방향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손목 또는 팔이 비틀림
☞ 수동 타자기에서 이어진 글쇠판 규격이 그대로 쓰이고 있음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2) 흔히 쓰이는 글쇠판 규격의 모순
• 좌우 대칭형 규격이 문자 입력 효율을 높이기 좋음
☞ 왼손가락을 거듭 이어 칠 때의 움직임이 더 자연스러움
☞ 왼쪽/오른쪽을 뒤집은 배열로 바꾸기 쉬움
☞ 속기 자판인 카스(CAS)는 좌우 대칭형이면서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글쇠
가 비스듬하게 놓임
한글방안과
자판 개선
4.4.개선
확장방향
기능
(2) 흔히 쓰이는 글쇠판 규격의 모순
(그림: 주중식, 〈국민학교 한글 타자〉, 1977)
1970년대부터 공병우 자판에 권장되었던 손가락 맡음 (공운지법)
•
왼손 쪽 아랫글쇠를 맡는 손가락이 다름
☞ 글쇠판 규격을 바꾸지 않고 좌우 대칭형 글쇠판과 비슷하게 쓰는 효과를 냄
•
집게 손가락이 맡는 글쇠가 많아서 완벽한 대안은 아님
☞ 손에 익지 않은 글쇠판으로 칠 때 오타가 늘 수 있음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3) 더 많은 문자 넣기
• 우리말 규범에 있으나 한글 자판에 없는 기호
☞ 가운뎃점( · ), 줄표(―), 숨김표(✕ ○), 빠짐표(□), 줄임표(…)
• 가끔 쓰이는 기호
☞ 단위/연산/화폐 기호 : ℃ ㎡ ° ′ ″ × ÷ ≦ ≧ ≠ ₩ ¥ €
☞ 글머리 기호, 원문자 : ※ ▣ • ① ㉠ ㉾ © ®
☞ 화살표, 묶음표 : → ← ↔ 「 」 『 』 《 》
4. 한글 자판 개선 방향
(3) 더 많은 문자 넣기
더 많은 문자를 넣는 방안
• 두벌식 자판
→ 된소리 없는 닿소리와 ㅐ·ㅔ를 뺀 홀소리의 윗글 자리에 넣기 (19자리)
• 세벌식 자판
→ 정석 타자법 차례에 어긋나거나 요즘한글에서 쓰이지 낱자 조합으로 들
어갔을 때 확장 배열 상태로 빠지게 함
(첫소리 ㅇ+ㄱ을 넣었을 때, 첫소리를 치지 않고 홀소리를 쳤을 때)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표준 두벌식 자판의 아쉬운 점
(2) 두벌식 자판을 바꾼다면
(4) 두벌식 자판을 바꾼 예 (실험안)
(5) 두벌식 자판 개선/변형안의 한계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표준 두벌식 자판의 아쉬운 점
닿소리 배열
• 된소리가 있는 ㄱ, ㄷ, ㅂ, ㅅ, ㅈ이 한 줄에 있음
☞ 네벌식 수동 타자기 자판을 따라간 흔적
• 네째/다섯째 손가락을 거듭 쓸 때가 잦음
☞ 법무법인, 민주, 담보, 갑부, 앉는, …
• ㄲ, ㄸ, ㅃ, ㅆ, ㅉ을 윗글쇠와 함께 눌러야 함
☞ 한 손가락으로는 칠 수 없음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표준 두벌식 자판의 아쉬운 점
홀소리 배열
• ㅔ, ㅑ가 잦기에 어울리지 않은 자리에 있음
• ㅝ를 칠 때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씀
• 네벌식 수동 타자기 자판에 맞춘 홀소리 배열이 이어짐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표준 두벌식 자판의 아쉬운 점
표준 두벌식 자판 (KS X 5002 / 5003)
1969년에 표준이 된 네벌식 타자기 자판
참고 : http://pat.im/965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두벌식 자판을 바꾼다면
• 닿소리 배열
☞ 두벌식 자판의 닿소리 배열은 부분 개선이 어려움
• 머무름표(;) 자리에 홀소리 넣기
☞ 참고 : 콜맥 자판
• 홀소리 자리 바꾸기
☞ 겹홀소리 ㅝ를 매끄럽게 칠 수 있게
☞ ㅔ를 더 좋은 자리로
• ㅆ을 아랫글 자리에 따로 넣는다면?
☞ '있습니다' 등을 매끄럽게 칠 수 있음
☞ ㅅ과 ㅆ을 다른 손가락 자리에 두었을 때 손가락 분담 효과가 큼
☞ 한글 낱자가 26글쇠를 넘게 차지하게 됨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두벌식 자판을 바꾼다면
아랫글 자판으로 만드는 방안
•
윗글쇠를 쓰지 않을 수 있으면 더 매끄럽게 넣을 수 있음
☞ 꺾꽂이, 따끔, 예끼, …
•
일반 글쇠 하나를 이어치는 전환 글쇠를 두는 방안
☞ 1990년대에 김수구의 두벌식 자판 수정안에서 제안된 적이 있음
☞ ㄲ, ㄸ, ㅃ, ㅆ, ㅉ을 두 타로 넣는 배치로 바꾸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음
왼쪽/오른쪽 배치를 맞바꾸면
•
닿소리를 오른쪽에 두기
☞ 오른손 타수 비율이 늘어서 오른손잡이를 배려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음
☞ 흔히 쓰이는 글쇠판 규격은 왼손보다 오른손 쪽이 닿소리를 이어치기 좋음
•
홀소리를 왼쪽에 두기
☞ 겹홀소리 ㅘ, ㅝ 등을 매끄럽게 치게 하기가 더 까다로워질 수 있음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두벌식 자판을 바꾼다면
?
ㅿㆁㆆㆍ· 「」『』≦≧♡☆☎×※…
윗글 빈 자리 채우기
☞ 된소리가 없는 닿소리와 ㅐ·ㅔ를 뺀 홀소리들의 윗글 19자리가 비어 있음
☞ 빈 윗글 자리에 무엇을 넣을지?
(한글? 기호? 특수 기능?)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두벌식 자판을 바꾼 예 (실험안)
• 닿소리를 오른쪽에 두어 오른손 타수 비율을 늘리되, 'ㅆ'은 왼쪽에 둠
• 겹홀소리 ㅘ, ㅙ, ㅚ, ㅝ, ㅞ, ㅞ, ㅢ를 칠 때에 다른 손가락을 이어서 칠 수 있게 함
• 전환 글쇠로 쓸 수 있게 N 자리에는 한글 낱자를 넣지 않고 비워 둠
• ㄲ, ㄸ, ㅃ, ㅉ을 N 자리 글쇠를 써서 두 타로 넣을 수도 있게 배치함
• 마침표, 쉼표, 빗금(/), 머무름표(;), 부등호(<, >)의 자리를 바꿈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두벌식 자판 개선/변형안의 한계
표준과 다른 낯선 한글 배열
•
익숙한 표준 배열을 잊고 새 배열을 다시 익혀야 함
•
한글 배열을 개선한 폭이 넓으면 기호 배열도 바뀔 수 있음
(영문 자판과 다른 배열을 쓰게 되는 문제)
입력 효율 한계
•
표준보다 매우 큰 개선은 바라기 어려움
옛한글 넣기
•
때때로 한글 조합을 끊어 주어야 하는 문제는 개선하지 못함
(첫소리와 끝소리를 같은 글쇠로 넣는 두벌식 자판의 특성 때문)
5. 두벌식 자판 개선 방안
(5) 두벌식 자판 개선/변형안의 한계
입력기 지원 문제
•
윈도, 리눅스, 맥 OS 등 여러 환경에서 새 배열을 쓰려면?
(널리 알려지지 않은 배열은 입력기 개발자들이 선뜻 지원하기 어려움)
• 지원하는 입력기가 있어도 쉽게 못 쓰는 현실
(보기 : 보안 때문에 윈도 제어판과 인터넷·USB를 못 쓰게 막은 PC)
보급할 때의 어려움
•
표준과 너무 다르면 적응하기 어려움
•
표준과 너무 닮아도 보급되기 어려움
(표준과 비슷하여 개선 효과가 떨어지면 절실함을 느끼는 사람이 적음)
•
배열이 찍힌 글쇠판이 드물어서 배열을 익히기 어려움
(세벌식 자판을 보급할 때에도 겪는 어려움)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공병우 세벌식 자판의 고민 거리
(2) 공병우 자판의 대표 배열과 응용 배열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5) 공병우 자판 : 한글 확장 입력
(6) 신세벌식 자판 : 기호/겹받침 확장 입력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공병우 세벌식 자판의 고민 거리
한글 배열
•
첫소리 ㅋ·ㅌ 자리를 조정할 방안?
☞ 외국어, 외래어 때문에 거센소리가 점점 더 자주 쓰임
☞ 보기 : 컴퓨터, 카카오톡, 커피, 카페, 티켓, …
•
ㅑ 자리를 조정할 방안?
•
겹받침을 넣을지? 넣는다면 얼마나 넣을지?
•
ㅒ와 받침 자리 굳이기
☞ 3-90 자판과 3-91 자판에서 ㅒ와 받침 ㅈ, ㅋ 자리가 통일되지 않음
숫자 배열
•
3줄 숫자 배열을 따를지? 2줄 숫자 배열을 따를지
☞ 숫자 배열에 따라 기호 자리도 달라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1) 공병우 세벌식 자판의 고민 거리
대표 배열이 뚜렷하지 않음
•
어느 배열을 익혀야 하나?
☞ 1990년대부터 3-90 자판과 3-91 자판이 함께 쓰임
☞ '3-90', '세벌식 최종' 같은 이름으로 배열의 설계 목적을 알기 어려움
☞ 어느 배열을 골라 익힐지 고민하는 일이 초보자의 몫이 되어 버림
•
3-91 자판의 문제점
☞ '세벌식 최종 자판'으로 알려져서 사람들이 가장 좋은 배열로 알기 쉬움
☞ 한글과 기호 배열이 익히기 어려운 꼴임
☞ 익히다 포기할 확률이 높음
☞ 쓰다가 포기할 확률이 높음
•
공병우 자판을 더 많이 보급하려면
☞ 사무용 배열인 3-90 자판을 개선하여 대표 배열로 내세움
☞ 취향을 타거나 적은 사람이 쓰는 배열은 응용 배열로 지원함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공병우 자판의 대표 배열과 응용 배열
대표 배열? 응용 배열?
•
대표 배열이 필요한 까닭
☞ 누구나 믿고 쓸 만한 일반 보급용 배열이 필요함
☞ 응용 배열의 바탕이 될 배열이 필요함
•
대표 배열이 갖추어야 할 조건
☞ 초보자가 익히기 좋은 꼴
☞ 여러 업무에 두루 쓰기 좋은 배열
☞ 개선 작업을 마친 배열 (더 고치지 않을 배열)
☞ 적게 변형하여 응용 배열을 만들기 좋은 꼴 (확장성, 호환성)
•
응용 배열로 생각할 수 있는 배열
☞ 옛한글 배열 : 요즘한글보다 더 많은 한글 낱자를 넣음
☞ 아랫글 배열 : 손이 불편한 사람을 더 배려함
☞ 문장 입력용 배열 : 한글 입력 효율을 더 끌어올림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공병우 자판의 대표 배열과 응용 배열
응용 배열을 헤아린 대표 배열 설계
•
응용 배열을 만들기 좋은 대표 배열을 만들려면?
☞ 응용 배열에서 더 들어가거나 빠질 수 있는 문자를 미리 헤아려 배치함
(대표 배열과 응용 배열의 일관성을 지키기 위함)
☞ 대표 배열을 만들 때 응용 배열도 함께 만들며 글쇠 자리를 조율할 필요 있음
•
응용 배열을 헤아린 대표 배열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
☞ 대표/응용 배열들의 차이가 줄어들어 배열 하나를 익혔을 때 다른 배열도 쓰기 쉬움
☞ 대표 배열이 응용 배열을 아우르는 효과를 낼 수 있음
☞ 그때그때의 필요에 따라 자리를 바꾼 변형 배열이 자꾸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음
☞ 대표 배열을 표준화할 때 응용 배열을 쓰는 사람들의 반발을 줄일 수 있음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2) 공병우 자판의 대표 배열과 응용 배열
대표 배열을 보급하는 전략
•
배열 이름 짓기
☞ 대표 배열이 가장 나은 판으로 강조되어야 함
(대표 배열이 3-2012인데 그 응용 배열을 3-2013으로 내놓으면 좋지 않음)
☞ 쓰임새를 객관성 있게 나타낼 수 있게 배열 이름 붙이는 원칙이 필요함
(3-○○○○ 자판? 일반용? 사무용? 문장용?)
☞ 완성도를 과장하는 이름은 피해야 함
(보기: '세벌식 최종'으로 알려진 3-91 자판)
•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을 쓰는 사용자들 설득할 방안
☞ 공병우 자판을 쓰는 사람들 가운데 3-91 자판 지지층이 꽤 두터움
☞ 사무용 배열이 필요했는데 문장용인 3-91 자판을 익힌 사람들부터 설득할 필요 있음
☞ 사무용 배열과 문장용 배열의 차이를 알리고 대표 배열 개념이 왜 필요한지 알려야 함
☞ 문장용 배열을 꼭 바라는 사람들에게는 3-91 자판의 개선안을 응용 배열로 제시함
(대표 배열과 비슷한 3-91 자판의 개선안을 마련하여 대표 배열에 대한 거부감을 줄임)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설계 목표
•
실무에 쓰기 편한 일반 보급용 배열
☞ 사무용인 3-90 자판의 개선안이면서 더 익히기 쉬운 배열을 목표로 함
☞ 문장용인 3-91 자판의 받침 배열을 본받으면서 더 정돈된 꼴로 다듬음
•
응용 배열을 헤아린 기본 배열
☞ ㅓ·ㅐ·ㅒ와 받침 ㅈ의 자리를 문장용 배열(3-2011)과 같게 바꿈
•
기호 확장 배열을 부가 기능으로 시도함
☞ ㅗ, ㅢ 글쇠를 이용하여 홀소리 글쇠에 전환 기능을 붙임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3-90 자판
3-2012 자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3-90 자판과 다른 점 (한글 홀소리)
•
ㅓ·ㅐ·ㅒ 자리
☞ ㅓ와 ㅐ를 맞바꿈
(ㅓ 다음에 받침이 자주 붙는 것과 '넣'을 칠 때를 헤아림)
☞ ㅒ는 ㅐ의 윗글 자리에 넣음
(문장용 배열인 3-2011와 ㅒ 자리를 같게 맞춤)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3-90 자판과 다른 점 (한글 받침)
•
받침 ㅈ을 아래로 내림
☞ 겹받침 ㄵ을 더 매끄럽게 이어 칠 수 있음
☞ 느낌표(!)를 영문 자판과 같은 자리로 옮김
•
받침 ㅋ, ㄻ, ㅀ의 자리를 문장용 배열과 같게 맞춤
☞ 사무용 배열과 문장용 배열(3-91, 3-2011)의 호환성을 높임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3-90 자판과 다른 점 (숫자)
•
3-91 자판의 2줄 숫자 배열을 따름
☞ 3-90 자판의 3줄 숫자 배열을 쓸 때보다 기호들을 정돈된 모습으로 배치할 수 있음
3-91 자판
3-90 자판
3-2012 자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3) 공병우 세벌식 개선안 : 3-2012 자판
3-90 자판과 다른 점 (기호)
•
두 따옴표( ' " )를 N, M 자리에 놓음
☞ 오른손 새끼 손가락의 짐을 덞
☞ 문장용 배열(3-2011)과의 기호 배열 일관성을 높임
•
영문 자판의 숫자열 윗글 자리 기호들을 그대로 쓸 수 있음
☞ 받침 ㅈ을 옮긴 것에 따른 효과
3-90 자판
3-2012 자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3-2012 자판의 기호 확장 입력 기능
온라인 한글 입력기 ( http://ohi.pat.im/k3=3-2012 )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기호 확장 배열을 쓰는 방법
① 왼쪽 ㅗ 또는 ㅢ 글쇠를 1~3번 누름
☞ 왼쪽 ㅗ 또는 ㅢ를 누른 횟수에 따라 다른 기호가 들어가는 상태가 됨
② 그 상태에서 일반 글쇠를 눌러 확장 배열의 기호를 넣음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공병우 자판으로 기호 확장 배열을 쓸 수 있는 까닭
•
공병우 자판에는 ㅗ, ㅜ, ㅢ를 넣을 수 있는 글쇠가 둘씩 있음
☞ 한 쪽 글쇠가 다른 구실을 하더라도 다른 쪽의 글쇠를 대신 쓸 수 있음
(첫소리 없이 홀소리만 따로 넣을 때는 어느 한 쪽 글쇠만 씀)
•
세벌식이므로 첫소리와 끝소리가 치는 대로 가려짐
☞ 두벌식과 달리 첫소리를 치면서 낱내의 경계가 뚜렷이 갈림
☞ 한글 조합 상태에 따라 홀소리 글쇠가 다른 구실을 하게 할 수 있음
두벌식 자판보다 좋은 점
•
윗글쇠, 특수 글쇠를 쓰지 않고 확장 배열에 담을 수 있는 기호 수가 많음
☞ 2타로 넣을 수 있는 기호 수 : 45개 이상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기호 확장 입력 기능을 활용하는 예
•
기본 배열에 넣기 어려운 기호 넣기
☞ 묶음 기호 : 『 』 「 」 《 》 〈 〉 【 】 〔 〕
☞ 화살표/가리킴표 : → ← ↑ ↓ ☞ ☜
☞ 수학 기호 : × ÷ ≠ ≒
☞ 단위 기호 : ℃, ℉, °, ′, ″
☞ 문장 부호 : 가운뎃점( · ), 줄임표(…), 같음표(〃), 숨김표(✕✕ ○○ □□)
•
낱말, 문장 넣기
☞ '대한민국', '민주주의', '자동차', '계약', 'ㅂ니다', …
☞ 응용하기에 따라 상용구 기능이나 속기 자판의 약법을 흉내낼 수 있음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공병우 자판의 기호 확장 배열로 기대할 수 있는 것
•
한글맞춤법에 있는데 자판으로 넣기 어려워서 기호가 쓰이지 않는 일을 막음
☞ 가운뎃점( · ), 낫표(「 」 『 』), 줄표(―) 등
•
기본 배열에 없는 기호들을 자주 쓰는 문서를 만들 때 쓸 수 있음
☞ 논문, 사전, 기술 문서 등
•
글쇠 자리가 모자란 문장용 배열의 보완책으로 쓸 수 있음
☞ 문장용 배열에서 빠진 영문 자판 기호를 확장 배열로 넣음
•
사무용 배열에서 문장용 배열에 들어가는 기호를 쓰게 할 수 있음
☞ 문장용 배열에 들어가기도 하는 가운뎃점( · ), 참고표(※)를 확장 배열로 넣음
•
말 규범에 없는 기호를 쉽게 넣게 함
☞ ☆, ♡, ☎, ♂, ♀, ☀ ☂, ☁, ☃, …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4) 공병우 자판 : 기호 확장 입력
기호 확장 배열의 성격
• 사용자 정의 배열에 가깝고, 모두 표준화하기는 어려움
• 편의를 높이는 부가 기능임
☞ 다른 기능을 방해한다면 반드시 쓰도록 강요할 기능이 아님
기호 확장 배열을 규격화하려면
• 어떤 기호가 얼마나 자주 쓰이는지 조사해야 함
• 확장 배열을 깔끔하게 나타낼 방안을 궁리할 필요 있음
☞ 글쇠 하나에 들어가는 문자가 많아서 배열표가 복잡하게 보임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5) 공병우 자판 : 한글 확장 입력
기호 확장 배열 원리를 한글 입력에 응용하면?
•
3-93 옛한글 자판보다 많은 낱자를 담을 수 있음
☞ 더 많은 낱자를 두는 한글 확장 배열에 대비할 수 있음
•
기본 배열의 숫자나 기호를 빼지 않고 옛한글 자판을 만들 수 있음
☞ 옛한글 자판을 실무 작업에도 쓸 수 있음
3-93 옛한글 자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5) 공병우 자판 : 한글 확장 입력
3-2012 옛한글 자판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5) 공병우 자판 : 한글 확장 입력
3-2012 옛한글 자판
온라인 한글 입력기 - http://ohi.pat.im/?k3=3-2012y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6) 신세벌식 자판 : 기호/겹받침 확장 입력
기호 확장
•
요즘한글에서 쓰이지 않는 첫소리 조합으로 확장 입력 상태에 들어가게 함
•
첫소리 ㅇ+ㄱ, ㅇ+ㅈ, ㅇ+ㅂ을 쳤을 때 기호 확장 배열 상태로 들어감
겹받침 확장
•
신세벌식 자판은 홑받침을 조합하여 겹받침을 만들지만, 다른 방법으로 겹받침을
넣게 할 수도 있음
① 같은 글쇠를 누르기 : ㄴ+ㄴ → ㄶ
② 윗글쇠 함께 누르기 : 윗글쇠+ㄴ → ㄶ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6) 신세벌식 자판 : 기호/겹받침 확장 입력
6. 세벌식 자판 개선 방안
(6) 신세벌식 자판 : 기호/겹받침 확장 입력
온라인 한글 입력기 ( http://ohi.pat.im/?k3=sin3-2012 )
참고한 자료/그물터
박영효·송계범, 「한글 타자기의 건반배열에 관하여」, 《전기통신연구소보》, 1968
정을병, 「문인용 타자기」, 《새가정》 1975년 5월호(통권 237호)
주중식, 〈국민학교 한글 타자〉, 1977
공병우, 〈나는 내 식대로 살아왔다〉, 대원사, 1990
오한중, 「공병우 최종 자판과 390 자판의 비교」, 한글문화원, 1993.5
"한글 세벌식 (IBM-3-90) 자판 배열표"와 "공병우 글자판 배열표" (1993년 한글문화원 배포 자료)
김경석, 〈컴퓨터 속의 한글 이야기〉, 영진출판사, 1995.3
신광조, 「가장 진보된 한글 자판」(신세벌식 자판 발표문+프로그램), 하이텔 한글프로그래밍 동호
회 자료실, 1995.9.22
김용묵, "한글 타자 행동 분석기"(프로그램 코드), http://moogi.new21.org/src3.htm
팥알, 「두벌 자판의 설계 원리와 한계」, 글걸이, http://pat.im/845
팥알, 「세벌식 3-2011 자판 (3-91 공병우 최종 자판 수정안 + 특수기호 확장안)」, 글걸이,
http://pat.im/855
팥알, 「세벌식 3-2012 자판 (3-90 자판 수정안 + 옛한글/순아래 배열)」, 글걸이, http://pat.im/938
팥알, 「세대를 나누어 살펴 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글걸이, http://pat.im/957
팥알, 「쓰임새에 따라 나누어 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글걸이, http://pat.im/1010
팥알, 「한글 기기에 쓰인 두벌식 자판」, 글걸기, http://pat.im/1023
팥알, 「공병우 최종 자판? 세벌식 최종 자판?」, 글걸이, http://pat.im/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