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Download Report

Transcript Presentation

6조 : 김우현, 서상현, 이성경
이지원, 홍혜진
①삼국시대
②고려시대
③조선시대
④대한제국
※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시대의 복식은 국가 체제의 확립과 더불어 계층화된
신분 제도로 귀족복과 서민복으로 구분되었고 귀족들의
복식은 그들의 권력과 부를 복식을 통해 과시함으로써
호화로운 형태로 변모해 간 반면 서민들의 복식은 이전
시대와 크게 다를 바 없이 고유복의 기본 형태에서 세부
적인 변화만 있을 뿐이다.
 의복의 재료인 직물이 크게 발달하여 견직물만 해도
주, 제, 능, 사, 라 등으로 다양하게 생산되었고 모직물도
견, 백류, 마직물, 포 등 여러 가지가 생산되었다.

책 <우리 옷 이천 년>



↑ 고구려 수산리 벽화를 바탕으로 재현
고구려
왕은 금관을 쓰고 대구고와
포를 입고 대를 메고
요
패(허리띠에 장식으로 늘어
뜨린 패물)를 찼다.
왕비는 주름치마와 포를 입
고 건귁(헝겊으로 만든 머
리 쓰개)을 씀
단양 온달 관광지 고구려 복식관
책 <한국복식문화 2000년>
<장신구>




백제
왕은 대수자포에 청금고를
착용하고 소피대를 둘렀다
왕비는 유, 고, 상 위에 포를
덧입었다.
장신구로는 금동관과 과대,
귀걸이, 팔찌 등을 착용했고
금동식리를 신었다.
책 <한국복식문화 2000년>
『구당서』에 백제왕은 소매가
넓은 자색포에 청색 비단바지를
입고 흰색 가죽대를 둘렀다고
한 것으로 보아 고구려 왕의
복식과 흡사했음을 알수 있다.
 머리에는 금동관이나 오라관을
썼고 신발은 금동식리, 오리리를
신었다고 전해진다.
금동관을 쓴 왕의 복식 복원 세부도
문화컨텐츠진흥원 우리문화원형사업 <한국의 복식>
고깔형 관모에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두루마기나 반소매
옷인 반비를 덧입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무령왕릉에서 보이는 화려한 장신
구들로 보아 왕비가 착용했던 복식
은 왕실의 권위를 상징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 귀족들과 차이를 두기
위하여 값비싼 염색에 더하여 화려
하고 섬세한 문양 및 금실이나 금박
으로 옷감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왕비 복식 복원 세부도
문화컨텐츠진흥원 우리문화원형사업 <한국의 복식>
<장신구>




신라
각 나라가 서로 비슷하여 신
라에서도 왕의 의례복으로
유, 고 위에 포를 착용하였다
왕비는 유, 고, 상에 의례 때
포를 착용했으며 예복에는
금관을 썼다
장신구로는 과대와 익형관,귀
걸이와 금반지 등이 있고
식리와 적피혜를 신었다.
책 <한국복식문화 2000년>
■ 선덕여왕
※여왕의 복식은
왕비의 복식과
관과 대에서
차이가 있었다.
<장신구>




고려 태조는 개국 초에 신라의
구제도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의종 때 최윤의가 상정고금례를
만들어서 제도가 갖추어졌다.
23대 고종 18년 원의 부마국이
된 이후로 머리 모양도 바꾸고
원의 복식을 따르던 기간이
100년이나 지속되었다.
고려 말 공민왕이 원나라의 간섭
에 대항하여 자주적인 복식을 하
였으나 이후 명나라의 간섭으로
복식제가 명과 같아지게 되었다.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

제복
왕이 하늘, 땅, 조상, 농신에게 제사를
지내거나 혼인, 즉위책봉, 하례 등의
예식 때 착용.


면류관은 각 줄마다 12옥이 달려 있음.
곤복은 검정색 포, 붉은색 상, 소매가
넓은 흰색 중단, 폐슬, 대대, 혁대, 패옥,
말, 석으로 구성.
책 <우리 옷 이천 년> /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
1) 왕

공복
사신을 접견할 때 착용.

자색 공복에 옥대를
띠고 상홀을 들었음
공민왕 초상 →
복두를 쓰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으며 옷깃과 수구에는 이색
선이 둘러져 있고 홀을 들고
있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 KBS <한국복식도감>
1) 왕

조복
백관, 사(士), 민(民)을 접견할 때 입던 옷 .


복두를 쓰고 황포를 입고 상홀을 들었음 .
고려말에는 원유관을 쓰고 강사포를 입었음.

상복
왕의 사무복.

오사고모를 쓰고 담황색의 소매
통이 좁은 포를 입었으며 자색라로
한 늑건을 띠었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 KBS <한국복식도감>
1) 왕비
관경서분변상도 왕비와 시녀

고려도경의 기록에 의거하면
왕비복은 홍색이고 그림을 그리고
수를 놓았는데 서민은 하지 못했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 책 <한국복식문화 2000년>
1) 왕비




고려사에 따르면 1370년 명나라 태조의
후가 고려 왕비에게 적의를 보냄.
황
보낸 것에는 관식과 적의, 소사중단, 폐슬,
대대, 혁대, 패, 수, 청말, 청석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송나라 황실 적의 제도를 따른 것.
관은 7휘2봉관인데 꽃 모양의 꽂이 9개가
장식되고 양쪽 아래로 뻗쳐진 박빈이 있음.
적의는 청색 바탕에 꿩을 9단으로 수놓고 흰
색 중단은 도끼무늬가 있는 홍색 선장식을
두른 것이며 폐슬은 치마의 색과 같고 가장
자리를 검붉은 색을 둘렀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 네이버캐스트 위대한 문화유산
<장신구>


조선시대는 유교가 국가의 이념
이기 때문에 의례와 절차를 중시
했는데 복식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의례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뚜렷
하였다.
왕은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를
따랐으며 신분 복식의 질서와
명분을 유지하기 위해 복식금제를
내렸다. 이는 신분과 계급에 따라
옷감의 사용 금지 및 승수 제한,
특정 복식의 착용 제한, 색의 사용
금지 등과 관련된 것이었다.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

면복 – 구장복
왕이 종묘와 사직에 제사 지낼 때나 초하루,
동지, 조회, 수책, 왕비를 맞을 때 입던 법복.
머리에 면류관을 쓰고 곤복을 입음
 곤복은 곤의, 상, 중단, 폐슬, 혁대, 패옥, 대대,
수, 적말, 적석, 규로 구성
 면복의 장문 = 왕이 갖추어야 할 덕목 9가지
(산, 용, 화, 화충, 종이, 조, 분미, 보, 불문)

책 <우리 옷 이천 년>
9류면 9장복
<국조오례의서례>에 실린 그림
면복을 입은 영친왕
책 <우리 옷 이천 년> / 네이버캐스트 위대한 문화유산
1) 왕

상복 – 익선관포
왕이 집무를 볼 때 입던 옷.



익선관, 곤룡포, 옥대, 화로 구성
곤룡포는 용포라고도 하는데 왕을 상징하는
오조룡 무늬를 가슴과 양 어깨에 넣었기 때문
초기에는 소매가 좁고 깃이 많이 파이지 않았
으나 후기에는 옷깃이 많이 파이고 소매가 넓
어짐
책 <우리 옷 이천 년>
영조 어진
정조 어진
세종 어진
1) 왕

조복 – 통천관복
왕이 신하의 조현을 받을 때 입던 옷.
원유관을 쓰고 강사포를 입는데 흰 버선과
검은 신을 신는 점이 면복과 다름.
 양관, 적초의, 적초상, 백초중단, 폐슬,
후수, 대, 홀, 패옥, 백말, 흑화로 구성됨.
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

융복 - 왕이 능에 가거나 국난을 당했을 때 입는 옷.
흑립을 쓰고 철릭을 입고 광사대를 매고 화를 신고 검을 찬다.

군복
머리에 전립을 쓰고 바지 저고리 위에
동달이와 전복을 입은 다음 광대와
전대를 띠고 화를 신고 지휘봉인
등채를 든다.
← 철종 어진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대삼
조선시대 초기 왕비의 법복.




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보낸 것으로 칠적관을
쓰고 상아 홀을 들었음. 인조까지 시행.
대홍색이며 무늬가 없음.
대삼 위에는 배자를 입고 하피를 두름.
배자와 하피는 청색에 적계문을 수놓은 것.
대삼 안에는 치마 저고리를 입고 대대는 홍라
로 했으며 옥패를 양 옆에 차고 옥규가 있었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노의
조선시대 초기 왕비의 상복.



조선 초기에 대홍색 화문의 비단 사용.
영조가 절약을 위해 없앴으나 다시 부활.
의궤도에 앞은 다소 짧고 뒤는 끌릴 정도로 길
며 수구에는 남색 태수를 달고 자색 대를 부금
하여 늘이고 노의 전면에는 315개의 둥근 쌍
봉문을 부금했다고 나와있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장삼
조선시대 초기 왕비의 예복.



노의 다음가는 예복으로 소매 끝에 흰색 태
수가 달려 있음.
가슴과 등에 흉배가 있으며 머리는 큰 머리형.
조선시대 중후기에 이르면 원삼과 당의로 집
약되면서 없어짐.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국의
조선시대 성종 때부터 시작된 친잠례복.



친잠례 – 왕비가 직조를 장려하는 의미로 누
에를 치고 누에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
대대, 패옥, 혜로 구성.
처음엔 상색(청색이 감도는 황색)을 사용하다
가 청색으로 변경.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원삼
왕비의 예복(소례복).




임진왜란 이후 노의와 장삼이 집결되어 생김.
삼국시대부터 내려오는 옷으로 현종 때 <명
성후가례도감의궤>에 처음 등장함.
소매는 통이 넓고 수구에는 황,청 두 가지 색의
색동과 금직단의 백한삼이 달려있음.
띠는 홍단으로 일곱 자 길이이고 머리는 어여
머리형, 떨잠을 세 군데하고 떠구지를 얹음.
책 <우리 옷 이천 년>
1) 왕비

적의
가례나 책비의 또는 책빈의, 그리고 친영의
와 동뢰연 등에 착용하던 법복.


영조 때 제도화 되었는데 왕비의 적의는 모
두 홍색으로 하며 중단과 폐슬, 말, 석, 하피,
보, 대수로 구성됨.
[가례도감의궤] 기록에 의하면 대홍색 적의
에 운봉흉배를 달았으며 앞뒤에 36개의 수
놓은 원적을 장식.
책 <우리 옷 이천 년> / 네이버캐스트 위대한 문화유산
<장신구>
올바른 의상
네이버 이미지
올바른 의상
네이버 이미지
잘못된 의상
네이버 이미지
잘못된 의상
네이버 이미지

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개혁을 단행하고 복식에서도
서구화와 간소화가 시작되었다.
고종에 의해서 복식의 개혁이
일어나 신분의 구별 없이 모두
두루마기를 입었고 색도 검정색
으로 통일되었다. 관리의 복식도
흑단령 하나로 통일되었다.
고종 32년 복식 제도는 외국
제도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고
단발령을 내림으로써 서양 복식
과의 이중 구조를 갖게 되었다.
책 <우리 옷 이천 년>
1) 황제

면복 – 12장복
고종이 황제로 오른 후 면복을 9장복에서 명과
같은12장복으로 바꿈.


면류관, 곤의, 상, 중단, 폐슬, 혁대, 패옥, 대대,
술, 말, 석, 규, 방심곡령을 착용하여 제복을 갖춤.
면복의 장문 = 왕이 갖추어야 할 덕목 12가지
(9가지에서 일, 월, 성진을 추가함)
책 <우리 옷 이천 년>
12장문
12류면 12장복 순종 어진
책 <우리 옷 이천 년>
1) 황제

상복 – 황룡포
고종 34년에 대한제국으로 국호가 바뀌어
광무 황제로 등극하면서 황색의 곤룡포를
착용. 순종도 융희 황제로 등극한 뒤 착용.


색 이외에는 조선 때 상복과 동일.
오조룡무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고종 어진
책 <우리 옷 이천 년>
1) 황제


1898년 실시한 복장개정령에 따라 기존의
단령이던 대례복을 영국의 궁중 예복을
모방하여 만든 대례복
1900년 문관복장이 개정되면서 황실의
예복도 정비되어 소례복으로는 연미복을
착용
← 고종 사진
책 <우리 옷 이천 년>
1) 황후

적의
황후의 법복.
명 황후의 적의제를 그대로 가져옴
 12등의 적문 사이에 작은 이화문을 넣음
 바탕색은 심청색이고 수구에 홍색선을
두르고 운룡문을 직금함

← 1922년 순정효황후 법복 재현
책 <우리 옷 이천 년>
책 <우리 옷 이천 년>
1) 황후

원삼
황후의 예복.


조선 중기 원삼은 홍원삼이었는데
황후가 되면서 황원삼이 됨
황색 길에 다홍색과 남색 색동과
흰 한삼이 달리고 홍색 봉황 대대에
오조룡을 금수한 원보를 양 어깨와
앞 뒤에 붙였음
↑ 윤황후의 황원삼 세종대학교 박물관 소장
책 <우리 옷 이천 년>
1명이 트렁크에서 자고 1명이 택시 일을 하며 24시간 교대로 일을 하는 한국인
‘내가 아는 한국인인데 조국이 가난해서
24시간 일을하며 돈을 벌고있다’
출처: 1998, 뤽베송의 택시1
문헌
한국복식문화2000년 조직위원회『우리 옷 이천 년 』,문화관광부, 2001
백영자, 최해율,『한국의 복식문화』,경춘사, 2000
한복사랑운동협의회, 한국복식문화2000년 추진위원회『한국복식문화 2000년』
KBS 아트비전『한국복식도감』,200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사업『한국의 복식』
사이트
네이버캐스트
위대한 문화유산 : 적의제도 - 왕실 여성의 복식
적의 – 왕실 여성의 복식
왕의 면복 – 국가 행사에 입었던 옷
인 물 한 국 사 : 왕건 - 고려건국
네이버 이미지(사극 드라마 & 영화 속 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