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니컬웨어 3-1.

Download Report

Transcript 테크니컬웨어 3-1.

소방복
contents
• 소방복의 특성
• 소재에 요구되는 특성
• 소방복제의 종류& 보호장비
• 과거 VS현재 화재진압복 분석
• 화재진압복의 문제점
• 개선방안
소방복
소방복 ?
화재를 예방/경계 또는 진압하여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소방활동에 필요한 의복.
역사?
1.삼국시대의 소방: 전문적인 행정분야로 취급되지 않음.
부락단위의 소방활동.
2.통일신라시대: 방화의식의 향상. 군대에 의한 소방활동.
3.고려시대: 금화제도로 화기단속. 화약 특별관리.
4.조선시대: 소방고유의 조직형성.
5.일제시대: 일본식의 소방기구. 방호과 설치.
6.정부수립후: 경찰행정 체제에 포함-> 1972년 최초 소방
본부 발족.
7.1991년: 소방법개정으로 광역소방행정체제
• 방수복
• 소방관이 화재물로부터 직접 위협을 받지 않는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진화작업을 할 때 착용하며,
• 열이나 수증기를 적절한 수준으로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 방열복
• 화염에 접근해서 작업하는 소방관을 복사열로부터 보호
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복사열을 반사하도록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소재들로 만들어진다.
소방복
소방복의 종류
-소방안전장비세트: 근무복, 방수복, 구
조복, 조끼, 티셔츠, 단화, 활동화, 모
자, 안전모, 안전장갑
-방화복세트: 방화복상의, 방화복하의,
헬멧, 안면보호두건, 내열장갑, 방열
화
-현황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소방관의 역
할의 중요성 부각에 비해 사방관 개인의
안전에는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고
있음. 특히 소방보호복은 소재와 디자
인이 1992년 개정된 이후 10여년동안
답보상태를 지속했음.
진화작업시 능률과 민간의 소방관에 대
한 이미지 재고에저해되었으나 몇년전
부터 노맥스, 케블라 및 신소재를 통한
소방복의 발전을 추구하고있음.
소방복의 특성
소방복이란?
소방수를 화재 진화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완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의복
방열
방수
소방복
소방복 구성층
1.표면층- 내부의 구성소재와 인체를 화염으로부터 보
호
아라미드계섬유나 폴리벤지이미다졸 섬유 사용
2. 투습방수층- 수분이나 수증기 상태의 화학물질 등
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
투습방수소재 사용
방열복이란?
소방간이 화재현장으로 가장 먼저 진입할 때 착용
하는 것
직접적인 고온의 화염 속에서 소방관을 보호하는
근
-화염에 접근해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을 복
기능을 지님
접
방열
복
복
진
입
복
방수복이란?
사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것 (소재-알루미늄을 입혀 복사열을
아주 높은 열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작업자를 보
반사하도록
한 소재)
호하기 위한것
(소재- 니켈 박 위에 방염섬유와 알루미늄 단열
재, 단열안감등으로 구성)
일차적인 화재진압이; 행해진 후 화재현장 안으로 투
입되는 경우에 착용
물이나 고온의 수증기로부터 인체 보호 기능
∴소방복이란
열 절연이 충분하면서 통풍 가능한
것 이여야 함
소방복의 소재 선택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
ⅰ. 난연성(내열성) : 소재자체가 불에 타는지의 여부
ⅱ. 단열성 :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열의 저감 여부
ⅲ. 방수성 : 소방현장에서 사용되는 물의 침투 여부
ⅳ. 전기 및 정전기 차단 : 전기 화재 및 건물화재시
전기 및 정전기의 차단 여부
ⅴ. 연소시 유해가스 발생 여부 : 열로 인한 소재
손상시 유해가스 발생 여부
ⅵ. 통풍성 / 환기성 : 착용자 신체에서 발생한 열과
수분의 배출 여부
ⅶ. 작업 편의성 : 착용자의 작업 능률 증대 여부
소방복
소방복의 소재
석면 : 열과 화염에 잘 견디는 섬유상(纖維狀) 자연광물. 고대 그
리스인들은 석면으로 타지 않는 불꽃 심지를 만들었다.
19~20세기에는 단열재 ·방화재로 널리 사용됐다. 현재 발암
물질로 여겨져 미국에서는 대부분 사용이 금지돼 있다.
노멕스 : 듀폰이 63년 출시한 제품. 쉽게 타지 않는 아라미드라는
섬유로 만들어졌다.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화 소재
일 것이다. 의복 ·변압기 단열재 ·필터극장 · 무대장치에 쓰인
다.
PBI 골드 : 독일 화공업체 셀라니즈(Celanese)가 86년 선보인
PBI 골드(폴리벤지미다졸)는 미국의 대다수 소방서에서 애용
하고 있다. 원래 미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하청받은 셀
라니즈 기술진이 발화하지 않는 폴리머로 만든 것이다. PBI
골드는 노멕스보다 비싸서 많이 이용되지는 않지만, 현재 연
료전지 막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방염면 : 일부 화학물질이 열에 노출될 경우 산소를
대체하는 기체가 발생한다. 이런 화학물질을 면섬
유에 첨가해 내연재로 사용할 수 있다. 화염에 노출
될 때 섬유 탄화를 촉진하는 화학물질도 활용해볼
수 있다. 인듀라(Indura) 제조업체인 시카고 소재
웨스텍스(Westex)가 그런 화학물질을 이용하고 있
다. 방염면은 다른 내화재보다 저렴하다. 그러나 세
탁하면 방염성 화학물질이 떨어져 나가기 시작한다.
• 실리카 : 이산화규소라고도 불리는 실리카는 모래
의 주성분으로 뛰어난 방화재다. 메인주 미캐닉폴
스 소재 어번 매뉴팩처링(Auburn Manufacturing)
은 최고 섭씨 1,650도에도 견딜 수 있는 실리카 섬
소방복
소방복의 소재
-케블라, 노맥스에 쓰이는 ‘아라미드’라는 섬유는?
<아라미드를 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
소재에 요구되는 특성
1.노맥스
-불에 노출되었을 경우 화상의 범위를 최소화하는 특성에 기인
-다른 보호 소재(순면, 폴리에스테르 혼방)등 보다 3~5배 견고
-노맥스+케블라 혼방 표면층소재 사용 할 경우 → 쾌적성, 투습성, 활동성 높아짐
-소방복, 헬멧, 장갑, 후드 등에도 사용
2. 시큐리텍스 에스엠에스
-SMS(Stress Management System): 최대한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벌키함
과 부피가 큰것보다는 특수소재층의 적절한 조합, 가벼움, 자유로운 활동가
능성 추구
3. 고어텍스의 공기폐쇄 방염복
-화재현장에서 몇 시간동안의 격렬한 고열작업 속에서도 방염과 투습 이루어짐
-인체보호, 열에 노출시 방수기능 → 유독물질로부터의 보호 , 자체적 땀 배출 기
능 →체온증가 막아줌
4. 커멜 방열 코트
-커멜과 방염가공한 비스코스 또는 커멜과 노멕스가 혼방된 특수소재
- 경제적, 착용감 중시
5. 반사테이프
-소방관들의 위치 파악 용이, 팀 활동의 효율 증진
-야광노란색, 오렌지색, 흰색, 진주황색/ 밤: 은색(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소방복제의 종류
**개정된 소방복제
현대적 감각에 적합한 디자인 및 색상와 안전성이 높은 재질로 개선 →기존 소
방 고유의 이미지 쇄신과 소방공무원의 자긍심 고취, 국민에게 친근해 보이는
이미지
**특징
▶ 개정된 소방공무원 복제의 전반적 내용을 알아보면 16종 25품목으로 세분화
되어 있던 소방공무원 제복을 11종 18품목으로 통합․단순화하여, 제복의 통일
성을 기함으로써 소방공무원간의 일체감을 부여.
▶ 개선된 소방공무원 복제의 내용을 살펴보면 현재의 딱딱하고 권위적인 제복
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진청색인 정복을 진회색의 신사복 형태로 바꾸고, 진청
색인 근무복을 진회색의 하의와 연회색의 와이셔츠 형태의 상의 및 넥타이를 활
용하여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주도록 함.
▶ 여성소방공무원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 임부 근무복을 신설
▶ 소방복 가운데 업무별로 작업복․구조복․구급복으로 세분화되어 있던 것을
소방의 대표이미지 색상으로 인식된 주황색(현행 구조복의 색상)을 기본색상으
로 하는 기동복으로 통합하는 대신 화재,구조,구급 등의 기능구분 표지장를 부
착해 구분
CH.2 소방복제의 종류
▶夏 근무복/ 冬근무복
▶임부 근무복/ 잠바
▶잠바/ 기동복
▶활동복/ 조끼
▶방한복/ 우의
프랑스 소방복
소방정복(남)
소방정복(여)
F2헬멧
F1헬멧
활동복
작업복
가죽작업복
F1set
기동화
구조화
방화복 세트
방화복 상의
헬멧
안면보호두건
방화복 하의
내열장갑
방열화
소방복 보호장비
사고 현장의 상황과 용도에 따라
호복 구분 사용
방화복
방열복
방화복/ 방열복/ 화학보
화학보호복
일반 화재현장에서 화재진 화재진압현장에서 고온의 복사열에 근접할 수 있는 화재현장에 유해화학약품이나 방사능과 같은 위험물질이
압시나 혹은 인명구조활
일반
화재현장에
동 등에 착용
서 화재진압시나
혹은 인명구조
활동 등에 착용
화재현장에 유해화학약품
화재진압현장에서 고온의 복사
용도로 사용
이나 방사능과 같은 위험
열에 근접할 수 있는 내열피복
물질이 산재되어 있는 사
으로 건물 등의 내부화재 진압
고현장에서 유해물 차단
용으로 사용되며, 유독가스가
및 인명수색의 용도로 사
산재한 현장에 적합
내열피복으로 건물 등의 내부화재 진압용으로 사용되며, 산재되어 있는 사고현장에서 유해물 차단 및 인명수색의
유독가스가 산재한 현장에 적합
방화복이란?
제조원 ․파소나기, 경진실업
가 격
․파소나기(385,000원) 경진실업(477,900원)
색 상
․검은색 피복에 형광색의 반사테이프 부착(대원용은 황색, 간부용은 적색)
사이즈
․신장을 기준 5㎝ 간격으로 1-6호로 사이즈 분류(1호 161~165㎝, 2호 166~170, …, 6호
186~190㎝)
중 량
․방화복 상․하의 총 중량 3.85㎏
형 태
․방화복은 상․하의로 분리되며, 상․하의는 겉감․중간층․안감으로 구성된 형태이다.
소 재
․겉감 및 안감은 아라미드계 섬유로 된 내열성 직물로서, 중간층은 투습․방수성능이
있는 고어텍스 소재가 사용되었다.
․상의 안감 몸통의 소매 연결부분을 제외한 모든 방향의 끝부분과 상의, 소매 및 하의의 끝부분에
구 조
는 폭 5㎝이상의 물 흡착 방지천을 부착하여 방화복안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어깨, 팔꿈치, 무릎의 내부에 2mm의 패드를 부착한 구조
강 도
․겉감의 인열강도는 경사, 위사 방향으로 각각 10kgf이상이며, 중간층, 안감, 물흡착방
지천의 인열강도는 경사, 위사 방향으로 각각 2.3kgf이상이다.
․중간층 및 물흡착방지천은 내열․내한․내유 처리하였을 때 내수도가 4.0kgf/㎠이
제조원
․산청
가 격
․1,367,000원
사이즈
․프리사이즈
중 량
․방열상의 3kg, 방열하의 2kg, 방열헬멧 2kg
형 태
․상-하 원피스 형식(착식장갑, 분리형장화, 두건 포함) 공기호흡기 내외장형
방열복이란?
․원단은 겉감(Aluminized내열원단), 중간층(고무포), 내열휄트, 안감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열휄트와 안감은 누빔처리
소 재
․안면렌즈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두께 3mm이상의 내열소재로 제작
․방열복은 사용하는 금속부품은 내식성 재질의 것 또는 내식처리를 한 것이어
야 한다
․방열상의, 방열하의, 방열두건, 방열장갑 및 방열화로 구성
․앞가슴 및 소매는 열풍이 쉽게 침입할 수 없는 구조
구 조
․렌즈는 방열두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시야를 충분히 볼 수 있는 크기
․상의 앞 채움방식은 황동프레스 가공품에 니켈도금 처리된 것이다
․방열두건의 상부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하부에는 열품의 침입방
지를 위한 보호포가 있어야 한다
강 도
․인장강도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각각 25㎏f 이상일 것
․겉감은 파열, 균열이 생기거나 Aluminize 피막이 벗겨지지 않는다
화학보호복이란?
제조원 ․듀퐁 등 다수업체
가 격 ․4,400,000만원
사이즈 ․프리사이즈
중 량 ․약 10kg
․화학보호복의 모든 봉제부분을 열로 봉합처리 하였고, 더블지퍼의
완벽한 밀폐로 유독가스의 침투가 없으며 내부에 공기호흡기를 착
형 태
용하는 형태
․장갑은 화학 저항이 우수한 부틸과 실버쉴드장갑으로 두겹이 끼워
져 있으며, 장갑손목 끝부분을 화학보호복 속으로 접어 넣고 링과
조임쇠로 고정시켜 유독가스의 침투가 없다.
소 재
․부직포라이너 섬유에 양면으로 부틸 접착한 후 외부는 폴리머 코
팅처리 다음 다시 바이톤 코팅
구 조 ․상-하 원피스 형식 (착식 장갑, 분리형 장화, 두건 포함)
내화성
․미국 연방방화협회 기술기준에 명시된 화학 및 생물무기 방어(겨
화제진압복
과거의 화재진압복
1977년 소방공무원법 제정된 이래 화재진압복 구성→
방수헬멧과 방수복, 방수화 또는 방열화에 방수
장갑을 착용
BUT 방수의
방수헬멧- 외부의 충격이나 화염으로부터 목과 머리부분
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
-무전기를 장착하기 불편한 구조와 보안경의 강도가
약한 등의 단점
방수복은-방열성이 매우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고열
상황에서 진압작업에 어려움을
겪음, 특히 반코트형 구성은 바닥으로부터의 화기에
노출되기 쉬웠을 뿐만 아니라
얇은 내피와 함께 방수복의 보온성을 떨어뜨리는 주
된 역할을 함.
-넥칼라 부분은 접촉부위를 부드럽게 한다는 이유로 면
소재의 코듀로이 칼라를
부착하였으므로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불이
붙는 큰 단점.
방수장화- 방수성을 주목적으로 에폭시 코팅
기능방수장갑과
뿐..소방대원들
으로 약간의 내열성만을 갖춘 고무소재 →200℃이상의
화제진압복
송수신용 무전 헬멧
현재의 화재진압복
-과거 반코트형 원피스 구성: 상하의가 분리된 투
피스 형태로의 변화
(체열의 방출경로를 차단 보온성을 높이고, 화기
유입으로부터 신체보호, 장비착용의 신속성과 활
동성 증대)
-다치기쉬운부분(무릎, 팔꿈치, 어깨)패드삽입
외부충격 완충재역할 내구성과 외부압력완화
-하의: 어깨걸이용 멜빵 부착 신속한 착의와 활동
성 향상
-소재의변화: 겉감 및 안감에 이중으로 사용된 듀
<현재 우리나라 진
퐁사의 아라미드계섬유사용
압복>
(뛰어난 내열성, 열통과시에도 내부의 중심온도
47℃ 유지
열에 용융되지 않는 우수한 열저항성 인명구조
-기존의 불편했던 점 개선 제품
용이)
-화재진압현장에서
지휘본부와의
기존에 없던
중간층에 고어텍스 소재
삽입 →가 긴밀한 의사소통
→효율적인
진화작업
벼움, 외부로부터
수분유입차단,
보온성확보 겨
울철 저체온
현상 극복, 진압작업시
발생하는 땀
공기호흡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전기를 한 손에
과 오염 흡수
잡지 않고 무선 교신 이루어짐
-쾌적성과 -헬멧내부에
청결성을 높이는
작업능률향상기여
마이크
설치, 두성 진동방식, 수신은 항
상 감지,
송신시 에만 버튼 누르는 구조
소방안전화
방화용 장갑
-기존의 방수화와 방열화의 단점 보완
-겉감가죽에 방수방열화 이상의 내열성 및 내구성을
지니도록 가공
오염에 취약햇던 부분까지 보완 위해 합성수지 코팅
오염방지처리(외부세척에 용이)
-내부: 기존의 방수성이 뛰어난 코어텍스 소재에 키
토산 가공과 같은 향균과
향취가공 부착
-내부에 철심이 아닌 합성수지의 선심이 발 둘레를
감싸도록함
→소방대원의 활동성 확보
-방전처리가공과 더불어 안전화의 전기의 차단 극대
화
-소방대원의 손이나 손목을 고열 및 위해물질로
부터 보호, 보온성, 쾌적성 유지
-겉감: 아라미드계섬유(뛰어난 내열성), 잔열시
간 2초이내
-안감: 고어텍스 소재 보온성과 환기성 모두 높
임
현재 한국 방수복의 문제점
① 여밈 장치가 벨크로, 단추, 디링(D-ring)의 구조로 되어 있어
부속품의 무게가 무겁고 신속한 개폐가 어려움.
② 긴 코트식의 상의와 허벅지
길이의 장화를 착용하도록 되어
있어 하체에 무리가 감.
③ 겉감은 내수도가 낮아 방수복
표면에 묻은 수분이 안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큼.
④ 전체적으로 통기가 전혀 되지
않음.
안감의 네오프렌코팅은
방수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풍도 전혀 되지 않고 있다.
⑤ 현재 사용되는 안감은 나일론 소재로 소방복의 난연(불에
잘 타지 않음), 내열(높은 열에 견딤)
기능을 하지 못함.
⑥ 야광 방사포의 면적을 넓히고 색도 눈에 더 잘 띄는 것으로
개선할 필요.
⑦ 색상, 디자인, 사이즈, 재질, 활동성, 쾌적성, 진화작업시
열차단 만족도 10% 이하.
⑧ 선호 형태: 신축성이
있는 운동복형
⑨ 선호 색상은 소방관은
노랑색, 일반인은 은색
⑩ 방수장갑 추가 요망
현 화재진압복의 문제점
① 국제기준과 다른 소방용방화복 규격의 안전성 논쟁
▶직접적인 열(직화)과 간접적인 열(복사열)을 2cal/mm/분간 가해 피부가 2도 화상을
입히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열방호성능(TPP)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BUT 한국소방검정공사(KFI) 는 선진국의 시험규격을 무시한 채 1천도가 유지되는 전
기로 30cm앞의 밀폐된 시험함 안에 원단을 넣어두는 복사열 시험만을 실시
② 소방용방화복 규격의 총중량 제한 문제
▶방화복 완제품의 총중량 제한을 종전 3.5kg이하에서 3.85kg이하로 350g증가
BUT더 가볍게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몸무게가 더 나간다고 무거운 옷을
입으라함
기본 장비 공기호흡기, 방화복, 방화헬멧 등 13Kg이상 기본장비 착용과 함께 더 무거
운옷을 입는건 활동성 억제하는 결과초래
③ 방화복 생산업체 입찰방식의 문제
▶ 최저단가입찰제도 →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완제품의 부실화 초래
화재진압복의 개선방안
① 디자인의 개선
▶개성의 시대 속에 의상은 개성표출의 가장 중요한 수단
▶ 2001년 회색복장과 검정색복장에 대한 설문에서 압도적인 지지인 회색복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방화복 색깔 검정색복장
직원들의 색상과 디자인에 대한 요구 부응 회색바탕에 세련된 디자인의 새로운
화재진압복 제안
② 착용의 불편함 개선
▶ 소방방재청의 출동에 확립에 관한 규정 中 사건접수받는데 10초, 화재접수로부
터 소방차가 싸이렌을 울리고 출동하는 시간까지 30초 규정
BUT 방화복을 입기 전에 발목까지 오는 안전화를 신고, 그 위에 오버롤바지를 착용
한 후, 방화복 상의와 헬멧을 착용한 후 차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고 싸이렌을 울리며
출발하는데까지 30초라는 계산이 나옴
문제점을 보완 → 신속하고 간편하게 환복할 수 있도록 상․하의․안전화가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엔지니어복 형태의 일체형 진압복을 제안
③보온성과 쾌적성의 문제
▶ 현재 진압복은 열을 잘 배출하지 못하고 통풍이 안되서 땀이 나지
만 잘 흡수가 안되고 있는 실정
→ 대원의 안전성 해치는 결과
▶ 환기와 통풍이 아닌 다른방법으로 진압복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 요구
▶ 냉매기술 개발 BUT 아직 기술상 한계 → 얼음조끼의 원리를 방화
복에 적용 아이스방화복제안
소방복
소방복에 대한 최근 기사들..
대구서 생산된 기능성 소방복 전국이 주목
대구에서 생산된 기능성 소방복이 전국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소방복은 기존의 소방복과 달리 아리미드 등 난연소재로 제작돼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이 탁월할 뿐 아니라 가벼운 소
재로 경량화해서 활동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방오가공 처리를 통해
소방복이 쉽게 더러워지지 않고 세탁이 쉬운 것이 장점이다.현재 이
소방복은 대구소방본부와 납품계약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계약이 성사될 경우 대구지역 소방공무원 2000여명이 입을 소방복
을 납품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