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막 전위

Medical Instrumentation
5조 :
2006200416
2009103854
2005200602
2009103856
백진우 (1등)
손지현
서만환
신보미
제출일: 2011.4.18
- Nerve Cell : Neuron
Axon은 Neuron에 따라 없는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고 길이가
1m 에 이르기도 함.
Pulse 형태의 Action Potential(신호) 전달하는 역할
- Synapse
1개의 Neuron에 평균 103 개의 Synapse 구성
Pre-synapse Neurons의 Pre-synapse Potentials 의 합이 문턱치를 초
과하면 새로운 Action Potential 발생
- Input의 경우 (Sensory nerve)
전압발생
전압신호전달
외부자극
(화학성분 소리 빛)
< Sensory Nerve Cell >
외부자극으로 인해 Sensory Nerve Cell 에서 전압이 발생하고 그 신호가 뉴
런을 통해 신호가 전달이 된다.
Cochlear
Cochlear 에서 주파수 스펙트럼을
만들어 주파수 별로 Action potential
을 발생시킨다.
Retina
빛이 들어오면 망막으로 모여서 가시
광선대역 전압을 Optic nerve로 보낸
다.
Brain
Sensor
Spinal cord
DATA
Spinal cord 가 잘렸을 때 뇌는 받을수 있는 정보(시각 온도 촉감 청각..etc)가 없다
센서의 전압을 ADC하고 저장해서 Spinal cord에 연결
DATA를 진실이 아닌 물리적으로 정보를 입력 가능
-Output의 경우 (Motor Nerve)
전압신호전달
뇌(중추신경계)  (운동)뉴런  근육
Extracellular Fluid
세포
: 세포막외부
Na+
Intracellular Fluid
K+
- Membrane : 막
: 세포막내부
Cl-
· 세포 내부 : K+ 多 , Na+ 少
· 세포 외부 : K+ 小 , Na+ 多
Cl- K+
Na+
인지질
(Phospholipid)
단백질
(Protein)
Outside
6.8nm
· 세포 내부와 외부의 같은 정도의
Cl- 때문에 전기적으로 중성
Inside
- 세포에서 이온의 이동
선택적 이온 투과 특성을 갖는 Membrane
세포
Na+
K+
K+
ClK+
Na+
Cl- Na+
Na+ - K+ Pump
( ATP  ADP + E )
: 이온을 이동시키는 화학적 에너지
( Na+ - K+ Pump 작동 )
농도 차에 의한
K+ 확산
ClCl- K+
ClK+
ClK+
K+
ATP : 미토콘드리아에서 심장이 박동하여
생긴 산소 + 포도당을 이용해 생성
ATP  ADP 화학반응에서 에너지발생
E를 이용해 확산을 이기며 Na+, K+ 이동
Resting 상태 ( 휴지기 )
세포막이 이온을 선택적으로 이동(에너지 소비하여 Na+는 밖으로, K+는 안으로)
K+ : 세포막을 통해 농도차에 의해 밖으로 확산
Na+ : 확산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
Cl- : 세포 안, 밖의 차이 없어 이동하지 않음
이온이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Membrane 바깥쪽은 양전하(+), 안쪽은 음전하(-)
: 막 전위 약 -60 ~ -90mV
- 막 전위 변화
전위(mv)
Action Potential
: 활동전위
+35mV
Depolarization
: 탈분극
Repolarization
: 재분극
VRmp
-60mV
Resting Potential
: 휴지전위
Hyperpolarization
: 과분극
· Depolarization(탈분극) : 자극을 받아 Na+ Channel 열리고, K+ Channel 닫힌다.
 Na+가 세포 안으로 다량 유입되어 전위(V) 값 상승
· Action Potential(활동전위) : Na+ Channel은 열려있고, K+ Channel은 닫혀있는 상태
 세포 내부가 상대적으로 (+)전위  약 +30 ~ 40 mV
· Repolarization(재분극) : Na+ Channel이 닫히고, K+ Channel이 열리기 시작
 K+의 유출로 전위 값 감소하여 분극 상태로 회복
· Hyperpolarization(과분극) : 분극 상태가 지나치게 심한 것
 재분극 과정에서 분극 때보다 전위차가 커지는 상태
RMP(Resting
Membrane Potental)
K
K



K

Cl
 K
Cl

Cl  K

Diffusion
Coulomb
Force
세포막 안에는 K가 많고 세포막 밖에
는 K 가 적다.
Diffusion하고 Coulomb Force가 같아
Equilibrium 될 때 Resting상태
Resting 상태에서 세포막 안의 전압
은 아래와 그래프 와 같다.
Vm
Vrmp
E Field 내에서 이온 이동
(coulomb force에 의한 이동 이동)
V
+ 전하는 전압이 낮은 쪽으로
- 전하는 전압이 높은 쪽으로 이동
E


E   V
E 는 전압의 기울기 즉, 전압의 올라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x
dV
vav  Z q (
)
dX
V
10
5
10V
0V


10V
E  V
dV  dV  dV 
 (
ax 
ay 
az )
dx
dy
dz
x
dV 

a x (V는 x만 의존하므로 )
dx
이 안에Source Charge가 없기 때문에
2
d
V ( x)
2
V
0
2
dx
Drift Velocity
+
+
+
+
-
+
+
+
+
+
-용액 안에서는 E Field 생길 때 점도등으로 전하의
이동을 하는 도중에 분자에 부딫치고 충돌에 의한
열에너지로 방출되서 속도가 계속 증가 되지 못하고
평균속도를 가지게 된다.
-도체에서는 +원자들은 움직이지 못하고 열에 의한
바이브레이션만 가능하다. E Field가 생기면 자유전
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F=qe=ma) 힘을 받
아 가속도 운동을 하는데 원자들에 부딫치면서 충돌
에 의한 가속도가를 가지지 못하고 평균속도를 가지
게 된다.
vav   E
-도체(구리)에선 온도가 낮으면 바이브레이션이 적어 충돌이 적어져
Vac는 빨라지고 저항은 작아진다.
-용액에서는 온도가 올라가면 점도가 줄어들고 이온의 Activity가 늘어나
서 Vac가 빨라지고 저항은 작아진다.
Flow Density
Δt 의 시간동안에 물체를 통과하는 이온의 개수
N s  A  vav  t  Cs
부피 [m3 ]
A
vav t
농도 [개/ m
3
]
단위 시간당 단면 A를 지나는 단위면적당 이온의 개수
Qe ( flow density) 
dV
Qe  vac Cs   s Zq(
)Cs
dx
Ns
A t
Cs  [s] Av
[s] mole/liter
Av 아보가드로수
dV
 Qe   s Zq (
) Av [ s ]
dx
Diffusion에 의한 이온의 이동
[s]
d [s]
dx
+
-
x
d [s]
Qd  
dx
Mobility
-이온의 극성과 상관없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
-농도가 가장 빠르게 줄어드는 방향으로 확산이
일어난다.
Diffusion Constant (확산 상수)
d [ s]
Qd   Av  Ds
dx
Ds
s 
TB
⇒ Mobility와 Diffusion Constant 사이의 관계
T : 절대온도
B : Boltzmann Constant
전체 양전하 이동 량
⇒ Q  Qe  Qd
dV
d [s]
 s  Z q 
Av [ s ]  Av  Ds 
dx
dx
ZF
dV
d [ s]

Av  Ds 
[ s ]  Av  Ds 
RT
dx
dx
F  Av q
: Faraday Constant
R  BAv
: 이상기체 상수
RM(Resting Membrane)
in
0
+
+
+
+
+
+
+
Membrane
d
Q  Qe  Qd  0
ZF
dV
d [ s]
 Av  Ds 
[ s]  Av  Ds 
⇒ 
RT
dx
dx
Diffusion
out
Electric
field
ZF dV ( x) d [ s] 1




RT dx
dx [ s]
K+ 농도
바깥쪽 전압
안쪽 전압
ZF
⇒ 
RT

d
0
dV
d [ s] 1


dx
dx [ s]
ZF d
1

dV

 d [ s]


0
RT
[ s]
[ s]o
ZF
ZF
xd

(
V

V
)

ln
 v(d )  v(0)  ln[ s] x 0  ln[ s]o  ln[ s]i ⇒
⇒ 
out
in
RT
[ s]i
RT
=0
VRMP  Vin  Vout
RT [ s]out

ln
2 F [ s]in
[s]in > [s]out 이니
음수가 되어
VRMP ≒ -60mV
- Action Potential 측정
+
Microelectrode
세
포
Vo
IA
기준전극
Vo
t
VRMP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는 순간
(-)가 된다.
Permeability
Vm : membrane potential
Depolarization : 탈분극
Repolarization : 재분극
막 전위가 VT까지 올라가면
막 전위
0
Action
Potential
q Na
VT
VRMP
qk
Na+ Channel이 열려 세포 내로 유입
Vin이 (-)  (+)
Membrane 전압이 (+)가 되면
안에 있는 (+) 이온이 다시 밖으로 유출
0
Stimulus
자극 인가되면 자극에
의해 막 전위 상승
Hyperpolarization : 과분극
V1
V2
V3
V4
V5
+++++++++++++++++++++++
V1
---------------------------------------------------------------------
V2
+++++++++++++++++++++++
V3
++++-------+++++++++++++++
------++++---------------------------++++---------------------++++-------+++++++++++++++
이온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V4
V5
Axon을 타고 Action Potential이 점점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한 지점에서 Action Potential 만들고 나면 그 지점이 바로 옆
을 자극하여 Action Potential이 만들어진다.
 Thanks
for your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