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빛의 산란
인천대학교 지구과학
빛의 산란
산란 (scattering)
= 반사(reflection) + 굴절(refraction)
종류
- 레일라이(Rayleigh) 산란:
공기 입자(<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 미(Mie) 산란:
구름 물방울(운립≒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 기하광학적 산란:
빗방울(우립> 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색의 인식
물체의 색
우리 눈에 보이는
물체의 색은
그 물체가
반사(산란)한 빛의 색
푸른 하늘
맑은 날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
청색광이 적색광에 비해 약 (
)배 더 강하게 산란되기 때문
그렇다면 왜 하늘이 파장이 더 짧은 보라색으로 보이지 않는가?
보라색광에 대해서는 우리의 지구의 대기가 너무 두꺼워, 햇빛
이 지구 대기에 들어오면서, 대기의 상층에서 대부분 산란되기
때문임 (그래서 비행기를 탔을 때 보이는 하늘의 색은 보라빛을
띠며, 우주선이 대기 상층으로 올라갈 때 그 보라색 빛 하늘이 점
차 검보라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음)
달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빛의 산란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진
공에 가까운 우주와 같이, 낮에도 하늘은 (검/희)게 보임
(그러나, 낮에도 별이 초롱 초롱 잘 떠 있음)
붉은 노을
저녁 하늘은 왜 주황색으로 또는 붉게 보이는가?
일몰시 태양빛이 투과하는 대기의 두께는, 청색광에 대해 너무 두꺼워,
우리의 눈에 도달하기 이전에 다 산란되어 버림 (즉, 이제 파랑색이 한
낮의 보라색의 입장이 됨)
첨탑 위의 등, 교통 신호 등의 위험 신호가 빨간색인 이유는?
다른 색에 비해 산란이 잘 안 되고, 멀리까지 공기층을 통과하기 때문
흰 구름,
푸른 바다
구름, 안개, 파도의 물보라 등은 왜 흰색으로 보이나?
구름이나 안개를 구성하는 입자(=운립)의 크기가,
입사하는 태양빛의 파장보다 훨씬 커서,
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의 빛을 거의 똑같이 산란시키기 때문
때로는 짙은 회색 또는 먹구름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이 아주 두꺼워서 상부 구름의 그림자가 드리워지거나,
주변 구름이 드리운 그림자 효과 때문
cf. 바다는 왜 파란가? 대야물은 왜 파랗지 않은가?
적색광과 적외선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면서 ( )되고*,
물 속 입자에 의해 청색광이 (
)되기 때문
* 물 분자가 적외선의 진동수에 공명하기 하기 때문에, 적외선 에너지가
물 분자의 내부에너지로 변환되어, 바닷물이 데워지게 되는 것
정리
- 레일라이(Rayleigh) 산란:
공기 입자(<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ex) 푸른 하늘, 붉은 노을, 푸른 바다(부분적 설명)
- 미(Mie) 산란:
구름 물방울(운립≒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ex) 흰 구름, 흰 물보라
- 기하광학적 산란:
빗방울(우립> 가시광선 파장)에 의한 산란
ex) 무지개 (우립에서 2회의 굴절과, 1회의 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