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을 소재로 한 6차산업 활성화 방안(2014.7.10.한방사업조합

Download Report

Transcript 약용식물을 소재로 한 6차산업 활성화 방안(2014.7.10.한방사업조합

약용식물을 소재로 한
6차산업 활성화 방안
2014. 7. 10.
경북 농어업 FTA특위
손재근
약용식물 산업동향
o. 국내 약용산업 시장규모는 ’04년 4.4조원에서 ’09년 약 7.4조원으로 증가
추세이며, 세계시장(약 240조원)의 약 3.1% 점유
-. 세계시장 규모는 ’15년 281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 세계 시장
예상점유율은 3.1%에서 4.0%대로 진입할 것으로 추정
o. 웰빙문화 확산으로 국내 약용작물 재배면적 및 생산액 증가
-. 재배면적 : (‘00) 9,936ha → (’10) 14,423ha(증28.9%)
-. 생 산 액 : (‘00) 2,932 → (’10) 9,126억원(증211.3%)
o. 종전의 단순 한약재 용도에서 기능성식품 등으로 용도 다양화 추세
-. 국내 기능성식품 시장 : (‘05) 6,755억원 → (’10) 1조 671억원(증58%)
약용산업 국내외 동향
o. 전통의약의 범세계적 활용을 위한 기반조성 활발
-. 약용작물의 안전생산 기준 표준화 작업 : WHO GACP 제정
· 한약규격화국제포럼(FHH) 주도하에 한약재 GACP의 표준화 진행
-. 중국 : 10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여 적극적인 현대화 추진
· 중약제제 8,000 품목 개발 생산, 중국 의약품시장의 30% 점유
-. 유럽 : 약용작물 GAP 선도(독일 39%, 프랑스 21%, 이탈리아 등)
-. 미국 : 정부차원의 보완대체의약 육성추진
-. 일본 : 쯔무라제약 등 민간주도로 한약제제시장 활성화
o.
o. 웰빙문화 확산으로 국내 약용작물 생산액 증가 추세
('02) 9,985ha → ('12) 15,920 (59% 증)
약용작물 생산 비중 증가 추세에도 대부분 작물이 1,000ha 이하 소규모 재배
연도별 약용작물 생산현황
구분
1990
1995
2000
농가수
(천호)
54
63
37
재배면적
(ha)
9,179
14,954
9,936
2005
42
2009
40
2010
(A)
2011
(B)
43
43
증감율
(%)
(A/B)
0
11,494 14,587 12,804 12,915
0.86
생산량
(ton)
22,822 41,980 30,141 50,172 62,882 62,689 62,208
-0.77
생산액
(억원)
1,647
3,014
2,932
5,237
6,458
9,126
-
-
•출처 : 2011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부
재배면적 추이
(단위 : 천ha)
구분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1
약용작물
(A)
3.9
4.0
9.1
14.9
9.9
11.4
12.8
12.9
전체경지면적
(B)
2,196
2,144
2,109
1,985
1,889
1,824
1,715
1,698
A/B(%)
0.1
0.1
0.4
0.7
0.5
0.6
0.7
0.8
*출처 : 2011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부
2011 경지면적조사결과, 통계청
한약재 생산액 및 수출현황
(단위 : 톤, 천$)
연도
수출
수입
생산량
수요량 수입(%)
물량
금액
물량
금액
2000
1,284
7,378
44,042
80,559
30,141
72,899
60.4
2005
1,186
6,820
23,206
27,803
42,786
64,806
35.8
2007
-
9,236
22,825
49,355
60,132
85,000
34.4
2008
-
8,954
16,562
61,643
54,662
-
-
2009
-
8,805
15,594
59,103
62,882
-
-
2010
-
9,428
17,569
81,680
62,528
-
-
2011
-
13,840
14,800
90,086
62,208
-
-
*출처 : 의약품수출입협회, 농림자료(농수산물 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간 한약재 수입상위품목(2011)
(단위 : 천불)
순위
품목
2003
2005
2007
2009
2010
2011
4
감초
2,676
2,632
3,831
1,712
3,687
4,293
6
복령
1,947
1,143
1,955
1,670
3,326
2,714
8
괄루근
96
127
190
648
467
1,667
9
반하
1,155
853
993
1,275
2,783
1,624
10
백출
352
364
1,046
485
1,133
1,456
11
지황
593
1,176
669
507
1,386
1,355
12
목단피
359
303
656
281
1,270
1,276
13
시호
445
289
932
561
1,038
1,217
14
길경
736
626
687
494
420
1,196
15
마황
132
307
394
1,097
939
1,078
16
위령선
138
128
118
680
433
952
17
황련
779
532
771
37
127
950
한약재 수입국별 물량
베트남, 1,722
(2%)
콜롬비아, 1,552 인도네시아, 913
미얀마, 632
우간다, 2,896
(3%)
우즈베키스탄, 478
기타, 1,825
(2%)
카자흐스탄, 8,958
(10%)
뉴질랜드, 9,894
(11%)
러시아, 12,423
(14%)
중국, 48,788
(54%)
경상북도 현황
o. ’12년 생산량 24,448톤으로 전국 생산 점유율 1위(27.3%)
<연도별 재배현황>
구분
2000
2005
2009
2010
2011
2012
농가수(호)
12,555
9,366
7,427
6,115
9,662
10,683
재배면적(ha)
2,626
2,445
2,715
2,184
3,530
4,449
생산량(톤)
8,109
14,345
11,488
16,127
20,146
24,448
* ’12년 재배면적 : 4,449ha로 전국 1위(27.9%)
o. 전국 1위 주산지
-. 문경(오미자), 안동(산약), 영양(천궁), 영천(소엽), 고령(향부자), 영주(하수오)
o. 전국 점유율 1위(14개 품목)
-. 백지, 사삼, 작약, 현삼, 백수오, 하수오, 산약, 지모, 천궁, 향부자, 형개, 자소엽,
오미자, 대추
* 오미자, 산약, 천궁, 건강, 사삼, 당귀 품목이 경북 전체 면적의 74.6% 차지
주요사업 현황
o. ‘약용작물 계열화사업’을 통한 일관 생산·유통체계 구축(농식품부)
-. 방법 : 생산자단체와 농가의 계약재배 및 수매를 통한 직거래
-. 기간 및 지원조건 : 1년, 계약자금 무이자, 수매자금 3%
-. 재원 및 조성비율 : 농산물가격안정기금, 국고융자 80%, 농협 20%
o. ‘약용산업 육성 지원사업’을 통한 생산기반시설 구축
-. 사업비 : ’13년까지 9,126백만원(도 10%, 시군 40, 자부담 50)
* ’13년 : 11개시·군 23개소, 2,000백만원
-. 지원내용 : 재배단지조성, 공동작업장 및 선별장, 저온저장고 설치 등
-. 지원대상 : 약용작물재배 작목반(0.1ha~3ha), 영농법인, 전문농협 등
o. 우수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확대 보급
-. 약용작물 개발·보급센터 운영(안동) : ’09~’11년, 30억원
· 시험연구, 종자보급, 광역클러스터 사업 등 추진
-. 경북농민사관학교를 통한 전문인력 육성
· ’11년부터 “약용작물명품화과정”운영
-. 농업기술원(약초시험장, 유기농업연구소 등)과의 연계
o. 영남권 한약재 유통센터 운영
-. 우수 한약재 유통지원시설 운영(안동) : ’10년, 131억원
· 경북 중·북부지역 우수한약재 구입, 가공처리 후 유통
* 전국 보유현황 : 경북(안동), 강원(평창), 충북(제천), 전남(화순), 전북(진안)
o. 부가가치산업 육성
-. 천연색소산업화 지원센터 건립 추진(안동) : ’12~’13년, 150억원
· 천연색소소재 생산 연구제조시설, HACCP 시설 등 설치
연구연량 강화 및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기능성 식의약 소재 개발
현재 수준(2013)
• 인삼 인체적용시험 완료 1건
중기계획(2017)
• 인삼 인체적용시험 2건(항불안 등)
(‘인지능개선’ 기능성추가 추진중)
(기능성 추가 등록 2건)
장기계획(2022)
• 인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등록 2건 (항산화 등)
• 관절건강, 간건강 후보자원 선발
• 관절건강, 인지능 개선소재 2건
• 항노화, 면역증진 소재 4건
• 항비만 한방처방 선발 1건
•
항비만 복합추출물 2건
• 천연물 신약소재 발굴 2건
• 식물추출물 은행 구축
• 기능성 정보 DB 구축
※ 건강기능식품 개발 성공사례
•
헛개나무 쿠퍼스 : (‘05) 500억 원 → (‘10) 1,200
※ 천연물 신약 개발효과
•
스틸렌 (급만성 위염 치료제) : (‘04) 104억 원 → (‘11) 880
•
조인스정 (관절염 치료제) : (‘01) 100억 원 → (’09) 263
• 기능성 정보 DB 공개 및 제공
4개 핵심분야 15개 전략 프로젝트
1
2
토종 표준 품종 개발 및 보급
친환경 안정 생산기술 확립
- 고부가가치 증대 식․의약 소재 약용작물 품종개발
- 약용작물 GAP 재배기술 개발 연구
- 국내 생산기반 수입대체 약용작물 품종개발
- 약용작물 친환경 유기재배 기술 개발
- 기후변화대응 주요 약용작물 고품질, 내재해성 품종개발
- 노동력 절감을 위한 약용작물 생력체계 기술 개발
- 기후변화에 따른 약용작물 재배, 생산 예측기술 개발
3
유통의현대화및수출전략화기술개발
4
효능의과학화및고부가가치소재개발
- 약용작물 ISO 규격 품질 표준화 연구(국제적 대응)
- 동의보감 등 고유의 전통약초에 대한 과학화 연구
- 약용작물 수확 후 품질유지 및 향상 기술 개발
- 전통약초 생리활성 성분 및 안전성 연구
- 약용작물 수확 후 위해물질 제어기술 연구
- 만성질환 등 전통약초 활용 분야 탐색 및 소재 개발
- 약용작물 원산지 판별 기술개발 연구
- 2차대사물질 생합성관련 유전자 탐색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
※ 기대효과 : 전통가치 발굴→현대의약 적용, 신가치창출→세계천연물의약 주도권 확보
비전 및 목표
비
약용작물 6차 산업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
목
안정적인 고품질 약용작물 생산 기반 구축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안전식품 한약재 공급
표
농업·농촌이 상생하는 6차 산업으로 육성
생산기반육성
약용작물 고품질 안전 생산을 위한 품종·재배기술 개발
약용작물 우수품종 집중 육성 및 보급
약용작물 유전자원 수집, 보존, 특성평가 확대
집중육성 대상 작물 선정, 고품질 다수성 품종 개발 보급
우량종자 생산·보급 국가관리체계 구축 및 보급 확대
기능성 신소재 등 다용도성 약용작물 품종개발 및 보급
작물별 안전재배법, 성분함량 증진 등과 표준재배기술 개발
국내 약용식물 기원 검증으로 약용작물 산업화 지원
안전한 유통
4. 주요 업무추진 계획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안전 농식품·한약재 공급
GAP 인증확대 및 친환경농산물 인증 내실화 추진
수입산과 가격차가 큰 품목 위주로 이력추적 등 사후관리 강화
GAP 및 친환경 민간인증기관 특별점검 강화(연 1회 → 2회)
농수산물품질관리법 개정, GAP 인증절차 간소화 추진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가공식품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 친환경인증 약용작물 생산기반 조성
GAP 약용작물과 GMP 한약재 잔류농약 검사항목 기준조정 추진
고부가 6차 산업화
농업·농촌과 도시가 소통하는 힐링타운 조성
지역별로 차별화된 약용작물 특화단지 육성
천연색소산업화지원센터 조기 구축 및 활성화 지원
주요 약용작물에 대한 주산단지 파악 및 특화 가능성 검토
- 지역별 차별화된 약초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품목별로 차별화된 약초 특화단지 지정·관리, 맞춤형 지원
- 생산·가공 체험 및 한방 생태·의료관광 프로그램 등 개발 산업화
고부가 6차 산업화
체험·치유 및 휴식과 연계하는 6차 산업화 추진
6차 산업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곳을 적극 활용, 사례 전파
- 교육장소로 활용, 약용작물 관련 조사자 대상 6차 산업화 교육 추진
엑스포 타운을 각종 교육 및 연수, 관광까지 아우르는 메카로 육성
엑스포 행사장 시설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 강구
- 안정적인 운영수익 학보 방안 마련
- 동의보감촌을 전통한방휴양관광지와 연계 관광명소로 발전
-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활용
고부가 6차 산업화
신소재 개발 보급을 통한 생산유발 효과 극대화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및 한방 향장소재 개발 등 계획수립 추진
- 주요 약용작물의 약리, 생리활성 물질 탐색과 분리
- 기능성 원료 개발 및 산업 소재화를 위한 R&D 사업 추진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개발 R&D 사업 결과물의 산업화 지원
약용작물 기능성분 추출 및 천연물 의약 등 R&D 사업, 산업화 지원
고부가 6차 산업화
외연 확대로 부가가치 제고
생약원료

생활소재
천연물의약
기능성소재화
천연색소 산업 등 약용작물을 활용한 부가가치 제고
건강식품 및 기능성 식품 개발 및 신선편이 가공기술 개발
의료, 관광,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접목한 소재 발굴
4-3. 고부가 6차 산업화
4장. 주요 업무추진 계획
고부가 6차 산업화
약용작물(한약재)를 이용한 기능 분야
개발분야
내용
ㅇ 비타민제, 피부치료제, 당뇨치료제, 관절염치료제 등
의약품
(예) 화인알치마, 노인성 치매 예방과 치료에 특효가 있는 천연물질(INM176)
상품화. INM176은 신농본초경에 나오는 천연약재로부터 추출한 물질
ㅇ 기능성 영양제 등 * (예) 썬바이오텍의 ‘헤모힘플러스’
기능성 식품 - 생명공학과 방사선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조혈 및 면역기능 탁월한 신물질
- 혼합추출물(당귀, 천궁, 백작약), 저당, 벌꿀 등
건강식품
ㅇ 환, 엑기스, 한방음료, 한방빵, 한방떡, 한방쿠키, 한방죽, 향신료 등
식품첨가물, 천연색소 음료 등
다류
ㅇ 침출차, 액상차, 한방차, 발효차, 꽃차 등
주류
ㅇ 침출주, 발효주, 증류주 등
장류
ㅇ 고추장, 된장, 간장, 청국장, 식초, 장아찌, 부각, 튀각 등
화장품
ㅇ 스킨, 크림, 팩, 미용제품, 탈모방지제, 아토피 개선제, 비듬방지제,
색조화장품 등
고부가 6차 산업화
약용작물(한약재)를 이용한 기능 분야
개발분야
생
활
용
품
내용
방향제
ㅇ 향기주머니, 젤타입 방향제(차량용), 향초 등
주거용
ㅇ 벽지, 장판, 벽돌, 침구류(베개) 등
천연염색
ㅇ 스카프, 손수건, 모자, 의류(내의, 외의) 등
세제류
ㅇ 비누, 샴푸, 린스, 바디샴푸, 식기세척제 등
식사
ㅇ 쌈채류, 식용약초반찬, 향신료 등
ㅇ 사우나, 온천, 찜질방, 실내인테리어, 한방삼림테라피, 생활
헬쓰케어
습관병(고혈압, 단뇨병, 동맥경화증, 비만 등) 치료, 정신수양용향,
뜸, 맛사지용 등
기타
ㅇ 축산사료 이용, 한방슬러지 이용 퇴비 및 액비화 등
고부가 6차 산업화
천연색소산업화 지원센터 건립
약용작물을 활용한 천연색소 산업화 기반 구축
→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
지원조건
- 기간 및 사업량 : ‘11~’14, 2개소(나주, 안동)
- 예산 : 200억원 (국고보조 50%, 지방비 50%)
사업 효과
- (1차산업) 색소작물 계약재배 및 대량생산 고부가가치 영농
- (2차산업) 천연색소 제품 생산
- (3차산업) 천연색소·관광상품 개발, 체험 교육 서비스 지원
고부가 6차 산업화
천연색소산업 육성의 기대 효과
원료의 안정 공급 및 농가 소득증대
- 계약재배에 의한 안정적 공급으로 농가 수익 증대
- 시장출하보다 가공업체 공급으로 10~15% 소득 향상
- 판로확보에 따른 안정공급으로 천연색소 생산 확대
천연색소 원료로서 약용작물의 새로운 수요 창출 및 생산량 증가
- 국내산 약용작물 이용으로 천연색소 생산업체의 이미지 제고
천연색소 소비확대에 의한 약초의 부가가치 향상
- 약용작물의 천연색소 가공이용에 의한 부가가치 향상
※ 치자 색소의 부가가치 : 100원(치자) → 371(염료) → 529(천연색소)
※ 애엽(황해쑥,급만성 위염) ) 120톤 6천만원 → 스티렌 정(천연 신약 900억원, 07)


-

※ 농가소득 : 40억원(’05) → 1,000억원(’12)
향후 10년 내 5,000억원 목표
개요
•
’01년 마을 내 약초생활건강
사업
•
약초떡, 유기농쌈 등 먹거리 제공
•
약초주머니, 약초비누등 가공상품
성과
•
가공상품 통해 7억원의 연매출
•
마을 내 13농가의 참여로
기업설립 후 약초생산 활성화
•
•
’04년 산야초 영농조합법인
설립
핵심
성공요인
부가가치 창출
판매
’03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
•
약초를 이용한 연중 체험프로그램과
계절별 농사체험 운영
다양한 약초 이용한 차별적 가공상품 및 건강체험프로그램 제공
생산기업 연계를 통한 안정정직 판매처 확보 마을 내 약초
•
고령화 된 마을주민들의 일자리
제공 및 소득창출
(농가당 200여만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