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유기농업 R&D 추진정책

Download Report

Transcript 친환경 유기농업 R&D 추진정책

유기농업
실천원리와 기술개발
2013. 2. 27.
유기농업과 지 형 진
목차
Ⅰ 농업의 현재와 미래
Ⅱ 친환경농업 · 유기농업
III
유기농업 R&D 추진전략
Ⅳ 금후계획
I. 농업의 현재와 미래
전통문화
농촌
유지발전
농촌경관
생물종보존
식량안보
농업ㆍ농촌
수자원함양
홍수조절
토양유실
대기정화
“농업은…
지난 30년간 기피해온 직업에서
향후 30년간 최고로 선망하는 직업이 될 것이다.”
(Jim Rogers)
농업 형태..
1
▶ 전통농업
- 4천년의 농업
2
▶ 관행농업
- 현대과학농업
3
▶ 친환경농업
- 한국적농업
4
▶ 유기농업
- 생물순환농업
•목표: 농업생산성의 지속, 자원 환경에 대한 순응과 순환
•방법: 논을 중심으로 경종과 축산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자원순환과 자연에 순응하는 전통지식
•목표: 과학영농기술에 의한 고품질 안전농산물의 다수확
•방법: 품종, 농약, 비료, 농기계로 토지, 노동, 자본의
생산성을 최대한으로 증진시킴
•목표: 물, 공기,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농업생산력
유지, 생태계 보존, 안전한 농산물 생산
•방법: 농약, 비료, 항생제 사용의 최소화 혹은 무사용
•목표: 농업생태계의 건강증진, 생물 종의 다양성 유지,
생물순환 및 생물활동 증진
•방법: 유기종자, 윤작, 최적시비, 생물종 다양성, 무화학
4/37
관행농업의 성과와 반성
 20세기의 현대과학농업은 급격하게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고 산업화에 근간이 되
었으나, 농민과 농촌은 본질적 가치가 흔들리는 위기상황에 처함
 녹색혁명(1950-1980)은 농업생산성을 250% 증가시켰으나 화학비료, 농약, 전기,
기계 등 화학에너지를 50-100배 투입하게 되고,
- 다국적기업의 농업독점, 농업의 석유 및 자본의존, 재배작물 및 생물다양성의 획일화에 따른 전
통문화 파괴와 문화적 획일화, 토양수질오염, 토양비옥도 저하, 수자원 고갈 등 생태적 문제발생
 먹거리의 안전성은 소비자의 관심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 화학자재의 3R*
*3R
• 저항성 (Resistance)
• 격발 (Resurgence
• 잔류 (Residue)
*3C (crisis)
• 환경위기
• 식량위기
• 에너지위기
5/37
미래의 농업..
자연과 인간이 공생ㆍ공영하는 시대의 농업 (S.P. 자르이긴 ‘노비미르’ 편집장)
 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할 신농업혁명(Neo Agricultural Revolution)은 천연자원과
생태계를 보전하고 농업생산성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에코농업(Eco-agriculture)
 환경과 생명을 중시하는 그린시대의 ‘New normal’은 저성장, 저탄소 경제와 녹색
생활화이며 산업측면에서 근본은 농업 (SERI, 2010)
 미래학자들은 향후 20-30년간 세계 시장을 주도할 산업으로 유기농을 지목
<향후 미래세계 시장을 주도할 산업>
<자연과 인간이 공생ㆍ공영하는 미래사회>
6/37
II. 친환경농업 (1998~)
생태계 보존, 쾌적한 환경, 살기 좋은 농촌
비료
적절한 관리
○
○
○
○
식품안전성
농업생태계
농업생산력
농업소득의
최소화
충족
보존
유지
보장
농약
인 간
쾌적한
공기
생명이 살아 숨쉬는
맑은
물
토양
투입 자재인 농약과 비료를 적절하게 관리 사용하여 물, 공기,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농업생산력을 유지하고 생태계를 보존함과 동시에
농업소득을 보장하면서 식품의 안전성을 충족하는 농업형태
7/37
친환경농업의 종류..
1. 지속농업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생산성을 지속가능가게 하는 농업
2. 저투입농업 농약ㆍ화학비료 저 투입, IPMㆍINM으로 지속가능농업 발전
3. 생태농업
농업의 지속성뿐 만 아니라 농업생태계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농업
4. 자연농업
식물과 동물의 기본권을 존중, 자연의 힘을 최대한 활용–4무 농법
5. 정밀농업
GIS, GPS 이용, 농경지 속성별 특성에 따라 세분하여 투입관리
6. 유기농업
현대농업의 3대 위해성(3R) 등 폐혜에 대한 대안농업으로 대두
*친환경농업의 개념과 농약ㆍ화학비료 절감목표로 볼 때는 GAP와 HACCP 등도
친환경농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8/37
친환경농법의 종류..
1
생명역동농법
6
-Bio-intensive agriculture
-Bio-dynamic agriculture
2
자연농법
7
-Natural farming
3
4
5
태평농법
-太平農法
지장농법
-地藏農法
생명환경농법
-生命環境農法
바이오 인텐시브농법
하이포니카농법
-水氣耕農法
8
균형영양농법
-Plant clinic
9
호쾌농법
-소식심수 벼재배법
10
퍼머컬쳐
-Permaculture
*농법이란 고유의 기본원리 및 목적에 입각하여 생산체계 전반에 걸쳐 독특한 기술이나
재배(사양)법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재배법과 구별되는 농사법을 농법이라 한다.
다양한 친환경농업과 친환경농법은 각각의 실천사항과 투입기술 혹은 자재가 다르더라도
농업생태계보존과 안전한 먹을거리의 지속적 생산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추구한다.
9/37
친환경적 농사기술..
생물 이용
1.
2.
3.
4.
5.
오리
왕우렁이
지렁이
참게
미꾸라지
6. 붕어
7. …….
미생물ㆍ발효
1.
2.
3.
4.
5.
식물ㆍ유기자원
1.
2.
3.
4.
5.
쌀겨
유채
키토산
활성탄
목초액
6. 사포닌
7. 솔잎
8. 스테비아
EM
6. 톱밥발효사료
BMW
7. 전통발효
MS
8. 식물활성화효소
클로렐라
황토누룩사료
광물질ㆍ천연자원
1.
2.
3.
4.
5.
게르마늄
유황
피롤
바닷물(소금)
산화전해수
*기타: 그린음악, 리뷰, 꿈의농법, 주체농법, 삼포식농법, 건지농법, 화전농법
10/37
친환경농산물..
『친환경농산물』이라 함은 ‘저농약농산물’,‘무농약농산물’,‘유기농산물’
중 한가지를 인증 받은 농산물을 말함.
 인 증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전국의 민간, 대학 등 총 76개 지정인증기관에서 인증
- 저농약농산물 ‘16년 완전폐지, ’13년부터 완전 민간인증, 농관원은 인증기관 사후관리
 친환경농업 ≠ 유기농업,
 유기농업 ⇒ 친환경농업,
ㆍ화학농약, 비료금지
- 윤작 등 생산규칙 준수
친환경농산물 ≠ 유기농산물
유기농산물 ⇒ 친환경농산물
ㆍ화학농약 사용금지
- 화학비료 1/3량 허용
ㆍ항생, 항균제 등이
포함되지 않은 사료
* 『친환경농업』이란 용어는 국내서만 통용되며 국제적인 기준이나 정의가 없음.
11/37
바람직한 농업의 형태…
친환경농업
관행농업
유기농업
유기농인증
GAP인증
HACCP인증
지속농업
저투입농업
정밀농업
• 국제적인 기준과의 조화를 위해서 유기농업(유기농산물)과 친환경농업(친환경농산물)이
명확한 구별되는 것이 필요하며, 『유기농업육성정책』이 요구됨.
12/37
유기농업
정의
농업생태계의 건강증진, 생물 종의 다양성 유지, 생물순환
및 생물활동 증진을 위한 총체적 농업체계
* 유기농업의 필요조건 : 종자, 윤작, 최적시비, 종 다양성 유지
생산규칙
유기농축산물의 생산은 비료, 농약, 항생제 등 합성된 자재를 일체 사용
하지 않고 유기물, 미생물, 광물 등 천연자원을 사용하여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농업생태계를 유지 보존 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13/37
유기농업 시장현황
전 세계적으로 유기농 시장은 매년 약 20%씩 급격히 성장: 160개국 3,723ha
 세계 유기농 시장 규모 : (‘00) 179억 → (‘03) 255억 → (‘06) 402억 → (‘10) 600억불
 2010년 현재, 유기농 재배면적은 전 세계 농경지의 약 1.0%에 불과(10%이상 유럽 7개국)
 세계 유기농 시장 점유율 : 북미 48%, 유럽 48%, 기타 4%
천ha
합계
유기
무농약
저농약
240
201.7
200
174.1
160
122.9
120
75.0
80
49.8
40
2.0
4.6
11.2
2000
2001
2002
22.2
28.2
2003
2004
0
<대륙별 유기농 시장 증가추세>
<국가별 유기농 시장 규모>
2005
2006
2007
2008
2009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추이>
국내 유기농산물 재배면적은 매년 30%이상, 유기가공식품은 23%씩 성장
 유기농 식품의 시장 규모: 약 6천억원 (농산물 46.6%, 가공식품 53.4%)
- 유기가공식품 중 국산원료 13.7%, 수입원료 71.6%, 수입완제품 14.7%로 수입이 86.3%
- 유기농 재배면적은 전체의 1.0%(‘11,친환경농산물=저농약 3.7%+무농약 4.7%+유기농 1.0%)
14/37
위험요인
기회요인
[산업] 소비패턴의 다양화, 식품안전
및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시장확대
 다양한 틈새시장 진입 및 차별화 가능
 연평균 26% 성장: (‘10)5.5천억→(‘15)2조
 FTA 확대에 따른 中·日등 수출기회 증가
[정책] 저탄소 녹색성장 신성장 동력
사업으로 친환경유기농업 육성
 5대 핵심녹색성장과제로 선정(2010. 4.)
 ’15년까지 무농약·유기농 12% 달성목표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정책, ‘11-’15)
I-1-3.
유기농업의 가치에 대한 이해부족
및 생산중심의 관행농업화
 고투입, 고비용, 고가 → 경쟁력 약화
FTA 확대에 따른 수입 유기농식품과
가격 경쟁 가속화
 가공식품: 수입원료 71.6%, 완제품 14.7%
불리한 유기농업 실천 여건
 [기후] 고온다습에 의한 병해충 대 발생
 [재배] 윤작 및 작부체계 수립 실천 미흡
 [자원] 유기 경종ㆍ축산 순환시스템 미비
유기농업기술개발
15/37
유기농업의 생산규칙
• 지역단위 내의 자원순환
• 작부체계 수립실천
- 두과 작물 윤작, 녹비이용
• 유기축산ㆍ경종 순환
• 적정 유기물 투입
농업생태계 건강증진
생물순환ㆍ활성증진
생물 종 다양성 유지
• 식물건강 증진을 위한
- 재배방법, 환경개선
•
•
•
•
건전종자, 건전육묘
간혼작, 윤작, 녹비이용
천적의 보호 및 이용
물리적(피복), 생물적
토양
ㆍ
양분관리
병ㆍ해충
잡초관리
종자
ㆍ
유기농자재
• 유기종자 사용원칙
- non-GMO, 비화학적 처리
• 농약, 비료, 항생제 금지
• 허용자재 118종
- 천연광물질, 동식물
추출물, 미생물 등
16/37
일반원칙(Codex, IFOAM)
투 입 자 원
작 부 체 계
토양비옥도
자 연 생 물
:
:
:
:
지역단위 농업시스템 내의 자원활용
윤작, 두과작물 이용 작부체계 실천
유기물 적정투입 및 작부체계 이용
다양성, 자연환경과 공생 · 보호
국내의 문제점
윤
경
가
생
표
투
병
작체계 미확립
축순환 미수립
축분 과잉시비
물 농 법
의 존
준기술 미확립
입농자재 의존
해충 잡초관리
품목다양성
(19%)
품목전환
(11.9%)
병해충회피
(4.8%)
자가액비
(16.7%)
미생물제제
(36%)
천연물질
(27%)
국내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기술적 애로는
병해충방제(31.3%) 및 잡초방제(15.6%)로 나타남.
17/37
유기농 토양 및 양분관리
Codex 기준
국내현황 및 문제점
작부체계를 통한 토양 및 양분관리
다다익선식 유기자원 및 축분퇴비 투입
유기순환체계 내에서 모든 유기자원 순환
– 염류집적 우려, 영양불균형, 미생물상 악화
외부자재 유입 최소화
유기자원 시용기준의 미설정
유기농업으로 생산된 부산물 활용
녹비작물 및 피복작물 보급 및 이용 저조
피복작물 재배 등 토양유실 최소화
환경보존 보다 소득위주로 토양 관리
기타 허용자재는 보조적으로 사용
화학비료, 제초제 과용 등
병해충 방제원리
Codex 기준
 병해충 및 잡초 발생이 최소화되는
재배방식이 기본
-적절한 윤작, 녹비 작물 이용, 균형
시비관리, 멀칭, 물리적제어, 천적
이용, 혼작, 간작, 화염 및 기계적 제초

오염원의 유입 최소화, 토양과
수자원의 지속적 관리
우리나라
 병해충을 최소화하는 농법적용 보다
농약효과 대체 허용자재에 의존
-관행품종과 관행재배방식에 기인함
-연작, 집약재배, 집중강우 등 환경

생물농법(오리, 왕우렁이, 참게)에
의한 잡초 제어 의존
지역환경에 맞는 작물, 저항성품종 선택
②두과작물 윤작 및 적합한 작부체계 실천
③건전한 (유기)종자선택 및 건전한 육묘
양분의 균형관리, 적정유기물 공급,
재배방법 개선, 천적의 보존 및 이용,
파종/재배시기 조절, 포장청결, 오염원 제거
19/37
유기농업 기술수준
(관행대비, %)
FAO/UN
미국
유럽
생산성
낮음
100
80-90
수익성
높음
125
100-120
경영비
낮음
85
에너지
50-70
68-72
47
환경성
좋음
좋음
좋음
한국
추진목표
60-80
90
80-100
110
80-100 100-120
90
-
논란
70
좋음
*참고자료: FAO/UN, OECD, EU 보고서, Science논문, Cornell대학 및 KREI 보
고서 등
20/37
III. 유기농업 R&D 추진전략
비 전
국내환경에 적합한 세계적 수준의 유기농업 기술체계 확립
저투입 자원순환형 유기농업 현장실용화기술 개발
목 표
전 략
• 관행농업 대비 생산성 90%, 경영비 90%, 소득 110% 달성
• 농림부의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11-’15) 달성을 위한 기술개발
- 2015년까지 친환경농산물(무농약, 유기농) 재배면적 12% 확대
국제기준과 조화되고 국내환경에 적합한 현장실천기술 개발
· SESE 기술 : Simple, Easy, Scientific, Effective
· PEPS 실현 : Productivity, Environments, Profitability, Safety
농소정·산학연이 함께 하는 자원순환농업 발전시스템 구축
· OFT : on farm technology, MRS: matrix research system
농업인 대상 농업현장 애로기술에 대한 R&D 니즈 조사결과
(‘08, 농진청)
1. 작물 병해충방제, 가축질병 예방·관리 2. 농업환경개선, 축산분뇨처리(자원화/에너지)
3. 친환경 유기농기술 개발 및 표준화
4. 품종개량, IPR확보, 고유자원 확보
5. 수확 후 관리연구, 6. 에너지 절감방안 7.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연구 등
21/37
2012년 과제추진 현황
구 분
연구 분야별
과수 및 특용작물 유기재배 기술
생물다양성 등 공익기능
수확 후 관리 및 품질
병해충 및 잡초관리
토양/양분 및 현장 실증연구
공동연구
(26소과제)





기본연구
(7소과제)
 병해충 잡초관리 과제
 토양/양분관리, 작부체계
 유기농 소재 및 정보관련
과제 수
7
3
3
7
6
3
2
2
예 산
30억
“유기농식품 현장
실용화 기술개발”
(‘11-’13년 35억/년)
13억
* ‘12년 : 4 소과제(공동연구) 완결; ‘13년 : 8 소과제(공동 7, 기본 1) 완결
22/37
중점추진 분야별 연구내용
기초기술분야
기초기술
1. 공익기능: 생물다양성, 생태건강
2. 환경보존: 온난화저감, 탄소저장
3. 유기종자 개발, 적합품종 선발
응용기술분야
생산기술
4. 유기농 토양 및 양분관리 기술개발
5. 작부체계, 재배ㆍ축산 순환모델 개발
작물보호
6. 생물적 병해충ㆍ잡초관리 기술연구
7. 재배적•물리적 작물보호 기술연구
보급확산분야
유통경영
8. 유기농산물 품질관리, 저장, 가공
9. 유기농산물 유통 및 경영개선
기술적용
10. 유기농업기술 현장실증 및 보급
: 경상연구 중심추진
: 공동연구 중심추진
23/37
기초기술분야
과제배경
 정책적 배경(제3차 친환경농업육성계획)
•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의 친환경 유기농업
육성정책 수립의 근거자료 요구 증대
연구목표
 생태계, 토양, 수질, 기후 등 15가지 환경
요인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관연구
 신규 유기농경지 환경변동 연구(-’14)
- 유기농경지 토양환경, 미생물 변동 조사
 유기농경지 생물다양성 증진연구(-’17)
- 절지동물 다양성 수지 개발
 토양 물리성, 화학성, 생물활성 영향 (-’17)
 토양 건전성 측정기술 개발 (-’21)
 기술수요
• 직접 직불제 기간연장 및 직불금 상승 요구
• 4대강 유역개발과 함께 유기농업의 공익적
기능 및 환경보존에 대한 논란 가중
 기술개발
• 생물종 다양성 및 토양생물 활성 10%증가
• 수질오염 및 탄소배출 20% 경감
공동연구
 유기농경지 생물다양성 인벤토리 구축(-’15)
- 유기농경지 수서생물 다양성 수지개발
 수질환경 영향 및 탄소축적 기능연구(-’17)
- 유기농경지 수서생물 다양성 수지개발
 유기농 단지 환경, 생태, 경관관리 (-’21)
 유기농 공익적 기능 분석 평가 (-’21)
24/37
응용기술분야 : 생산기술
과제배경
 정책적 배경(제3차 친환경농업육성계획)
• 경종과 축산이 연계되는 자원순환농업 구축
- 화학비료 사용량 매년 3% 이상 감축
연구목표
 외부투입 최소화 토양ㆍ양분관리 기술개발
• 녹비ㆍ유기물 이용효율, 양분 순환체계
기관연구
 양분이용 효율 증진을 위한 시비방법(-’14)
- 숙전화를 위한 녹비 등 유기물 공급 개선
 피복 및 경운방법 개선연구(-’14)
- 에너지 투입 저감 및 탄소저장 기능
 양분 맞춤형 액비 제조 및 활용연구(-’17)
 농가 및 마을단위 양분순환 체계연구(-’21)
 기술수요
• 유기농 토양관리 및 양분관리 기술수요 큼
• 유기질비료 및 퇴ㆍ액비 투입 의존 심화
- 윤작, 녹비 이용 작부체계 개발 요구
 기술개발
• 양분이용 효율 10%증가 기술개발
• 에너지 투입 30% 경감 기술 개발
공동연구
 유기농 시설재배지 토양개량 기술개발(-’14)
- 토양오염 복원 및 생물활성 증진
 녹비 무경운 유기재배기술 개발 (-’14)
- 윤작 등 작부체계 이용
 환경재해 저항성 농경지 관리기술개발(-’17)
 작물ㆍ작부별 유기농경지 관리 매뉴얼(-’21)
25/37
응용기술분야 : 작물보호
과제배경
 정책적 배경(제3차 친환경농업육성계획)
• 안전농산물 생산 및 환경오염 최소화
- 연차별 농약 사용량 매년 3% 이상 감축
연구목표
 자재투입 최소화 병해충 방제 기술개발
• 생물적, 물리적, 생태적 병해충 관리기술
기관연구
 유용미생물 활용 병해충 관리기술(-’14)
- 식품유래 미생물 및 퇴비차 자원
 식물 및 천연자원 이용 병해충 관리 (-’14)
- 식물추출물, 농식품 부산물, 천연광물질 등
 식생ㆍ생태적 기법에 의한 병해충 관리(-’17)
 환경제어 및 물리적 기술에 의한 관리 (-’21)
 기술수요
• 유기농작물 병해충 방제기술의 애로가 높음
- 감수성 품종, 집약적 생산, 고온다습
• 병해충 방제목적의 농자재 의존도 심화
 기술개발
• 화학농약 대비 70% 방제효과 기술개발
- 유기농자재 투입 비용 50% 경감
공동연구
 작물별 유기농 적합 품종 선발 (-’14, -’17)
- 토종 유전자원 탐색 및 유기종자 개발
 선행적 방법 및 재배적 잡초관리 (-’17)
- False, stale seed beds
 곤충생리활성물질이용 생리적 관리(-’21)
 주요 작물 유기적 병해충 관리 매뉴얼(-’21)
26/37
보급확산분야
과제배경
 정책적 배경(제3차 친환경농업육성계획)
• 친환경농산물 유통ㆍ소비 활성화
- 유기농 시장확대 : (‘10)5.5천억→(‘15)2조
연구목표
 유기농업 실천기술 및 유기농 산업 확대
• 광역단지 중심, 품질관리 및 가공이용
기관연구
 기술수요
• 유기농업 기술의 현장실증 및 보급 요구
•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가공 및 품질관리
• 유기농산물 유통 및 경영개선 요구 증대
 기술개발
• 가공 등 부가가치 향상으로 소득 120%
• 작물별 유기재배 매뉴얼 25종 개발 보급
공동연구
 주요 과채류 유기재배 매뉴얼 개발(-’14)
- 고추, 토마토, 딸기, 당근, 상추, 배추 등
 유기 채소류 기능성 향상연구(-’14)
 유기농업기술 보급을 위한 현장연구(-’21)
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가공이용 연구(-’17)
- 유기농가 현장 실증연구 기관과제 30% 이상
- 품질관리 및 저장성 향상 동시 추진
 생태마을 등 유기농 특화단지 지원(-’21)
 작물별 유기농 재배 매뉴얼 개발(-’21)
- 과수류 및 특용작물 등 총 25종
27/37
2013년 중점 추진과제
미생물
발효식품(고추장, 청국장 등) 미생물 활용기술 개발
• 복합미생물 증폭 및 현장활용 기술, 항균·항산화·생장촉진 등 기능 평가
활용자재
자가제조 액비 및 퇴비차 개발, 황토유황 현장활용
• 인산공급용액비 및 농식품 부산물 이용 퇴비차 개발, 황토유황, 난각분말 등
농경지
신규 유기농경지 비옥도 증진 및 숙전화 연구
• 신규 조성 유기농포장의 환경변동조사, 경관식물식재, 생태둠벙 조성 등
환경생태
유기농의 생물 다양성 및 환경영향 연구 강화
• 유기농의 공익적 기능, 환경영향 및 탄소저장 영향 평가
보급확산
유기농 기술서 3종 및 리후렛 5종 제작 배부
• 고추, 배추 병해충 방제 매뉴얼 및 리후렛 발간, 농가 현장 실증연구 강화
28/37
연구성과 요약
토양·양분관리·작부체계
과제 1
유기자원을 이용한 농경지 토양 및 양분관리
• 토양비옥도 및 유기자원별 무기화율을 고려하여 합리적 양분공급 모델식 설정
과제 2
동일유기물 장기 연용 시 토양 중 양분함량 변화
• 동일 유기자원을 장기 연용시 토양의 N, P, K 성분량 변동대처 기술 개발보급
과제 3
양분공급 효율증진: 녹비이용, 액비개발, 양분투입 방법개선
• 녹비의 양분 및 토양개선, 무경운·최소경운 활용기술, 맞춤형 액비개발
과제 4
신규 유기농경지 조성에 따른 토양 생물 및 이화학상 변동
• 신규 유기농경지 조성시 토양관리 기술개발 및 환경변동 조사(수행 중)
29/37
병·해충·잡초 관리연구
과제 1
유기농 적합 품종선발 및 유기종자 생산 메뉴얼
• 병해충 저항성 품종: 채소(고추, 토마토, 상추, 당근), 잡곡, 과수(배, 사과) 등
과제 2
작부체계 이용 생태적 병해충 관리기술 개발
• 녹비이용 토양전염성병해충 방제, 해충기피 및 천적유인 작물의 간작 기술
과제 3
물리적 생태적 병해충·잡초관리 기술 개발
• 환경조절, 녹비 등 유기물피복, 선행적 잡초관리, 무경운 잡초관리 기술 등
과제 4
농가자가 제조 병해충 방제목적의 유기농자재 개발
• 난황유 개발, 황토유황합제 개선, 난각분말, 훈탄, 휴믹토 등 토양개량자제 선발
30/37
유기농가 실천기술의 과학적 검정
과제 1
태평농법, 생명환경농법 등 민간실천 농법 평가
• 민간실천 농법의 타당성, 생산성, 경제성, 환경성 등 검증
과제 2
민간자가 제조 유기농자재의 검증
• 활용 자재별 양양성분분석, 기능성 및 효과 검증, 제조 및 활용기술 표준화
과제 3
황토유황합제(액상유황) 제조방법 개선 및 안전성 평가
• 농가활용기술의 문제점 개선, 적용 작물 및 대상 병해충, 안전성 평가
과제 4
클로렐라의 농업적 활용기술 개발
(수행중)
• 클로렐라 배양 및 작물별 활용기술, 작물생장 및 환경영향 평가, 기작연구
31/37
작물별 유기재배 매뉴얼
국제기준에 맞는 한국형 유기농업 재배기술 종합모델 개발
-작물별 유기농 실천기술 체계화를 위한 유기농 기술서 발간: (‘12) 11종→(‘17) 20
*('05)벼→('06)상추→('07)배추, 딸기→(’08)고추, 당근→(‘10)토마토→(‘11)유기종자→(‘12)액비
유기농기술서 및 유기농기술 홍보용 리후렛 제작 보급
* 기술서 5종 및 난황유 이용 병해충 방제기술 등 리후렛 6종 총 112,000부
32/37
『유기농정보센터』홈페이지
목
적
www.naas.go.kr/organic/
○ 유기농업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포탈 정보 사이트 구축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강화
○ 유기농업 실천농가와 소비자에게 유기농
시장정보 및 기술자료 제공
홈페이지 구성 및 정보내용
○소
개 : 유기농업 원리, 정책, 인증, 연구개발 현황, 통계자료
○ 유 기 농 장 : 품목별, 기술별 정보, 농자재, 실천기술 및 사례
○ 유기농식탁 : 유기농산물 소비관련 정보, 유기농 용어
○ 사랑방정보 : 생산자 소비자간 정보교환을 위한 개인커뮤니티
○ 유기농마당 : 유기농소식, 국내외 동향, 최신발간자료, 사진, 동영상
33/37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농수산식품부
(친환경농업과)
국립농산물품질
관리원
환경농업단체
연합회
한국소비자단체
연합회
생활협동조합
유기농기술위원회
유기농학회사무국
유기농업과
유기농업과
유기농 뉴스레터
(매주 120농가)
유기농 선도농가
한국유기농업학회
국제기관 MOU
ANSOFT
유기농정보센터
(www.naas.go.kr/organic)
농업인
FiBL
ICROFS
IFOAM
유기농법연구회
소비자
34/37
VI. 금후계획
기술개발
문제점
개선방향
• 윤작 등 유기농 생산 원칙 준수 미흡
- 원인: 협소한 경지면적, 경축순환 미비
• 녹비, 최소경운, 논 중심 순환농업 기술체계
- 목표: 화학비료 80% 양분, 생산 90%
• 친환경 농자재에 대한 높은 의존도
- 원인: 병해충 대발생
• 자가제조 농자재 개발 및 저투입 기술체계
- 목표: 농약대비 70% 효과, 경영비 90%
• 유기농업 표준 기술체계 미흡
- 원인: 품종, 대량육묘, 집약재배 기술
• 주요 작물별 유기재배 매뉴얼 개발 보급
- 목표: (’12) 11작목→(‘13) 13→(‘17) 20
실행계획
현장실증 연구 강화 : 경상연구과제의 30% 이상 추진(충남 당진, 전북 진안, 경북 예천)
연구의 완성도 향상 : 개발된 기술의 활용성, 과학적 근거 및 학술적 가치 향상
유대 및 협력 강화 : 국내외 유기농업 관련 단체, 농업인, 소비자와 협력 강화
35/37
시사점
전통농업의 현대적 계승과 한국형 유기농업 개념과 기술 정립이 필요
 경축 연계, 자원 순환형 전통농업 기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 과학기술
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미래지향적인 시스템 구축
 차별화된 유기농산물 인증 체제로 유기농 생산자 및 소비자 보호
- 유기농산물인증의 국제적 조화 필요 (친환경농산물인증은 우리나라에 국한)
수요자의 Needs와 구매욕구에 맞는 유기농산물 생산 기반 마련
 가격 프리미엄을 20-30% 낮출 수 있는 대책 필요
 고학력 맞벌이 부부, 아토피 치료 등 건강 care용, kids 마케팅 상품 등
유기농산물의 생산·유통·소비의 안정화 기반 마련




자원 순환형 유기농단지의 조성, 유통, 관리시스템의 혁신
유기생산농가의 정착과 안정을 위한 지원 확대
학교, 군대, 직장 등 단체급식에 유기농산물 우선 사용 제도 마련
생협, 로컬 푸드, 농민 시장 등의 문화 확산을 위한 체계적 지원
36/37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