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지상무기체계.

Download Report

Transcript 2장 지상무기체계.

제2장 지상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제1절 기동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제3절 방공무기체계
1
제2장 지상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무한궤도형 주행장치에 의한 기동력, 장갑자체에 의한 방호력,
일정 수준의 화력을 겸비하는 지상 전투차량
○ 등장배경 : 지상전에서 인간의 도보 속도를 능가하는 무기 개발 욕구
말의 힘을 이용한 전차(수레)
기마병(징기스칸 전력의 핵심, 롱보우와 화약(총,대포)의 등장으로 무력화)
지상군함(방탄궤도 차량, 영국의 스위턴이 창안, 처칠이 개발)
※ 보안명칭 : 물탱크(물 저장 용기) = 후일 명칭으로 존속
※ 솜므전투(1916) 최초투입, 1차세계대전 종결의 주력
※ 2차세계대전시 가공할 기동력과 위력 과시
21세기 지상전의 주력무기 역할
2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1) 정의 및 등장배경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ㆍ기동력 : 주행능력 + 야지 기동력 + 장애물 극복능력
ㆍ화력 : 주포(주임무 : 적 전차 파괴 및 살상, 대전차고폭탄 및 운동에너지탄)
ㆍ방호능력 : 피격시 차체와 승무원 보호 (기계적 강도, 형상 및 기하학적 배열)
※ 지나친 방호력 증가는 기동력의 둔화 초래(전면 장갑위주 두께 보강)
(2) 분 류
○변화
2차대전까지
ㆍ 경전차 : 대량생산에 유리
ㆍ 중(中) 전차 : 기동력, 화력, 장갑 능력 보강
ㆍ 중(重) 전차 : 강력한 화력, 견고한 장갑 보강
2차대전 이후
ㆍ 단일 유형의 주력전차 개발
3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1) 정의 및 등장배경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 제1세대 : 2차대전 직후 개발
ㆍ 러시아 : T – 54/55,
미국 : M – 47/48 패튼,
영국 : 센츄리온
○ 제2세대 : 2차대전 직후 냉전격화시대 개발
※ 디젤엔진 장착, 활강포 채택, 무장(주포 110-120)과 방호능력 증대
○ 제3세대 : 냉전 후기~탈냉전(1970년대 후반)시대 개발
※ 반응/복합장갑(300-500), 가스터빈 엔진, 명중률 향상(적외선/열추적영상장치, 사격통제장치)
4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1) 정의 및 등장배경
2) 특성 및 분류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 개념 : 본질적으로 기동력을 바탕으로 한 공세적인 성격의 무기
○
○
○
○
독립적 기갑부대 편성(여단, 사단, 군단급) : 집단적 운용
개전초기 : 신속하게 적진 돌파 적 군사력 파괴
공세작전 운용 : 후방 진격으로 정치, 경제, 군사적 핵심을 간접적 포위, 제압
방어시 기동방어부대 및 반격주도 전력으로 운용
※ 대표적 기습/공세작전 : 전격전(1940), 이스라엘 전쟁(1967), 걸프 전쟁(1991), 이라크 전쟁(2003)
4) 발전추세 : 냉정 종식 후 전면전 발생 확률 감소로 신전차개발 보다 성능개선에 주력
무장/테러집단과의 저강도 분쟁, 시가전에서 나타나는 교훈 반영
○ 첫째,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 효과 극대화한 전투력의 연동화, 복합화,
자동화 구현
○ 둘째, 자동장전장치의 실용화로 무인화 포탑 개발(승무원 축소 : 4명 -> 2명)
○ 셋째, 능동형 방호체계 개발(회피, 교란, 대응파괴 등)
○ 넷째, 정밀유도포탄 탑재(원거리 명중률 향상, 제한적 대공공격, 대전차
5
교전임무 겸하는 이중용도의 유도무기 탑재 등)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1) 정의 및 등장배경
2) 특성 및 분류
3) 운용 개념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4) 발전추세
5) 한국의 현황
○ 한국전쟁기간 : 미 보유(T-34 전차 앞세운 북한에게 개전 3일만에 서울 함락)
○ 1959년부터 미국으로부터 M47 전차 60대 인수
○ 자주국방정책 추진기(1971-1980년대)
* M48계열전차 주포 교체(90->105), 국산사격통제장치 탑재(1세대전차=>2세대수준)
○ 1980년대 독자적인 전차개발 착수 : 입체 고속기동전 수행 준비
* 미국 제너럴 다이내믹스사(에이브람스 전차) : K-1 전차 설계 및 개발(1987 실전배치)
= 105 강선포, 고성능 사격통제장치, 복합장갑(3세대 전차)/주력전차
○ 1990년대 T-80 전차(러) 도입 : 경제협력 차관 현물상환
○ 2001년 K1A1 전차 실전배치 : 120MM 활강포, 신형복합장갑
○ 2007년 K-2 흑표 개발(90% 국산화) : M48 전차 대체
* 시속 50Km 야지 주행능력, 하천 잠수 및 도하능력, 자동장전장치, 표적자동탐지 및
추적, 대전차미사일 교란 및 요격 능력, 전술용 지휘통제체제 탑재 (첨단기능도입)
6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경량의 장갑체계를 갖추고 보병을 탑승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지상전투차량
1) 등장배경
○ 전차의 고속기동을 통해 제압한 지역을 신속히 확보할 보병의 기동력 요구
○ 최초의 장갑차 : 1차 세계대전 중 전차 내부에 30명 탑승가능토록 개조
○ 전차와 장갑차의 구분 : 2차 세계대전간 독일, 연합군이 독자적 형태로 개발
※ 트럭형태의 수송차량에 최소한의 장갑방호시설 설치(반궤도차량)
○ 완벽한 방호력과 화력(기관총, 기관포, 대전차미사일)을 갖춘 장갑차의 탄생
7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기동력을 중심으로 화력, 방호력 구비한 무기
○ 보병의 탑승, 수송기능 보유
○ 차제무게 제한 : 30톤 이하
○ 주행장치 : 타이어(경제성)와 케터필러(야지기동) 병행
(2) 분
류
○ 병력수송용 장갑차(APC) : 안전하고 신속한 수송(수색, 정찰, 기지방어 등)
○ 보병전투용장갑차(IFV) : 경전차와 유사한 화력탑재, 방호능력 강화
※ 걸프전(1991)에서 전차보다 더 많은 이라크 전차 격파로 화재(브레들리 M2/3)
○ 차제무게 제한 : 30톤 이하
○ 주행장치 : 타이어(경제성)와 케터필러(야지기동) 병행
8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개념
○ 목표확보를 위한 보병을 탑승시켜 전차와 함께 합동작전 수행
※ 우월한 화력과 기동력을 이용한 전차가 원거리 적을 제압 후 점령 지역을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마무리(하차후 전투, 탑승전투 등 수행)
○ 기계화보병으로 편성 운영(여단, 사단, 군단급) : 지상전 기동전력의 선봉역할
※ APC는 일반보병부대 소속하여 수색, 정찰, 대침투작전의 신속대응전력으로 운용
4) 발전추세
○ 신전차 개발/생산 위축 = 장갑차 비중 확대
- 적 전차 공격 가능한 무장 탑재
- 임무 및 위협고려 다양한
무장 변경 가능
- 중구경탄 방호능력 및
능동형 방호체계 탑재
9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5) 한국의 현황
○ 최초 보유 : M 2/3(브레들리), M 8(그레이하운드) = 2차대전시 미 육군운용
○ 1967년대 : 미국 대외원조로 M113 도입, 1970년대까지 주력으로 운용
○ 1977년대 : 이탈리아제 KM900/901(피아트) 400대 면허생산 활용
○ 1980~84 : K 200 개발, 1985년 양산 및 전력화
※ 입체고속기동전 수행에 활용, 7.62/12mm 기관총 탑재, 1개분대 탑승
※ 지휘용, 대공포 및 박격포 탑재, 화생방 정찰, 구난 등으로 전력화 확대
○ 1998년대 : 미 해병대의 상륙장갑차(AAV)를 면허생산으로 전투배치
○ 2007년대 : K 21 IFV (전투용 장갑차) 개발 완료 : 40mm기관포, 70/450Km
10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공병.전술지원차량
1) 등장배경
○ 최초운용 : 아시리아 제국의 하천도하, 적 요새 파괴 전담부대(주로 공성전 수행)
※ 투석기 등 공성전용 무기 운용, 포병도 공병에 포함, 포병 독립 후 수세적 임무 전환
※ 지휘관의 필요에 따라 건축, 토목 등의 기술을 가진 병사를 차출하여 운용
○ 19세기 이후 점차 조직화되면서 방어진지 구축, 보수, 교량 건설, 측량, 지도
제작 등의 임무 수행
11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3. 공병.전술지원차량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공병무기
○ 임무성격에 따른 분류
- 전투공병 : 전투부대의 기동이나 방어 임무를 직접 지원, 필요시 직접 투입
- 시설공병 : 기지건설 및 유지관리, 도로 및 교량건설(민간 토목회사와 유사)
○ 기능에 따른 분류
- 기동기능 : 아군부대 이동을 위한 기동로 확보(도로, 교량 개설 및 복구)
- 대기동기능 : 적의 기동을 저지, 방해(장애물 설치, 도로/교량 파괴)
- 방어기능 : 요새 및 병영구축, 장애물 설치
12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1절 기동무기체계
1. 전차
2. 장갑차
3. 공병.전술지원차량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2) 전술지원차량
○ 정의 : 인적, 물적 자산의 수송에 필요한 전술적인 기동에 필요한 차량
○ 분류방식
- 전방과 후방이라는 활동공간 기준
- 수행임무 기준 : 부대지휘, 통신중계, 소부대 및 물자수송, 급유, 장거리
수색정찰, 경무장, 후송, 구급, 대량살상무기 탐지 및 제거
- 차량의 규모와 무게 기준
* 소형 : 1~2톤, 중형 : 2~5톤, 대형 : 10톤 이상
13
제2장 지상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개인 또는 소수인원이 휴대/운반하면서 조준 및 지향 사격으로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적을 제압하는 무기의 통칭
○ 등장배경
-
대포를 보병이 휴대 가능한 크기로 축소한 손대포가 시초(화승총)
14세기 이후 대포보다 약 1~2세기 늦게 출현
16세기경 총의 형태를 갖춘 첫 소화기 개발(맑은 날씨만 사용가능)
17세기 머스킷 소총은 수석식 격발장치 채택(부싯돌 부착, 악천후 극복)
18세기 소총에 대검 부착(보병의 기본 무장을 창에서 소총으로 대체)
1820년 후장식 강선소총 개발(바늘총, 프로이센의 요한 드라이제)
1862년 최초의 기관총 개발, 총신 6개로 분당 200발사격, (리처드 개틀링)
1884년 1개 총신의 기관총 개발(영국 히람)
14
제2장 지상무기체계
1. 소화기
1) 정의와 등장배경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개인방호용(권총), 개인이 휴대하여 일정거리내 적 공격(소총),
2~3명이 운반하여 소규모부대 지원(기관총, 유탄발사기)
○ 적 병력, 경장갑차량 제압, 자신 보호, 임무달성을 위한 최후 수단
○ 소화기에 장착 및 발사되어 직접적 파괴와 살상효과 일으키는 탄약 사용
탄자 : 탄두, 납/철로 구성
탄피 : 탄자와 화약을 감싸는 금속원통
장약 : 탄자를 비행 시키는 추진체 화약
탄미 : 탄약의 바닥 테두리
뇌관 : 장약을 점화하는 발화체
※ 탄약의 물리적에너지를 표적에 전달, 무력화 효과
※ 사거리, 속도, 정확도, 편의성, 신뢰성, 운용성
※ 무게, 크기, 탄약의 종류, 계열화, 훈련/정비시간 감소
15
제2장 지상무기체계
1. 소화기
1) 정의와 등장배경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2) 분 류
○ 권총 : 최소형, 휴대용이, 명중률 높고 신속한 사격 가능
- 리볼버 권총 : 일체형 회전탄창, 신뢰성 우수(고장)
- 자동권총 : 분리형 탄창(장전수량 유리), 빠른 연속사격 가능
○ 소총 : 구경 5.56미리 일반화(2차세계대전 직후 7.6미리), 탄피자동배출
- 돌격소총(보병용), 저격소총(조준, 거리), 기관단총(9미리탄, 발사속도 증가)
○ 기관총 : 발사속도 500~1000/분당, 사거리 2~5Km, 무게 10Kg(소총 3배)
- 경기관총(7.62m), 범용기관총(7.6~12.7m), 중기관총(12.7m 이상, 차량)
16
제2장 지상무기체계
1. 소화기
1) 정의와 등장배경
2) 특성 및 분류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개념
○ 권총 : 스스로 방어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신속성과 고명중율, 짧은 사거리)
○ 소총 : 보병의 기본적인 무장(사거리와 우수한 발사속도, 공격 및 방어간 사용)
○ 기관총, 유탄발사기 : 우수한 화력(분소대급 화력지원, 차량탑재)
4) 발전추세
○ 대량생산을 위한 비용의 절감, 보급의 용이성 위한 탄약규격 표준화
○ 경량화 촉진(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 : 경량화, 소형화, 소구경화, 명중률 향상)
○ 복합화기(두종류 이상의 화기를 일체화)
- 소총과 유탄발사기
- 주야간 조준경, 열영상장비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컴퓨터에 의한 첨단 사격통제장치
- 공중폭발탄 장착
※ 환경 영향없는 정밀교전 가능
17
제2장 지상무기체계
1. 소화기 1) 정의와 등장배경
2) 특성 및 분류 3) 운용개념
4) 발전추세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5) 한국의 현황
○ M-1/칼빈소총 => M-16소총/M-60기관총 => K-1/2소총, K-3/4/6기관총
K-11복합형 소총(전력화중)
○ M-19권총(45구경) => K-5권총
18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대전차 무기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탱크, 장갑차 등 장갑방호능력을 갖추고 있는 적의 지상 기동무기를
무력화, 파괴, 기동방해하여 약화시키는 무기
○ 등장배경
-
기관총에 대응한 전차, 장갑차의 등장
내구성이 높은 철심을 넣은 대전차 총탄 개발
1930년대 대포를 대전차 공격용 무기로 사용
1942년 로켓발사형 대전차 무기 개발(미, 바주카포, 60mm)
판져슈렉, 판저파우스트 개발(독, 90~100mm)
- 1970년대 미사일, 대전차 유도무기 개발(사거리 증대로 생존성 보완)
※ 4차 중동전쟁(1973)시 이스라엘 전차 1개 여단(300대) 전멸 = AT-3(새거/러시아)
※ 지상의 주도적 전력인 전차에 대한 가장 위협적인 무기로 발전
19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구분 : 로켓탄(구조, 기술단순=대량생산), 미사일(유도기능, 사거리/성능우수)
○ 초기 HEAT형 단일 고폭약 사용 => 텐덤탄두 변화(반응/복합장갑 관통)
(2) 분 류
○ 대전차로켓탄(500m 내외 근거리 표적)
3) 운용개념
○ 휴대용 무반동총 및 대전차로켓탄 : 중대급 이하 소규모 보병부대 집중배치
○ 전자의 방호능력 향상 => 참호, 벙커, 요새 등 견고한 표적에 대한 공격 수단
※ 중소국가에서는 여전히 선호(주요 분쟁지역 및 테러단체 등)
○ 중거리 대전차미사일(2~5Km, 2~3명) : 대대급 보병부대 편성
장거리 대전차미사일(5~10Km) : 차량, 전차, 장갑차, 항공기 탑재운용(사,연대)
20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4) 발전추세
○ 경제성과 기술적인 단순함에서 유리한 대전차로켓탄 지속 운용
※ 발사대의 재사용률 향상 및 단일HEAT탄 보다는 탠덤탄두 개발 적용
○ 전차 이외 표적을 제압할 수 있는 탄두 병행 개발로 활용성 증대
○ 열영상 및 적외선 추적장치 탑재 대전차미사일 개발(능동형방어 극복)
장거리 대전차미사일(5~10Km) : 차량, 전차, 장갑차, 항공기 탑재운용(사,연대)
○ 보병의 가시권을 넘는 10Km 이상 사거리 확대 추진(방어용 => 공격용)
21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5) 한국의 현황
○ 한국전쟁시 : M20(바주카포)
한국전쟁이후 : 57/75/90/106mm 무반동총 대량 도입
○ 월남전 기간 : 휴대용 M27 LAW
○ 1970 중반~ 1980년대 : 토우 도입(차량, 헬기 탑재)
1980 이후 : 토우 II 도입(텐덤탄두, 적 신형전차 대응 가능)
○ 1990 년대 : 판저파우스트 3(독일) 직도입, 메티스 M(러) 현물상환
○ 2010 년 연평도 포격도발 직후 사거리 25Km 첨단 대전차미사일 직도입
※ 사거리 1Km 이상, 관통력 1000mm 내외 국산 중거리 대전차미사일 개발,
K-21 장갑차 탑재, 대대급 이하 보병부대 대체
22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박격포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포구로부터 포탄을 장전, 발사되는 소형 곡사화기
○ 등장배경
- 성벽, 요새 등에 숨어 있는 적을 제압하기 위해 개발(포물선 탄도 이용)
※ 2차세계대전시 지상전에서 발생한 사상자의 약 50%가 박격포에 피격
- 20세기 초 대표적인 박격포
: 60mm(프), 81mm(독)이 대표적 박격포
- 보병이 휴대 가능한 50/60/80mm 혹은
120mm가 다수 개발
- 200mm가 넘는 대구경 박격포도 실전에서
운용되기도 하였음
23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
○
○
○
기술적인 측면에서 매우 단순한 무기
포탄 사격방법 단순 : 짧은 시간내 여러 발의 포탄 사격 가능
발사된 포탄은 45도 이상의 고사각 형태의 탄도비행(수직낙하 : 효과우수)
할강식 포신(포탄에 날개 부착)
순발, 지연, 접근신관 사용 및 조명탄, 연막탄의 발사 가능
(2) 분 류 : 경(輕)박격포(60mm), 중(中)박격포(80mm), 중(重)박격포(100mm 이상)
24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개념
○ 공격 또는 방어시 다양한 탄종으로 적시적이고 융통성 있게 운용
- 사용편리, 단기간 교육, 정비용이, 도수이동 가능
- 포병화력 운용이 제한되는 산악, 시가지 전투간 효과 극대화
○
○
○
○
경박격포 : 중대급 편성(소대급 지원)
중(中)박격포 : 대대급 편성(중대급 지원)
중(重)박격포 : 차량탑재, 대포와 유사하게 운용
차량탑재 박격포 : 기갑, 기계화부대 근접화력지원
25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4) 발전추세
: 보병부대 자체 화력지원능력 충족(포병 : 원거리 표적 제압 위주 운용)
○ 화력 강화(대구경화, 사거리 연장)
○ 발사속도 증대(자동장전장치, 쌍열/다련장 방식)
○ 다목적 근접신관 이용(공중폭발, 파편효과, 분산탄)
○ 기동성 증대(경량화, 포판소형화)
○ 사격통제장치 자동화(탄약종류, 발사각도, 추진장약 등 자동산출)
26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5) 한국의 현황
○ 건군시 : 2차 세계대전에 사용된 81/60mm 도입
○ 66년(월남 파병시) : 신형 81mm, 107mm 전력화
○ 1970년대이후 : 국산 전력화(81/60mm), 사거리 6.3/3.6Km(미군과 대등)
○ 1980년대 : 107mm 박격포 K-2 장갑차에 탑재, 향후 120mm개발 추진
※ 한반도의 지형을 고려시 지상군에게 박격포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
27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4. 대 포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탄환을 발사하는 고정식, 이동식 중대형화기
○ 등장배경
- 화약이 군사목적으로 사용되면서 가장 먼저 포병 무기로 발전
※ 백년전쟁시 프랑스의 승리의 원천 역할(1346년 크레시 전투에 최초 사용)
- 16세기 : 말과 소의 힘을 이용한 견인포 개발(사거리 200-500m)
- 19세기 산업혁명과 함께 비약적 발전(암스트롱 대포가 효시)
※ 후장식, 포구내 강선 설치, 포탄 내부에 장약과 뇌관 장착
- 1차세계대전 : 210mm 대형포(사거리 130Km, 독일에서 파리 직접사격 가능)
- 2차세계대전 : 자주포 등장(전차의 기동력과 보조)
※ 최초의 자주포 : 1920년(독), 최초의 다련장포 : 132mm(소)
28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4. 대 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규모와 무게로 인한 팀을 구성 운용
○ 표적의 특성, 위치, 방향, 속도, 기상조건 등을 바탕으로 사격제원 산출
○
○
○
○
○
사격제원에 의거하여 대포의 사격방향, 사격각도 지정
포탄을 장전하여 장전구를 폐쇄
추진체(포신내 장약) 폭발로 포탄 발사, 강선에 따라 회전 비행
화망을 구성, 집중적 사격이 효과적
표적의 성질에 따라 포탄과 신관을 선택 사용
- 고폭탄(파편, 폭풍), 로켓보조추진탄(RAP탄), 이중목적개량탄, 조명탄 등
(2) 분 류
○ 견인포
○ 자주포
○ 다련장포
29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4. 대 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개념
○ 관측소 – 사격지휘소 – 전포대의 3각 체제로 운용
○ 주요표적 : 적 전방부대, 증원부대, 주요 지휘통제소 및 보급지원부대 등
※ 원거리 운용으로 물리적 파괴와 함께 심리적 제압 효과 가능
○ 편성 및 운용 : 자주포, 다련장(군단, 야전군의 여단급 이상 독립부대)
견인포(병력의존 특수성으로 일반보병 및 공수부대 편성)
30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2절 화력무기체계
1. 소화기
2. 대전차 무기
3. 박격포
4. 대 포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4) 발전추세
○ 대포의 구경 표준화(관리적 측면에서의 비효율성 탈피)
○ 사격 과정에서 반응성을 높이는 노력 증가
○ 포탄의 성능 향상 :정밀유도포탄, 지능형 포탄, RAP탄, BB탄 등
○ 다련장로켓포 : 정밀유도, 표적의 다양화(포병, 기갑, 시설, 군함 등)
※ 정밀공격탄, 체공형 공격탄 등 개발
31
제2장 지상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제3절 방공무기체계
1. 정의와 등장배경
○ 정의 : 적의 항공기, 미사일 등 공중위협으로부터 아군의 군사 및 민간시설,
인력을 방호하기 위한 지상배치 무기
○ 등장배경
: 20세기 군사적 신기술인 항공기에 대응할 무기 개발 요구
- 1차 세계대전시 기관총으로 항공기 공격
독일에서 25mm 대공포 개발(최초, 85도 고각, 강선적용)
- 2차 세계대전시 항공기의 질적, 양적 비중 증가에 비례하여 발전
12.7~100mm급 다양한 대공포 생산
※ 구경, 파괴력 확대에도 불구하고 사거리 관련 한계 상존
- 1950년대 : 지대공미사일(SAM) 개발, 1960년대 : SA-2(소) 개발
- 현재 : 정밀성, 유도성, 사거리의 비약적인 발전
32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3절 방공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2. 특성 및 분류
1) 특 성
○ 일반적인 대포 보다 높은 각도로 운용
○ 구조상으로 직사형태의 기관총과 유사
○ 예상 비행경로에 대한 연속사격 형태로 운용(탄막운용)
○ 지대공 미사일은 지상의 발사대를 설치하여 운용(로켓추진방식 : 음속, 고고도, 유도)
2) 분 류
○
○
○
○
대공포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33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3절 방공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3. 운용개념
1) 영공운용 형태
○ 고도 10Km 이하 : 레이더 추적 및 탐지를 회피하려는 적 항공기나 미사일
○ 고도 10~20Km : 대다수의 항공기의 일반적 비행구간
○ 고도 20Km 이상 : 정찰기, 폭격기 등의 특수목적 항공기
2) 방호개념
○ 대공포, 휴대용 및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 저고도 10Km 내외
○ 중.장거리 지대공미사일 : 중고도 및 고고도 10~50Km 이상
4. 발전추세
○ 발사체 복합운용
○ AHEAD탄으로 전환
○ 탄도, 순항미사일 대응
34
제2장 지상무기체계
제3절 방공무기체계
Modern Weapons
System Theory
5. 한국의 현황
○ 한국전쟁 직전 : 40mm 대공포(M2A1, 사거리 1.6Km, 미)
○ 한국전쟁 이후 : 12.7mm 경대공포 4대 차량탑재형(M45)
○ 1960년대
- 호크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 나이키 허큘리스 장거리미사일 확보
○ 1970년대
- 발칸, 오리콘, 스팅어 도입
○ 1980년대
- 장갑차에 발칸 탑재한 자주식 개발
○ 1990년대
- 저고도 방공무기 국산화
- 천마/비호 개발 및 양산(1999)
○ 2006년
○ 2008년 : 패트리어트 전력화
- 신궁 개발, 전력화
그린파인 조기경보레이더 도입
※ 한국 독자사업으로 ‘철매’ 미사일 개발
(400~600Km 적 탄도미사일 제원 정보 획득 가능)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