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_지역산업지원사업_추진현황

Download Report

Transcript 4_지역산업지원사업_추진현황

정종석 연구위원
제1부 광역선도산업 1단계 성과 및 2단계 추진방향
제2부 시도특화산업 추진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제3부 2013년 R&D투자방향 및 지역R&D의 주요 이슈
제4부 전남의 대응전략
광역선도산업 1단계 현황 및 성과
1. 사업 주요 내용
2. 1단계 예산 현황
3. 1단계 프로젝트 현황
4. 1단계 주요 성과
1. 사업 주요 내용(1/2)
• 지역자율성 및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권역내 합의를 거쳐,
국가신성장동력 및 기존 지역산업과 연계된
⇒ 12개 선도산업ㆍ20개 프로젝트를 선정ㆍ지원
R&D과제
비R&D과제
3년내 기술사업화가 가능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유망상품을 개발
유망상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지원, 마케팅, 인
력양성, 국제협력, 네트워킹 등 기업활동에 실
질적 도움이 되는 기능 제공에 초점
3
1. 사업 주요 내용(2/2)
구분
대형 R&D
중형 R&D
소형 R&D
국비
40~60억원
15~40억원
15억원 이하
주관기관
참여조건
• 매출 200억 이상
(특별권 100억)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
추진방식
• 기업주도 컨소시엄(주관기관 – 기업)
• 1개 기업의 단독 수행 불가
• 2개 이상 기업의 참여 권장
참여범위
• 매출 100억 이상
(특별권 70억)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
광역경제권 내 시도 소재지 기업 또는 기관
4
2. 1단계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09결산
`10예산
`11예산
합 계
R&D
141,169
205,050
218,270
564,489
비R&D
60,500
70,450
66,760
197,710
201,669
275,500
285,030
762,199
구
합
분
계
•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11.4)를 통해 정책 정합성, 사업내용의 타당
성 및 시장성, 사업성과에 따라 권역별 예산 차등 지원
사업
예산
충청
호남
동남
대경
강원
제주
계
2009
416
457
397
372
167
141
1,950
2010
597
675
554
523
187
177
2,713
2011
644
677
574
549
186
180
2,810
5
3. 1단계 프로젝트 현황(1/4)
선도산업
지식정보산업
선도산업
프로젝트
성과목표
선도산업
NEW IT
프로젝트
무선통신
그린반도체 등
성과목표
수출 21.6억불, 고용 2,500명
프로젝트
프로젝트
성과목표
성과목표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부품소재
태양광
하이브리드카
풍력
광기반
수출 9억불, 고용 3,900명
선도산업
선도산업
프로젝트
성과목표
물산업
물산업
의료관광
Bio-Medical
의료관광
융복합
거점구축
수출 1.8억불, 고용 1,500명
의약 바이오
신약실용화
허브연계
선도산업
선도산업
의료융합
수출 1억불, 고용 750명
6
IT융복합
태양광
의료기기
수소연료전지
로봇
수출 10.5억불, 고용 4,590명
수송기계
융합부품소재
프로젝트
그린카
해양플랜트
성과목표
수출 10.7억불, 고용 4,380명
관광레저
MICE
그린에너지
기계부품
수송부품
3. 1단계 프로젝트 현황(2/4)
R&D과제 (80%)
(단위 : 건수, %)
주관 기관
과제수
326
참여 기관
대기업
중소중견
소계
대기업
중소중견
비영리
소계
53
(16%)
273
(84%)
326
38
(6%)
354
(58%)
217
(36%)
609
계
935
* R&D과제 당 평균 2.86개 기업/기관 참여
비R&D과제 (20%)
과제수
78
(단위 : 건수, %)
수행기관 유형
대학(%)
연구소(%)
TP(%)
기타(%)
53
(27%)
40
(20%)
39
(20%)
67
(33%)
* 비R&D과제당 평균 2.55개 기관 참여
7
계
199
3. 1단계 프로젝트 현황(3/4)
권
역
충
청
권
호
남
권
선도산업
NEW IT
의약
바이오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부품소재
프로젝트
과제수
(R&D/
비R&D)
차세대
무선통신
28/6
초소형 정보저장부품, 단말기 디스플레이 부품, 융합통신용 고주파 부품
(차세대 무선통신 핵심공정 및 인증지원 등)
그린반도체
25/8
실리콘 솔라셀/모듈,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 장비, 에너지 절감형 반도체
(그린반도체 상품전략화를 위한 패키지형 기업 지원 등)
의약바이오
허브연계
17/3
저분자/천연물 의약품, 생물의약품 (제제화 소재 은행 연계사업 등)
신약실용화
22/6
저분자/천연물 의약품, 생물의약품, 소재(기업맞춤형 산업생태계 육성 등)
태양광
19/3
실리콘계 잉곳 및 웨이퍼, 저가형 실리콘 소재ㆍ소자, CIS계 박막태양전지
(동북아 태양광산업 육성사업 등)
풍력
10/3
Outer-rotor type PMSG를 적용한 2MW급 해상풍력발전기 시스템 , 3MW급 픙력 발전 시스템,
풍력기반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하이브리드카
20/2
EV동력시스템, EV고전력 전지ㆍ제어시스템, EV새시/차체시스템, EV공조시스템
(전기자동차 통합기술 및 상용화 지원 역량강화사업 등)
광기반
21/3
광기술기반 조선기자재 부품 및 시스템, LED조명 및 시스템
(광기반 융합부품ㆍ소재산업 기술 및 경영지원 사업 등)
그린카
19/3
그린카 핵심모듈 부품, 고효율 저공해 부품, 친환경ㆍ고부가가치 내외장 부품
(그린카 인력양성 등)
해양플랜트
11/4
SeawaterPump,Fuel Gas Compressor, CMS, Safety System,
Cylinder(해양플랜트 전문기업 기술인력양성사업등)
기계기반
16/5
고효율에너지 저감기기,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원료, 기후변화협약 대응저탄소기기(친환경ㆍ고
효율 에너지기기 부품소재 원스탑 제작지원사업 등)
안전편의
16/2
주행안전 모듈부품,예방안전 모니터링 모듈부품, 충돌안전 모듈부품, 운전감응 안전편의 모듈부품
(수송기계 안전편의 부품소재 기업지원 사업 등)
수송기계
동
남
권
융합부품
소재
유망상품(서비스)
8
3. 1단계 프로젝트 현황(4/4)
권
역
선도산업
프로젝트
과제수
(R&D/
비R&D)
태양광
19/2
결정질 Si 태양전지, 화합물박막태양전지,유기및차세대태양전지, 생산장비 및 효율 개선 시스템
(태양광 부품소재 기업지원사업 등)
수소연료전지
10/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평판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중/소 용량 평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수송
용 연료전지, 수소제조 및 저장 시스템(수소연료전지 기업지원사업 등)
의료기기
18/2
신체기능회복 및 보조기기, 의료영상기기, IT헬스케어기기
(IT융복합 의료기기산업 생태계 지원사업 등)
실용로봇
16/3
특수전문 서비스로봇, 특수다목적 작업로봇, 로봇 핵심부품 및 시스템
(IT융복합 실용로봇 선도제품화 기업지원사업 등)
융합의료기기, 조기진단시스템, 천연물복합의약, 의료소재
(의료기기 유망상품 글로벌 경쟁력 강화지원사업 등)
유망상품(서비스)
그린에너지
대
경
권
IT융복합
강
원
권
의료융합
바이오메디컬
융합
29/4
의료관광
의료관광
거점
3/9
메디케어제품
(의료관광 전문인력 양성사업 등)
제
주
권
물산업
제주 워터
7/4
병입수, 기능성 음료, 특산주, 수치료
(제주물산업 연구센터 건립 등)
관광레저
MICE
0/4
테마파티ㆍ팀빌딩ㆍ이벤트공연 상품개발, 기업인센티브 투어, 원스톱 정보 서비스
합 계
326/78
9
4. 1단계 주요 성과
11년말 기준 성과
(고용) 총 8,274명 (목표 대비 102. 7% 달성)
(매출) 5조 1,538억 (목표 대비 123.7% 달성) – 수출 26억불(약2조9천억) 포함
(사업화율) 당초 목표 60%를 초과하여 75.8% 사업화 달성
권역
고용 (단위 : 명)
매출 (단위 : 억원)
사업화율 (%)
목표
실적
목표
실적
충청
1,078
1,620
11,907
17,943 (12.506)
70.65
호남
1,613
1,797
8,800
10,466 (3.646)
87.14
동남
2,152
2,113
10,150
12,328 (5.324)
74.19
대경
2,213
2,016
7,073
8,167 (3.290)
강원
629
646
1,010
1,275 (0.480)
47.5
제주
375
82
2,715
1,359 (1.167)
21.5
합계
8,060
8,274
41,655
51,538 (26.413)
* 매출의 괄호내 실적은 수출실적을 의미함 (단위 : 억불)
10
목표
-
60
실적
74.60
75.77
4. 1단계 주요 성과
특허 등록·출원
(특허출원) (10년) 1.04건/과제 → (11년) 1.47건/과제
(특허등록) (10년) 0.08건/과제 → (11년) 0.49건/과제
특허출원건수
권역명
과제수
충청권
특허등록건수
국내
국외
합계
평균
(과제당)
국내
국외
합계
평균
(과제당)
92
53
55
108
0.94
26
17
43
0.37
호남권
70
101
20
121
1.73
45
3
48
0.68
동남권
62
98
15
113
1.52
32
3
35
0.54
대경권
63
89
9
98
1.56
33
0
33
0.52
강원권
32
22
13
35
1.21
3
0
3
0.09
제주권
7
5
0
5
0.71
0
0
0
0
합계
326
368
112
480
1.47
139
23
162
0.49
11
4. 1단계 주요 성과
연구논문 실적
(10년) 0.84건/과제 → (11년) 1.22건/과제
권역명
과제수
SCI논문
비SCI논문
합계
평균
(과제당)
충청권
92
13
49
62
0.54
호남권
70
20
85
105
1.5
동남권
62
1
113
114
1.84
대경권
63
12
69
81
1.29
강원권
32
4
13
17
0.53
제주권
7
4
15
19
2.71
합계
326
54
344
398
1.22
12
4. 1단계 주요 성과
투자유치 사례
(충청) 비R&D 과제 금융컨설팅을 통한 지분투자 등 투자유치 5건, 일본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366억 투자유치
(동남) 기계기반 프로젝트 솔베이사 2차전지 관련 천만불 규모의 아시아 연구센터
울산에 유치
(대경) 태양광 분야 일본 산코메탈, 독일 J.V.G Thoma GmbH사 투자 유치
(강원) 의료기기 전시회를 통해 GMES, MEDICA로부터 투자유치, 메디컬
수치료 리조트 건립 400억 규모 투자 확정 (동양그룹)
권역
충청
호남
동남
대경
강원
제주
합계
투자금액
(억원)
1,248
1,500
392
700
857
817
5,514
13
4. 1단계 주요 성과
지역 중소기업 R&D인력 확보를 지원함으로써 고용창출과 지역청년 실업 해소
고용
☞ (사례) ㈜태웅의 경우 제강공장 신설로 직접 고용 약 700명, 간접고용 3,000명 고용 유발효과 달성
선도산업을 통한 업종전환에 따라 기존 인력 재배치
☞ (사례) 광주인탑스의 경우 백색가전 생산라인의 인력 구조 조정없이 LED생산라인에 인력 투입,
50명 이상 고용 유발 효과 달성
기술개발 집중 지원으로 세계 최고 기술 수준과의 격차가 감소
매출,
수출
☞ (사례) 층청 이엘케이의 경우 세계 최초 상용화 기술개발을 통하여 향후 상당한 매출 및 수출 발생 기
대, 과제 종료시 매출 138억 이상, 고용 180명 이상 달성 가능
R&D과제의 최종 및 중간성과물을 활용한 매출이 11년부터 본격 발생
☞ 2012년 세계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유망상품을 개발하여 매출 및 수출 목표 달성 기대
기술혁신기관 집적도가 높고 밸류체인 완성도 높은 지역에 산업클러스터 형성
☞ 호남 광산업 클러스터, 대경 태양광 클러스터
기타
권역내 기술혁신자원과의 비R&D사업연계를 통해 성과 증대
☞ 비 R&D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글로벌 마케팅 지원을 통해 신규시장 진출 가속화
14
광역선도산업 2단계 추진방안
1. 추진 배경
2. 2단계 프로젝트 현황
3. 2단계 사업목적
4. 2단계 세부 추진방안
1. 추진 배경(1/2)
2008년 정부는 세계경제의 글로벌화·광역화 추세에 맞추어 광역경제권
중심의 지역발전정책을 도입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이하 광역 선도사업)은 광역 규모의 산업생
태계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역의 新성장동력 육성에 주력
-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LED 등 新성장동력의 산업생태계가 非수도권 지역에
형성되는 성과가 가시화되기 시작
그러나 광역 선도사업이 미래 성장동력 육성 중심으로 추진되어 고용 비중
이 높은 지역의 주력산업에 대한 배려가 미흡
- 또한, R&D 투자와 우수 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어 지역의 중소·중견기업
의 R&D 역량 강화와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
16
1. 추진 배경(2/2)
1단계의 미흡한 점
신성장동력산업 중심의 지원
- 광역 선도산업이 신재생에너지, 바이오 등 新산업 중심으로 선정되어 지역경제
비중이 큰 주력산업에 대한 지원이 미흡
시·도 등 지역의 참여 미흡
- 사업성과 달성을 위한 선도산업지원단 중심의 사업운영으로 시·도, 광역위의
관심과 참여가 미흡
산학연 협력 미흡
- 기업 R&D 중심의 지원으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産學硏 협력 활성화 부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 및 성과관리체계 미흡
-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 등 교과부 인력양성사업과 연계협력을 추진한 최초의
사업이나 여전히 인력수급의 불일치 발생
-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및 참여기업의 성장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미흡
17
2. 2단계 프로젝트 현황(1/2)
선정기준
지역특화, 광역성과 대표성 확보가 가능한 산업·프로젝트
광역적 산업생태계 조성이 가능한 산업·프로젝트
국가산업전략 및 광역 중장기 산업발전전략과의 부합성
구 분
1단계(도입기, 09~11년)
2단계(착근기, 12~14년)
선도산업
신성장동력 중심
(권역당 2개)
신성장동력 + 지역주력산업
(권역당 4개 : 미래2, 주력2)
선정결과
12개 선도산업
20개 프로젝트
22개 선도산업
40개 프로젝트
18
2. 2단계 프로젝트 현황(2/2)
미래성장 17개, 대표주력 23개 프로젝트
충청권
의약바이오
차세대에너지
New IT
융합기계부품
호남권
신재생에너지
라이프케어
광융복합
IT·BT ·NT·GT 기반의 선도산업
고도화
풍력서비스
바이오메디컬 의생명바이오, 전자의료기기
차세대의약
헬스케어
태양광(부품), 이차전지, 나노융합
소재(화학소재)
대경권
무선통신융합, 반도체, 디스플레이
그린에너지
동력기반기계부품
IT 융복합
녹색산업 융복합화 및 에너지
저소비형 친환경 산업 육성
헬스테인먼트
유망업종의 미래성장동력화
및 주력산업의 첨단화 실현
태양광(장비), 연료전지
의료기기(치료/헬스케어기기),
실용로봇
스마트기기부품 스마트자동차부품, 스마트모바일
태양광(소재), 풍력시스템·모듈
바이오식품, 바이오활성화소재
첨단융합소재
첨단금속세라믹소재, 하이테크
섬유소재
동남권
주력산업 고도화 및 그린 신산업
창출
광부품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에너지플랜트 풍력부품, 원전설비
첨단 녹색성장산업의 새로운
메카로 도약
그린화학소재 화학융합소재
제주형 풍력서비스
차세대식품융합 청정헬스푸드, 뷰티향장
MICE
동북아 생명·건강산업의
신발전 지대 구축
기능성신소재 세라믹/비철소재부품
친환경수송기계 친환경차량및부품,그린·레저선박
제주권
강원권
휴양형 MICE
19
수송기계
지능형기계부품, 친환경차량부품,
항공
조선해양
해양플랜트기자재,그린선박기자재
3. 2단계 사업목적(1/2)
광역경제권별 신성장 + 주력 산업에 지원역량 집중
지역의 대표
주력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중소·중견기업의
우수인재 확보 지원
광역규모의
산업생태계 조성
지원에 중점
광역경제권 차원의
산업생태계 구축 지원
20
일자리 창출 및
인재양성 중심으로
프로그램 운영
고용 중심의
성과관리 강화
3. 2단계 사업목적(2/2)
정량적 성과
14년까지 550개 신규과제 선정, 1,650개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통해
고용 21,930명, 매출 8조 1,298억원, 수출 3조 1,843억원
권역
고용(명)
매출(억원)
수출(억원)
충청권
3,960
21,426
9,865
호남권
4,690
20,500
7,165
대경권
4,259
16,420
4,736
동남권
6,067
12,990
7,049
강원권
1,900
4,689
1,222
제주권
1,054
5,273
1,806
21
4. 2단계 세부 추진방안(1/3)
1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중소·중견기업의 우수인재 확보 지원
전체 R&D사업을 고용창출형 R&D로 전면 전환하고, 고용성과 평가 결
과를 기업별 지원 예산에 차등 반영
* R&D 주관·참여기업의 신규인력 채용계획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고용성과 중심으로 평가
석·박사급 연구인력 채용을 조건으로 하는 채용조건부 R&D를 전체
R&D사업의 10% 규모로 시범 도입
전문학사 및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인력 채용 시 채용장려금을 지원
* 연봉의 60%이내, 최대 100만원/월
22
4. 2단계 세부 추진방안(2/3)
2
광역경제권 차원의 산업생태계 구축 지원
기업 단독 R&D보다는 기업-대학-기술지원기관간의 산학연 공동 R&D,
대-중소기업 동반성장형 R&D 등을 우선 지원
* 교과부 LINC사업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기업의 인력수요에 맞춰 우수인력을 양성·공급
하고, 대학이 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산학협력 활성화 유도
지역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시 국제 공동R&D, 수도권의
역량 활용 등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활성화
지역기업의 사업 참여조건을 대폭 완화하여 수혜기업의 확대 유도
* 주관기관 참여조건 완화 : (대형과제) 매출 200억원 이상 → 100억원 이상 기업
(중형과제) 매출 100억원 이상 → 50억원 이상 기업
23
4. 2단계 세부 추진방안(3/3)
3
사업화 지원체계 및 성과관리 강화
비R&D사업(산업생태계 지원)은 유망품목과 관련한 기업군 중심으로 지원
하되, 연관업종 기업군 및 1단계 광역사업 참여기업도 포괄하여 지원
* 지원유형 : 기술지원, 사업화지원, 인력양성 등 3개 유형을 개별형 또는 통합형으로 구성
기획단계에서 프로젝트 성과(output) , 지역산업 및 지역경제 성과(outcome)
의 성과목표 및 평가지표를 설계하여 설정
경쟁을 통한 효과성 제고를 위해 프로젝트별 사업 추진성과를 평가하여
20% 범위 내에서 예산을 차등 지원
* 저성과 과제는 10% 수준에서 강제탈락제 시행(예정)
24
<참고> 2단계 지원프로그램 특징(1/2)
구분
1단계
2단계
지원체계
기업R&D 중심의 지원
산업생태계 지원
지원방식
지정공모
지정공모 또는 자유공모
지원규모
대형60~40억,중형40~15억,소형15억미만
대형45~30억,중형30~9억,소형9억미만
평균지원액
과제당 年 6.1억원
과제당 年 4.1억원
참여조건
매출액 200억이상,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매출액 100억이상,
국가R&D 수행기업,
채용계획서 제출
지원원칙
별도 조건 없음
기술성숙도(TRL) 6~9단계
고용창출형, 채용조건부 R&D
非R&D지원
• 인프라, 기업지원, 인력양성, 국제협력,
네트워킹 등 7개 유형 자율 선택
• 프로젝트별 칸막이 운영
25
• 기술지원, 사업화지원, 인력양성
• 유형별 메뉴판 및 가이드라인 제시
• 선도산업별 또는 권역별 통합 운영
<참고> 2단계 지원프로그램 특징(2/2)
구분
대형 R&D
중형 R&D
소형 R&D
국비
45억원 이내
30억원 이내
9억원 이내
주관기관
참여조건
• 매출 100억 이상
(특별권 50억)
• 신청금액 이상의
국가R&D 수행기업
• 매출 50억 이상
(특별권 無)
• 신청금액 이상의
국가R&D 수행기업
제한 없음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
• 창업후 1년이상, 채용계약서(확약서 포함) 의무 제출
추진방식
참여범위
• 기업주도 컨소시엄(주관기관 – 기업)
• 1개 기업의 단독 수행 불가
• 2개 이상 기업의 참여 권장
광역경제권 내 시도 소재지 기업 또는 기관
* 개발범위 - TRL 6단계 이상 수준에서 사업화 단계(9단계)까지 수행
26
시도특화산업 추진 현황 및 성과
1. 지역특화사업 현황
2. 그간의 성과
3. 미흡한 점
1. 지역특화산업 현황(1/2)
추진 경과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혁신센터조성(95~), 지역연고산업육성
(04~), 지자체연구소육성(04~)을 지원
* 각각 추진된 지역연고산업육성(RIS, 04), 지자체연구소(RRI, 08), 지역혁신센터조성
(RIC, 10)사업은 차례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으로 통합
지역혁신센터조성, 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은 09년부터 신규과제가 없음
사업 내용
내역 사업
내용
지역연고산업육성
지역별 연고자원을 발굴ㆍ산업화(연 6억원 내외, 3~6년)
지역혁신센터조성
대학 특화분야 인프라 조성, R&D 지원(연 7억원 이내, 10년)
지자체연구소육성
지역 특화분야 거점연구소 설립․지원(연 6~30억원 이내, 5년 이내)
28
주관기관
대학, 연구소 등
대학
기초지자체
1. 지역특화산업 현황(2/2)
사업 예산
95년부터 총 1.1조를 지원, 초기에는 센터, 장비구축 등 산업기반을 조성하
고, 04년 이후 기업지원서비스 등으로 확대
* 지역연고산업육성(164개사업, 4,259억원), 지역혁신센터 조성(127개센터 6,263억원),
지자체연구소육성(19개 연구소, 1,329억원)
추진체계
중앙에서 자율 공모한 사업에 대해 시도(TP의 지역산업평가단)가
평가ㆍ관리까지 수행
29
2. 그간의 성과(1/2)
단기간 內 지역산업 육성이 가능한 토대를 마련하고 기업 매출 증가, 제조업
수출 증가 등 가시적 성과 도출
- 사업 참여기업이 非참여기업보다 매출, R&D투자에서 높은 증가세
* 증가율 : (매출) 참여 9.9% vs 비참여 8.0%, (R&D투자) 참여 7.8% vs 비참여 2.8%
- 비수도권의 제조업 수출 비중은 전국대비 67.4%에 달하며 연평균 증가율도
14.6%로 수도권 7.6%를 크게 상회
- 지역 R&D 지원을 통해 기술혁신 저변이 지역으로 확대되고 중앙 R&D에서 배제
되던 지방 기업들에 대한 지원이 본격화
* 지역 R&D의 88.6%가 중앙 R&D에서 한 번도 수혜를 받지 못한 기업을 대상으로 추진
지역별로 특화산업 분야의 기술개발이 가능한 환경 조성
- 시도 단위에서는 중대형 R&D가 가능한 장비센터, 시군구 단위에서는 중소형
R&D가 가능한 연구소 설립이 대부분 완료
- 지역의 창업* 및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이 촉진되고 있음.
30
1. 그간의 성과(2/2)
지역에 TP(18개), 지역특화센터(17개) 등 세계적으로 경쟁이 가능한 인프라
를 구축하고 창업보육, R&D, 인력양성 등 지원수단 제공
- 지역대학, 기업, 연구기관, 지원기관으로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 정보공유, 공동
연구 등 기업 애로과제 해결 추진
-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지역내 공동연구 비중도 지속 증가
* 공동연구 비중 추이 : ('04) 82.2% → ('06) 87.2% → ('09) 96.0%
비수도권 지역 전반에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를 창출
- 04년 이후, 비수도권 지역의 1인당 GRDP가 수도권 수준에 근접
- 비수도권 노동생산성은 04년 이후 수도권지역의 노동생산성 수준(1.0)을 상회
31
3. 미흡한 점(1/2)
(지원분야) 소규모 연고자원 위주의 지원으로 지역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효
과가 제한적
- RIS사업의 45%(총 95개 과제 중 43개)가 농식품 사업화 분야이고
대부분 시군구 연고자원으로, 지역경제 전반을 견인하기에는 한계
- 지원분야 선정시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고려가 미흡
(지원체계) 지역혁신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틀로서는 미흡
- 마케팅, 네트워킹 등이 시군구 단위로 각각 추진되다 보니, 시도 내에서
유사ㆍ중복 등 비효율 발생
- 現 지역특화사업은 각각 추진되던 세부사업들(RIS, RIC, RRI)을
단순히 하나로 묶은 것에 불과, 사업 간 연계ㆍ조정 미흡
32
3. 미흡한 점(2/2)
(지원규모) 정부의 지역R&D 규모에 비해 미미한 現 지역특화사업의 예산
규모로는 수도권-非수도권 간 격차 완화에 한계
- 시도는 시도 단위 지역산업 지원예산의 축소 추세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시도 단위 지역산업 지원규모 확대를 지속 요구중
- 지역전략+특화사업 예산(억원) : ('09) 5,047 → ('10) 4,495 →
('11) 3,812 → ('12) 2,735
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큰 고용창출형 산업으로 지원분야 전환 필요
 지원체계를 시도 단위로 확대하되, 시군구 간 연계ㆍ협력 강화 필요
 시도 단위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적정 수준의 예산 지원 필요
33
시도특화산업 추진 방향
1. 추진 배경
2. 추진 방향
3. 추진 전략
4. 사업 체계
1. 추진 배경(1/3)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이 ’12년 종료 예정이고, 전략산업의 일부가 2단계
광역선도산업(대표주력)으로 흡수·전환
- 이에 현행 3개 유형(광역 선도산업 – 시도 전략산업 – 시군구 특화산업)의 지역산업육성
체계를 ’13년부터 2개 유형(광역 선도산업 – 시도 新특화산업)으로 개편
광역권
11년(7,550억)
12년(6,342억)
13년(11년 수준)
광역선도(3,850억)
광역선도(4,000억)
광역선도
(대표주력 추가)
시·도
시군구
지역전략(2,688억)
지역특화(1,011억)
지역전략(1,734억)
지역특화(608억)
35
(종료)
新특화산업
1. 추진 배경(2/3)
현행 지역특화사업 예산 및 추진방식으로는 시도 단위로 산업을 육성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데는 한계
- 시군구 단위 소규모 연고자원 위주로 지원, 파급효과도 제한적
- 09년 이후로는 신규사업이 거의 없어, 지원예산도 매년 축소
또한, 고용창출 효과가 우수한 지역전략사업이 13년부터 2단계 체계로 통
합됨에 따라 지역경제 전반의 활력 저하도 우려
- 90년대에 비해 축소되어 온 수도권-非수도권 간 격차를 다시 확대
시키고, 지역에서는 지역발전정책의 후퇴로 인식할 우려
* GRDP 非수도권 비중(%) : (‘90) 52.5 → (’00) 51.5(1.0%p↓) → (‘10) 52.2(0.7%p↑)
- 그간 수혜를 받아온 상당수의 중소기업들은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고,
TP, 지역특화센터 등 지원기관의 지속 활용도 곤란
36
1. 추진 배경(1/3)
시도 단위 전략·특화산업을 토대로 시도 주력·성숙산업으로서 지역의
수요가 높고 일자리 창출효과가 큰 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
지역산업정책의 정체성 확보 및 분권화 기조를 반영하여 지역주도형 지역
사업의 지속 필요
* 중앙 주도의 광역선도산업으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 및 주도성 제고에 한계 존재
대형사업을 지역산업정책의 틀 안에서 제어하면서 지역의 산업육성 수요를
탄력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형 사업 필요
* 예비타당성조사라는 다른 경로를 통해 개별적으로 기획·착수되는 신규 대형사업
(예: 탄소밸리구축 등 ’12년 현재 9개 사업) → 일반회계로 전환 필요
37
2. 추진 방향
시도 자율의 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 확대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지역의 자율성과
S/W 중심의
활성화 중심으로 개편
책임성 강화
패키지 지원 강화
• 시도 단위 고용창출형
• 시도 자율적으로 중점
• R&D, 기업지원 중심으로
산업 중심으로 지원
지원산업·분야 설정
지원프로그램 자율 구성
• 지역산업진흥계획을
• 통합 및 연계지원체계로
• 고용 중심으로 성과관리
체계 강화
통해 예산 차등지원
38
수요자 맞춤형 지원
3. 추진 전략(1/3)
시도 차원의 新특화산업 제시
(新특화산업 정의) 지역의 주력산업 중에서 산업여건과 특화자원, 광역
선도산업과의 역할분담 등에 근거하여 시도별 개별 육성이 적정한 산업
新특화산업
광역선도산업
광역 內 시도의 산업 간 유사성이 높아 공동
·연계 추진이 필요한 지역산업
시도별 산업구조 및 여건 차이로 인해 시도별
개별 추진이 적합한 지역산업
광역 內 혁신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임계
규모 확대가 필요한 지역산업
광역적 산업범위의 과도한 확대가 비효율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산업
광역 차원의 가치사슬체계 또는 산업생태계
형성이 가능한 지역산업
시도별 특화분야 위주의 집중 육성이 바람직
한 지역산업
광역 차원의 시너지효과 창출이 용이한 지역
산업
광역 차원의 시너지효과 창출을 실현하기 어
려운 지역산업
• 광역선도산업과의 차별화(중복지원 불가)
• 광역선도산업에 미포함된 전략산업, 연고산업 등을 포함하여 고용
창출형 산업(예: 숙련집약형산업, 뿌리산업 등) 위주로 지원
39
3. 추진 전략(2/3)
시도 차원의 新특화산업 제시
新특화산업 선정기준(안)
선정기준
세부 지표
 사업체수 50개 이상
 (생산액 기준) 전국대비 비중 > 2%
집적도
 (종사자 기준) 전국대비 비중 > 2%
 (생산액 기준) 지역(제조업) 內 비중 > 3%
 (종사자 기준) 지역(제조업) 內 비중 > 3%
특화도
성장성
 (생산액 기준) LQ(시도) > 1 이면서, LQ(시도) > LG(권역)
 (종사자 기준) LQ(시도) > 1 이면서, LQ(시도) > LG(권역)
 (생산액 기준) ‘07~09년간 성장률 > 전국평균 성장률
 (종사자 기준) ‘07~09년간 성장률 > 전국평균 성장률
40
3. 추진 전략(3/3)
중앙의 지원분야 선정
시도 자율적으로 지원분야를 선정하되, 중앙에서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제시
- (예시) ①지원분야 범위: KSIC 5단위 10개 내외, ②지원분야 개수: 시도별 2~4개,
③ 제한사항: 고용, 매출 등에 대해 성과지표 제시가 가능한 분야
지원분야는 고용창출 효과와 파급효과가 큰 산업 위주로 선정하되, 타 부처
산업 및 선도산업과 차별화
지원분야에 대해서는 최소 3년간 지원(필요시 중간에 지원분야 변경 가능)
사업체제 개편
시도 중심 사업으로 개편(시군구 → 시도)
RIS 계속과제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포함 추진(점진적 종료 유도)
41
4. 사업 체계(1/5)
지방비 매칭은 시도별 총매칭 방식으로 개편
- 예산의 일원화(출연·보조금 혼재 → 출연금) 및 사업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존 프로그램 단위 매칭에서 총매칭 방식으로 전환
사업유형별로는 H/W 인프라 구축 보다는 기술개발, 기업지원서비스 등
S/W사업에 집중 투입
- 장비구축은 기업지원서비스의 내역사업으로서 기업지원 효과성 제고를
위해 지원하되, 신규산업 선정에 따른 신규 수요 및 노후장비 교체수요에
한정하여 지원
- 장비에 대한 국고 지원은 무분별한 기반구축 방지 차원에서 국비 총액의
15% 이내에서, 매칭방식(국비 40%, 지방비 60%)으로 지원
42
4. 사업 체계(2/5)
프로그램 운영방안
지원수단 구성(사업포트폴리오)에 지역 자율성 부여
- 지역별 산업여건 및 역량수준을 고려한 현장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의 자율 기획·운영
* 모든 지원수단의 재원을 출연금으로 일원화
- 지역 주도의 자율성에 상응하는 책임운영체제의 확대․강화
* 사업구조 개편, 예산조정 등을 지역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그에 따른 사업성과에 대해
지역의 책임성을 요구하는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지속 추진
지원수단 운영방식(프로세스)의 유연성 강화
- 지역기업의 성장 및 R&D 역량 단계의 애로요인에 기초하여 지원프로그램을 체계화
* 기업의 성장단계, R&D 역량수준 등을 체계화한 기업특성DB의 확보·구축을 의무화
- 공급자 중심, 실적건수 위주 → 기업 수요 및 성과 창출형 사업으로 운영방식 개편
- 지역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반영하여 지원수단별 운영방식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중앙 가이드라인(사업운영요령)의 유연화·최소화
43
4. 사업 체계(3/5)
프로그램 기획방식
(기획) 중앙에서 프로그램 메뉴판을 제시하면, 시도에서 프로그램을 자율
선택하여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사업을 기획
지식경제부(KIAT)
시ㆍ도(테크노파크)
가이드라인(메뉴판) 제시
사업 자율기획
▼
▼
[메뉴판]
[사업계획서 예시] 프로그램별 예산배분
기술개발 (50%)
- 과제지정형 R&D 30%
- 자율공모형 R&D 20%
기업지원서비스 (20%)
- 기술지원 10%
- 경영지원 5%
- 판로지원 5%
인력양성 (20%)
기반구축 (10%)
① 기술개발
- 과제지정형 R&D
- 자율공모형 R&D
② 기업지원서비스
- 기술지원
- 경영지원
- 판로지원
③ 인력양성
④ 기반구축(예산한도 설정)
①
②
③
④
44
4. 사업 체계(4/5)
관리 체계
지역 주도형 사업관리체계의 구축
- (지역) 지자체의 주도, 지역거점기관의 참여 방식으로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자율
기획하여 사업추진
- (중앙) 지역의 산업별 프로젝트(지원수단 패키지)에 대한 타당성조사, 컨설팅·조정 등을
통해 신규 사업을 착수하고, 매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한 사업관리 강화
지역 및 중앙의 역할분담에 의거한 성과관리 강화
- (지역) 자기 지역의 여건·특성을 고려한 성과목표에 기반하여 개별사업(과제)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평가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환류 강화
- (중앙) 종합성과 우수성, 사업구조 개편 및 예산조정의 타당성 등에 근거하여
시도에 대한 종합성과평가 강화
45
4. 사업 체계(5/5)
추진 체계
사업추진기관의 역할
- (지경부) 지역산업진흥계획에 대한 컨설팅·조정, 종합평가 결과에 기초한 시도
별 예산조정, 특정평가를 통한 지원프로그램의 수정·보완, 종합적 성과관리 등
* TP·특화센터 기관경영평가를 지역산업진흥계획의 틀 안으로 흡수·통합
- (KIAT) 시도별 사업관리, 종합성과평가, 개별사업·프로그램에 대한 성과모니터링 등
- (지자체) 지역산업 육성 총괄기획, 개별사업의 예산 및 사업계획 변경 등
- (지역거점기관) 총괄기획 지원(정책기획단), 개별사업 모니터링·평가·환류(지
역산업평가단), 지원사업의 플랫폼·집행(기업지원단)
사업 수행기관의 선정·관리
- 기술지원, 사업화, 인력양성 등은 공모·지정 방식을 통해 사업 수행기관 선정
- R&D사업의 경우에는 매년 10% 강제 탈락을 적용
협약체결 방식
- 기존 체계를 유지하여 예산은 전담기관 → 주관기관으로, 협약체결은 전담기관지자체-주관기관 3자 협약으로 추진
46
2013년도 정부R&D 투자방향
1. 기본 방향
2. 7대 추진분야 및 6대 효율화과제
3. 중점 추진분야
4. 정부R&D 투자 시스템 선진화
1. 기본 방향
과학기술을 통한 국부창출 및 국격 제고
▶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사회를 더욱 안전하게 하는 과학기술의 새로운 역할 정립
미래 성장잠재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 투자
창의적 인재양성 및
혁신시스템 구축
기본
방향
48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국민
체감형 R&D지원 강화
정부R&D 투자효율성의
획기적인 제고
2. 7대 추진분야 및 6대 효율화과제
중점 추진분야
정부R&D투자 시스템 선진화
【미래 성장잠재력 확보】
【성과창출형 시스템 도입】
① 중소・중견기업 육성 지원
① 신규 R&D사업 사전기획 강화
② 미래성장 기반 확충
② 계속사업 타당성 재검증 강화
【국민체감형 R&D 지원 강화】
③ 융・복합연구 활성화
③ 공공기반 R&D지원 강화
【R&D 체계 정비】
④ 서비스 R&D 활성화
④ 사업구조 개편
⑤ 융합형 민·군 R&D체계 구축
⑤ 유사・중복 방지
【창의적인재양성및혁신시스템구축】
【출연(연) 선진화 지원】
⑥ 과학기술혁신 및 인재양성 강화
⑥ 출연(연) 재정지원시스템 개선
⑦ 전략적국제협력 개방형혁신체계구축
49
3. 중점 추진분야(1/5)
(1) 중소·중견기업 육성 지원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R&D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충
- 중소・중견기업 R&D 비중 목표 : ('10)12%→('15)16.5%
- 중소기업 R&D 투자 중 인력 지원 분야(고용지원, 인력파견 등) 비중을 확대
기술창업 및 사업화 분야의 획기적 확대
- 중소·중견기업의 사업화 R&D 분야 중점 지원 ('10)1.3%→('15)3.0%
- 출연(연)·대학의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기능 강화
중소‧중견기업 R&D 지원의 전략성 및 효율성 제고
- 관계 부처간(지경부․중기청 등) 역할분담 명확히 하여 중복투자 가능성을
제거하고, 사업간 연계를 통한 기업 성장 시너지 창출
- 복잡다기한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구조를 단순화
50
3. 중점 추진분야(2/5)
(2) 미래성장 기반 확충
신성장동력 R&D・녹색기술 투자 등 주요 국책과제 추진을 차질없이 뒷받침
- 소재・나노, SW・콘텐츠, 바이오 등 미래유망기술의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
세계 최고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대형연구개발사업 적극 지원
- 국가R&D 역량을 결집한 범부처 대형프로젝트 기획・추진
- 민간역량 우수 기술분야에 대한 정부R&D 지원을 점진적으로 축소
FTA 및 중국의 부상에 따른 과학기술적 대응 투자 강화
- 서비스 분야, 수출지향형 농업 R&D, 유망 보건의료산업 등에 대한
R&D 투자 확대
- 주력 및 신산업분야에 대한 혁신역량과 경쟁력 극대화를 위한 투자 강화
51
3. 중점 추진분야(3/5)
(3) 공공기반 R&D지원 강화
안전사회를 위한 전주기적 범부처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
- 원전 안전, 기후변화 감시·예측, 신‧변종 전염병 등 주요 재난 예방기술
및 사우 대응체계를 포함한 전주기적 R&D 투자 강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위한 국민 체감형 R&D 지원
- 건강수명연장, 먹거리 안전 등을 위한 연구개발 확대
-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범국가 차원의 지속적 연구개발 체계 구축
정부와 지자체 협력을 통한 지역R&D 지원 강화
-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추진하는 R&D 사업을
확대하고, 시‧도 단위 R&D 성과의 광역권 공유 활성화 지원
- 지역 R&D와 중앙 R&D간 차별적 지원 도모 (유사중복 방지 등)
52
3. 중점 추진분야(4/5)
(4) 서비스 R&D 활성화
범부처 추진체계 정립 및 국민체감형 서비스 R&D 추진
- 서비스 R&D 정부 투자규모 대폭 확대(12년 예산 : 630억원)
(5) 융합형 민·군 연구개발 체계 구축 및 투자 확대
융합형 민·군 기술협력 분야에 투자 확대
-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 소형 헬기 등 공동개발
민·군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 강화와 사업 추진 체계 효율화
- 부처 간, 민·군 간 중복 투자 해소, 민·군 협력에 기초한 개방형 R&D
혁신전략으로 전환
53
3. 중점 추진분야(5/5)
(6) 창조와 융합을 통한 과학기술혁신 및 인재양성 강화
기초·원천연구 사업의 운영의 내실화 및 원천사업과의 연계 강화
- 기초·원천연구 비중 : 35.2%('08) → 43.5%('10) → 50.3%('12)
- 과학벨트 기초과학(연) → 기초과학 연구중심 기관으로 육성
창의적 과학인재 육성을 위해 생애 全주기적 관점에서 지원
- 퇴직과학기술자의 경험이 사장되지 않고 활용・전수되도록 지원 강화
(7) 전략적 국제협력 등 개방형 혁신체계 구축
국가차원의 일관된 전략 수립 지원 → 글로벌 R&D 협력 활성화
산·학·연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조성 및 지원의 강화
-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체제개편, 출연(연) 연구인력의 중소기업 파견제도 등
- 기업의 수요반영을 통한 산・학・연 공동연구의 확산
54
4. 정부R&D 투자 시스템 선진화(1/3)
(1) 신규R&D사업 사전기획 강화
모든 신규 R&D사업에 대한 사전기획 의무화 추진
- 13년 신규 예산요구사업 중 사전기획 미완료 사업은 예산 지원 제외
신규 R&D사업에 대한 기술성 평가시 특허분석 결과에 근거한 평가 실시 및
향후 의무화 추진(관련규정 개정 추진, ~12.12)
(2) 계속사업 타당성 재검증 강화
5년 이상 지속된 정부지원 총 500억원 이상 계속사업(12년 기준 84개)에
대해 심층 재검토하여 예산 배분・조정에 반영
12년은 대상사업 중 전문위가 선정한 32개 사업의 세부 사업내용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예산 배분·조정에 반영
55
4. 정부R&D 투자 시스템 선진화(2/3)
(3) 융·복합 연구 활성화
기획부터 제품화까지 전주기에 걸친 범부처 R&D 협력에 대해 우선 지원
- 로봇 및 플랜트 분야 범부처 R&D 협의체 운영 강화
(4) 사업구조 개편
부처간 역할 분담 등을 반영한 R&D 사업구조개편 방안을 수립하여 부처內·
부처間 사업 이관·통합 등 조정 방향 제시
- 부처內·부처間 관련 사업 이관·통합 등 R&D사업 체계 재조정
* 예) 부처 내 : 기초연구(교과부), 지역R&D(지경부) 등
부처 간 : 농업기술(농진청/농식품부), 중소기업(지경부/중기청) 등
국제기준(OECD Frascati Manual)에 맞추어 非R&D성 사업은 일반사업
으로 전환 추진
- '13년도 신규사업 및 감사원 지적 사업에 대해 우선 검토, 단계적 확대
56
4. 정부R&D 투자 시스템 선진화(1/3)
(5) 유사·중복 방지
사업 수준에서는 국과위가 부처간 역할분담 등을 중심으로 조정하고,
과제 수준에서는 부처가 자율적으로 유사・중복 정비 수행
- 부처 자율의 유사・중복 정비 결과를 국과위에서 검토, 예산 배분・조정에 반영
유사·중복이 지적된 태양광, 로봇, 신약개발 분야에 시범 적용, 집중 검토
- 연구분야, 목적·목표, 단계, 수행주체, 추진체계, 연구내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추후 별도로 보완・마련하여 부처별로 통보
(6) 출연(연) 재정지원시스템 개선
'13년도 출연(연) 직접 출연금 비중을 60%로 확대
- ('11) 42.6% → ('12) 50.4% → ('13) 60% → ('14) 70%
신규 시설투자는 최대한 억제하고 완공소요 및 노후시설 개선 위주로 지원
57
지역R&D 관련 주요 이슈
1. 지식경제부
2. 교육과학기술부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1. 지식경제부
2단계 광역선도산업을 통한 광역 클러스터 집중 육성
지역 대표주력산업에 대한 지원 확대
- 충청권(반도체), 호남권(레저선박), 동남권(해양플랜트), 대경권(금속세라믹) 등
지역기반 첨단산업 R&D혁신센터의 확충
- 탄소섬유(전북), 로봇(대구), 자동차(광주, 울산, 전북), 첨단메디컬(경북) 등
광역권 내 산학연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R&D와 기업지원서비스의 패키지
지원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성장 지원
지역특화산업을 고용친화형 산업 중심으로 개편, 뿌리산업의 지역별 특성화 발전추진
문화융합생활산업(패션, 안경, 가구 등), 지식서비스산업, 뿌리산업 등
고용창출, 지역경제활성화 중심으로 시도별 성과관리체계 강화
고용, 매출, 생산 관련지표를 지역산업진흥계획의 공통지표로 설정, 평가비중 확대
59
2. 교육과학기술부
국립대를 특성화하여 지역인재양성의 거점으로 육성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지역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 등
산학 협력을 통한 대학생 취업 역량 강화
기업이 주도적으로 대학 교육과정 제시
산학협력선도대학에 창업교육센터 설치운영
연구년을 활용한 교수·학생과 기업간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지원 및 취업
연구시설·장비 분야의 전문가 육성 및 채용 확대
대학 등의 연구시설·장비를 전담 운용하는 연구장비 엔지니어 육성(5년간 2천여명)
대학·출연(연) 등 연구장비 활용센터·기관 대상으로 연구장비 엔지니어의
채용 지원
60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역R&D사업을 지자체 중심 추진방식으로 전환
사업별로 묶은 예산 또는 포괄보조금 지원 방식 검토
- (시범대상) 지역특화산업육성(지경부), 지역기초연구활성화(교과부) 등
지경부·교과부 추진 연구개발거점 간 기능 중복 해소 및 연계·조정
테크노파크(지경부) – 지방과학연구단지(교과부)
지역내 R&D 기획 전문기관 육성을 통한 지자체의 R&D역량강화 지원
지역내 산학연 협력 생태계 활성화
산학협력선도대학(교과부)과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중기청) 간의 차별화
TLO 역량강화 및 사업화 지원 확대
61
전남의 대응전략
고용친화형 新특화산업의 도출, 지원 강화
전남지역 산업 여건을 고려,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특화산업 발굴 시급
- (검토대상) 문화융합생활산업, 지식서비스산업, 뿌리산업, 기존 특화산업 등
지역기업의 혁신역량을 고려한 소프트웨어적 기업지원 프로그램의 강화
지역기업의 성장단계, R&D역량 수준 등에 면밀한 조사·분석을 통해 최적의
기업지원 프로그램 기획
지역 유관기관(TP, 대학 등) 간 연계협력을 통한 R&D 사전기획 역량 제고
지역 일자리 창출형 지원사업의 기획 강화
산학협력선도대학(교과부),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중기청) 등과의 연계 강화
R&D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지원(사전적, 사후적) 강화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