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생이 알려주는 과학용어상식

Download Report

Transcript 문과생이 알려주는 과학용어상식

문과생이 알려주는
과학 용어 상식
-김승현-
목차
1.
2.
3.
4.
5.
6.
초끈이론
양자역학
고전역학
상대성이론
힉스입자
웜홀, 블랙홀, 화이트홀
1. 초끈이론
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양성자·중성자·전자 같은 소립자나 쿼크 등 구(球)의 형태가 아니라, 이
보다 훨씬 작으면서도 끊임없이 진동하는 아주 가느다란 끈으로 보는 이론이다. 1970년대 초부터 등장하기
시작해, 1980년대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J.슈워츠와 영국의 M.그린이 본격적으로 연구

이 이론이 등장하기 전까지 우주의 궁극적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이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공간·중력의 원리 등을 바탕으로 우주 전체의 모습을
거시적 연속성으로 보는 상대성이론으로는 불확정성원리에 의해 움직이는 미시적인 세계는 설명할 수 없고,
미시적인 입자들을 불확정적인 확률로 기술하는 양자역학으로는 거시적인 우주의 모습을 기술할 수 없다.
따라서 궁극적인 우주의 원리를 설명하려 할 때 이 두 이론은 결국 충돌할 수밖에 없다.

초끈이론은 끈이론에서 발전한 이론으로, 우주의 최소 단위가 마치 소립자나 쿼크처럼 보이면서도 이보다
훨씬 작고 가는 끈으로 이루어져 있어, 1차원적인 끈의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우주 만물이 만들어진다고
가정한다.

만약 이 이론이 맞다면, 상대성이론의 거시적 연속성과 양자역학의 미시적 불연속성 사이에 존재하는 모
순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두 이론을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설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침내 우주의 궁
극적 원리를 규명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
초끈이론에서는 끈들이 진동하는 유형에 따라 입자마다 고유한 성질이 생기고, 우주를 생성과 소멸의 과
정으로 보는 빅뱅이론과 달리 영원히 성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존재로 본다. 또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외
에 수많은 다른 우주가 각각의 물리법칙에 따라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
그러나 우주의 최소 단위인 끈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떤 특이성을 가지는지, 즉 우주가 왜 갑자기 성장
을 하게 되었는지 등에 관한 이유를 입증하지 못해 아직까지는 불완전한 이론으로 남아 있다.
1. 초끈이론
 J 슈워츠는 누구인가?
 M 그린은 누구인가?
평가방법
0~3 : 공부가 필요한 상태
4~8 : 기본은 돼 있는 상태
9~12 : 어느 정도 상식은 있는 상태
※지극히 주관적인 잣대이므로 다른 자리에서
아는 척 하다가 창피를 당하여도 책임지지 않음
법칙, 샐리의 법칙, 줄리의 법칙
머피의 법칙
- 1949, 미국 에드워드 공군 기지 머피 대위
“어떤 일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하나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누군가는 꼭 그 방법을 사용한다.”
‘특정한 일을 반복적으로 행할 때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확률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언젠가는 그렇게 된다.’
머피의 법칙, 샐리의
샐리의 법칙,
법칙 줄리의 법칙
머피의 법칙
- 1949,
1989,미국
해리가
샐리를공군
만났을
에드워드
기지때머피 대위
(When Harry met Sally . . .)
“어떤 일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하나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누군가는 꼭 그 방법을 사용한다.”
‘영화의 주인공 샐리처럼, 좋은
일들이 생겨서 결국 목표를
‘특정한이루게
일을 반복적으로
행할
때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되는 좋은 상황’
확률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언젠가는 그렇게 된다.’
머피의 법칙, 샐리의
샐리의 법칙,
법칙 줄리의
줄리의법칙
법칙
샐리의 법칙
- 1989,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이은 신조어
머피의
법칙과
샐리의
법칙에
(When Harry met Sally . . .)
- 마음속으로 계속 열망하는 일은 이루어 진다.
‘영화의 주인공 샐리처럼, 좋은
일들이 생겨서
목표를
‘행운은
우연히결국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으로
이루게
되는 바랐던
좋은 상황’
끊임없이
일이 현실로 나타난다’
머피의 법칙, 샐리의 법칙, 줄리의 법칙
왜 급할 때 양말을 꺼내면 짝짝이일까?
왜 내가 줄 선 계산대보다 다른 곳이 빠를까?
플라시보 효과, 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 Placebo : ‘마음에 들도록 한다.’라는 뜻의 라틴어
- 약효가 전혀 없는 거짓약을 환자에게 복용시켰을 때 환자의 병세가
진전되는 효과.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
- Nocebo : ‘실제로는 환자에게 무해하지만 해롭다는 믿음 때문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물질.’
- 진짜 약을 줘도 환자가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
팬데믹(Pandemic)
데자뷔, 자메뷔
데자뷔(기시감, deja vu)
- Deja vu : ‘이미 보았다.’라는 뜻의 불어
- 1900, 프랑스 의학자‘플로랑스 아르노’가 처음 규정
‘뇌는 엄청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서 스치고 지나간 것도 모두 기억.
의식적으로는 알고 있지 못하다가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면 무의식이
기억해내는 현상. 대부분 꿈속에서 본 적 있다고 생각함.’
- 이후‘에밀 보아락’이 데자뷔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
‘기억에 의한 현상이 아니라 뇌의 신경화학적 요인에
의한 단순한 이상현상.’
데자뷔, 자메뷔
자메뷔(미시감, jamais vu)
- 과거에 보거나 경험한 경우나 상황에 당면했을 때에 처음 경험한다고
생각하는 현상
- 특수한 기억착오의 일종으로 몽환상태에서 주로 나타남
게슈탈트(Gestalt)
- 형, 형태를 의미하는 독일어
-‘게슈탈트 붕괴현상’은 자메뷔와 비슷한 의미로 특정 형태에 대한
의식이 무너지는 현상을 의미. 정식 심리학 용어는 아니며 일본 커뮤니티
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임
파블로프의 개, 슈뢰딩거의 고양이
-‘파블로프의 반사’: 1902년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실험
파블로프의 개, 슈뢰딩거의 고양이
- 1935년 슈뢰딩거의 실험
라듐(알파입자)
시안화수소(청산가리)
파블로프의 개, 슈뢰딩거의 고양이
- 1935년 슈뢰딩거의 실험
‘결과의 불확정성’
- 확률에 상관없이 관측하기 전까지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양자역학
평행우주
타임머신
피그말리온 효과, 스티그마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그리스 로마 신화의 조각가.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됨. 아프로디테가 감동하여 여인상에게 생명을 줌.
-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으면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하여 그렇게 된다는 것.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
- 고대 헬라 사회에서 윤리∙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존재에게 찍은 낙인
- 낙인이론이라고도 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무시당하고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면 행태가 나쁜 쪽으로 변해가는 현상
바넘 효과, 포러 효과
- 19세기 말 미국의 서커스왕 바넘(P.T. Barnum)
- 1940년대 말 심리학자 포러(Bertram Forer)
1.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좋아하고 존경하기를 바라는 큰 욕구를 갖고 있다.
2. 당신은 자신에게 비판적인 경향이 있다.
3. 당신은 당신에게 득이 되지 않는 상당량의 전혀 사용되지 않은 능력을 갖고 있다.
4. 당신은 다소의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는 반면, 일반적으로 그것들을 상쇄시킬 수 있다.
5. 당신은 성적 조절에 있어서 문제를 갖고 있다.
바넘 효과, 포러 효과
6. 외면적으로 규칙 바르며 자제심 있는 당신은 내면적으로 걱정되며 불안정한 경향이 있다.
7. 가끔 당신은 당신이 옳은 결정을 내렸는지 또는 옳은 것을 했는지에 대해 심각한 의심을 품게 된다.
8. 당신은 어느 정도의 변화와 다양성을 선호하며 구속과 규제로 갇히게 되면 불만스러울 것이다.
9. 당신은 너무 솔직하게 당신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라고 생각한다.
10. 때로는 당신은 외향적이고 친절하며 사교적이지만, 때로는 당신은 내향적이고 경계하며
내성적이다.
11. 당신의 염원들 중 일부는 매우 비현실적인 경향이 있다.
12. 안전은 당신의 삶에 있어서 주요한 목표들 가운데 하나이다.
바넘 효과, 포러 효과
- 대학 학생들에게 심리테스트 실시. 결과지 정확도 평가.
4.26점
- 심리테스트와는 상관 없이 신문의 별자리 운세를 짜집기 한 내용.
‘모두에게 대체로 존재하는 특성을 개인의 특별한 특성처럼 말하면
개인은 그것을 자신의 특별한 특성이라고 생각하게 되며,
이는 특히 좋은 특성을 많이 믿으려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