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이후하천유지관리_맹승진

Download Report

Transcript 4대강이후하천유지관리_맹승진

우리나라 4대강 사업 이후의 하천유지관리
2013. 3. 22
1 / 50
충북대학교 맹승진
[email protected]
1. 개요
2. 하천관리 기술 조사
3. 기술현황 및 문제점 분석
4. 하천관리 기본 방안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6. 결론
1. 개요
국외 기관 하천 시설물 운영 기술조사
국내 하천 시설물 운영 기술조사
- 하천시설물 운영을 위한 관련조직 및 제도 분석
문제점 및 대응 방안 도출
국내 하천기술 적용 방안 제시
목표
하천시설물 효율성 극대화를
통한 하천관리 기술 도출
3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
이수, 치수, 환경적 측면에서 하천유지관리 현황, 역할, 사례
기상, 수리, 수문, 환경, 홍수 예·경보 등의 운영 관리 기술
국내 하천시설물별 유지관리 기술 적용 사례 조사
해외 기관의 시설물 운영 사례(조직, 지침, 규정, 제도)조사
국내 물관련 기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부, 환경부
국외 선진 물관리 기관
유럽
독일, 네델란드, 오스트리아
지방자치단체 등
미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일본, 중국
아시아
4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내)
하천의 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
환경기능
생, 공, 농업용수
홍수소통
자연보전
주운
하•폐수의 배수
친수 공간
수력발전, 어업, 골재채취
지하수의 함양 ∙ 배제
토사소통
5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내)
 하천관리 업무
국가하천
지방하천
지방국토관리청
지자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하천점용
홍수통제소
하천관리
지방국토관리청
하천시설물관리
이수적 측면
지자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하천구역관리
하천현황관리
지방국토관리청 지자체 등의 하천관리청 공통업무
수문관측
홍수통제소
하천수리수문
갈수대책
6 / 50
지자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내)
 하천관리 업무
국가하천
지방하천
하천기본계획
하천공사시행계획
(실시설계)
지방국토관리청
하천공사
(관리청하천공사)
지자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하천공사
(비관리청하천공사)
치수적 측면
홍수예보시설관리
홍수통제소
홍수예보
수해예방
지방국토관리청, 지자체 등의 하천 관리청
수해복구
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의 하천관리청
및 중앙재난안전 대책 본부 공동
7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내)
 하천관리 업무
국가하천
지방하천
지방국토관리청
지자체
하천환경조사
하천환경적 측면
하천환경정비
8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내)
 하천관리 범위
하천에 대한 행위제한
▶ 하천에 관한 금지행위와 하천구역내에서의 점용허가
▶ 불범행위의 단속 및 계몽
하천시설의 유지보수
▶ 기존 하천시설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점검 및 보수 • 보강
하천유량관리
▶ 홍수예보, 전기 • 통신시설 등 홍수예보시설의 관리, 강우레이더, 우량 • 유량관측시설 등
수문조사장비 및 시설의 설치 • 관리, 수문자료의 분석 및 정보화, 갈수관리, 수해 방지
및 복구 등 방재 • 홍수대책, 수해상습지 개선, 하도준설, 장애물 • 부유물 제거 등의 활동
하천환경관리
▶ 수질오염 등 비상시의 하천관리, 하천생태계 관리, 하천경관의 유지 등의 활동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 • 행정적 • 제도적 활동
▶ 직접적인 유지관리 활동은 아니나 유지관리 활동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활동
▶ 기술적인 활동에는 관련기술 및 기준의 개발, 유지관리지침의 작성 • 배포
▶ 행정적인 활동에는 관련 민원의 해결, 유지관리 인력의 교육 • 훈련
9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연방정부와 주정부와의 관계
1. 가치변화에 따른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역할
▶ 연방정부는 주정부가 수자원 관리와 수량 할당에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주(state)가 수자원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
▶ 각 주정부는 소비자의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를 분석하고 추정해서 그에 합당한 정책을 시행
▶ 연방정부는 수자원과 관련되어진 주간협정이나 분쟁의 중심에 중재와 통제를 함
2. 정책목표의 복합성
▶ 다각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국가전체의 복지증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단순한 사업결정 기준으로는 부족
▶ 사업과 관련된 간접비용(사적비용 및 사회비용)과 간접편익(사적편익 및 사회적 편익)등이 사업추진의 새로운 기준
▶ 복합적인 수자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간관의 협력은 상호간의 견제와 조정이 필요하고, 연방정부는 이에 요구되는
각종 제도와 법률을 제정, 관리 및 감독을 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됨
10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3. 주정부 정책의 방향과 역할
▶ 지속적인 수자원의 이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간의 긴밀한 협력관계
▶ 물을 통한 각종 수요의 증대와 이에 따른 다양한 소비자욕구는 주정부로 하여금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요구 됨
▶ 환경의 규제가 그 지역의 산업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음을 알면서도 많은 서부지역의 주(state)들이 그 규제의 강도를 높임
▶ 현재 미국의 수자원 정책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의 충당, 수질의 개선 그리고 생태계 및 동 · 식물을 보호해야 하는 다목
적 목표를 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간 관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어야 함
11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주정부 수자원 정책의 역할
1. 물의 공급 및 분배
▶ 수자원 공급은 바로 운영계획(planning)과 자금의 확보(financing)로부터 시작
▶ 증가된 재정적인 부담과 다양해진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거와 같은 대형사업보다는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소규모의 사업에 치중
▶ 최근 각 주에서 추진한 물 관련 사업들은 하천의 생태학적 목적에 맞는 하천유량, 농촌사회 발전에 부합하며 인디언들의
수리권을 보호하는 등 그 지역의 특수성에 맞는 사업에 치중
▶ 재원을 조달하는 정책 뿐 아니라 각종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고, 노후화된 시설 교체, 지표수와 지하수의 연계운영 등으로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보다 폭넓은 역할을 담당
12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주정부 수자원 정책의 역할
2. 갈수와 홍수통제 및 유역관리
▶ 유역관리를 위해 자원관리에 필요한 몇 가지의 기본적인 요소들이 재점검
- 의사 결정시 결정권자 선택
- 지리학적위치와 의사결정의 기준
- 수자원 이용과 관리의 결정에 관한 평가기준
▶ 유역관리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은 심각한 주정부의 재원부족과 복잡한 이해관계이다.
▶ 각각의 주들은 확립된 지방자치를 토대로 각기 다른 이해관계로 대립, 이는 서로가 만족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제도적
장치와 이를 집행하는 법적 구속력을 요구하는 통합적인 관리는 쉽지 않음
13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주정부 수자원 정책의 역할
3. 수질개선 및 보존
▶ EPA의 신설과 청정수법(CWA)의 탄생은 연방정부의 강력한 수질개선 의지라 할수 있음
▶ 점오염원으로부터 방출된 폐수는 하천에 방류하기 이전에 반드시 정화를 한다는 것이 정책의 목표였고 30년이 지난 지금
그 목표는 달성되었다고 봄
▶ 이 정책의 목표는 주정부로 하여금 모든 점오염원에 대해 허가증(permit)을 발급하고, 모니터링을 하며 허가기준에서 오염
량이 초과되는 경우 이에 대해 법적인 조치를 취하게 되어 있음
4. 기술개발과 자료, 정보
▶ 농업이 주된 산업이었던 서부지역의 각주들은 주립대학에 법인 연구소(Corporation Extension)를 설치하고 이를 담당
▶ 각 주 연구소들은 각 지역에 맞는 고유 업무를 담당하고, 구축한 정보와 자료를 함께 공유함으로써 수자원의 최적관리실행
(Best Management Practice of Water Use)을 가능케 하는 협력기관이라 할수 있음
▶ 이들은 수행된 연구를 토대로 농가에 그 기술을 보급함은 물론 재정지원 및 관리를 통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을 마련
14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유역통합관리, IWRM)
미국 Sacramento Joaquin 강
유역통합관리
▶ 미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유역통합관리를 위해서는 각
이해기관 및 부처간에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고 의사결정
과정이 투명해야 함
▶ 87년부터 94년까지의 지속된 가뭄은 캘리포니아 물관리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함
▶ CVP와 SWP 두 사업의 운영실을 같은 건물내에 위치시켜
두 사업의 연계를 가능하게 함
▶ 다양한 용수사용자와 인구증가에도 유연성과 신뢰성의
제공이 가능하게 됨
15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유역통합관리, IWRM)
IWRM 기본방향
첫째
▶ 기 개발된 물 아껴쓰기
▶ 대통령 직속 혹은 별도의 독립기관을
▶ 물 이용을 극대화하는 수요관리정책 강화
설립하여 현재 각 기관들의 권리는
▶ 하천 수계 내 다목적댐, 보 및 수력발전댐과 연계 · 통합운영
보장하면서 분쟁을 중재하고 조율하는
▶ 기존 댐의 재개발등 기존 수자원시설들의 활용도의 제고 요구
역할이 필요함
둘째
▶ 도서지역이나 해안지역과 같이 상수도에 의한 안정적 용수공급
▶ 용수확보가 곤란한 지역에는 지하수개발이나 해수담수와 등과 같은 대체 · 보조 수자원의 개발을 확대
16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미국
□ 효율적인 물 관리를 위한 제언
TVA 사례를 바탕으로 수계내 IWRM의 실현
17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유럽
EU 하천관리 조직
ICPDR
WFD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Danube River
Water Framework Directive
▶ 유럽 내에 최대 규모의 국적적인 하천 관리 기구
▶ EU 차원에서의 통합관리를 기조로 공동의 목표추구
▶ Danube 강과 과련된 15개 국가들이 모여
▶ 행정 단위가 아닌 자연적인 하천유역 경계에 의한
1998년 수립(14개 국가 와 EU)
유역을 관리 대상
▶ 물관리분야에 대한 조정과 협력을 위한 포럼형태
▶ 최근 지하수와 지표수와의 통합적 관리 필요성 제기
▶ 본류와 지류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모든 법, 행정
▶ 수자원의 기술적인 관리
및 기술을 고려
▶ 수자원 정책, 법, 환경 요소까지 아우르는 통합 목적
▶ 2009년 전체 하천-유역에 대한 관리계획을 수립
18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유럽
라인강
홍수 저감 대책
체류시간 확보
저류지 설치
예경보 기술
통합과 연계 운영 기술
19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홍수확대 방지
홍수저감 시설
홍수 인지력 증대
수문관측
홍수 경보체제 개선
1. 중·상류 24~48 시간
2. 하류, 하구 48~96 시간
20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다뉴브강
DRBM + JDS
수생태 관리
도시오수관리
N, P 관리
위험물질관리
수문관측 중요
21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수질/환경관리
 홍수관리 체계와 매우 유사함
• International level / National Level 계획 수립
• WFD 및 기타 기관과 협력
 오염유발자가 경제적 부담
 유기물/ 영양염류 및 독성물질 관리
 지표수와 지하수질 관리
22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엘베강
홍수피해
유역도
23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유럽 홍수경보시스템
유출분석
24 / 50
홍수 범람도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홍수전용댐
홍수방어 시설
홍수방어 시설 시공 사례
25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유사관리
통합관리(물/유사/토양/환경)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임.
26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유럽 유사 네트워크
유사문제를 다루기 위한 기술과 정책개발을 위한 Open Network.
목적/역활:
• Regional 규모와 Local 규모의 특성이 모두 중요한
유사 시스템의 이해
• 토양~물~유사의 통합관리 추진
• 공유하천 관리와 협력 / 상하류간 협력 촉진
• 유사관리 정책 마련을 위한 지원
• 유사의 환경측면(quality)과 양적 측면(quantity)을
동시에 고려
• River Basin Scale 관리 추진
27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일본
하천관리시설물
기기 보수
수목 벌채
제방 보수
쓰레기
제거
수문, 갑문
관리
수로 관리
요도가와 하천사무소의 업무
예) 홍수관리를 위한 하천 단면 개량
28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요도가와 유역도
요도가와 용수체계도 및 배수계통도
29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홍수범람도 제작 및 공개
30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취약 제방 보강 사례
취약 제방 조사도
31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중국
중앙정부에서 수자원 사업계획
재정지원
중국 5개년 계획
현재 15번째 중
12번째
성 수리청에서
자금집행 및
사업시행
시, 군 단위
자금지원+기업,
사업시행
정부주도 하천사업 체계도
32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HUNHE
천변 자전거 도로 및 차도
천변 저류지
33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보의 좌안 취수시설
도심 상류 보
보 우안 주운 시설
주운 시설 주변 조경
34 / 50
2. 하천관리 기술 조사(국외)
 중국
미래기술
농경지수리 등 취약부분의 개선
엄격한 수자원관리제도
농경지수리시설 건설 기술
중소하류하천관리와 소형댐 위험제거를 위한 보강 기술
수리권 문제 해결 방안
홍수/ 가뭄방지 대응능력 향상
농촌식수 안전성 확대 기술
용수총량제 확립
용수효율제도 확립
유역 오염원 차단 제도 확립
수자원 관리책임과 심사 제도 확립
수리기초시설 건설 및 개선
수리발전제도 매커니즘 확립
대하천 및 지류하천 관리 기술
수자원 시설물 적제 적소 건설 기술
수자원/토양 보존과 수생태보호 처리 기술
수력 개발 기술
수문기상과 수리과학 선진화
수자원관리체제의 정립
수리시설물 공사와 관리제체 개혁
수리서비스시스템의 기초완비 확립
물값개혁 추진
수리업무의 리더 강화
수리시설물 안정건립 매커니즘 확립
각 급 정당위원회와 정부책임을 시행
법에 의한 물관리 추진
수리팀에 의한 시설물 건설 강화
수리업무기술에 대한 관심을 전사회적역량동원
수리시설물 건설에 대한 공공재정 확립
수리시설물 건설의 자금 확보 방안
사회자금투자 유인 방안의 광범위화
35 / 50
3. 기술현황 및 문제점 분석
국토관리청
▶
▶
▶
▶
▶
중앙부처 소속
하천관리 조직현황
홍수방지를 위한 체계적 치수사업 추진
하천환경정비사업 추진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수립
유역종합치수 및 국가하천 기존시설물 보강 대책 수립
수계 치수사업 추진
홍수통제소
▶
▶
▶
▶
▶
▶
•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홍수통제소
하천홍수의 통제 및 관리
댐 조작 및 관리•수문조사 및 관측
홍수예 •경보시설의 운영관리
홍수 및 갈수의 예 •경보 및 전달
하천점용의 허가에 관한 사항
하천유수의 사용계획 및 사용실적의 접수 및 보고
환경관리청
▶
▶
▶
▶
▶
▶
▶
▶
• 서울, 원주, 대전, 익산, 부산지방국토관리청
•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유역환경청
• 원주, 대구, 전주 지방환경청
수질목표의 설정, 수질보전계획의 수립
하천오염행위의 감시 및 단속
상수원보호구역 관리실태 평가
물이용부담금의 부과•징수
수계관리위원회의 운영, 수계관리기금 운영
환경기초시설의 운영 및 관리실태조사
수변구역의 지정•관리 및 행위제한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의 관리
36 / 50
3. 기술현황 및 문제점 분석
홍수관리
▶
▶
▶
▶
치
수
이상강우 및 국지성강우 등에 대한 강우예측능력 개선
다양한 하천시설을 고려한 홍수예보 필요
비상상황에 대비한 피난•대피 등 방재기준 마련
하천유지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비홍수기 대비 운영방안 정립 필요
하도관리
▶
▶
▶
▶
▶
공사후 하상변동상황에 대한 강우예측능력 개선
실시간 하천측량기술의 개발
하천측량정보에 대한 DB구축 및 하상변동현황 평가를 위한 시스템 개발
하상변동예측을 위한 강별 모형개발
하상퇴적시 하천관리상 지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준설관리계획 수립
시설물안전관리
기술적
지원분야
▶ 하천시설물별 유지관리 기준마련
▶ 하천시설물별 모니터링 및 계측시스템 정립
하천유지용수
이
수
▶ 댐, 저류지, 다기능보를 고려한 하천유지용수 평가기준정립
▶ 실시간 물관리를 위한 시스템 정립
지하수
▶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강별 지하수 영향예측 모형의 개발
수질보전 및 개선
환
경
▶ 수질개선 시설물의 종합운영관리
환경사고 예방 및 대응
▶ 상시 수질감시체계 구축
▶ 비상대처계획의 수립
37 / 50
3. 기술현황 및 문제점 분석
하천관리 문제점
이
제도적 측면
조직적 측면
운영지침 측면
수
▶ 이수종합계획 등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종합계획
필요
▶ 갈수시 유수사용 조정을
위한 배분기준 필요
▶ 이수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인력부족
▶ 선진화된 취수정보관리
필요
▶ 유역내 저수지 및 보간
실시간 연계운영 지침 필요
▶ 양수장 등 취수시설
운영지침 정비필요
치
수
▶ 보운영을 반영한
홍수예보시스템개선 필요
▶ 보운영에 따른 안정하도
평가기술확보 필요
▶ 지류하천을 고려한
수계단위 홍수예보기술 필요
▶ 중앙정부, 자자체,
공공기관간 홍수기 효율적
조직운영 필요
▶ 홍수기 댐 및 보간 최적
운영지침 필요
▶ 상하류 및 본류지류간
관계를 고려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필요
▶ 안정하도 유지를 위한 조사,
준설 등 운영기준 마련
38 / 50
환
경
▶ 하천환경보전 및 복원을
위한 모니터링 제도 활성화
필요
▶ 하천환경 관리, 감시 등을
위한 상시조직 필요
▶ 하천내 수질정화시설의
운영규정 필요
▶ 수림대, 식생 등 관리규정
필요
기타
▶ 예방유지수준의 시설물
관리 미흡(사후유지관리수준)
▶ 시설물 관리인원의 부족 및
비전문성
▶ 하천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물 관리종합시스템 필요
▶ 시설물관리 규정 정비 필요
▶ 강별 시설물관리 지침 제정
필요
3. 기술현황 및 문제점 분석
문제점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한 SWOT 분석
강점(Strength)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약점(Weakness)

 용수공급의
용수공급의 입지적
입지적 유리성
유리성 확보
확보

 맑은
맑은 물의
물의 안정적
안정적 확보
확보 곤란
곤란

 주요
주요 구간
구간 위주의
위주의 수해방지
수해방지 가능
가능

 집중호우로
집중호우로 인한
인한 하천관리
하천관리 곤란
곤란

일부
중소하천의
양질의 하천환경보전
용수수요 증가용이
 개수사업
기회(Opportunity)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위협(Threat)
하천환경보전
개수
환경
개선 요구 증대

 중소하천의
용수수요의
증가 및
추세
완화

 하천시설물의
하천시설물의 개발여건
개발여건 악화
악화

 개수사업으로
개수사업으로 인한
인한 외수피해
외수피해 감소
감소

 기상변화로
기상변화로 인한
인한 홍수피해
홍수피해 증가
증가

 다양한
다양한 하천환경
하천환경 수요
수요 증가
증가

 하천의
하천의 수질오염
수질오염 심화
심화 및
및 생태계
생태계 변화
변화
39 / 50
4. 하천관리 기본 방안
 하천관리 미래 기술 분석(1/2)
구 분
관리계획 측면
(하천기능 측면)
현
황
래
기
술
▶ 치수 : 유역종합치수계획, 하천기본계획
▶ 이수 : 관리계획 없음
▶ 환경 : 일부하천에 대해 하천환경관리계획
수립
▶ 치수, 이수, 환경을 포함한 종합계획 부재
▶ 치수, 이수, 환경을 종합하는 하천유역종합
계획 시행
▶ 치수분야는 유역종합 및 하천기본계획을 재
검토
▶ 기존댐, 재개발 저수지, 다기능 보 등을 연계
한 종합적인 이수관리계획 수립
▶ 하천유역단위 환경관리
▶ 이수, 환경측면의 단편적 모니터링
▶ 치수, 이수, 환경을 고려한 종합적 모니터링
평가
▶ 지형 : 매년 하상변화 모니터링
▶ 치수 : 보를 통한 본류하천 수위조절에 따른
홍수소통개선 효과 실시간 모니터링
▶ 이수 : 기존댐 재개발 저수지, 다기능 보 등
을 연계한 종합적인 실시간 운영
▶ 환경 : 수계단위 생태회랑(corridor)을 고려
한 종합적 모니터링
▶ 공간이용 : 어메너티증진 효과 및 이용현황
상시 모니터링
▶ 지형 : 하천기본계획시 검토
모니터링
기술 측면
미
▶ 치수 : 재해발생전 별도의 검토 없음
▶ 이수 : 댐용수공급, 하천수사용 실적
▶ 환경 : 사업구간 단위 수질개선, 동식물상
변화
▶ 공간이용 : 별도의 검토 없음
40 / 50
4. 하천관리 기본 방안
 하천관리 미래 기술 분석(2/2)
구 분
하천시설물
운영기술
측면
홍수예경보
기술 측면
현
황
미
래
기
술
▶ 이상기후에 대비한 치수구조물의 인증 및
▶ 이상기후에 대비 미비
유지보수기술 확보
▶ 댐, 보, 저류지 등을 연계한 운영기술 미흡
▶ 댐, 보, 저류지 등 하천시설물 및 본류와 지
류연계 운영기술 확보
▶ 12개 하천수계 홍수예경보 시스템 운영
▶ 인트라넷을 통한 4개 홍수통제소 시스템을
▶ 최신의 IT기술기반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자료 송수신 체계구축
▶ 수문자료 품질관리를 통한 홍수예보 정확
통합하여 일원화
도 개선
▶ WAMIS : 수문/기상, 유역, 하천, 댐, 지하
수 등 수자원기초정보 제공
정보구축
체계 측면
▶ WINS : 물관련기관에서 생성되는 자료를
공동활용할 수 있는 체계
▶ RIMSGIS : 하천대장, 부도 등을 관리
▶ FMS : 시설물 유지관리 정보 종합관리
41 / 50
▶ 유비쿼터스 기반의 수문기초자료 수집체
계 구축
▶ 홍수방어시설물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구축
▶ 생태하천에 대한 정보구축체계 확립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비젼 : 미래지향적 하천관리 실현
환경
목표
이수, 치수, 환경의 종합적 관리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종합모니터링 체계 구축
하천에 대한 다기능적 접근필요
하천시설물 운영기술 구축
국민의 하천에 대한 욕구 증가
추진
전략
정보구축체계 확립
종합모니터링 체계 구축
•체계적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적인 하천
관리 실현
하천시설 유지관리정보
체계 구축
•하천시설 유지관리정보의 통합관리로 체
계적인 하천관리 실현
하천시설 상태평가체계
구축
•기후변화에 따른 여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종합정보구축 체계확립
•실시간 능동적 통합운영으로 하천관리
선진화
42 / 50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하천관리기술 중점추진과제 도출
기본방향
•하천관리중심으로 관련 기술 도출
•하천관리에 필요한 기술을 하천측면과 하천시설측면에서 구분
•그간의 산재된 R&D와 연계 및 기술관리를 위해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 체계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상 과제와 연결
하천관리기술(4대분야 18개과제)
하천측면
하천시설측면
1.국가하천 모니터링
2.효율적인 국가하천
3. 국가하천 유지관리
4.하천시설
체계
운영체계
정보 체계
상태평가 체계
하도지형 모니터링 기술
수리특성 모니터링 기술
물이용 모니터링 기술
하천내수질현황 모니터링
기술
1-5 공간환경 모니터링 기술
1-6 생물환경 모니터링 기술
1-7 하천모니터링 종합정보표
출 기술
2-1 시설물 연계운영 기술
2-2 하천 기능보전 및 개선
기술
2-3 응급대응 기술
2-4 하천시설 통합운영시스템
구축 기술
3-1 시설물별 공사자료 DB운
영 기술
3-2 시설물별 유지관리 DB운
영 기술
3-3 하천시설 유지관리 종합
정보표출 기술
4-1 유비쿼터스기반 지능형
하천시설 관리
4-2 댐 및 보를 연계한 하천
해석 기술
4-3 시설물 유지관리 요소별
상태등급평가 기술
4-4 하천시설 기능보전 종합
정보표출 기술
1-1
1-2
1-3
1-4
43 / 50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1세부 : 국가하천 모니터링 체계
핵심 기술
세부 기술
1-1 하도지형 모니터링
기술
▶
▶
▶
▶
▶
하도지형 자료관리 표준개발
경년별 하도지형 DB구축
하천형상을 고려한 하도지형생성기술
하도지형 모니터링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유역 토사 모니터링 기술
1-2 수리특성 모니터링
기술
▶
▶
▶
▶
수리특성 자료관리 표준개발
홍수흔적 모니터링 기술
내수배제상황 모니터링 기술
수리특성 모니터링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1-3 물이용 모니터링
기술
▶ 물이용 자료관리 표준개발
▶ 하천유지유량 모니터링 기술
1-4 수질오염현황
모니터링 기술
▶
▶
▶
▶
1-5 공간환경 모니터링
기술
▶ 공간환경 자료관리 표준개발
▶ 고수부지 수목현황 모니터링 기술
▶ 공간환경 모니터링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 하도내 식생현황 모니터링 기술
▶ 주민편의시설관리 모니터링 기술
1-6 생물환경 모니터링
기술
▶ 생물환경 자료관리 표준개발
▶ 생물환경 모니터링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 동물, 어류 등 생물 모니터링 기술
1-7 하천모니터링
종합정보표출 기술
▶ 모니터링정보 통합관리 표준 개발
▶ 모니터링정보 검수 기술
▶ 하천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 개발
▶ 보영향을 반영한 유량계측기술
▶ 지하수영향 모니터링 기술
▶ 실시간 용수이용현황 모니터링 기술
▶ 물이용 모니터링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오염현황 자료관리 표준개발
▶ 본류 및 지류 수질감시 모니터링 기술
보영향권내 저니질 모니터링 기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발생상황 모니터링 기술
오염현황 모니터링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44 / 50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2세부 : 효율적인 국가하천 운영체계
핵심 기술
2-1 시설물 연계운영
기술
세부 기술
▶ 수계내 시설물 통합연계운영 기술
▶ 실시간 물관리 모형 개선
▶ 수계별 댐 및 보 통합운영 매뉴얼 및 지침서 작성
▶ 준설하천 하도안정화 기술 및 유지관리기술
2-2 하천 기능보전 및
개선 기술
▶ 가동보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기술
▶ 평갈수기 및 홍수기 준설에 따른 기존 구조물 안정성 평가 기술
▶ 지류유입 토사량과 본류필요 토사량 곡선개발 기술
▶ 하천생태계 보전 기술
▶ 시설물 오작동 대응기술
2- 3 응급 대응 기술
▶ 수질오염 확산방지 기술
▶ 긴급 준설기술
▶ 홍수피해예측 및 대응기술
2-4 하천시설 통합운영
시스템구축 기술
▶ 하천시설 통합운영 표준 개발
▶ U-GIS기반 정보관리 기술
▶ 하천시설 통합운영 시스템 개발
45 / 50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3세부 : 국가하천 유지관리정보체계
핵심 기술
세부 기술
▶ 시설물별 공사자료 관리표준 개발
3-1 시설물별 공사자료
DB운영 기술
▶ 시설물별 설계자료 DB구축
▶ 시설물별 준공자료 DB구축
▶ 공사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 시설물별 유지관리자료 관리표준 개발
3-2 시설물별 유지관리
DB운영 기술
▶ 시설물별 유지관리자료 DB구축
▶ 유지관리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 하천시설 통합관리 표준 개발
3-3 하천시설 유지관리
종합정보표출 기술
▶ 유지관리정보 검수 기술
▶ 유지관리 종합정보 시스템 개발
46 / 50
5. 하천관리 기술개발 방안
4세부 : 하천시설 상태평가 체계
핵심 기술
4-1 유비쿼터스기반 지
능형 하천시설 관리
세부 기술
▶ 영상모니터링 기술
▶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 스마트폰 활용 기술
▶ 수리/홍수범람해석 국산화
▶ 수질/탁수예측기술 국산화
4-2 댐 및 보를 연계한
하천해석 기술
▶ 국부하상변동 예측기술 개발
▶ 국부하상변동 방지기술 개발
▶ 장기하상변동 예측기술 개발
▶ 장기하상변동 조절기술 개발
4-3 시설물 유지관리 요
소별 상태등급평가
기술
▶ 이수/치수/환경/구조적 지표 개발
4-4 하천시설 기능보전
종합정보표출 기술
▶ 통합관리 표준 개발
▶ 하천시설운영 의사결정기술
▶ 종합정보 시스템 개발
47 / 50
6. 결론
48 / 50
6. 결론
49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