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다운로드

Download Report

Transcript PPT 다운로드

질적연구에의 기초적 이해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방법론강의(2014. 10. 17)
덕성여대 사회복지학과 김진우 교수
Contents
1
연구를 한다는 것
2
질적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이유
3
질적연구 절차에서의 핵심내용
Ⅰ. 연구를 한다는 것
1. 연구 한다는 것
사회적 실재(Social Reality)의 참 모습을 드러내는 것
2. 사회(Society)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개인
사회명목론
사회
사회실재론
사회에는 개인이 실재. 사회는 명목뿐임
개인의 합 – 그 이상의 알파(a)가 존재
개인의 합이 사회
사회제도, 문화가 상황을 규정
해석주의
개인의 이해(understanding)가 모여 사회
보편타당한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증주의
여기 창 너머로 사회는 존재하고 이를 파악가능
양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실재적 진리 파악
3. 접근 패러다임의 갈래: 연구자의 입장은?
존재론(Ontology)
-What is the nature of
Social Reality? -
1
2
Non Foundationalism
Foundationalism
영원 불변하는 사회적 실재가 존재하는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관계
인식론(Epistemology)
연구자와 연구대상간의 관계
- 가치중립 / 존재론적 기반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researcher? 실증주의
현실주의(K.Marx)
2
1
방법론(Methodology)
- How should knowledge be
found out? -
1
해석주의
양적 방법론
3
질적 방법론
2
4. 무엇을 연구하고자 하는가?, 연구가능한가?
탐색적 연구: 문항구성의 전제
양적연구결과에 대한 구체적 이해
설문조사
질적연구
질적연구
양적연구로 할지, 질적연구로 할지는 연구주제, 철학적 배경에 의존
Ⅱ. 질적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이유
1. 양적 연구의 함정
• 가정폭력 횟수는 줄었으나
• 가정폭력의 강도가 높아졌거나
• 교묘한 가정폭력 양태가 증가했다면?
• 횟수가 갖는 함정
• 그러므로 횟수의 의미를 재탐색해야.
2. 양적 연구의 한계
삶의 현장에 대한 종단면 이해
경험의 의미, 삶의 구성하는 주요한 장면 이해
2-1. Limits of Quantitative Indicator
Not about learning
Do not tell you what you do not know
you need to know
3. 양적/질적 – 차이, 그리고 반목과 이해
끊임없는 패러다임 논쟁
타 방법론에 대한 비판
질적연구의 보완적 성격
- 양적연구의 사전적 성격
양적 연구
(실태조사,
지표/척도로 측정)
타 방법론에 대한 존중과 학습
양적연구에의 완결적 보완
- 양적연구결과의 의미
이해
질적 연구
질적연구의
양화(Quantification)
실증주의에 입각
연구자와 연구대상 분리 및 분리가능하다는 신뢰
가치중립성에 대한 강조
(삶의 재구성, 주관적
경험)
해석주의, 상대주의에 입각
구성적 성격
분리 불가능 및 가치중립성 모호
삶의 의미 재해석
4. 질적연구의 기여
Exploring meanings and behaviours in
depth
Identifying diverse perspectives
Capturing processes and contexts
Using flexible methods
Ⅲ. 질적연구 절차에서의 핵심내용
1.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들어가는 것
질적연구를 한다는 것은
사회복지 실천현장을 이해한다는 것.
듣고, 보고, 듣고 본 것을 생각하고 정리하고….
현장에 뛰어들기 위해서는
본인이 그 현장을 잘 알든지, Gatekeeper의 도움을
받든지….
착취하지 말아야…. 늘 그 마음을 잃지 말아야….
2. 샘플링 전략(Sampling Strategy)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기준표집
(Criteria
Sampling)
눈덩이표집
(Snowballing
Sampling)
일탈사례
/극단적사례표집
(Deviant/Extrem
e Case Sampling)
Gatekeeper 도움 절실
Not final... Constantly changing…
Saturation Point 이해(더 얻을 수 있는 혜택 vs 재정/시간한계)
2-1. 사회복지 프로그램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기준표집
(Criteria Sampling)
10회기 중 8회기 이상
참여자
눈덩이표집
(Snowballing
Sampling)
물어볼 수는
있겠지만…
Committee를 통해서?
일탈사례
/극단적사례표집
(Deviant/Extreme
Case Sampling)
중도탈락자 또는
프로그램에 대해
불만이 많은 자
평가 목적/ 의도를 달성하게 하는 “다양한 대상을 포괄하는 표집”
(다문화가정 아버지(Main Target), 그리고 아내, 자원봉사자 등)
3-1. 자료수집(Data Collection): 인터뷰
Intellectual disabilities, Elderly, Child, Very Fragile Feeling…
Pre-Determined Categories and IQ vs Promptly Emerging Sequential Inquiry and Hunches
Videotaping
3-2. 자료수집(Data Collection): 참여관찰
Ethnographic Marketing
3-3. 자료수집(Data Collection): 문서
언제 누가 누구에게 어떤 목적으로 쓰여진 글인지를 파악하고
이의 본질을 들여다 보려는 노력이 중요
4-1. 자료 분석: 산더미 같은 인터뷰 내용들..
이 많은 문장들 속에서 의미있는 내용을 어떻게 가려낸단 말인가???... 헐…..
4-2. 인터뷰... 내가 한 짓이 무엇이었지?
“ 어떻게 당초
고안에
답해나갈
것인가?
연구진행과정
“알고자 하는
사회적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핵심과제
Rapport
연구주제
방향설정
질적 연구주제 만들기
Core
연구질문(RQ)
Flexibility
인터뷰 질문
(Interview Questions)
수집된 자료
(Collected Data)
2~3가지 연구질문
및 하위질문 만들기
추상적인 연구질문을 어떻게
연구참여자가 이해하고 답변하기
쉬운 내용의 질문으로 만들어낼
것인가?
연구질문과 연구주제에
기초한 자료분석이
되도록 어떻게 일관된
관점을 유지할 것인가?
How well are we doing it?
Cascading
What do we want to do?
전
략
의
4-3. 분석하는 과정이란…
분석하는 과정은 연구주제에 맞는 연구질문을 던져놓은 그 길을 걸어가는 것
하지만 그 길이 분명하게 보일 것인지, 보이게 만들 것인지는 다양…
4-4. 분석과정에서의 고민(1): 연역과 귀납사이
연역적: 결국 문헌연구 및 이론적
배경에 기반한 연구범위 획정과
연구질문 및 인터뷰 질문에 따라
자료수집한 것 아닌가…
자료분석
연구질문
귀납적: 그렇다 하더라도 인터뷰
질문에서 얻고자 하는 의도대로,또
의도만큼만 자료수집된 것이
한번이라도 있던가? …
대답이 “그렇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이미 닫힌 마음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임이 틀림없을 터…
늘 기대와는 달랐던 경험… 그 전율…
4-5. 분석과정에서의 고민(2): 나에게도 길이 보일까…
인내심
통찰력
순환적 사고
출현(Emergence)과 발견
Vs 강제와 검증
분석결과에 대한
명명(命名)
- 두물머리
- 줄탁동시
이중성(Duality)
드러내는 과정
구조화시키는 과정
5. 윤리적 이슈 대응
사전에 고지된 동의 받아야
인터뷰를 해서 오히려
심리적 불안 야기 가능성 인지
및 회복 지원 고려해야
비밀보장
보다 넓은
책임성
Data Ownership
Empowerment
Reciprocity
익명성(인터뷰내용 인용시)
Thank You!
www.duksu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