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_4 근골(허승무).

Download Report

Transcript 4_4 근골(허승무).

제4장.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1.근골격계질환 동향과 문제점
2.근골격계질환 관련 법조항 및 해설
3. 바람직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절차
4. 노동조합 및 활동가의 개입지점 및 활동방법
5.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6.참고자료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4-1.근골격계질환 동향과 문제점
1. 국내 근골격계질환의 동향
1995년~2007년 국내 근골격계질환자 통계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시점
사고성요통
환자 포함
2621
2003년~2007년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자!!!!!
관리가 제대로 되어서? 현장이 개선되어서?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2
1954
4-1.근골격계질환 동향과 문제점
2. 근골질환자의 감소…?
1995년~2007년 국내 근골격계질환자 감소의 원인
바람직한 근골격계질환자 감소이유
①조기발견 시스템의 정착
②적합한 양질의 치료시스템
③절절한 질환자 재활과 관리
④현장 개선
⑤제대로된 예방관리프로그램 구축/구동
⑥기타…
분석)
근골격계질환자가 줄어드는 이유?
①근골격계질환자 승인율의 감소(2003년 90% 상회하던 것이 2005년 78%로 하락)
②공상처리 환자의 증가(공상처리비율의 변화 50.8%  64.4%)
근골격계질환건수(만명)
80
78
76
산재승인자
120
75
70
69
64
62
60
100
59
58
57
52
50
48
43
40
40
비율(%)
90
공상치료자
전체재해건수 대비 비율(%)
80
52.5
50.8
47.5
2003년
2004년
35.6
60
30
40
20
20
10
49.2
64.4
0
0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3
2005년
4-1.근골격계질환 동향과 문제점
3. 국내와 미국의 통계자료 비교
2007년 미국통계와 국내 통계
1차분류 기타의 각종사업에서 2,796명: 전체의 2위
(비교대상 제조업, 건설업….)
2차분류 기타의 각종사업에서 1,776명: 전체의 1위
(비교대상 농수산물위탁판매업, 건물 등 종합관리사업…)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개입지점 파악이 가능한
통계자료가 생성되어야함
4
4-2.근골격계질환 관련 법조항 및 해설
4. 근골격계질환 관련 법조항
(1/2)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되는 법/규칙/지침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 부과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제1항 제5호, 2002.12.30)
-작업자의 의무 부과 (산업안전보건법 제6조, 제26조)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30-2003, 2003.6.15)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의 표준자료 제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31-2003, 2003.6.15)
-근골격계부담작업에 대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규정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장 제142조~148조, 2003.7.12)
-근골격계부담작업 11개 작업군으로 제시 (노동부고시 제2003-24호, 2003.7.15)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환경개선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39-2005, 2005.12.30)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42-2006, 2006)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조치방법 제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43-2007, 2007.11.30)
-교대작업자의 보건관리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49-2008, 2008.11.28)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5
4-2.근골격계질환 관련 법조항 및 해설
4. 근골격계질환 관련 법조항
(2/2)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되는 법/규칙/지침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관한 특별조치(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9조~제152조, 2003.7.12)
-단순반복작업 근로자 작업관리지침(노동부고시 2000-72호, 2001.1.4)
-영상표시단말기(VDT)취급 근로자 작업관리지침(노동부고시 2004-50호, 2004.11.1)
-국소진동 측정 및 평가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23-2004, 2004.12.31)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42-2006, 2006.12)
-교대작업자의 보건관리지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49-2008, 2008.11.28)
-2004년까지 정부관련단체에서 제시된 근골격계질환 관련내용을 종합하여 근골격계
질환 예방업무 편람(노동부, 2004.4)을 편찬하여 법 해석, 기준 제시, 행정 해석 등을
요약하여 제시  2008년 업데이트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6
4-3.바람직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절차
5. 유해요인조사 절차소개
(1/2)
유해요인조사의 절차 및 방향 소개
①자료수집:
조사팀에서 제반 자료 수집
②작업자/실무자 교육:
반드시 증상설문조사, 본조사 이전에
배치되어야 함. 작업자에게는 유해요인조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 실무자교육은 유해요인조사 방법론과 실무자 역할 등을 위주로
추가교육을 배치.
③증상설문조사:
NIOSH에서 제시되는 증상설문표 사용. 전 작
업자 대상으로 전수조사. 본조사 포인트 선정시에 참고.
④예비조사:
본조사 포인트 선정이 주된 목적. 실무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조사팀의 현장 확인 및 본조사 계획 수립
⑤본조사:
실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는 단계로 작업환경과 작업
조건에 대한 조사와 함께 정밀분석을 위한 현장촬영과 실측, 작업자
인터뷰 실시. 작업의 위험성 평가가 목적이 아닌, 작업부하를 발생시
키는 요인과 부담이 발생하는 신체부위를 찾아 개입/개선지점을 찾는
것이 주목적.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7
4-3.바람직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절차
5. 유해요인조사 절차소개
(1/2)
유해요인조사의 절차 및 방향 소개
⑥결과정리 및 분석:
⑦개선활동:
개입/개선 지점 위주로 정리
여러 경로로 수집된 개선안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
류. 개선안 분류방법과 이후 추진되는 개선우선순위 선정방법은 사업
장 특성에 맞는 기준으로 합의되어 진행. 실행 결정된 개선안은 작업
자 의견 수렴과정을 거치고 개선계획에 맞게 현장에 적용. 실패한 개
선안은 개선안 평가과정을 통해 정보화/기술화. 개선안의 실패를 줄이
기 위해 간담회 등의 형식을 이용한 작업자 의견수렴과 시범적용 등
의 절차가 배치되어야 함.
⑧예방관리프로그램 구축:
사업장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유해요인조사 방법/시기/주체 등과 함께 의학적 관리방법 등에 대해
기술.
⑨사업평가:
전반적인 유해요인조사와 관련된 평가로 다각도로
진행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8
4-4.노동조합/활동가의 개입지점/활동방법
6.유해요인조사 단계별 개입지점
(1/2)
활동가들의 유해요인조사의 개입지점은?
①조사팀의 구성: 법에서도 작업자 또는 작업자 대표가 조사에 꼭 포함되도록 함. 따라서 조사팀에는
각 현장의 작업자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인적구성(일례로 실행위원)이 필요.
②실행위원의 역할과 필요성: 예방관리프로그램의 주체.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정의, 현장 작업자
의 교육, 위험요인의 관리방법/개선안 수집, 근골격계질환자의 관리 등의 역할 수행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9
4-4.노동조합/활동가의 개입지점/활동방법
6.유해요인조사 단계별 개입지점
(2/2)
활동가들의 유해요인조사의 개입지점은?
③유해요인조사 대상선정: 전수조사가 가장 좋음. 여러 제약으로 인해 대부분은 샘플링 조사 수행. 근
골격계질환자 발생공정, 작업자 기피공정, 근골격계질환 위험작업 등은 꼭 포함되어야 함. 부서별 작업자
간담회를 통해 결정하기도 함.
④평가도구의 선정: 대부분 인간공학적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분석. 체크리스트는 평가대상작업이 정
해져 있음. 체크리스트의 특성을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
⑤유해요인조사: 작업자 의견이 반영되는 유해요인조사. 조사팀은 눈으로 보고 그 위험성을 평가. 작업
조건/환경 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환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 개진.
⑥유해요인조사 결과정리 방법: 실제 유해요인조사는 그 위험성을 밝히는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
어떠한 위험요인으로 어떤 신체부위가 근골격계질환에 노출되어 있음. 이러한 결과라야 개입/개선 지점 파
악이 용이함.
⑦개선활동: 평가된 개입/개선 지점에 대한 적극적인 작업자 의견 수렴. 개선안 수집과정, 개선안 확정과
정, 개선안의 시행방향에서 작업자 의견 수렴.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0
4-4.노동조합/활동가의 개입지점/활동방법
7.관련 법규/고시/지침의 현장적용
활동가들의 유해요인조사의 개입지점은?
①유해요인조사 실시주기: 단협이 우선. 근골격계질환 발생건수, 현장 위험정도 등을 사전예측
하여 조사 주기의 재설정.
②수시 유해요인조사의 실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였거나,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새로운 작업이나 설비가 도입된 경우,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해당하는 업무의 양과 작업공정 등 작업
환경이 변경된 경우 수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함
③현장 작업환경개선까지 진행되도록 추진력있고 일관되게 진행. 이러한 과정에서 작
업자의견을 충분히 수렴. 실제 근골격계질환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우선순위 결정.
④노동부고시의 근골격계부담작업에 한정된 유해요인조사는 잘못된 방향. 본조사 포인
트 선정시 작업자가 실제 힘들어하는 작업, 가장 많이 하는 작업 위주로 조사를 진행.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1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8.제조업 관련 유해요인조사
한차례 이상 유행요인조사 경험이 있는 제조업체의 유해요인조사
①생산방식의 변화에 따라 라인생산방식  셀/모듈 생산방식
근골격계질환 측면에서는 +의 효과.
부작용으로 작업량/작업시간의 증가, 무리한 작업배정 등으로 변질.
②평가도구의 적용: RULA, REBA, JSI, ACGIH, NLE 등이 많이 사용됨
반복성이 문제가 되는 주작업 RULA
비정형적인 작업 REBA
손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 JSI, ACGIH
중량물 취급작업 NLE
③추천 유해요인조사 방향: 실제 제조업체는 가장 높은 유해요인조사 경험 직종.
3년 주기의 유해요인조사에 목적을 부여하여 실시.
예) 1차 유해요인조사는 근골격계질환을 알리고 작업 위험성 평가가 주목적
2차 유해요인조사는 작업환경개선이 주목적
3차 유행요인조사는 의학프로그램이 주목적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2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9.조선업 관련 유해요인조사
작업강도가 매우 높은 직종 중 하나로 작업을 단순화시키는 과정 필요
①작업방법/작업위치 등이 정형화되어있지 않아 모든 작업의 평가가 불가능
평가대상작업 선정시 작업자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
따라서 작업자 대표(실행위원)가 가장 필요한 직종이며, 능력 또한 요구됨
②평가도구의 적용: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RULA보다는 비정형적인 작업 REBA 등을 선호
손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 JSI, ACGIH/ 중량물 취급작업 NLE
국소진동 평가도 중요
직종
해당 작업
위험요인
주요 위험신체부위
취부
각종 취부작업 전체
무리한 힘
손목/허리
용접
각종 용접작업 전체
불안정한 자세를 동반한 정적 특성
전 신체부위
사상
각종 사상작업 전체
국소 진동
손목/팔꿈치/어깨
불안정한 작업자세
전 신체부위(상황에 따라 다름)
협소한 공간 및 부적절한 작
공통
업 위치에서 수행되는 작업
전체 작업
무리한 힘
직종별로 중량물 수동 취급작업 발생(예:용접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사는 용접기, 공구통 등)
13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9.운송업 관련 유해요인조사
3가지 영역의 작업평가 위주로 진행
①전신진동: 운전조건/환경에 따른 전신진동수준 평가
②작업(운전)자세 및 인터페이스: 특수차량(궤도, 건설기계 등)을 제외하고 일반화되어가고 있
는 추세
③지원직종: 검사/정비를 위한 직종들은 불안정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국소진동 등 폭넓
은 위험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
직종
해당 작업
위험요인
주요 위험신체부위
궤도
운전
불안정한 작업자세
손목/어깨/목/허리
장시간 운전
목/어깨/허리
전신진동
허리
운전 작업자 공통
운전
인터페이스
지원직종
검사/정비 시 해당작업
주요 팔 부위, 작업 내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불안정한 작업자세
작업위치에 따라 다름
무리한 힘
손목/허리
국소진동
손목/팔꿈치/어깨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4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10.보건/의료업 관련 유해요인조사
간호업무 위주로 진행되어 왔음
해당 작업
위험요인
주요 위험신체부위
포지셔닝
무리한 힘 및 불안정한 작업자세
손목/팔꿈치/허리/다리
중량물 취급작업
무리한 힘
손목/허리
스테이션 각종 문서작업 및 환자/
스테이션 형태(의자 포함)로 인한 불
보호자 응대
안정한 작업자세
손목/팔꿈치/어깨/목/허리
①평가도구는 REBA를 위주로 사용하고 NLE, RULA 등을 보조로 사용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5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11.서비스업 관련 유해요인조사
대표적인 서비스업인 조리업무와 식음 서비스업종, 안내/캐쉬 업무를 예로 설명
해당 작업
위험요인
주요 위험신체부위
조리
고반복/ 중량물 취급/ 무리한 힘
손목/팔꿈치/어깨/목/허리/다리
식음 서비스
불안정한 작업자세 및 장시간 선자세
손목/팔꿈치/허리/다리
안내/캐쉬 관련 업무
스테이션 형태(의자 포함)로 인한 불안
정한 작업자세 및 장시간 선자세
손목/팔꿈치/어깨/목/다리
평가도구는 REBA를 위주로 사용하고 NLE, RULA 등을 보조로 사용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6
4-5.유해요인 조사의 업종별 주요사례 및 주안점
12.기타업종 관련 유해요인조사
시설, 지원, VDT 관련업종을 비슷한 방법으로 요약
①시설의 경우 발전소를 예로 제시
②지원업무는 기계의 정비나 건물/설비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직종으로 간략히 설명
③VDT 업무는 실제 평가했던 예를 삽입.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인간공학적 개입지점을 설명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7
4-6.참고자료
13.참고자료
추후 참고할 수 있는 참고자료 목록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적 기술지도 기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0
현장에서 근골격계질환 몰아내기, 노동환경건강연구소, 2007
산업안전보건 백과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2
2007년도 산업재해분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9
국소진동 측정 및 평가지침(H-23-200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4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H-42-200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근로자작업관리지침(고시 제2004-50호), 노동부, 2004
단순반복 작업근로자 작업관리지침(고시 제2000-72호), 2000
교대작업자의 보건관리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H-49-2008), 2008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노동부고시 제2003-24호), 2003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H-31-200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3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환경개선 지침(H-39-200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5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의학적 조치에 관한 지침(H-42-2007), 한국산업안전 보건공단,
2007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H-30-200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8
Applied workplace ergonomics manual, ergoweb, 2001
The Rules of work, Dan Macleod, 1999
Phys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the workplace, Peter H. Wald, 1994
Ergonomics in the work environment, CAW
Hazards at work, TUC, 2005
Fundamentals and assessment tools for occupational ergonomics, Taylor&Francis, 2006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