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인구 증가 추이

Download Report

Transcript 노인 인구 증가 추이

노인 비만
- 노인도 체중감량을 해야 하는가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손기영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
노인 인구 증가 추이
구분
1970
1980
1990
2000
2007
2013
2030
총인구
(천명)
32,241
38,124
42,869
47,008
48,456
50,220
52,160
65세 인구
(천명, %)
991
(3.1)
1,456
(3.8)
2,195
(5.1)
3,395
(7.2)
4,810
(9.9)
6,138
(12.2)
12,692
(24.3)
노년부양비(%)
5.7
6.1
7.4
10.1
13.8
16.7
38.6
노령화지수(%)
7.2
11.2
20
34.3
55.1
83.3
193.0
주 : 노년부양비=(65세이상인구/15~64세인구)×100
노령화지수=(65세이상인구/0~14세인구)×100
통계청, 2013
노인의 비만과 건강
Consequences of obesity
• Obesity is related to…
– Metabolic diseases
– Some kinds of cancers (breast, colon… etc.)
– Cardiovascular diseases
– Disease-specific mortality & all-cause
mortality
Consequences of obesity
- in elderly • Debate exists
– Total or disease-specific mortality
– Definition of obesity
– Clinical relevance
– Need for treatment
Zamboni M et al. Int J Obes. 2005
70세 이상에서 BMI와 사망률
David C et al. JAGS. 2001
Cognitive function & BMI
이현주 등. 신경정신의학. 2013
Alzheimer and Obesity
Luchsinger JA et al.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12
노인에서 몸무게의 변화와 사망률
Grant et al. Am J Epi. 2002
노인에서 몸무게의 변화와 사망률
Grant et al. Am J Epi. 2002
노인에서 식욕과 섭취량 조절;
영양 과잉 제공
Roberts et al, JAMA, 1994
영양 부족 제공
Roberts et al, JAMA, 1994
Telomere and Wt gain
Njanou OT et al. Int J Obesity. 2012
노인의 비만과 건강
• 노인에서는 비만이 사망률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인지기능, 신체기능도 비만 환자에서 저하되
는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inconsistent)
– 비만 여부에 관계 없이 체중변화가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 노인에서의 영양제공에 의한 체중변화의 회복
이 더디다.
그러므로 노인에서는 체중감량을
시도하지 않는 것이 옳다
?
It’s not that simple.
Sarcopenia & myosteatosis
25-year-old healthy adult
75-year-old healthy adult
근육감소와 기능
2년 후 일상생활에 장애 없음
69.7
74.5
36.8
근육감소
91.6
71.1
33.3
중간
남자
정상
근육감소
중간
여자
Tanimoto Y et al. GGI. 2013
정상
Sarcopenic obesity
Sarcopenic obesity & CV risk
factors
Chung JY et al. AGG. 2013
Sarcopenic obesity & CV risk
factors(cont.)
Chung JY et al. AGG. 2013
Sarcopenic obesity & function
Baumgartner R et al. Obesity Res. 2004
Sarcopenic obesity & mortality
Janice L et al. JAGS. 2014
Sarcopenic obesity
• 체중과 체지방량
– 체중 혹은 BMI는 노인에서 체지방량의 적절한
surrogate marker가 아니다.
– 체지방량 증가에 따른 cardiovascular disease
risk의 증가, mortality의 증가는 노인에서도
나타난다.
– 동일한 체중인 경우, 근육량 감소가 동반되므
로 기능의 저하가 동반될 수 있다.
Sarcopenic obesity
• 따라서, 체중 혹은 BMI보다는 체지방 감량
이 적절한 목표이다.
• 동시에 근육량 유지가 이루어져야 기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Really, really hard task
in routine office visit !!!
To be continued….
노인에서 몸무게의 변화와 사망률
Grant et al. Am J Epi. 2002
에너지
2005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
• 열량 요구량의 감소
– 근육 감소(sarcopenia) 즉, 제지방의 감소로 인해
– 기초대사량 및 총 열량 요구량 감소
– 10살 증가  기초대사량 100 칼로리 감소
단백질
2005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
• 단백질 요구량 증가
– 연령 증가에 따라 단위 체중 당 다소 증량
•
•
근감소증 예방
알부민 합성 감소
– 스트레스, 손상 시에는 요구량 더욱 증가: 1.2~1.5 g/kg
육류 섭취
• 돼지고기 섭취량은 모든 연령층에서 섭취량이 점차 높
아지는 경향이나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감소
• 소고기 섭취량은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감소
균형식의 중요성
• 연령이 높아질수록 총 열량 섭취량의 대부분을 탄수화물, 밥
으로만 섭취하는 경향이 높다 (Tea & Toast syndrome)
–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거의 하지 않고
– 열량을 탄수화물로 대체하는 경향
 탄수화물 섭취율 높을 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 높아지는 경향
 vit B군, iron, zn 등의 미세 영양소 부족 유발
 근감소증 촉진
• 권장되는 건강식이
– 탄수화물 섭취량을 일정량 줄이고
– 지방과 질 좋은 단백질 섭취를 강조하여 균형식 권장
60세
하루 30분 이상 걷
는 사람의 분율
국민건강영양조사. 2005
60세
중등도 이상의 신체
활동 실천율
국민건강영양조사. 2005
In summary
• 노인의 체중감량
– 근육량 감소와 체지방량 증가
– 체중감량 혹은 BMI 감소의 benefit: controversial
– 노인 체중 회복: resilience 감소
• Sarcopenic obesity
– 체지방량 증가
• CV risk and mortality, physical function 과 관련
– 체지방 감소와 근육량 유지가 관건
• 운동과 영양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