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약지반 계측관리 - K

Download Report

Transcript 연약지반 계측관리 - K

C l i c k t o a d d y o u r t e x t

연약지반 계측관리

1

연약지반 일반사항

2

계측기 설치방법

3

계측기 분석방안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Contents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연약지반의 정의 연약지반은 지반에 구조물 등을 건설할 때에 생기는 문제의 크기, 지반과 구조물의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연약지반은 구조물을 건설하는 데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개량공 또는 대책공법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지반을 말한다 지반조사 설계검토 기초지반 지지력

NG

지반개량 본 공사 개시

 연약지반의 판정기준

1.

연약지반 일반사항

N치가 4이하이며 연약층 두께가 10M 이하인 점성토 및 유기질 점토 N치가 6이하이며 연약층 두께가 10M 초과인 점성토 및 유기질 점토 N치가 10 보다 적은 느슨한 모래층 연약지반

 계측 항목의 선정 침하관리 1. 설계 침하진행량 비교 2. 잔류 침하량 산정

1. 연약지반 일반사항

지표 침하판 층별 침하계 안정관리 1. 단계성토 시 성토속도 및 성토고 관리 2. 간극수압 소산에 의한 압밀효과 확인 3. 인접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지표 침하판 지중 경사계 간극 수압계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계측기 설치위치 대상지역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지점 지반조건이 충분히 파악된 지점 설치위치 지반개량 효과분석 및 안정관리 대상지역 수직배수재 타입지점 중앙부 장비로부터 보호가 용이한 지점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계측기 설치위치 (예) 구 분 배 치 계 획 지표 침하판 층별 침하계 간극 수압계 지하 수위계 경 사 계 간 격 : 100m 간격 중 앙 부 : 1개 노견양측 : 1개씩 간 격 : 200m 간격 중 앙 부 : 1개 간 격 : 200m 간격 중 앙 부 : 1개 간 격 : 200m 간격 사면선단 : 1개 간 격 : 200m 사면선단양측 : 1개씩 설 치 목 적 ․ 지표면 침하량의 거동측정 - 실측/이론 침하량 비교, - 총 침하량/잔류침하량 보정 - Preloading제거시기 결정 ․ 각 지층의 침하량 측정 - 수직적 압밀도/압밀 특성 파악 - 성토재하에 따른 침하 특성 파악 ․ 압밀층의 간극수압 측정 - 과잉간극수압 발생/소산거동 파악 - 공사의 안정성 분석 (잔류침하량 추정) - Preloading 제거시기 결정 ․ 성토에 따른 수위변동 및 배수효과 확인 ․ 간극수압계와 병행 측정 성토에 따른 지반의 심도별 수평변위량을 측정하여 수평방향의 지반변위, 이완 및 안전도 판단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계측기 배치기준 (Heaving 발생)  성 토 (침하)  (Heaving 발생)

주변지반 영향지역 변위말뚝 수평변위주발생지역 지중변위계 성토제체에서의 일반적인 계측기 배치 침하

간극수압 주발생지역 층별침하계

간극수압계 수평변위주발생지역 지중변위계 주변지반 영향지역 변위말뚝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계측기 설치위치 및 수량 계측기명 지표 침하판 층별 침하계 지하 수위계 간극 수압계 지중 경사계 수평위치 성토제체 중앙부 외각 1M 안쪽 성토제체 중앙부 성토제체 중앙부 성토사면 외각 성토제체 중앙부 성토사면 선단부 수직위치 설치수량 원지반 상단 중앙 1 개소 외각 2 개소 각 지층 상단 N 치 40 이상의 지지층 각 지층 1 개소 이상 원지반 -5M 이상 연약층 중앙부 중앙 1 개소 외각 1 개소 중앙 1 개소 중앙에서 상 , 하부 5M N 치 40 이상의 지지층 좌 , 우측 1 개소씩

1. 연약지반 일반사항

 계측기 배치도 계측기 배치도 지하수위계 (성토영향범위 밖에 설치) 경사계 지표침하판 EMBANKMENT 층별침하계 SOFT LAYER 경사계 간극수압계 변위말뚝

2. 계측기 설치방법

 계측기 설치시기 계측기 종류 수직 배수재 타설 직후 지표 침하판 지하 수위계 층별 침하계 간극 수압계 지중 경사계 설 치 시 기

Sand Mat

완료 직후

P.E.T Mat

완료 직후 성토고

5cm

완료 직후

 지표 침하판

2. 계측기 설치방법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표 침하판 설치 순서

1.

침하판은

Sand Mat

포설후 설치하되

,

장비를 이용하여

Sand Mat

를 걷어내고 원지반에 설치한다

.

2.

모래면과 접촉이 잘되도록 소량의 모래를 부설하여 평평하게 골라 준다

. 3.

침하판 하부에는 앵커를 만들어 횡방향 이동에 저항토록 한다

. 4.

보호관과 내부측정봉이 접촉될 시는 파이프간의 마찰로 인하여 오측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보호관 설치시 내부측정봉이 정확히 중앙에 한다

. 5.

설치후 초기측정을 한다

. 6.

단계성토가 이루어짐에 따라 보호관과 측정봉을 연결 설치한다

.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표 침하판 설치 시 주의사항  준설토 투기지역의 경우 침하판이 횡방향으로 거동 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침하판 하부에 앙카(50∼100cm)를 부착하고 지반에 고정 하여 횡방향 거동이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 도쟈, 백호우 등의 중장비에 의해 침하봉이 손상을 받을수 있으므로, 침하봉 주위를 깃발과 야광Tape 로 표시하여 망실을 방지함.

 침하봉 연결시 연장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계측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 층별 침하계

2. 계측기 설치방법

2. 계측기 설치방법

 층별 침하계 설치 순서 1. 회전 수세식 보링장비로 케이싱(4inch)을 사용하여 지지층까지 굴진한다. 2. 천공홀의 심도를 줄자를 이용하여 확인하며, 이때 Spider Magnet의 작동검사 를 실시하여 센서 이상 유무를 파악한다. 3. Casin의 하단에서 1m정도 상부에 기준소자(Ring Magnet)를 부착하여 천공홀 내부로 삽입한다. 4. 삽입된 Casing에 리벳팅과 실링처리를 하여 Coupling을 연결한다. 5. 계획된 위치의 Casing에 Spider Magnet의 날개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킨다. 6. 센서와 Casing의 연결이 완료되면, Casing을 회전시키지 않고 인발하여 제거. 7. Spider Magnet의 날개를 펼쳐 지반에 정착시킨후 Casing상부의 Level과 측정기를 Casing 내부로 삽입하여 측정값을 기록한다. 8. Casing은 성토 및 장비에 의해 파손이 되지 않도록 보호 장치를 한다.

2. 계측기 설치방법

 층별 침하계 설치 시 주의사항  센서가 서로 근접될 경우 천공수직도 문제로 인접 센서와 교접되어 망실의 우려가 있으며, P.B.D 간격 사이의 배치는 압밀도 침하등 계측치에 영향을 나타내므로 PBD 설치 중간 지점에 계측 센서를 1공씩 설치하여 센서군 형성  그라우팅 배합비가 일정치 않아 원지반의 거동과 상이한 문제발생 및 대책 - 계측기 설치전 Bentonite-Cement 의 혼합비율이 주변 지반의 강도와 일치 되도록 감독원 입회하에 시험배합을 실시하여 배합비를 결정한다. - 시험 배합은 지반조건이 상이한 지역마다 실시한다.

 계측기 설치 위치 및 심도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 및 대책 - 계측기 매설전 설치위치 측량을 실시한 후 설치한다. - 고정점은 하부에서 50cm이상 띄우고 설치.

 간극 수압계 Read Cable Cable 보호관 Bore Hole (5inch) 뒤채움 생략 or 콩자갈 채움 압입용 보조기구 Read Cable 간극수압계

2. 계측기 설치방법

2. 계측기 설치방법

 간극 수압계 설치 순서 1. 회전수세식으로 보링공 내경 100mm 이상의 설치공을 계획심도까지 천공. 2. 피에조미터 팁을 설치할 위치의 약 0.5m 하부까지 천공한다. 3. 줄자에 원형추를 연결하여 천공심도를 확인한다. 4. 간극수압를 24시간동안 물로 포화시켜 팁에 있는 기포를 제거하고 초기치 측정 5. 포화된 간극수압계를 시험공에 투입하여 Sensor의 이상유무 및 정밀도 확인 6. 하부 0.5M 는 굵은 모래를 사용하여 간극수압계 투수층을 형성한다.

7. 포화된 간극 수압계 Tip을 Sand Back에 넣어 설치지점에 위치시킨다.

8. 케이싱을 1m정도 제거한 후 벤토나이트펠렛을 투입하여 다져서 차수막을 형성.

9. 센서 상부에 차수막이 형성된 후 벤토나이트+시멘트로 그라우팅 실시.

10. 벤토나이트와 시멘트의 혼합비율은 주변지반의 강도와 변형계수가 일치되도록.

11. 지중과 지표면에 Cable에 Snaking을 주어 지반변형에 따른 Cable 단선 방지.

12. 벤토나이트 펠렛을 투입한지 최소 72시간이상 경과한 후 초기치를 재 측정한다.

2. 계측기 설치방법

 간극 수압계 설치 시 주의사항  지하수위계와 간극수압계의 경우 지반 교란이 발생하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함으로 천공시 공압을 이용하여 천공을 하는 장비보다는 수압을 이용하는 천공하는 장비를 사용한다.

 천공시 Slime상태를 관측기록하고 설치심도주변에 Sand Seam과 같은 배수층 이 존재하는지 등을 확인 ․ 기록하도록 한다.

 투수층 및 차수층의 두께는 형성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해야 한다.

 Cable접합부에서의 간극수압 유실이 빈번하므로 Sealing처리를 철저히 함.

 지하 수위계

2. 계측기 설치방법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하 수위계 설치 순서 1. 보링 내경 75mm 이상의 설치공을 계획심도까지 천공한다. 2. 커플링을 이용하여 수위계관과 수위계 Tip을 연결한다.

3. 지하 수위계관은 과잉간극수압이나 수위계 Tip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 Over Flow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유공관을 사용하며, 주위는 이물질이 공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를 이용하여 3겹이상 감싸준다.

4. 공내에 수위계관을 매설한 후 주위에 굵은 모래나 콩자갈 등으로 투수층을 형성한다. 5. 상부 차량이나 장비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호 Frame을 설치한다.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하 수위계 설치 시 주의사항  지하수위계의 Casagrande팁은 60 - 100㎛의 미세한 투수공을 가진 제품을 사용하여 점토유입을 방지한다.

 지하수위계 관측공에 점토가 유입되었는지를 알기 위하여 로드로 확인한다.

 성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점을 설치위치로 하여야 한다 .

 Filter의 상단은 Sealing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Filter의 다짐이 불량하면 간극을 따라 지하수와 함께 세립토가 이동하게 되어 Tip 이 막히게 되므로 Tip의 주위를 깨끗한 모래로 채우고 다짐을 행하여 Filter를 형성 시키도록 한다.

 지중 경사계

2. 계측기 설치방법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중 경사계 설치 순서 1. 회전수세식으로 보링 내경 125mm 이상의 설치공을 지지층까지 천공한다. 2. 줄자에 원형추를 연결하여 천공심도를 확인한다. 3. 천공후 맑은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슬라임을 제거하여야 한다. 4. 경사계 Casing하부에 End Cap을 사용하여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고, Casing홈 방향을 직선/직각 방향으로 맞추어 삽입한다. 5. 경사계 센서와 중간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여 순서대로 삽입시킨다. 지지층까지 (소정의 깊이까지) 설치가 완료되면 측정방향을 고정한 후, 보링 Casing을 제거하고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이때 벤토나이트와 시멘트의 혼합비율은 주변지반의 강도와 변형계수가 일치되도록 시험배합 을 하여 결정한다.

6. 그라 우팅이 양생된 후 침하된 부위에 다시 2차 그라우팅재를 채운다.

2. 계측기 설치방법

 지중 경사계 설치 시 주의사항  침하량이 많은 경우에는 경사계관에 축력이 작용하여 좌굴이 발생하므로 커플링 은 Telescopic기능을 할수 있도록 하고 길이를 40cm이상이 되도록 한다.

 Coupling 연결시 리벳은 반드시 대각선 방향으로 작업하여 케이싱이 편심을 받지 않도록 유의할 것.

 그라우팅 도중에 측정방향과 케이싱의 홈방향이 일치하도록 유의.

 연약지반에서의 경사계관은 급격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다분하므로 직경이 80mm이상의 관을 사용토록한다.

2. 계측기 설치방법

 계측기 손상원인 및 보호대책  성토사면의 활동(파괴)에 의한 손상  기타 시공장비 등에 의한 손상  성토시 매몰, preloading 제거시 망실  성토지반의 사면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성토속도 및 사면의 경사를 조정한다.

 계측기 설치 부근은 중장비 작업을 금한다.

 계측기 설치 부근은 감독관 또는 감리자의 입회하에 인력 또는 소형장비로 세심한 성토작업을 실시한다.

 계측기 설치위치에 보호 울타리 및 야광 표지판을 설치한다.

3.

계측기 분석방안

 침하관리 방안 침하관리의 목적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실제의 측정결과 가 압밀계산으로부터 구한 것과 완전히 일치 하지 않으므로 압밀이론에 관계없이 실측침하 곡선에 적합한 곡선식을 도출 하여 앞으로의 침하를 예측한다.

그 방법에는 쌍곡선법, Hoshino법 및 Asaoka법이 있으며, 이를 다음과 같이 비교, 분석하여 장래 침하량을 예측한다 .

그림 1 실측 침하량-시간곡선도

3.

계측기 분석방안

 Hyperbolic Method 쌍곡선법은 “침하속도가 쌍곡선적으로 감소 한다”는 가정하에 초기 침하량으로 부터 장래 의 침하량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침하예측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St = So + t/(

α + βt)

Sf = So + 1/

β

여기서, St : 임의의 시간 t에서의 침하량(cm) So : 성토종료 직후의 침하량 (cm) t : 성토종료 후 경과시간(d) Sf : 최종 침하량(cm) α: 종축 절편, β : 기울기 그림 2 Hyperbolic Method 압밀도 산정 u1= St/Sf

3.

계측기 분석방안

 Hoshino Method Hoshino 법에서 침하는 시간의 평방근에 비례 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장래의 침하량을 예측. t/(St

So) 2 = Sf = So + 1/

β α + βt

여기서, St : 임의의 시간 t에서의 침하량(cm). Si : 성토종료 직후의 침하량 (cm). t : 성토종료 후 경과시간.

α

: 종축 절편 [1/(A*K) 2 ]

β

: 종축 절편 [1/A 2 ] 그림 3 Hoshino Method

 Asaoka Method Asaoka법은 1차원 압밀방정식에 의거 임의의 시점에서 침하량을 구할 수 있는 도식적인 방법을 제안.

Sf =

β

o / (

1 – β1)

여기서, Si : ti에서의 침하량 침하량(cm) Si-1 : 시간 ti-1 에서의 침하량(cm)

β

o : 종축 절편

β 1

: 실측 침하량으로 구한 계수

3.

계측기 분석방안

그림 4 Asaoka Method

3.

계측기 분석방안

 Hyperbolic Method 특징 예측방법 특 징 쌍곡선법 1. 침하량내에 2차 압밀침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예측값와 실측값은 잘 대응함 2. 예측침하량은 실측값보다 작은 값으로 예측되다가 점차 실측값과 가까워짐 3. Data 의 처 리 가 간 단 하 고 예 측 정 도 가 높 으 며 예측가능시기가 빠르다.(압밀도 70%이상에서는 오차범위 10%이내에서 예측이 가능함) 4. 시공완료후 장기간 방치한 시점의 침하량을 이용해야 하며, 시공직후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은 부적당함

3.

계측기 분석방안

 Hoshino, Asaoka Method 특징 예측방법 특 징 Hoshino Method 1. S i , T i 의 선정방법에 따라 예측정도가 크게 달라지고, 예측침하량은 실측값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측값에 근접함 2. 침 하 의 예 측 은 압 밀 도 가 작 은 단 계 에 서 도 예 측 이 가 능 하 며 , 예 측 정 도 가 높 다 .( 압 밀 도 75% 이 상 에 서 는 오차범위 10%이내에서 예측이 가능함) Asaoka Method 1. 예측침하량은 실측값보다 작게 예측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 라 실 측 값 에 근 접 한 다 .( 압 밀 도 80% 이 상 에 서 는 오차범위 10%이내에서 예측이 가능함) 2. 회 귀 직 선 을 구 할 때 에 시 간 간 격 (Δ t ) 의 채 용 방 법 은 예 측 정 도 와 거 의 무 관 하 므 로 Δ t 의 크 기 를 적 당 히 변화시키면서 이용한다.

3.

계측기 분석방안

 침하관리의 예(Hyperbolic Method) 20 18 16 14 12 10 8 6 4 2 0 -2 (DL+2.5) 재하성토 재하성토 재하성토 sand mat 준설토 매립 (DL+3.8) 준설매립완료(5/26) 재하성토 종료(8/01) 샌드매트종료(6/24) 샌드매트(6/19) (7/22) (7/27) 재하성토 시작(7/20) P.B.D 설치 (6/28) Sf = So+(1/a) So = 초기침하량 a = t/(St-So)의 기울기 양수시작일 (8/0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즉시침하발생 (17.9cm) S r = S f - S t = 1.7cm

U = St/Sf x 100 = 98.0% S 0 = 65.9cm

a = 0.0523

b = 0.1810

S t = 83.3cm

S f = 85.0cm

3.

계측기 분석방안

 안정관리 방안 안정관리의 목적 연약 지반위에 성토를 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기초지반의 지지력 부족으로 지반이 현저하게 변형되거나 지반파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계획공정에 따라 항상 기초 지반을 안정상태로 유지하면서 성토를 하기 위해서는 안정 관리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성토체의 불안전 경향 1. 성토 천단 또는 비탈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다. 2. 성토 중앙부의 침하가 급격히 증가한다. 3. 성토 비탈끝 부근 지반의 수평변위가 성토의 외측방향으로 급증한다. 4. 성토 비탈 끝 부근 지반이 융기된다. 5. 성토 작업을 중지해도 상기 2,3의 경향이 계속되며, 성토지반의 간극수압이 계속 상승한다.

3.

계측기 분석방안

 Matsuo- Kawamura Method 이 방법은 성토의 파괴 사례를 조사한바 파괴시 성토 중앙 부의 침하량 (ρ)과 δ /ρ (δ는 성토 경사면의 수평변위량)의 관계가 대개 하나의 곡선 (파괴 기준선) 으로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공중 의 측정값을 ρ-δ / ρ의 관계도 상에 플로트하여 파괴 기준선에 근접 여부에 따라 그림 5와 같이 안정, 불안정을 판단 하는 방법이다.

이방법은 성토증앙부의 침하량이 40㎝ 이상일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 그림 5

Matsuo- Kawamura

안정관리도

3.

계측기 분석방안

 Tominaga-Hashimoto Method 성토진행에 따라 S(연직침하량) - δ(수평변위량) 의 관계를 표시하여 안정관리를 하는 방법이다. -δ/S가 급증하면 전단변형이 현저하므로 불안정 -δ/S가 감소하는 경우는 압밀침하중이므로 안정 - 직선의 변곡선에서 수직선을 그려보면 a₁,a₂ 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데, 변곡점 이후의 기 울기 a₁≥0.7 또는 a₂≥ 0.5이면 불안정 그림 6

Tominaga-Hashimoto

안정관리도

3.

계측기 분석방안

 Kurihara-Ichimoto Method - 1일당 변위속도Δδ/Δt 의 한계치에 대한 값이 안정성 판단의 가장 큰 요소가 되지만 Kurihara등은 니탄 지반상에 대한 안정관 리 지표를 Δδ/Δt≤ 2 cm/day로 선정. - Δδ/Δt의 Peak 치가 과대하게 발생한 후 다음 재하까지, Δδ/Δt가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 균열이 발생되는 등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 지표부가 매우 연약한 경우, 성토의 초기 단 계에서 Δδ/Δt의 Peak치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성토시 국부적인 파괴가 발생되기 쉬우나, 성토체의 전체적 인 안정에는 무관 - 따라서 위의 판단기준은 성토공사 후반단계 의 안정관리에 유효하다. 그림 7

Kurihara Method

안정관리도

3.

계측기 분석방안

 Shibata-Sekiguch i Method - 각 단계에 대한 성토의 개시를 t=0으로 하고 등간격의 Δt시간후 성토증분 Δq 에 대한 수평 변위량 증분 ΔSh의 비를 수평변위계수라 한다. - 수평변위계수와 성토하중 (q 또는 H)의 관계를 나타내면 성토하중이 작은 범위 내 에서는 수평변위계수의 값이 크지만 성토하중이 어느값 이상이 되면 그림 8 과 같이 직선관계를 나타내며 감소한다. - 직선을 연장해서 가로축(q 또는 H)과의 교점을 극한하중강도(qf 또는 한계 성토 고 Hf)라 하고, 이 극한하중강도와 현재 성토고와의 비(qf/q) 로 안정성을 관리 할 수 있다고 제안. 1600 1400 1200 1000 600 H δ ( D) 400 200 0 0 안정 2 4 6 8 10 EMBANKMENT HEIGHT (H) 위험 12 14 BASE LINE Qf / Q= 1.4

16 18 90 그림 8 Shibata-Sekiguchi 안정관리도

3.

계측기 분석방안

 간극 수압계의 활용 1. 압밀도 산정 [1-(현재 과잉간극수압/초기 과잉간극수압)] x 100(%) 과잉간극 수압 : 측정간극수압-정수압 정수압 : 지하수위계로 구한 간극수압계 설치위치의 수두 x 물의 단위중량 초기과잉간극수압 : 성토하중이나 성토 시 Peack 치를 적용 2. 간극수압계에 의한 안정관리 ΔU = X ․ γt ․ h 일반적인 경우 X = 0.3~0.5 급속한 성토시 X = 0.6~0.8

3.

계측기 분석방안

 안정관리의 예 STA. 0+540L 지점의 Sv-Sh/Sv 관리도 2 1.6

1.2

0.8

0.4

0 0 1.0

0.8

0.9

0.2

0.4

0.6

0.8

1 sh/sv 1.2

1.4

1.6

1.8

2

3.

계측기 분석방안

 안정관리의 예 0 +5 4 0 L

지 점 의 시 간 안 정 그 래 프

2.0

1.5

1.0

0.5

0.0

11-16 12-11 01-05 01-30 02-24 03-21 04-15 05-10 06-04 06-29 07-24 08-18 09-12 경 과 일

 계측기 배치평면도

4. 시화 3공구 계측현황

 계측기 설치수량 계 측 기 명 지 표 침 하 판 층 별 침 하 계 간 극 수 압 계 지 하 수 위 계 지 중 경 사 계 프리즘 침하계 수압식 침하계 조 위 계 Type 수동 자동 수동 자동 수동 자동 수동 자동 수동 수동 수동 수동 1 단계 25개소 4개소 2개소 4개소 2개소 4개소 2개소 2개소 -

4. 시화 3공구 계측현황

2 단계 13개소 4개소 3개소 4개소 3개소 4개소 3개소 5개소 2개소 3개소 1개소 1개소 3 단계 19개소 2개소 3개소 2개소 3개소 2개소 3개소 3개소 3개소 12개소 3개소 3개소 합 계 57개소 10개소 8개소 10개소 8개소 10개소 8개소 8개소 7개소 15개소 4개소 4개소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 단지 및 도로부 계측기 배치도 계측기 배치 대표 단면도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단 지 부 지하수위계 도 로 부 점 토 층 모 래 층 P.B.D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단 지 부 경사계 침하판

 가설도로 계측기 배치도 가설도로 대표단면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Data Logger 계측 관리수위 EL.(-)1.00

Sensor 조위계 Sensor Sensor Sensor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 외각간선도로 계측기 배치도 외곽간선도로 계측기 배치 대표단면 경사계 관리수위(EL:-1.0) 외곽 간선 도로부 지표침하판 단지부 도로부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점토층 모 래 층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마운드 경사계 철새도래지

 간선수로 계측기 배치도 간선수로 계측기 배치 대표단면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CL CL 여성 지표침하판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경사계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 호안부 계측기 배치도 연결 구간 대표 단면 프리즘 침하판 지중경사계 수압식전단면침하계 Data Logger 관리수위 EL.(-)1.00

수압식전단면침하계 지중무선송수신기 수압식전단면침하계 예상 침하 범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지중경사계

4.

시화

3

공구 계측현황

 교량 기초부 계측기 배치도 계측기 배치 대표 단면 토압계 구조물경사계 지하수위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점 토 층 모 래 층 경사계 구조물경사계 토압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