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Download Report

Transcript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민족의 기억, 민족의 상상 :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김동환 사회학과

• 왜 '기억의 역사'인가. 과거에 대한 사 람들의 기억은 생활 공간에서의 의사 소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승된다. 그러나 개개인의 과거 기억이 모두 역사의 지평에 자리잡는 것은 아니다. 기억의 역사화는 항상 망각을 동반하 는 선택적 작업이다. 한 사회에서 무엇 이 기억되고 무엇이 잊혀지는가는 미 래에 일정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현재의 문맥에서 과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 다층적인 기억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 히고 다투는 가운데 사회구성원들 사 이에 일정한 정체성과 귀속감을 형성 하는 특유한 집단 기억, 즉 '기억의 문 화'가 형성된다. 이러한 문화적 기억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 라 공민 교육, 기념비, 기념식 등 유형 ·무형의 제도적 기제를 통해 전승되면 서 항상 현재적 문맥에서 재구성되며 이를 통해 해당 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이바지한다.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399

알박스

기념비를 ‘기억의 형상’

• 기억이 전승가능 하도록 지지물 필요. 대표적인 것이 공간, 시간, 상징물 예) 맥아더 동상을 둘러싼 갈등 : 인천(공간), 1950년 9월 15일(시간), 동상(상징물)

왜 역사가 아니라 기억인가?

• 현실적으로 과거와 현재를 정립한 역사적 시기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부재 • 구조에 집중하던 역사학의 호소력 부족 • 민족국가의 정체성이 약화 • 주제의 친근함

알박스의 “사회적 기억”

• 기억이론의 핵심은 기억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집단적이며 사회적인 것.

• 교회의 기억 중, 팔레스티나의 성지가 정해지는 과정을 통해서 본 “사회적 기억”

팔레스티나의 성지가 정해지는 과정

• 예수의 전기적 행적을 해당 공동체의 신념 에 따라 취사선택 - 바울과 예수의 수난, 예루살렘 • 예수운동의 여러집단의 경합 : 예루살렘파, 갈릴리파, 예수의 친척들이 지도하는 공동 체, 로마그룹.

예루살렘파가 아닌 다른 집단이 승리했다면, 예수 기억의 중심은 예루살렘이 될 수 없었을 것.

• 기원후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 : 예루살렘 성지 탄생 • 고정된 예수의 기억을 성직자들이 돌보면서 문제 발생 - 고정된 기억은 현실의 삶과 분리 - 교조주의자들의 한계

• 신비주의자들, 교회의 공식기억으로부터 분리 • 신비주의자들의 기억은 교조주의자들의 수용여부에 달려있음.

사회적 기억의 특징

• 기억은 집단적이며 사회적이다.

예) 바울중심의 분파가 교회의 공식기억 구성 • 기억은 의지적이다. 예) 예수의 전기로서의 복음서 • 기억은 선택적이다.

예) 바울의 교리는 많은 대항기억을 제압

• 기억은 권력적이다. 예) 바울교리의 추종집단의 권력이 기억으로 구성 • 기억은 재구성된다.

예) 기독교의 기억은 예수 사후 100년, 파편적 지식들의 취합되어 재구성된 것.

• 기억은 사회적 구성이 전면적인 변경일 때, 변화한다.

예) 신비주의자의 기억은 기존의 공식 기억에 병렬된 뒤, 결국은 통합

• 기억의 구성과 전 승에는 각종 장치 가 필요하다.

예) 상징, 텍스트, 의례, 기념비, 장소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 아스만의 기억에 대한 유형 분류 - 모방적 기억 : 인간의 일상행위를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 기억 - 사물의 기억 : 시간적 차원을 갖는 기억 - 소통적 기억 : 한 시대가 당대의 과거에 대하여 보유하는 기억 - 문화적 기억 : 의미를 전승해주는 기억.

• 의미를 실체화할 필요 -(알박스) 기억형상이 해당 집단의 “자화상” 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해당 집단은 기억에 의거하여 “기억공동체”로 거듭난다.

-(아스만) 사물이 상징을 통해 “사물의 기 억”을 넘어설 때, 그 사물에 시간과 정체성 의 차원이 각인. 이것이 문화적 기억

• 기억 : 특정집단 공동체 - 이 때 기억은 집단적 정체성을 담지 • 아스만의 의미와 문화적 기억은 정체성에 대한 논의로 귀착

인간의 정체성은 문화를 통해 구성

• 문화 : 행위공간을 형성해주는 “상징적인 의미세계” • 규범, 금기, 제도, 규칙, 해석 등 문화는 - 인간 내외의 자연에 대한 거리를 확보 “ 성찰의 공간”을 창출 - 자신의 충동을 억제, 세계에 대한 의미를 부여 (개인적) 정체성 획득

• 집단 정체성 : “ 성찰적으로 되어진 사회적 귀속성” - 성립조건 개인이 “문화구성체”에 참여 집단 구성원에게 공통되는 의미를 획득

• 문화구성체 : 집단 구성원의 공통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기호적 총체 예) 단어, 문장, 텍스트, 제의, 춤, 장식, 의복, 그림 등 - 인간은 문화구성체 속에서 구성원들에게 전달되는 공동의 의미를 통해 집단 정체성 을 보유. - 이 공동의 의미를 ‘지혜’와 ‘신화’로 분류

지혜’와 ‘신화’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규범적인 격언 인간은 일상적 공동 생활과 소통적 행위의 공식을 체득 규범적 의미의 유통방식 -일상적 소통 속에서 유통 형성적인 (문화적 의미) 서사 구성원들에게 정체성 을 부여 문화적 의미의 유통방식 -비일상적인 “기념비적 소통” 속에서 유통

소통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

• 모두 소통을 통해 성립 • 차이는 시간성 - 전자는 특정 집단의 당대에 공유되는 자기시대의 기억 - 후자는 그 이전 시기로부터 전승되는 기 억 - 아스만은 문화적 기억의 시간성을 강조.

이를 “절합된 상황” 개념화

문자 이전 사회의 기억은 세가지

• 최근의 과거에 관한 풍부한 기억(소통적기 억) • 그 이전 시기에 대한 몇가지 기억 • 기원에 관한 풍부한 기억(문화적 기억) • 기원에 대한 기억과 당대의 기억은 병존

기원에 대한 기억과 정초기억

• 기원에 대한 기억은 신화. 이는 현재에 대해 신성성이 부착된 서사를 지칭 • 정초기억 - 상징과 제의를 통하여 연출, 경험 예) 출애굽, 미국을 세운 국부 “ 단절, 갈등, 혁신, 혁명”, “ 망각된 것의 복원, 억압된 것의 귀환”으로 연결 - 사회적 기능에 따라 “차가운 기억”과 “뜨거운 기억” 분류

아스만에 대한 비판

• 일상이 망각의 세계. 망각은 전체주의적 지배의 구성적 조건임을 강조 - 그러나, 전체주의를 망각과 관련짓는 것 은 오류 • 지극히 ‘독일적인’ 이론. ‘ 합의, 화해’ 등으 로 귀결. - 기억의 변화를 논하는 것이 문제

기억의 변화에 대한 논의

• 베르그송의 기억 - 개인의 실존적인 체험이자 주관적인 시간 의식이고, 실용적 현재를 위하여 일반화되 는 무인격적 영상이 아니라 개인의 고유성 이 수립되는 유기적인 흐름 • 프루스트의 ‘의지적 기억’ -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주인공의 유년시절 회상

• 발터 벤야민의 기억 - 기억은 비의지적이다. 우연한 기회에 현재화되는 것 - 잠든상태(자본주의 문명)과 깨어난 직후 (자본주의 체제의 대안탐색)에 벌어지는 기 억을 통한 자아구성방식으로부터 영감을 받음 - 인간실존을 구성원칙 ▲사소한 것들에 대한 경외감 ▲난데없이 새 로운 관계 ▲초현실주의적 자세

루츠 하이머의 기억에 근거한 역사연구

장기적(장기) 기억 잠재적 기억 -인생전체를 회고적 총 괄 -표준적인 서사틀 보유 -화자의 의식 속에 담겨 있지 않음. -자체의 서사구조를 보 유하고 있지 않음

니타머의 구술사

• 정치사 및 사회사에 대한 대안 • 프로이트 삼분법을 받아들여 잠재적 기억 이 “전의식”에 위치. 여기에는 일상적 구 조와 개인의 독특한 경험이 담겨있게 됨. • 그에게 잠재적 기억은 중요. 의식의 “표준 적인 서사”는 공식기억에 의하여 윤색. 반면에 잠재적 기억은 그로부터 일탈되어 있음.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의 공간’

• 남편 얀 아스만과 “문화적 기억”을 개념화. 기억 이 머무는 장소인 “기억의 공간”을 찾아내려 함. • 기억공간은 책에서 찾음. 문자문화는 공적기억 에 편입되지 않는 엄청난 기록을 낳았음. 또한, 흔적과 폐물도 기억공간임. • 흔적은 유물에 끼지 못 하고, 전승이 침묵해버리 는 “초라한 일상”. 폐물은 “사소한 것에 대한 경 외감” 덕분에 “잃어버린 것을 모두 간직하고 잇 는 정보은행” • 기능기억과 저장기억

나오며

• 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을 “상상된 공동체” 로 규정. •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과 “정초기억” 개념 - 기원의 기억이 어떻게 지배와 결합하고, 저항하는 지를 잘 보여줌. -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의 문제점 : 기억 내 부의 갈등을 보여주지 못 하므로, 대항기 억의 생성논리가 시야에서 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