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기술개발 현황 및 보급 전망

Download Report

Transcript 풍력발전 기술개발 현황 및 보급 전망

국내풍력산업전망과 사업단의 역할
서울대학교/한국풍력기술개발사업단
이
수
갑
목
차
 풍력 발전 개요
 풍력 발전기 개발의 필요성
 국내현황
 사업단의 전략
 참고자료
풍력발전의 개요
풍력에너지의 필요성
 에너지 환경의 변화 : 에너지의 가격의 급등,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 에너지 안보 : 에너지의 해외의존 극복에 따른 에너지 안보 확보
 에너지 산업 : 21C 첨단산업으로 육성, 수출 산업 및 고용 창출 효과
 선진국에서 가능성과 경제성에 대한 검증을 끝낸 에너지원
에너지
가격의 급등
에너지
기후 협약
안보
풍력 에너지
수출 산업
고용 창출
풍력에너지의 잠재성
가용성 측면에서 가장 풍부한 신·재생에너지원
수력 에너지
4.6 X 1013 kWh
태양복사에너지
바이오 매스
152.4 X 1013 kWh
152,424 X 1013 kWh
파랑 및 해양 에너지
762.1 X 1013 kWh
풍력에너지
3,084.4 X 1013 kWh
2002 년도
세계 에너지 소비량
12.05 X 1013 kWh
Quelle:
Eurec.Agency/Eurosolar,,WIP:
Power for World – A Common Concept
정책의 중요성-풍황과 보급과의 관계
풍황 등의 물리적 요인은 기술적으로 해결 가능
국가의 의지와 제도가 가장 중요
영국
888MW
독일
16,629MW
프랑스
386MW
스페인
8,263MW
유럽 풍황 지도
유럽 풍력 발전 설치 현황(2004)
정책의 중요성-보급 제도의 중요성
 풍력 발전 보급 제도의 중요성
→ 풍황 등의 물리적 요인보다 제도적, 정치 문화적 요인이 중요
→ 전력구입 가격에 대한 제도의 유무 및 그 대책이 가장 중요한 요인
→ 고정우대가격제도(Feed-In Tariff,FIT)의 적용이 중요한 성공 요인
→ 부적절한 제도의 경우 최대의 보급 저해 요인으로 작용
국
성공사례
실패사례
독일
영국
가
스페인
프랑스
주요 전략
덴마크
FIT
(덴마크의 경우 99년까지)
스웨덴
RPS(영국),
TGC(영국,스웨덴),
FIT(프랑스)
** FIT : Feed-in Tariff, TGC: Tradable Green Certificates,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풍력 발전의 경제성
기술의 발달과 시장의 형성으로 발전 단가는 지속적으로 낮아짐
유럽의 경우 시장의 성숙으로 기존 화석 연료와 경쟁 가능한 수준
신·재생에너지원중 기존 에너지원과의 유일하게 가격 경쟁력을 가짐
화력[석탄]
화석 연료
49.3
복합발전 가스
단위 : 원/kWh
42.5
바이오 에너지
[gasfi/gener]
수력[new]
36.7 33.0
30.4
73.5
신재생에너지
풍력[5.5m/s]
광전지
[1,800 kWh/y
0
’03
20
40
60
발전단가[cents/kWh]
’08
’13
’18
’23
80
유럽 풍력 발전 단가(1유로=1300원 기준)
풍력 발전의 경제성
 전체 사회적 비용을 감안하면 기존의 에너지원보다 저렴한 에너지원
→ 사회적 비용 = 발전 단가 + 외적 비용
→ 외적 비용 : CO2 배출, 폐기물의 후처리 비용 등의 환경 비용
Social Cost of Energy
10
9
8
0.5cє/kWh
(7.7%)
External cost
6cє/kWh
(92.3%)
Internal cost
4cє/kWh
(40%)
7
Social
cost
6
5
4
3
2
6cє/kWh
(60%)
1
0
1
Wind Energy
2
Conventional
Electricity
에너지의 사회적 비용, 출처 : EWEA, The Fact
풍력 발전의 환경적 영향
 풍력발전은 기후협약을 위해 필요한 필수정책 중 한가지로서 CO2 저감에 매우 큰 효과가 있으며,
완성도 및 영향력이 큰 에너지 기술
 유럽의 경우 풍력에너지를 통해 이미 약 5천만 톤의 CO2 감소효과를 지니고 있음
⇒ 2010년까지 1억 9백만톤 감소 효과 기대
 온실효과를 야기시키는 유해가스 배출량 감소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대두됨
 유럽 풍력산업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누적총계 100억톤, 2030년까지 400억톤,
 2040년까지 약 900억톤의 CO2배출량 저감효과를 기대함
89.5
유럽의 풍력에너지를 통한
CO2 배출량 저감 효과 전망
단위: Mt/year
67.2
45.8
26.7
7.4
’01
’03
’05
’07
’09
출처 EWEA
풍력 발전기 개발 추세-대형화
기술의 발달로 점차 대형화 추세
현재 2.0MW급 상용화, 3.0MW 급 이상 실증 단계
’2003
103m
’2002
104m
’2000
80m
’1960
24m
’1996
43m
’1997
54m
풍력 발전기 대형화 추세
풍력 발전기 개발 추세-대형화
 대형화 될 수록 설치단가, 발전 단가의 저감
→ 300kW이하의 소형 풍력 발전기의 경우 설치단가 급격히 상승
→ 대형화될 수록 단위 토지 면적당 발전량, 발전 효율 증가
: 로터 지름 3배 증가시 4.3배의 용량 증가
Trends in List Price
Wind Turbine arrangement
풍력 발전기 개발 추세-대형화
 해상풍력발전
→ 육상용의 경우 1.0~2.0MW급
→ 해상용의 경우 3.0MW급 이상이 주류가 될 전망
→ 대형 풍력발전기 개발의 필요
풍력 발전기 평균 용량 전망
’2000
1.9
2.5
2
1.5
1
’1991
0.45
’2004
2.1
’1995
0.5
0.5
0
1990
1995
년
2000
2005
평균 설치 기기 용량
(MW)
평균 설치 기기 용량
(MW)
해상 풍력발전기 기기 용량
2.5
2.0
’2013
2.0
1.5
1.0
0.5
’1995
1.3
‘2008
1.5
0.0
2003
2008
년
2013
풍력 발전기 개발 추세-해상 풍력 발전
 육상풍력의 포화 및 풍력발전기의 대형화에 따라 덴마크, 독일 등 유럽주도의
해상풍력발전 적극 추진 중
→ 1991년 덴마크에서 해상풍력단지 운영 시작
→ ’04년말 기준 600MW의 해상풍력발전기 운영 중
→ 유럽의 경우 ’20년까지 70GW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전망
설치용량
(MW)
40,000
EU25 2004-2006
30,000
EU25 2006-2020
BTM consult
20,000
in operation (~600 MW)
under construction
approved
in phase of planning
EWEA target
10,000
2003 06 08 10
년
14
2020
풍력 발전기 개발 추세-해상 풍력 발전
 국내의 경우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 필요
→ 육상 풍력발전의 한계 극복
→ 3면이 바다인 풍부한 해상풍력자원 개발
 해상풍력 실증단지 및 시범단지 건설 기획 중
Seashore 후보지
Off-shore 후보지
풍력발전 기술개발 개요
풍황 자원 조사 평가
풍황조사
풍력 발전기 설계 제작
성능시험,
평가 기술
인증,
표준화
발전 단지 건설
환경영향평가
경제성 평가
바람자원
평가
Micrositing
풍력발전시스템
설계, 제작기술
계통 연계
발전단지 운용
요소부품 설계,
제작 기술
기반조성분야
풍력발전시스템분야
풍력발전단지
설계, 조성, 산업화
풍력발전기 개발의 필요성
국내 기술 개발의 필요성-시장
 2040년까지 매년 30%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040년까지 전세계 전력 공급량의 2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2025년까지 주기기 시장만 1조 5천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
 이와 같은 세계 시장의 공략을 위해 국산화 기기의 개발은 필수적임
Projected global electricity consumption and wind electricity output % figure is the
increase in global electricity demand
시장 규모
TWh/year
+1.50%
+2.47%
+2.67%
Global
TWh
Wind
TWh
15000
5000
21%
0.51%
2003
2.16%
23.26%
11.94%
시장규모
(10억$)
+2.11%
35000
25000
1500
+1.50%
1000
500
0
2005
2010
2020
2030
2040
2010
2015
년
2020
2025
국내 기술 개발의 필요성-시장
 국내 산업 기여도, 고용효과
→ 2012년 국산화를 통한 보급목표 달성시
→ 직접적으로 약 3조원의 국내 산업 육성 기여도
→ 약 5만명의 고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2012년 2,237MW 보급 기준)
년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계
보급 목표
(MW)
57
55
105
120
200
300
300
550
550
2,237
국내산업
기여도(억원)
684
660
1,260
1,440
2,400
3,600
3,600
6,600
6,600
26,684
고용효과(명)
1,254
1,210
2,310
2,640
4,400
6,600
6,600
12,100
12,100
49,254
보급 목표 달성을 통한 국내 산업 기여도와 고용 효과
국내 기술 개발의 필요성-풍황
 국내 풍황에 적합한 기기 개발
→ 유럽의 경우도 같은 용량의 기기라도 설치 장소의 풍황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사양의 기기 개발 및 생산
→ 국외 모델의 경우 국내 풍황에 적합하지 않아 효율이 낮아짐
→ 최적의 발전량의 생산과 발전 단가의 감소를 위해서는 국내 풍황에
적합한 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임
정격 풍속(m/s)
국외 1.5MW 풍력 발전기 제원 현황
16
15
14
13
12
11
10
65
70
75
80
로터 지름(m)
85
90
국내 기술 개발의 필요성-운용
 유지 보수의 문제
→ black box 형태의 제품 인도
► 시스템 제어 알고리즘과 구조 파악 어려움
► 설계조건과 다른 조건에서의 적용성 떨어짐
► 시스템의 이상유무 파악 어려움
► 문제 발생시나 풍황에 따른 상황대처 능력 떨어짐
► 기술적 종속에 따른 풍력에너지 시장 지배력 약화
► 정책이나 운영에서의 자율성 약화
→ 유지/보수 시간 다량 소요됨
► 제조사의 AS를 받아야 함
► 문제 발견에서 해결까지의 소요시간 큼
► 풍력발전기의 이용율 감소
► AS 기간 만료 후 지속적인 비용증가 및 국부 유출
다양한 풍력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다양한 시장에의 대응
→ 10~20kW급 : 도서지역 및 격오지, 농촌 등지의 독립전원용
→ 750kW~2MW급 : 육상용 및 산악지형용
→ 2MW급 이상 : 해상용
도서지역, 오지, 농촌 등(~100kW)
육상(0.75~1.5MW)
해상(2.0MW~)
다양한 풍력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용량에 따른 서로 상이한 시스템 기술 및 요소기술 필요
소 형
중형/ 준대형
대 형
블레이드
직경 20m 이하
스틸제작
가변속 운전
직경 50~80m
저소음
정속운전/가변속운전
직경100m이상
탄소 복합재
가변속운전
제어 시스템
스톨제어
피치/스톨제어
피치제어
요잉 시스템
Wind Vane
유압식/ 전기식
유압식/ 전기식
동력전달계
Direct Drive Train
Geared/Gearless Type
Geared/Multibrid Type
발전기
동기식 발전기
유도 발전기/동기 발전기
유도발전기/(영구자석형)
동기발전기
다양한 풍력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 육상, 해상의 문제
→ 운영환경의 차이(부식, 기후조건, 접근성, 유지보수의 문제 등)
→ 블레이드 회전속도에 따른 설계 및 제약조건의 차이
→ 토대(foundation) 제작 및 시스템 설치에 따른 차이
→ 전력선 연계 및 운영기술의 차이
육상용 풍력 발전기 건설 현장
해상용 풍력 발전기 건설 현장
해상용 풍력 발전기 유지/
보수
국내현황
국내 기술 개발 현황
 1970년대 : 풍력발전 개발 시작품 제작 및 시운전
 1987년 :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촉진법 제정
 1988년 :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기본 계획 수립
 1990년대 : 대형 풍력 발전 시스템 도입 설치
 중형 풍력 발전 시스템 연구 개발
 계통 연계용 풍력발전 시스템 연구 개발
 1988년~2002년 개발 투자비 195억원 지원
국내 기술 개발 현황
 준대형(0.75~2.0MW) 급 시스템 국산화 연구 개발 중
→ ㈜효성 : 750kW Geared type
→ ㈜유니슨 : 750kW Gearless type
 코윈텍 : 1.0MW Dual-rotor type
→ (유)한진 : 1.5MW system 개발
 대형(2.0MW)급 시스템 국산화 연구 개발 중
→ ㈜효성 : 2.0 MW system 개발(전력기반)
→ ㈜유니슨 : 2.0 MW Multibrid type
 해상용 초대형(3.0MW 이상) 풍력시스템 개념 및 기본 설계
→ 서울대 : 해상용 3.0MW 이상 개념 및 기본 설계
국내 기술 개발 현황
 국내 기술수준
국내 개발 현황
수준
(국외대비)
- 길이 40m 내외 대형 개발완료
- 30년의 피로수명 유지
- 공력, 구조, 피로, 소음설계 등을 포함한
중형급 개발중
60%
증속기
기술
- 2∼3단으로서 95%이상의 전달 효율을
지닌2,500kW급 증속기 실용화
- 감속기 기술을 활용한 중형급 증속기
개발중
- 신뢰성 향상 및 평가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수준임
60%
발전기
기술
- 2,500kW급 권선형 유도기기 실용화
- 1,800kW급 Ring 발전기 실용화
- 750kW 권선형 유도기기 개발중
- 750kW Ring 발전기 개발중
80%
전력연계
장치기술
- 2,500kW급 권선형 유도발전 기기 전력
연계기술 실용화
- 1,800kW급 연계형 전력변환기실용화
- 750kW 권선형 유도발전 기기 연계기술
개발 중
- 750kW 연 계 형 전 력 변 환 기 기 술 개 발
완료/평가단계
70%
타워기술
- 90∼100m 내외의 스틸,콘크리트 타워의
개발
- 다양한 용도, 다양한 형태의 저가형 타원
개발 중임
- 고신뢰도의 타워설계 및 제작기술 확보
내수 공급, 수출중임
- 해석기술 보완 필요
90%
시스템
조합기술
- 2,500kW급 용량의 시스템 조합 및 실용화
- 750kW 시스템 조합기술 개발 중이나
신뢰성 확보 및 평가기술 개발 필요
70%
시스템
해석기술
- ADAMS/Wt, Bladed등 다양한 해석 Tool의
실용화
- 5MW급의 개념설계 완료 수준
- 외 국 기 술 에 의 한 해 석 Tool 활 용 및
응용단계
- 750kW급에 대한 적용단계
50%
핵심기술
블레이드
기술
국외 현황
국내 보급 현황
양구 20,000kW
대관령 3,390kW
대관령 98,000kW
평창 20,000kW
태백 4,250kW
시화방조제
3,000kW
태백 22,550kW
안산 3,000kW
울릉도
600kW
영양 20,000kW
영덕 39,600kW
포항 660kW
새만금 4,500kW
새만금
50,000~100,000kW
월령 100kW
한경 15,700kW
한경 6,000kW
밀양 750kW
행원 9,795kW
성산 20,000kW
기설치 : 69,645 kW
예 정 : 272,250 kW
사업단의 전략
국내 풍력 발전을 위한 사업단의 전략
 기술개발 강화
→ 0.75~5MW급 (육상,해상) 발전기 개발, 실증, 보급
→ 소형풍력응용기술, 분산전원 (타 신·재생에너지와 연계)
 실용화 기반 조성
→ 설비인증, 성능평가, 실증연구단지, Green Village
 보급활성화
→ 풍력자원 DB구축, 대형 민간단지 조성유도
→ 차액보전, RPS, 기금조성
 국제협력강화
→ WWEA, EWEA, IEA 등 국제 기구 활동 강화
→ 한·중·일 등 동북아시아 국제공동연구 추진
기술 개발 전략 (~2018)
1단계(04~07)
기술자립 및
산업화구축
2단계(08~12)
기술 고도화
3단계(13~18)
고부가가치
사업화
중대형급 750kW~2.0MW
대형급 2.0~3.0MW
초대형급 3MW 이상
풍력발전기 개발·상용화
풍력발전기 개발·상용화
풍력발전기 개발·상용화
• 산업화를 위한 각종 기준/규
격 정비
• 0.75~1.5MW급 풍력발전
기 국내 대량보급 및 수출
• 대 형 급 2.0~3.0MW 풍 력
발전기 대량보급 및 수출
•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의 국
내 기반 구축
• 해양풍력 자원 DB구축 및
기반 기술 구축 (시범사업실
시)
• 국산 해상용 3.0~6.0MW급
풍력발전 시스템의 상용화
• 중대형 풍력발전기 국내 생
산 기반 구축
• 2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 및 실증 연구
• 초대형(3MW급 이상) 해상
풍력 발전 시스템 개념 설계
• 주요 구성기기의 해외수출
• 분산발전기술 확립
• 해상용 수 MW급 초대형 풍
력 발전 시스템 국산화 개발
• 풍력발전시스템의 해외
수출 확대
• 타 전원과의 연계·응용기술
의 개발
시스템 개발 국가 기술지도
단 계 별
중점목표
1단계 : 기술자립및 산업화 구축
(2004 ~ 2007)
2단계 : 기술고도화
(2008 ~ 2012)
3단계 : 고부가가치 산업화
(2013 ~ 2018)
준대형 풍력발전시스템 상용화
요소부품 개발 국내 기반 구축
대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요소부품 국산화 및 수출
대형풍력시스템 수출기반확보
응용성 확대기술 실증/ 상품화
대규모 육상풍력발전단지 발굴
육상풍력
시 스 템
요소기술 설계/ 해석기술 확보
대규모 육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요소기술 국산화 및 수출기반 마련
준대형급 발전기 실증 보급 및
750kW급 발전기 실증
요수보품/ 시스템 수출시장 개척
2MW급 발전기 설게 제작
2MW급 발전기 실증
2MW급 해상용 개조/ 제작
해상풍력
2MW급 발전기 실증
해상풍력발전기 요소설계 기술확보
3MW급 개념설계
3MW급 해상풍력발전기 설계제작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발굴
시 스 템
해상풍력발전기 요소기술 국산화
10kW급 설계/제작
10kW급 실증
100kW급 설계/제작
요소부품/ 시스템
5~6MW급 발전기 실증
수출시장 개척
국내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
100kW급 실증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실증 보급 및
3MW급 발전기 실증
5~6MW급 해상풍력발전기 설계제작
시 스 템
소형풍력
아시아지역 육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준대형급 발전기 실증 보급 및
요수보품/ 시스템 수출시장 개척
기반 조성 전략 (~2018)
1단계(04~07)
2단계(08~12)
3단계(13~18)
기반조성 및
기술 자립 및
고부가가치
기술 확보
국제화 대비
사업화
• 육상 및 해상 풍력자원 지도
작성
• 중규모 기상 예측 및 국내 지
형에 적합한 풍황 예측 기술개
발
• 국지 풍황 예측 기술 확립
및 계통과의 조화를 위한 풍
력 예보기술 연구
• 해상 풍력에 의한 해양 환
경 연구
• 육,해상 풍력 자원 잠재량 평
가
• IT 기반의 분산전원 네트워
크
• 환경문제 연구
• IT 기반의 시스템 감시, 진
단 기술 개발 및 적용
•성능평가 및 실증 단지 조성
• 성능 평가 절차 개발
• 전국 풍력단지 계통연계 및
최적 운영 기술 개발
• 풍력자원지도 정밀화 수행
• 초대형 해상 풍력발전 단지
계통 연계 운영 기술 및 발전
량 예측
• 타 전원과 연계 기술 개발
• 심해용 부유형 해상풍력 단
지 조성 기술 개발
• 기반 조성 기술 해외응용성
확대 기술의 실증 및 상품화
풍력자원 분야 설계 국가기술지도
단 계 별
중점목표
풍력자원
조
2단계 : 기술고도화
(2008 ~ 2012)
3단계 : 고부가가치 산업화
(2013 ~ 2018)
풍력자원 DB구축 및
예측기술개발
풍력자원 예측시스템 구축
및 해양풍력자원 DB구축
장기보급기반 구축 실용화 및
지속적 DB화
기상관측자료
국내
DB 구축
광역
사
분
석
풍력자원
상세예측
및
예보기술
국내통합
풍력자원 잠재량 평가
광역 풍력
풍력
풍력자원계측 분석
및
개
1단계 : 기술자립및 산업화 구축
(2004 ~ 2007)
자원
지도
통계적 분석기술 연구
자원지도
풍력자원 실시간 모니터링
풍력자원지도 정밀화 보완
작
성
작성
풍력자원
예측모델의
상세예측
평가 및 검증
풍력자원 예보시스템 구축
풍력발전
예보시스템
지리정보 DB
구
축
풍력자원 예측시스템 구축
기상정보 DB
발
전력계통 DB
풍력발전단지
최적설계 Tool 개발
최적설계모델 평가
단지최적
설계기술
경제성 분석 Tool 개발
풍력발전사업 가이드라인 구축
실시간 감시/ 진단
최적설계
기술확보
/ 발전사업
가이드라인
구
축
연계 분야 국가기술지도
단 계 별
중점목표
전기품질
측정/ 평가
연계계통
보호협조
출
력
1단계 : 기술자립및 산업화 구축
(2004 ~ 2007)
2단계 : 기술고도화
(2008 ~ 2012)
3단계 : 고부가가치 산업화
(2013 ~ 2018)
계통연계 설계/ 해석기술
Micro Grid 연계기술
IT기반 계통연계 기술
전압, 주파수, 고조파 안정기술
전기품질
전기품질 측정기술
평가기술
전기품질 분석기술
전기품질 평가기술
기존계통 보호협조 검토
확
계통과의
풍력과의 연계 보호협조
연계기술
디지털 보호기술 적용
상호 협조 확립
직/교류 변환기술 적용
확
광범위 연계영역 기술
술
타 전원과의
유도발전기 출력안정화 기술
립
안정출력
안 정 화
기
보
동기발전기 출력안정화 기술
단독/소수 발전시스템과 연계
복수대의 다양한 타전원과 연계
대단위 복합 에너지 시스템
(태양광, 디젤, 마이크로 터빈)
(담수화, 수소제조, 발전설비 등)
네트워크의 연계
연계기술
기술확보
IT 기반
연계기술
연계지침/ 기준의 제정
연계기준/ 지침, 부하분석
무선계량, 계측, 진단
보급 사업 전략 (~2018)
1단계(04~07)
2단계(08~12)
3단계(13~18)
보급기반구축 및
육상풍력단지
해상풍력단지
지원제도 확립
성숙화
성숙화
• 국가 보급 프로그램 수립 및
기반 구축
• 국가 시범 보급단지 건설
• 보급 및 단지화를 위한 인프
라 구축
10MW 해상 시범단지
• 전력구매 지원제도 정비
• 개발된 750kW급 풍력발전
시스템의 실증,상품화
• 2.0MW급 풍력발전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 및 실증
• 민간주도 풍력발전단지 육성
및 지원
100MW 육상 시범단지
• 국산화 풍력발전기의 적극
적 보급
• 민간주도 풍력발전단지 육
성 및 지원
• 해상 풍력발전단지 지원제
도 확충
• 국산 풍력발전기 수출 지원
• 해상 시범단지 건설 :
400MW 시범 단지건설
• 해상 풍력 중심의 보급 정착
보급사업 분야 국가기술지도
단 계 별
중점목표
1단계 : 기술자립및 산업화 구축
(2004 ~ 2007)
2단계 : 기술고도화
(2008 ~ 2012)
3단계 : 고부가가치 산업화
(2013 ~ 2018)
보급기반 구축 & 지원제도 확립
육상풍력단지 성숙화
해상풍력단지 성숙화
및 기술고도화
국가보급프로그램 수립
국가보급
프로그램
운전실적 모니터링 DB구축
수립 및
전력구매지원제도 정비
337MW
2,237MW
8,200MW
(’07)
(’12)
(’18)
보급기반
구
기반구축
축
Offshore 지원제도 확충
국가시범
보급단지
건
설
육상풍력
100MW 육상 시범단지 건설
500MW
시범단지
10MW 해상 실험단지
400MW 해상 실험단지 건설
민간주도 육상풍력발전단지 건설
단지건설
해상풍력
단지건설
민간주도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건
설
육상풍력
중심보급
정착(’12)
1,600MW
해상풍력
중심보급
정착(’18)
5,000MW
정치권/ 제도권에의 요망
 세계적 추세에 따른 풍력발전의 당위성에 대한 국민적 합의 조성
 독자적 선도기술 개발의 필요성 인식
→ 풍력발전에 성공한 선진국의 경우 모두 자국 기술을 갖추고 생산하고 있음
→ 풍력산업의 산업화와 수출 기반의 육성을 위해서는 국내 독자기술 및 이에
바탕한 국내 업체의 선택적 집중 육성 필요
 효율적인 사업수행을 위해서는 권한과 책임이 분명한 추진체계가 필요
 국내 개발 풍력 발전기 보급 기반 마련을 위한 직간접적 제도 정비필요
Q&A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http://kwedo.or.kr/
참고자료
국내 풍력 발전의 이슈(1)
 Issue 1: 우리나라의 풍황상황
 국내 풍황이 매우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독일의 경우에 비추어 볼 때, 풍황자원 자체 보다는 정책의지가
더욱 중요함
 풍황에따라 1, 2, 3급 지역으로 나누어(독일), 차액지원제도의 차
등 적용필요
 국가적 차원에서 계속적인 풍황 자원 조사의 필요
 Issue 2: 우리나라의 풍력시장의 규모
 풍력시장은 세계적으로 년 35%에 육박하는 성장률을 보임
 다른 사업분야 역시 국내뿐 아니라 수출을 염두에 두어야 함
 해양풍력과 수출 등을 생각하면 가능성이 높음 (세계적 기술수
준 확보 필수)
국내 풍력 발전의 이슈(2)
 Issue 3: 풍력기술 후발주자로서의 현재위치
 사업단 주도의 기술개발현황
• 소형: 10kW, 100kW (준마, 한진산업) – 도서벽지, 수출
• 중형: 750 kW (효성,유니슨) – 산간, 수출
• 대형: 2MW (효성, 유니슨) 3MW(미정) – 육상, 해상단지, 수출
 기술개발의 목적:
• 기술도입 후 제품생산 보다는 독자적 설계기술이 중요
• 원천기술의 확보 없이는 기술 및 시장의 독립성 확보 불가능
• 기술개발 속도가 아니라, 개발된 기술의 질적 성장이 중요
국내 풍력 발전의 이슈(3)
 Issue 4: 기술개발 필요성
 풍력발전의 경우 3개 사업단 중 기술개발의 보급 연계성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분야
 발전사업자: 기술개발(국산화, 독자기술)에 소극/부정적 (보전액
수에 민감)
 기기사업자: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절감, 그 회사의 BM에 따라
다양한 시각
• 소규모시스템업체: 설계도면도입, 컨설팅의뢰, 부분기술도
입 후 제품생산
• 대규모시스템업체: 세계선도업체로서의 입지위한 원천/독자
기술중시
• 요소기기업체: 해당업체의 BM에 따라 기술개발
 국가기술개발 자금의 선택과 집중, 그리고 신중한 기획 절실
국내 풍력 발전의 이슈(4)
 Issue 5: 과거 대체에너지 분야 기술투자 효과
 01년까지는 공단 주도하의 부분적 기술개발, 미미한 수준의 투자
 본격적인 기술개발 투자는 2002년 부터 시작 (사업단 출범은 04년)
 효율적인 사업수행을 위해 권한과 책임이 분명한 추진체계가 필요
 Issue 6: 보급과 기술개발의 균형감각
 발전업체주장: 보급없이 기술개발 없다. 보급 후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 기기업체주장: 보급을 서둘면 외국업체 잔치가 된다.
국내보급프로그램과 국산화 기술개발속도의 균형감각 필요
국내 풍력 발전의 이슈(5)
 Issue 7: 보급을 위한 제도 정비
 발전차액보전제도의 불확실성
• 107.66원의 적정성 문제 (태양광 703원?)
• 2006년 10월 한도의 불확실성 내포
 행정처리의 간소화 (One-stop 제도) 미비
 계통연계비용 (한전 민영화후 사용료 징수 예정)
 Issue 8: 해당지역의 민원
 토지수용 및 환경영향(소음 등)에 대한 민원 및 분쟁의 소지 가능성
존재
 풍력단지 조성시 지역주민의 프로젝트 참여 모델 개발(주식공모)
등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