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의 사례 1. - Chohanlab.net

Download Report

Transcript 3) 한국의 사례 1. - Chohanlab.net

선영이 이야기 [

청소년’에 대한 질문에서 마을을 만들기 까지 ]

후기 근대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비전과 방향

조한 혜정 (趙韓 惠淨)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센터장) 일 시 : 2006년 12월 2일 (화) 주 최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누가 ‘청소년’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1) 청소년이란 단어와 연령 범위 2) 근대화와 청소년 주체 형성

2-1) 근대 형성기 (18C ~ 1980) 2-2) 후기근대적 움직임 고실업, 불확실성의 시대로 진입 (1980 ~ )

3) 한국의 사례

3-1) 국민국가 형성과 학교화 1> 학생/근로(불우) 청소년의 이분법 (1970 ~ ) 2> 학생/불량 청소년의 이분법 (1979 ~ 1995) 3-2) 소비대중사회의 탈학교화 1> 학생/청소년의 이분법 (1988 ~ ) 2> 학생/소비자의 이분법 (1990 ~ ) 3> 입시생/문화생산자의 이분법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1> 체제 안 사람과 체제 밖 사랍들 2> 공동체 기반의 붕괴와 새로운 삶의 방식 3> 세 가지 “학교” 형태

4) 글로벌 시대, 평생학습이 가능한 마을 만들기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1) 청소년이란 단어와 연령 범위 단 어 : 청소년 = 청년 + 소년?

청소년 = 청년 – 소년?

연 령 : 한국 – 청소년 기본법 (1991) : 9세 ~ 24세 관행 13세 ~ 18세 (1318) 유럽 – 18세 ~ 24세 24세 ~ 30+ (NEET) 소 년 청 년 미성년 출입금지

/

청소년 보호 의 존 자 립 과도기

/

준비기

3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2) 근대화와 청소년 주체 형성 2-1) 근대 형성기 (18C ~ 1980) 1) 유럽 : 핵심 정치 세력으로서의 ‘청년’의 부상 (프랑스 시민 혁명의 주체)

<

조르주 당통

: Georges Jacques Danton > <

프랑스 시민 혁명

> 4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2) 근대화와 청소년 주체 형성 2-1) 근대 형성기 (18C ~ 1980) 2) 미국 : 기성 문화에 대한 반(反)문화로서의 youth culture – 적극적 문화주체로 부상 - 1947년 7월 7일 모터갱 – 폭주족의 홀리스터 도시 점거 사건 ( ‘ 사춘기’의 출현) - 1960년대 제임스 딘의 (이유없는 반항), 엘비스 프레슬리와 Rook 세대 - 1970년대 히피와 반문화(counter culture)운동, 비틀즈와 청년 대중문화

<70

년대 한국

-

장발단속

> <

록밴드

> <

비틀즈

> <

제임스 딘

:

이유없는 반항

> 5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2) 근대화와 청소년 주체 형성 2-2) 후기 근대적 움직임 고실업, 불확실성의 시대로 진입 (1980 ~ ) 1) 학교와 사회 중간의 시공간에 머물려는 청소년 : 스쾃(squatter), 니트족의 출현 2) ‘ 정당성의 위기’ ‘동기상의 위기’ (하버마스:1983) 3) 폭력화ㆍ무기력화 현상

<

위르겐 하버마스

> <

히피ㆍ펑크

> 6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1) 국민국가 형성과 학교화 1> 학생/근로(불우) 청소년의 이분법 (1970 ~ ) 1) ‘ 학생’이라는 신분에 대한 선망 2) 불우청소년 : 가정 경제 사정으로 학교에 못 가는 ‘불우한’ 경우 - 국가에서 ‘소외계층’을 위해 근로 청소년 회관 설립 (내무부) - 야학에서 ‘향학열을 불태우는’ 불우한 산업역군 (보건사회부) - 미성년 범죄자 (법무부)

<

서울 남부 근로 청소년회관

> 7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1) 국민국가 형성기의 학교화 2> 학생/불량 청소년의 이분법 (1979 ~ 1995) 1) 1979년 93.4% : 중학 진학 90.7% : 고등학교 진학 2) 학교 안가는 ‘비학생 청소년’ = ‘ 불량 청소년’ (검문대상) 3) 1980년 이후 군사정권 : 교육 평준화 정책 : 중/고 입시 폐지, 과외 금지 (전두환) 4) 민주화 운동의 침투를 막기 위해 교내 서클 활동 중지, 폐쇄적 통제적인 학교

<

학생운동

> <1990

년대 중고생 象

> <

체육하는 청소년

> 8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2) 소비대중사회의 탈학교화

<88

서울올림픽

>

1> 학생/청소년의 이분법 (1988 ~ ) : 국가에 의해 만들어진 청소년 공간 1) ’ 88서울 올림픽 이후 정부에서 청소년 육성 정책 수립 : 청소년 육성법 재정 (1987년) - 1990년 체육부 -> 체육 청소년 부로 개명 - 청소년 기본법 (1991년) ㆍ청소년 개발원 서립 2) 청소년 방과후 활동 : 입시공부를 보완하는 과외활동 ‘ 호연지기’를 기르는 야외 활동 (거대 청소년 수련원) - 다양한 서클 활동 장려 (지역 청소년 수련관) 3) 국민의 정부 청소년 헌장 제정 (1997) : 정책방향 수정 ‘선도 , 보호’에서 ‘육성’으로 청소년 보호위원회와 문화관광부의 입장 차이 , 현재의 국가 청소년 위윈회와 여성가정청소년부 논의 청소년 육성법 제 1조

이 법은 청소년의 인격형성을 도모하고, 청소년의 보호, 육성, 선도 및 지원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 로 추진함으로써 청소년이 국가, 사회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건실하고 유능한 국민으로 성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9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

평창 청소년 수련원

: 1998

11

14

일 개원

> <

학생들의 풍물놀이

> 10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2) 소비대중사회의 탈학교화 2> 학생/소비자의 이분법 (1990) : ‘시장’에 의해 만들어진 청소년 공간 1) 소비세대의 등장 : ‘ 압구정 오렌지족’ ( ‘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발간) 2) 1318 신세대, N 세대 , X 세대 , I 세대 , V 세대 …. 3) 패션, 코스프레, 브랜드 상품, 인터넷 ( 나이키와 거리 농구장 , 노래방 , 피시방 , 호프집 , 청소년 패션 거리 ) 4) ‘ 엄숙한 학교’와 ‘선정적 시장’ 사이의 청소년

<

압구정

: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

현실문화연구

, 1992)> <

압구정 로데오 거리

> <

코스프레

> 11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2) 소비대중사회의 탈학교화 3> 입시생/문화생산자의 이분법 : 소비대중문화의 향유자 + 인터넷시대의 문화적 주체 1) ‘ 교실붕괴’와 학교이탈자 ‘탈학교생’, 적극적 등교 거부자 등장 ( ‘ 자퇴일기’ 발간, 홈스쿨링) 2) ‘ 서태지와 아이들’ 그룹 리더인 고교 중퇴생 서태지의 압도적 영향 ( “ 됐어, 됐어, 이제 그런 가르침은 됐어, 그걸로 족해, 족해” ; 교실 이데아 중에서) 3) 편의점, 피시방, 주유소 아르바이트 등으로 경제 자립 가능, 가정해체.

4) 소비대중문화 향유자+인터넷시대 문화적 주체, 대안적 삶, 직업 진로 추구 – 문화산업, 인터넷 -> 대안학교진학

<

네 멋대로 해라

:

김현진

> <

자퇴일기

:

탈학교모임친구들

>

히데

> <

서태지

> 12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1> 체제 안 사람과 체제 밖 사람들 : 프리타 히키코모리와 니트족 1) 한국 2004년 기준 15 ~ 30세 인구의 8.4% (121만명중 40만명은 구직 니트족) 2) 1997 ~ 2002 : 일본 비구직 니트족 71만 6천 -> 84만 7천 (18.3% 증가) : 한국 비구직 니트족 31만 8천 -> 59만 5천 (86.1% 증가) (2006 년 2 월 1 일자 서울신문 – 한국 노동 연구원 : 남재량 “청년 니트의 실체” ) 3) 2003년 12월 일본정부의 ‘청소년 육성 시책 대강령’ 핵심 과제 – 사회적 자립지원 ‘청소년 자립 및 도전 전략회의 “ 관련장관들로 구성 4) ‘ 위험사회’의 성찰적 프로젝트 : ‘ 하면된다’ -> ‘ 해도 안 된다’ 자기결정 회피, 자기 완결적 사고에 갇힌 아이들

13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1> 체제 안 사람과 체제 밖 사람들 : 부모에 의해 고도기획관리되는 아이들과 방치되는 아이들 다시 교복을 좋아 하는 청소년들 무기력한 청소년 “ 친구도 공부도 싫다” 입시학원가 청소년들

,

공부에 몰두하는 인터넷 폐인

,

니트족

(

은둔형 외톨이들

) 14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2> 공동체 기반의 붕괴와 새로운 삶의 방식 1)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계급 양극화 : 20대 80의 사회 (슈만과 마르틴), 공동체 기반의 붕괴와 도태에 대한 불 안, 10대 90 하류 사회론 2) 조기 유학과 기러기 가족 : 고액 사교육비와 영어 연수, 자립형 사립고 논쟁, 창의적 아이들을 위한 학습의 장 3) 서태지 세대(문화적 주체, 프리타) : 포스트 서태지 세대(장기결석, 자살, 만성화된 불안과 무기력증, 자폐족과 니트족의 증가) 창의력 / 개체 / 개성 -> 돌봄 / 관계 / 공동체, 혁신, 개혁 -> 보수화, 안정화 지향

<

조기 유학

> <

하버드 대학과 민족 사관학교

> 15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3) 한국의 사례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3> 세 가지 ‘학교” 형태 1) 실업과 가정해체로 인한 ‘집 없는 청소년’ 증가 – 그룹홈학교 2) 시민들이 만드는 학교 - 마을학교 3) 새로운 학교 – Global Creative Commons Network

<

그룹 홈

:

들꽃 피는 마을

하자 작업장 학교

2001> 1995> <

학부모들이 만든 대안학교

:

성미산 학교

2004> 16

1.

누가 청소년 이며, 누가 청소년을 말하는가?

4) 글로벌 시대, 평생학습이 가능한 마을 만들기 3-3)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재학교화 (1997 ~ ) 4> 세 가지 키워드 1) 작은 학교를 중심으로 사회를 재편한다 : 노동과 삶의 회복 2) 토건국가를 넘어서 돌봄 사회로 : “ 차가운 근대”에서 “따뜻한(후기) 근대”로 사회를 재편한다.

3) 창조적 공공 영역 : Creative Commons – 아시아 창의 교육 정상 회의 (Creative Education Summit 2006)

<

가족의 탄생

> <

메종 드 히미코

>

< Asia-Cultural Cooperation Forum 2006 in Hong Kong >

17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