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표정 관리

Download Report

Transcript 얼굴표정 관리

제 2 절 얼굴표정

1. 얼굴표정 관리

얼굴 표정이란

?

 얼굴, 특히 눈 주위의 부분은 비언어적 메시지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가장 중요 한 부분임.

- 타인과 만나는 동안 항상 집중해서 보는 부분이 얼굴임.

- 얼굴은 감정 표현에 있어 주요 수단이다.

행복 불쾌 슬픔 화남 놀람

감정표현과 얼굴표정 관리  감정 표현 얼굴표정: 감정의 형태 파악 신체 : 감정의 강도(intensity) 파악  인간의 얼굴표정은 항상 진실된 것인가?

내적으로 느끼는 감정 – 보편적 , 외부로 표현되는 감정 ( 감정표현 ) – 보편적이 아닐 수 있다 . Ex) 영안실 조문 , 노처녀의 친구 결혼식 , 여자친구 앞에서 굴러 넘어졌을 때 또는 깡패를 만 났을 때 , ????????????

 얼굴표정 관리 실제 감정과 감정표현 행동을 분리하는 것. 즉, 얼굴표정의 통제 Why ?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서 어려서부터 습득한 능력.

“ 남자 녀석이 울긴 … .

” “ 왜 이리 가볍니? 애가..호들갑이야 …” 올림픽 게임 시상식에서의 선수들의 얼굴표정 1등 선수의 얼굴표정 ?

2등 선수의 얼굴표정 ?

3등 선수의 얼굴표정 ?

1)

강화

(intensification)

 표현의 강화란 실제 느끼는 바를 과장하는 것  상대방의 관심 표현을 위한 기법, 문화권마다 표현의 강화정도는 다를 수 있음.

2)

완화

(deintensification)

 강화와 반대개념, 즉 특정 감정에 관한 얼굴 표정을 완화하는 것.

 상황에 따라 사람들은 진짜로 느끼는 감정을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문화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배운 감정을 경험할 경우 표현의 완화가 발생함.

※ 영국: 거의 모든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음.

한국: 남자들이 일반적으로 두려움 또는 슬픔에 대해서 크게 표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

(장례식에서 집안의 가장일 경우 or 직장에서 선생님, 의사, 관리자와 같은 직종),집단 내의 리더.

3)

중화

(neutralization)

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얼굴 표정관리 기법을 중화라고 하며, 얼굴 표정을 중화한다 는 것 은 기본적으로 어떤 감정 표현도 하지 않는 것 을 의미함.  실제 일상 생활에서 두려움 또는 화남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피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사람들 은 이러한 감정에 대한 표현을 중화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 Ex: 포커 페이스, 비즈니스 거래

4)

가장

(masking)

 느끼는 감정에 관련된 표현을 억압하고 특정 상황에 적절한 표현으로 대치하는 것을 의 미함.

대회에서 상대방에게 우승이 돌아갔을 때 우승자를 위해 행복함과 즐거움을 표현하고 자신의 실망 표현 은 피해야 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 일본 사람

= masters of masking

 감정 노동 (emotional labor) 서비스 생산자의 중요한 직무의 하나

제 2 절 얼굴표정

2. 얼굴 각 부위와 커뮤니케이션

[얼굴하단] [눈과눈꺼풀] [눈썹과 이마]

얼굴의 하단 뺨 : 사람의 진실된 감정을 가장 잘 표현하는 부분

FAST

눈과 눈꺼풀  창피, 당황-양쪽 뺨 중앙부분  화-뺨 전체, 머리까지 확산  극도의 놀람-뺨이 창백 입 : 표현기능 심심함, 관심, 에로틱한 감정, 슬 픔, 행복, 경멸, 불만, 화남, 공포, 반항, 놀람 등 다양한 감정의 표현 이 가능함. 눈썹 및 이마 부 분 눈썹과 이마부분은 많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 눈썹을 내리는 행위 -찌푸린 얼굴, 불쾌감  눈썹을 치켜올리는 행위-관심  눈썹을 많이 치켜올리는 행위-놀람, 공포  눈썹을 치켜 뜨면서 유지하는 행위-질문이 있다는 의미  찌푸러진 눈썹-만성적 아픔, 걱정, 슬픔, 극도의 불만  순식간에 눈썹을 올렸다 내리는 행위-감사, 인사, 호의적 인정, 가벼운 놀람

제 2 절 얼굴표정

3. 얼굴표정 통제의 어려움 및 해석의 한계

1)

얼굴표정 통제의 어려움  일상적인 얼굴표정 관리로 인하여 사람들의 진실된 내적 감정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 한가?

- 전문 배우가 아닌 이상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사회적 배우로서 사람들은 완벽한 얼굴 표정 관리를 하지 못하는 편이다.

- 순간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누설하는 단서를 외부에 흘린다.

Ex: 1등 상을 타인에게 돌아간다는 발표를 접하는 순간

2)

얼굴표정 해석의 어려움  얼굴로 진실된 감정이 표현된다 하더라도 타인은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가?

- 응시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 대화 동안 약 50% 정도 얼굴을 쳐다봄 (공손, 째려보는 인상을 주기 않기 위해) - 얼굴 이외에 다른 메시지에 집중

제 3 절 응시

1. 응시의 일반적 분류

1)

상호 응시

(mutual gaze)

 두 사람이 서로 마주보고 쳐다보는 것.(눈 접촉이 일어남)

2)

일방 응시

(one-side look)

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얼굴을 쳐다보는 것.(눈 접촉이 일어나지 않음)

3)

응시 생략

(gaze omission)

 상대방을 쳐다 보지 않지만 그 응시 기피 행위가 의도적인 것이 아님.

4)

응시 회피

(gaze aversion)

 두 사람이 만나는 과정에서 상대방이 쳐다보는 데에도 불구하고 마주 보는 것을 회피하 게 하는 경우. (의도적인 행위이며 일종의 기피행위)  보통 의식적으로 행하며 어느 정도 쳐다보지 않으려는 동기를 지니고 있음.  상대방의 이야기에 관심이 없다는 신호일 수 있음.  상대방에게 자신의 현재 감정상태를 알리기 싫어서 일 수도 있음.

 상대방과 더 이상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일 수도 있음.

제 3 절 응시

2. 응시와 커뮤니케이션

1)

인간관계 성립  타인을 쳐다보는 행동은 인간관계를 성립시키기 위한 일종의 유인의 의미  최초의 인간관계는 보통 서로 응시하고 눈 접촉을 유지하는 것으로 시작됨.  처음 적절한 신호(응시)를 받지 않고 상대방에게 접근해서 관계를 시작한다는 것은 매 우 어려운 일임.

2)

인간관계 성격  응시의 형태와 양에 따라 특정 인간관계의 성격을 알 수 있음.

형태 높은 지위 양 눈 접촉이 적음

Why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관찰할 필요를 적 게 느낌 .

낮은 지위 일반적인 인간관 계 눈 접촉을 많이 하려 함 .  높은 지위의 상대방을 응시함으로써 존경을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음 . 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관찰을 중요하게 생각함 . 눈 접촉을 多 눈 접촉의 회피

이런 행위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

  상대방에게 좀더 친해지고 싶다는 것을 알림 .

 에 상대방에게 관심이 있으며 , 상대방의 이야기 흥미 있어 한다는 의미 . 상대방의 빠른 접근을 경계하는 신호 아시아 권의 경우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쳐다보는 행위는 불손한 행위로 간주함

.

3)

감정표현  얼굴의 눈 부위는 얼굴 부위에서 인간이 가장 통제하기 어려운 부분 으로 간주하고 있음.  따라서 보다 더 정확한 감정 상태를 눈을 통하여 알 수 있음.  인간의 감정 중 눈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공포, 싫어함, 화남, 행복, 슬픔 등을 가장 잘 알 수 있다고 함.

행복 기쁨 우울 슬픔 곤란 화남

4)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통제 및 조절  눈은 두 사람간의 인간관계에서 유지되는 커뮤니케이션을 통제하고 조절하는데 매우 효과 적이다.

1 청취할 때 눈 접촉 多 말할 때 눈 접촉 少 2 이야기 순서를 교대하려는 경우 청취자 눈 접촉을 증가시킴 화자 청취자 눈 접촉을 감소시킴 3 눈 접촉의 단절 상호 작용의 종료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단서 화자

제 3 절 응시

3. 응시와 개인차이

 대인간의 상호작용에서 표준 응시 지속기간은 개인적 차이가 존재한다.  사람의 성, 성격, 인정 및 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음.

1)

문화  인종 및 문화 환경은 응시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문화권 응시행위 남미, 남유럽, 아랍 계통 북유럽, 인도 및 파키스탄, 아시 아지역 한국 이야기할 때나 들을 때 직접적으로 서로 응시 몸은 상대방을 향하나 눈은 바닥이나 빈 공간을 쳐다보 고 서로 응시를 하지 않는 경향이 많음.

다른 문화권 사람보다 눈을 잘 관찰하는 버릇이 있음,

2)

상황  커뮤니케이션의 상황은 상호작용 과정에서 응시행위의 양과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 사람들은 상대방을 설득하려고 시도할 때 더 많은 응시행위를 한다. 응시 기간 설득 상황, 안 락, 흥미, 행 복 당황, 죄책감, 슬픔, 응시량

3)

성격  개인의 성격에 따라 대화 중 눈 접촉의 양이 달라진다.

※ 애정 & 사교 등에 강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은 상대방에게 많은 눈 접촉을 하는 경향이 있 음.

지배적 성격, 권위적 성격, 외향적 성격사람 들은 눈 접촉이 더 많음.

4)

성  남성보다 여성이 응시행위를 많이 한다. ※ 실제 눈 접촉의 양은 동성끼리의 만남, 즉 남성 과 남성, 여성과 여성의 경우가 이성보다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