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캐리어 모델링

Download Report

Transcript 2장. 캐리어 모델링

2.4.State and Carrier Distributions
2.4.1. Density of States
-Density of States (준위밀도, 상태밀도):
.캐리어 분포와 농도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준위의 에너지 밀도.
.전도대역과 가전자대역 내에 에너지 준위, E에 얼마나
많은 States들이 존재할 수 있는가를 나타냄.
m*n 2mn* ( E - EC )
g C (E) 
, E  EC
2 3
π 
g V (E) 
m*p 2m*p ( EV - E )
π 
2 3
, E  EV
(2.6a)
(2.6b)
-gc(E)가 Ec일 때 gc(E) = 0 ; 전도대역 속으로 상승할수록 에너
지의 제곱근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한다.
- gv(E) 가 Ev일 때 gv(E) = 0 ; 가전자대역 속으로 내려갈수록
에너지의 제곱근에 따라 증가한다.
g C E dE/(E  E C )이면에너지대역 E와 E  dE사이에 놓인 cm3당
전도대역 준위의 수
g V E dE/(E  E V )이면에너지대역 E와 E  dE사이에 놓인 cm3당
가전도대역 준위의 수
2.4.2.Fermi-Dirac Distribution Functions
-에너지 E에 얼마나 많은 준위들이 전자로 채워질 수 있는지
말해준다.
f (E) 
1 e
여기에서,
1
( E  E F ) / kT
(2.7)
EF  페르미에너지혹은 페르미준위.
k  볼츠만 상수 ( k  8.617  10-5 eV/K)
T  절대온도. (K)
2.4.3. Equilibrium distribution of Carriers
2.5.평형 상태의 캐리어 농도
2.5.1.n과 p의 공식
n
E top
p
EV
EC
g c ( E ) f ( E ) dE
E bottom
(2.8a)
g V ( E )1 - f ( E )dE
(2.8b)
m*n 2mn* E top E - EC dE
n
(2.9)
(
E

E
)/
kT
2 3

F
EC 1  e
π 
( E  EC )
( EF  EC )
η 
(2.10a ) , η C 
(2.10b)
kT
kT
E top   (2.10c)
m*n 2mn* (kT )3 / 2  η1/2d
n
(2.11)
ηη C
2 3

0
π 
1 e
1/2
 η d
F1 / 2 (η C )  
, the Fermi- Dirac integralof order1/2 (2.12)
η

η
C
0 1  e
 m kT 
NC  2
2 
2
π



*
n
3/ 2
, the " efective"density of conductionband states (2.13a)
3/ 2
 m kT 
N V  2
, the " efective"density of valanceband states (2.13b)
2
 2π  
2
n  NC
F1 / 2 (η C ) (2.14a)
π
2
p  NV
F1 / 2 (η V ) (2.14b)
π
*
p
π ( E F  EC ) / kT
e
(2.15a )
2
π ( E V  E F ) / kT
F1 / 2 (η V ) 
e
(2.15b)
2
F1 / 2 (η C ) 
n  N Ce
( EF  EC ) / kT
(2.16a)
p  N V e( EV  EF ) / kT (2.16b)
2.5.2.n과 p의 또 다른 표현방법
ni  N C e ( Ei  EC ) / kT ,
ni  N V e ( EV  Ei ) / kT (2.17)
N C  ni e ( E C  Ei ) / kT ,
N V  ni e ( E i  EV ) / kT (2.18)
n  ni e( E F  Ei ) / kT ,
p  ni e( Ei  EF ) / kT (2.19)
2.5.3.ni와 np의 곱
n  NC N Ve
2
i
ni 
 ( EC  EV ) / kT
 N C N V e  EG / kT (2.20)
N C N V e  EG / 2 kT (2.21)
np  n (2.22)
2
i
2.5.4. Charge Neutrality Relationship
charge



qp

qn

qN

qN
D
A  0 ( 2.23)
3
cm
p  n  N D  N A  0 (2.24)
N D  이온화된 도너들의 수/cm3
N A  이온화된 억셉터들의 수/cm3
N D  전체 도너수 /cm 3
N A  전체억셉터수 /cm 3
p  n  ND  NA  0
(We assume t ot alionizat ionof dopantat oms,i.e.,


ND  ND , NA  NA )
2.5.5. Carrier Concentration Calculation
ni2
p
(2.26)
n
ni2
 n  N D  N A  0 (2.27)
n
n 2  n( N D  N A )  ni2  0 (2.28)
2


ND  NA
 ND  NA 
2
n
 
  ni 
2
2



1/ 2
(2.29a)

ni2 N A  N D  N A  N D 
2
p

 
  ni 
n
2
2



1/ 2
2
(2.29b)
1) IntrinsicSC ( N A  0, N D  0)  n  p  n i
2) Doped SC N D  N A  N D  n i
(or, N A  N D  N A  n i )
 n  ND



2
 p  ni / N D 
이와 유사하게
 N D  N A , ND  ni (2.30a)



 (nondegenerate,totalionization) (2.30b)
 p  NA



2
 n  ni / N A 
 N A  N D , NA  ni (2.31a)



 (nondegenerate,totalionization) (2.32b)
3)DopedSC at high T , n i  N D  N A
n ~ p ~ ni ( SC  int rinsicat veryhigh T)
4) Compensated SC : Intrinsic- like material
양쪽 불순물 함께 주입으로중화, N D - N A  0.
2.5.6.EF의 결정
(i) E i의 위치: int rinsicSC 에서
n  p ( 2.32)
N C e ( Ei
 EC ) / kT
 N V e ( EV
 Ei ) / kT
( 2.33)
EC  EV
kT  N V 

Ei 

ln


2
2
N
 C 
m 
NV


m 
NC


*
p
*
n
( 2.34)
3/ 2
EC  E V
Ei 
2
( 2.35)
*

m
3
p
 kT ln *
m
4
 n




( 2.36)
(ii) DopedSC (nondegenerate,totallyionized,in equilibrium)
EF  Ei  kT ln(n / ni )   kT ln( p / ni ) (2.37)
EF  Ei  kT ln(N D / ni ) . . . N D  N A , N D  ni (2.38a )
Ei  EF  kT ln(N A / ni ) . . . N A  N D , N A  ni (2.38b)
문제 2-6: Si 시료가 boron 이 1E14으로 doping 된다. EF-Ei를
계산하고 Si시료에 대해서 자세한 에너지 대역도를 그려라.
풀이 : NA = 10E14/cm^3인 Si시료는 300K이다. 식 2.36을 이용
하면 Ei가 중앙간극 아래 0.0073eV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300K일 때 Si시료에서의 Ei위치는 식 2.36에서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식 2.38b를 적용하면 다음을 알 수 있다.
EF  Ei  kT ln(N A / ni )
 0.0259ln(1014 / 1010 )
 0.239eV.
Ei와 EF의 위치로부터 추측된 에너지 대역도가 그림 E2.6(a)에
보인다.
2.5.7.캐리어 농도의 온도 의존성
2.6 요약
• 캐리어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평형상태 반도체 내의 캐리어
들을 설명하고,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 결합 모델과 에너지 대역 모델을 소개하였다.
• 캐리어를 전자와 정공을 입자로 생각하며 전자의 전하는 -q, 정
공은 +q, 그리고 유효질량은 각각 mn*와 mp*.
• 진성 물질에서 캐리어 (전자, 정공) 숫자는 서로 동수며 비교적
작다. 캐리어 농도는 특별한 불순물이나 도펀트들을 반도체에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다.
• 도핑된 반도체의 캐리어 농도를 결정하는 문제를 학습바람. n
과 p의 관계식(식 2.19), np의 곱(식 2.22), 전하 중성도 관계식(식
2.25), 그리고 상온의 대표적인 반도체에 적당히 간략화된 n과 p
의 공식(식 2.30과 2.31)은 특별히 기억.
• 진성 반도체, 도너, 억셉터, 축퇴되지 않은 반도체, 페르미 준위
등의 정리해 둘 필요.
n  NCe( EF EC ) / kT , p  NVe( EV EF ) / kT
n  ni e
( E F  Ei ) / kT
np  n
2
i
,
f (E) 
( E i  EF ) / kT
p  ni e
1
1  e ( E  EF ) / kT
p  n  ND  NA  0
 n  ND
  p  NA


, 

2
2
 p  ni / N D   n  ni / N A 
EF  Ei  kT ln(ND / ni ) , Ei  EF  kT ln(NA / n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