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사대부가사 ppt자료 다운로드

Download Report

Transcript 클릭-사대부가사 ppt자료 다운로드

강의명: 조선시가론
담당교수: 변승구 교수님
학과: 국어국문학과
학번: 0926014
이름: 박자희
목차
1. 서언 ……… 3
2. 가사의 개념 ……… 4
3. 가사의 기원과 장르 ……… 6
4. 사대부 가사의 주요 내용 ……… 8
5. 사대부 가사의 형식 ……… 10
6. 주요 작가와 작품 ……… 11
7. 현대적 의미와 가치 ……… 18
8. 결어 ……… 19
가사는 역사적으로나 장르적으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직
문예학적으로는 다른 장르에 비해 깊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가사문학이란 어떤 것인지,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
사의 문학적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한다.
시조와 함께 조선조 문학의 쌍벽으로 일제강점기까지 면면이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갈래
3 · 4조 혹은 4 · 4조가 우세한 4음보격 무제한 연속체로서
일정한 율격을 지닌 다소 개방된 율문시(律文詩)
형식적으로 볼 때는 1행을 4음보로 하는 일정한 율격을 지님
내용적으로 볼 때는 삶의 다양한 모습을 서술적으로 묘사
시조와 달리 곡진한 사연이나 경관예찬을 길게 들려주는 방식
가사의 기원
고려 무신정변 이후, 관료 생활에 뜻을 버리고 강호에서 시부를 읊조
리며 일생을 보내던 사대부들이 4음보격 민요의 리듬을 바탕으로 그들
의 울분을 사부식(辭賦式)으로 토로한 것이 그 기원이 되었다고 봄
즉 가사는 4음보격 민요 율격에 대구식(對句式)인 사부(辭賦)의 영향을
받아 배태되었다.
이런 원시 가사 형태는 승려들에게 수용되어 고려 말에는 나옹화상의
가사와 같은 포교용 가사체가 형성되었다.
가사의 장르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
1. 서정 장르인 시가로 보는 견해
2. 산문적인 수필로 보는 견해
가사의 마지막 행은 시조의 종장과
같은 마무리 구조를 보이며, 읽기
보다는 노래로 부르기 위해 지어진
있었던형식에
일을 확장적
일회적으로,
가깝다.문체로,
모든 가사가
율문
내용에
있어서
무제한적
확장이
가능.
평면적으로
서술해
알려주고 있다.
으로 되어
있다
산문의 발생을 가져오게 했다
3. 제 4의 장르인 교술 장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
4. 서정과 서사 또는 서정, 서사, 교술, 희곡이 복합된 혼합
장르로 보는 견해
5. 독립적인 장르로 인정하자는 견해
가사문학에는 주관적이고 서정
적인 가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기행, 유배, 교훈, 종교적인 내용
을 가진 수필 문학적인 가사도
있다.
사대부 가사의 특징
유교 이념을 사상적 배경으로 인생관과 세계관을 펼치고 있음
긍정적이고 인습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함
관심사와 현실적 경험을 나열하거나 관념적 세계추구를 형상화
하고 있음
1. 역사와
2.
3.
4.
5.
6.
강호생활(江湖生活)의
정치적
유교적
명승지와
현실
문제를
패배와
이념을
고실을
유적지의
읊은
회귀의지를
읊은
통한
가사
기행을
가사
회고의
즐거움을
읊은
정을가사
읊은
읊은가사
가사
역사를
<상춘곡>,
<사미인곡>,
<남정가>,
노래한
<면앙정가>,
<태평사>,
<속미인곡>,
영사가사
<선상탄>,
<강호별곡>,
<미인별곡>,
<강호정가>,
<만분가>,
<고공답주인가>,
<강촌별곡>,
<북관곡>
등
<도덕가>,
<관서별곡>,
<권선지로가>,
<관동별곡>,
<금보가>,
<관동속별곡>,
<상저가>,
<서정별곡>,
<길몽가>,
<일동장유
<자
지난날
우리나라의
역사나
가문의<용사음>,
역사,
개인의
일생을
노래하거
•<역대전리가>,
<한양오백년가>,
<한양가>,
<해동만고가>,
<만고
<환산별곡>,
연군가사는
<성주중흥가>,
임금을
<낙지가>,
<누항사>,
그리워하는
<낙빈가>
<탄궁가>,
심정을
등 <대명복수가>,
사랑하는
‘님’에
<봉산곡>,
대한
연정
경별곡>,
가>,
<독락당>,
<삼강오륜자경곡>,
<화양별곡>,
<도산별곡>
<오륜가>,
<천군송덕가>,
등
<천군복
나
시대적
풍물과
인사를
재조명하고,
고사
중에서
후대에
교훈이
가>,
<해동만화>,
<역대가>,
<옥루연가>,
<해동조선가>
정치에서
으로
<무호가>,
표현
이루지
<고병정가사>,
유교적
<창의가>,
이상을
<분통가>,
자연과의
융화를
<대한복수가>,
통해
위가>,
사대부들이
<경세가>,
일상생활에서
<농가월령가>,
벗어나
<권학가>,
명승지나
사행지를
<권농가>
기행하고
등 실현
빼
될 만한
것을
읊음 못한
역대
풍물과
인사를
읊음
•작품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반성 도덕을 읊었다
하고자
<영남가>,
함 외적으로는
<금릉별곡>
등읊었다
문이재도의
어난
경치와
느낀
관점으로
감회를
유교적
이념,
유교 윤리와
대개
서사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팔도읍지가>,
<팔도가>,
<몽유가>,
<완산가>
•내면에는
자신은
죄가
없다고
극구 나의
변명하며
정계에
복귀하고자
하는
실학사상의
전란을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소재로
한관료들이
전쟁가사
권력에
대한
원심적
행동을
국내
기행가사는
신임지에
도착하는
과정
또는 보인다
임지에서
영향을
받아토로.
우리
것과
것에
대한
자각과
온고지
가문의
역사를
읊은
세덕가계가사
강력한
기원을
표출
•전란의
피해와
처참한
상황 및
비애를주기
읊음
서사에서는
부귀공명을
버리고
강호에
묻히게
취지와 동기를
유람하였던
경치를
읊었다
신의
정신으로
후대에
교훈과
자각을
위한 된
것이다
•서정성이
•<광산
김씨
가장
세덕가>,
뛰어난
<고흥
가사
유씨
세덕가>
당쟁으로
피폐된 국정을
비판사행을물아일체(物我一體)가
노래,•전란과
본사에서는
소요음영(逍遙音詠)하거나
국외
기행가사는
중국이나
일본으로
갔다가 오는 도정의
유배가사는
고사를
가사체로
우국지정을
읊음
통하여
다시 임금의 곁으로 나아가 충성의
곤궁한
사회상을
노래
되어•전후의
유유자적하는
생활상을
읊었다. 결사에서는 안빈낙도하려는
풍치,
풍습 등을 읊었다
•<공명가>,
<초한가>,
<적벽가>,
<왕소군원가>
도리를
다하겠다는
권력지향
의지를
토로
숙명배청
사상을
바탕으로
청에
대한
적개심과 복수심을 읊은
뜻을 드러내거나
감사하였다
선현의
유적지를성은에
탐승하고
유적지 주위의 수려한 산수를 노래하고
개인의
창의가사일생이나 과거를 회고
선현의
덕망을 추모하기도
하였다 <자회가>, <사은가>, <애경당
•<정처사술회가>,
<모하당술회가>,
왜구를 물리쳐 독립을 이루려는 의병가사
충효가>
5. 사대부 가사의 형식
3 · 4조가 우세하다 (서민가사, 내방가사는 4 · 4조가 우세)
시조의 종장과 같은 결사(結詞)를 가진 것이 많다.
-이런 형식이 쓰이게 된 것은 사대부들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방식,
생활 태도와 연관이 있다고 보여짐
6. 주요 작가와 작품
역대 가사 작자 일람표
14C
15C
16C
나옹화상
1320~1376
서왕가, 낙도가, 송원가
신득천
1332~1392
역대전리가
정극인
1401~1481
상춘곡
이인형
1436~1504
매창월가
조위
1454~1503
만분가
이서
1484~?
낙지가
송순
1493~1582
면앙정가
이황
1501~1570
퇴계가, 금보가, 상저가, 도덕가, 효우가
조식
1501~1572
권선지로가
허강
1520~1592
서호별곡
서산대사
1520~1604
회심곡
백광홍
1522~1556
관서별곡
이이
1536~1584
자경별곡, 낙빈가, 낙지가
16C
17C
정철
1536~1593
성산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양사준
명종때
허난설헌
1563~1589
규원가, 봉선화가
최현
1563~1640
용사음, 명월음
이원익
1547~1634
고공답주인가
차천로
1556~1615
강촌별곡
조우인
1561~1625
출새곡, 관동속별곡, 자도사, 매호별곡, 출관사
박인로
1561~1642
태평사, 선상탄, 사제곡, 누항사, 소유정가, 독
락당, 영남가, 노계가, 입암별곡
강복중
1563~1639
분삼회복사은가, 위군위친통곡가
정훈
1563~1640
성주중흥가, 탄궁가, 우활가, 용추유영가, 수남
방옹가
허전
선조때
김충선
1571~1642
모화당술회가
임유후
1601~1673
목동가
채득기
1605~1646
천배별곡(봉산곡)
침굉화상
1616~1684
태평곡, 귀산곡, 청학동가
송주석
1650~1692
별관곡
남정가
고공가
정극인 <상춘곡>
•조선조 양반가사의 첫 작품인 동시에 대표적인 작품
•정치를 떠나 산수 속에서 자연을 벗삼아 안빈낙도의 삶을 즐기겠다는
작가의 낙천적인 생활 철학과 물아일체의 자연관이 잘 드러나 있다
•의인, 대구, 직유, 설의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과 옛 사람들의 고사(故事)
를 풍부하게 인용
송순 <면앙정가>
•전원에 물러나 자연의 한가로움을 즐기며 심성을 수양하는 전형적인 강
호가도의 노래
•서사에서는 산봉우리를 의인화하여 제월봉 주위의 경관을 생동감 있게
묘사
•본사에서는 면앙정에서 보이는 근경과 원경에 대하여 묘사하고 사계절
의 아름다운 모습을 노래
•결사에서는 작가의 풍류스런 생활을 노래하고 임금님의 은혜에 감사하
며 끝맺음
•정극인의 <상춘곡>과 더불어 호남 가사문학의 원류가 됨
•그 내용, 형식, 묘사 등에서 정철의 <성산별곡>에 영향을 미쳤다
정철 <관동별곡>
•강원도관찰사의 직함을 받고 원주에 부임하여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과
관동팔격을 두루 유람하는 가운데 뛰어난 경치와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
한 작품
•작자가 독자에게 직접 말을 하거나, 등장인물인 신선과의 대화를 보여주
는 등의 진술양식
•감탄사와 생략법, 대구법을 적절히 사용한 뛰어난 문장력이 엿보인다
•인간 내면의 갈등과 그 해소 과정을 함축적으로 드러냄
•생략과 비약에 의한 전개, 역동적인 움직임의 포착에 의한 박진감 있는
경치 묘사가 특징이다
<사미인곡>
•왕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대신 임과 여자의 관계로 설정
•서사, 본사, 결사의 구성으로 본사는 다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어
있다
•뛰어난 우리말 구사, 세련된 표현으로 <속미인곡>과 함께 가사문학 최고
의 걸작으로 꼽힌다
•임금을 임으로 설정하는 방식은 ‘정과정’과, 부재하는 임에 대한 자기희
생적 사랑은 <가시리>, <동동>등과 맥이 이어져 있다.
<속미인곡>
•<사미인곡>의 속편. 우리말 표현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됨
•<사미인곡>과 달리 한자숙어와 전고(典故), 전례(典例), 고사(故事)가 거의
들어가 있지 않다
•보조적 인물을 설정하여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전개
•화자가 상대방 여인의 물음에 답하는 형식으로 자신의 사연을 토로하고 있
다
•상대 여인이 개입하여 위로하거나 공감을 표시함으로써 그 사건이 일방적
이고 주관적인 것이 아니라 절실하고 객관적인 사연으로 드러나게 된다
박인로 <누항사>
•이덕형이 누항(陋巷)생활의 어려움을 묻자 이에 대한 답으로 지은 작품
•추위와 배고픔으로 인한 어려움과 수치스러움은 크지만 자연을 벗삼아
빈이무원(貧里無怨)하고 충효와 형제간의 우애, 친구간의 신의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임진왜란 후의 어려운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장
편 가사들의 출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일상 생활어를 구사하여 작품에 생동감과 구체성을 부여
김인겸 <일동장유가>
•약 11개월 동안 일본에 체류하면서 보고 느낀 일본의 문물, 제도, 인물,
풍속 등을 실감 있게 묘사
•작자의 공정한 비판, 기발한 위트, 흐뭇한 해학, 정확한 노정과 일시의
기록, 상세한 기상 보고와 자연 환경의 묘사 등이 잘 나타나 있어 기행문
의 모범이라 할 만 하다
•작가의 예리한 관찰과 비평을 통해 당시 외교상의 미묘한 갈등을 파악
할 수 있다
•문명 비평적 시각에서 당시의 시대적 정신인 사실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정학유 <농가월령가>
•농가에서 1년 동안 해야 할 농사에 관한 실천 사항과 풍속을 달에 따라
읊은 월령체 가사
•예의범절을 때맞추어 하도록 타이른 교훈 가사
•농촌 생활과 관련된 구체적 어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세시풍속을 기록해 놓은 월령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짜임새가 있
다
조선 헌종
송강
송강집에
박인로의
정철의
빠진
시문집.
때시문집
정학유가
송강
3권정철의
2책.
지은목판본.
시문을
가사. 1책.
추가하여
필사본.
면앙
정극인의
송순의
시문집.
시문집.
2권
7책
1책.
2권석판인쇄본
원집 3차에
수록한
모두
월령체
2권
유고집.
장편가사이다.
· 속집
걸쳐2권
2권
간행되었다
1책
· 별집 7권 등 11권 7책
☞동영상_가사문학길
7. 현대적 의미와 가치
미적인 면에서 볼 때 가사문학에는 우리말을 아름답게 구사한
작품들이 특히 많다.
대표적인 예로 정철의 작품이 있고, 그 외에도 경치를 아름답게
묘사한 기행 가사 등이 많이 있으며 조선 후기로 넘어가면서 더
욱더 일상적이고 생활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유교적 도리나 예의범절, 역사적인 일 등을
담아 후대에 가르침과 교훈을 주고 있는 작품이 많다. 우리는 이
런 것들을 보면서 당시 사대부들의 생활상과 마음가짐, 신념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기행가사나 유배가사 등은 당시의 역사를 아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8. 결어
지금까지 사대부 가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사문학은 굉장히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작품마다 가지고 있는 문학적 의의 또한 크다고
여겨진다. 이런 가사문학이 아직 사적 연구와 장르론적 연구에만 치우
쳐 있다는 건 매우 아쉬운 일이다. 가사 장르에 대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개별 작품을 문예학적 시각으로 평가하여 가사 문학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