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란???

Download Report

Transcript 측우기란???

6학년 3반 천정원,윤치영,이소민


측우기란 강우량(비가 내린 정도)를 재는 기구를 말합니다. 측우기란 강우량(비가 내린 정도)를 재는 기구를 말합
니다.
조선 세종시대 장영실이 발명한 것으로 세계 최로로 만들어진 강우량을 재는 기구라고 합니다.


아래는 백과사전 내용입니다.




1441년(세종 23) 8월에 호조(戶曹)가 측우기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여, 다음해 5월에는 측우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서울과 각 도(道)의 군현(郡縣)에 설치하였다. 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
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다. 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인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
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
이다. 그런데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다.
측우기는 안지름이 주척(周尺)으로 7인치(14.7cm),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밖에 세워 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다. 측우기에 괸 물의 깊이는 자[尺]로 측정한다. 즉, 대(臺)를 관상감에 만들
어서 측우기를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도록 하는데,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보고
한다.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하였다. 처음에 철로 만들었으나, 뒤에 구리로 만들
어 쓰기도 하였고, 지방에서는 자기(瓷器)·와기(瓦器) 등을 쓰기도 하였다. 주척은 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들어 사
용하였다.
조선 세종 때의 측우기가 과학사상 뜻깊은 것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쓰였다는 사실이다. 유럽에서는 1639년 로마
에서 이탈리아의 B.가스텔리가 처음으로 측우기로 강우량을 관측하였다고 한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1658년부터,
영국에서는 1677년부터 관측하였다. 한국에서는 이미 1442년 5월부터 측우기로 우량을 측정하였으며, 이것은
이탈리아보다도 약 200년이 빠르다. 금영측우기는 1837년(헌종 3)에 만든 것으로 보물 제561호로 지정되어 기
상청에 소장되어 있다. 출처 Naver 지식in
빗물을 그릇에 받아 강우량을 재는 측우
기는 조선 세종 23년(1441)에 만들어진
후 여러 차례 다시 만들어졌으나, 현재 남
아 있는 것은 헌종 3년(1837)에 만들어
진 측우기가 유일하다. 높이 31.5㎝, 지
름 15.3㎝의 이 측우기는 원통형의 표면
3곳에 대나무처럼 도드라진 마디가 눈에
띤다. 동그란 통은 빗물을 받는 그릇으로
여기에 주척이라 부르는 자가 있어 측우
기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쟀다. 중앙의 두
마디 사이에는 6줄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원래 충청남도 공주에 있던 것이 일본으
로 반출되었다가 다시 반환된 문화재이
다. 공주 박물관에는 이 측우기를 받쳤던
것으로 전해지는 정사각형의 받침돌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