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설계기준 개선

Download Report

Transcript I. 설계기준 개선

해기협 토목분과 연구회
항만 및 해안 설계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R&D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2014. 09. 04.
이 종 인 / 전남대학교
1
발표순서
Ⅰ. 설계기준 개선
Ⅱ. 보강설계 지침
Ⅲ. 실대형 실험인프라
2
I. 설계기준 개선 (1/9)
미국 – SPM & CEM
영국 – BS6349 & CIRIA
• Shore Protection Manual (1984)
• BS 6349 – Maritime Structure (1984)
- 미육군공병단 해안공학연구센터
- British Standard 중 항만 부분
- 경사제, 잔교 설계의 기본서
- 토목 설계를 위한 방대한 기준서
- 설계파 산정, 해안지형변동 등
- 중동, 동남아, 남미 등에서 대부분 채택
• Coastal Engineering Manual (2004)
• CIRIA & CUR SP (2001)
- SPM의 개정판 / 최신 연구결과 및
- 영국과 네덜란드의 연구결과 반영
신뢰성 설계 중 부분안전계수법 수록 등
유럽 – EAU & PIANC
• EAU 1990 6th Edition (1992)
- 친수시설, 항만, 수로의 독일 Standard
- Sheet pile, Quay, Pile Structure,
Embankment, Dolphin 등의 설계
• PIANC & IAPH (1997)
- Access Channel Design
• EURO Code, DIN, DNV 등
- 경사제와 해안지형 변동 및 시공
한국과 일본
• 한국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2014)
- 일본의 ‘항만의 시설의 기술상의
기준∙동해설 (2007)’의 번역 수준
- 일본 설계기준은 SPM, CIRIA 등의 기준
채택과 자국의 많은 연구 결과 수록
- 성능기반설계로의 전환
3
I. 설계기준 개선 (2/9)
개선항목


수요조사 : 161 항목 (항만 69%, 구조 12%, 지반 16%, 기타 3%)
분야별 항목 : 항만분야 (51), 구조분야 (14), 지반분야 (14), 기타 (1)

항목별 중요성, 시급성 / 연구과제, 정책적
3%
69%
16%
12%
항만
구조
지반
기타(마리나)
4
I. 설계기준 개선 (3/9)
기후변화대응 항만설계기준 개선연구(항만분야 개선 요구 항목)
01
월파량 산정방법 및 허용월파량 기준
02
SLIT케이슨의 제원결정을 위한 기준
03
곡면부/제두부 피복재 중량 산정 기준
04
혼성제 근고부 피복재/근고블록 제원 기준
05
잠제(인공리프)의 설계 지침
06
상치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파압
07
반파공 제원결정을 위한 기준
08
제간부 피복재 중량 산정 기준
09
배면 피복재 규격 결정 기준
10
부유식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
11
파의 처오름 높이 산정방법
12
세굴심도 산정 및 세굴방지공 기준
13
Morison식의 항력계수 및 파압적용
기후변화 대응
항만설계기준
개선방안 연구
(1단계)
(‘11~’17)
지속적인
연구 필요
5
I. 설계기준 개선 (4/9)
월파량 산정
 미국 : CEM (2004)
 유럽 : EurOtop (2007)
다양한 연구성과(구조형식별) 수록
 Owen 식
 Bradbury & Allsop 식
 Aminti & Franco 식
 van der Meer & Janssen 식
 Pedersen & Burcharth 식
 Franco & Franco 식
6
I. 설계기준 개선 (5/9)
월파량 산정

필요성
⇒ 2가지 단순 형상만 고려
⇒ 설계동향에 부합되는 기준 미흡
⇒ 타 기준/연구에 비해 과소 평가
(CEM, 2004; EurOtop, 2007)

개선내용
⇒ 구조형식/형상별 월파/전달 산정
⇒ 입사각에 따른 월파량 저감계수
⇒ 오목부/볼록부구간의 월파/전달
⇒ 해외 기준 및 연구와 연계
7
I. 설계기준 개선 (6/9)
곡면부(오목부/볼록부) 피복재 중량/피복 구간

필요성
⇒ 태풍 내습으로 경사식구조물 곡면부구간 피해가 다수 발생
⇒ 일반적으로 제간부구간과 동일한 단면으로 설계
⇒ 곡면부구간에 대한 설계기준은 국내외적으로 미흡

개선내용
⇒ 곡면부 피복재 중량/피복 구간
⇒ 평면배치/입사각 등의 영향
8
I. 설계기준 개선 (7/9)
곡면부 피해사례
9
I. 설계기준 개선
(8/9)
잠제(인공리프) 설계

필요성
⇒ 연안침식 저감 등을 위해 적용사례 증가
⇒ 피복재 중량의 경우, 일반적인 항만구조물 기준 적용
⇒ 기본적인 제원 결정에 대한 설계지침 미흡
⇒ 기존 항만구조물의 보강 방안

개선내용
⇒ 잠제(수중구조물)의 제원/투과성 등에 대한 특성
⇒ 피복재 중량 산정 기준
⇒ 잠제 설치에 따른 배후구조물의 안정성
10
I. 설계기준 개선
(9/9)
항만설계기준 개선 관련 기존 연구
 첨단항만건설기술개발 사업
- 경사식방파제 최적설계기술개발 (2000~2003)
- 항만구조물 신뢰성설계법 개발 (2006~2011)
- 해일예측 기반구축 및 설계해면 추산 (2006~2011)
경사식방파제 최적설계기술개발
 경사식방파제에 작용하는 파력 등에 관한 연구
항만구조물 신뢰성설계법 개발
 항만구조물(방파제 및 호안 등)의 확률론적 설계법에 대한 연구
해일예측 기반구축 및 설계해면 추산
 폭풍해일, 지진해일, 천해설계파 산정 등 해면추산에 대한 연구
설계기준과 관련된 연구가 R&D에 해당하는가?
11
II. 보강설계 지침
(1/5)
피해사례
 2012년 공공시설 피해액 : 약 6,400억원
 2012년 항만 및 어항시설물 피해액 : 약 1,250억원 (약 19.5%)
 대표사례
가거도항 방파제 피해 (2011년 태풍 무이파) : 복구 설계가 약 2,400억원
서귀포항 방파제 피해 (2012년 태풍 볼라벤) : 복구 설계가 약 777억원
체계적인 피해원인 분석/대책수립 필요 !
12
II. 보강설계 지침
(2/5)
적정 보강설계 지침
 “기후변화에 따른 항만구역내 재해취약지구 정비계획”
(아라미르 프로젝트) (국토해양부, 2012)
 현재까지 보강 사업비 (약 3,500억원, 설계가 기준)






홍도항 방파제 보강공사 : 약 192억원
어청도항 방파제 보강공사 : 약 490억원
부산항 조도방파제 보강공사 : 약 1,100억원
부산항 오륙도방파제 보강공사 : 약 1,450억원
성산포항 방파제 보강공사 : 약 346억원
제주권역 5개항 외곽시설 보강설계 진행중
 아라미르 : 기존 외곽시설 보강 예산 (약 1조 3,517억원)
 무역항 15개항 35개 시설 : 1조 464억원
 연안항 17개항 36개 시설 : 3,053억원
 아라미르 : 항만내 재해취약 지역 방지대책 예산 (약 1조 1,882억원)
 무역항 15개항 : 1조 867억원
 연안항 7개항 : 1,015억원
13
II. 보강설계 지침
(3/5)
보강 요소기술 확보
14
II. 보강설계 지침
(4/5)
보강 요소기술 확보 (처오름 높이)
15
II. 보강설계 지침 (5/5)
보강 요소기술 확보 (처오름 높이)
16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1/6)
실험/실증 인프라 구축
시대별 인프라 수준의 변화
안전성 + 경제성
(실용화 기술)
대형 실험시설 /
실증 테스트베드
기술수준
1990년
2010년
2020년
| 요소수준
| 성능수준
| 실증수준 도약 단계
최적설계기술
Ⅱ
Ⅰ건설기술력
확보 곤란
선진국 대비
비용절감
ⅢSOC
가능 수준
공공성을 가지는 항만분야 특성상
정부 주도가 필수
R&D 성과
Ⅳ 해안·항만
실용화 및 선진화 도모
최종 기술수요자인 정부의
Needs에 맞는 기술개발을 위해
실험·실증 인프라 지원 필요
17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2/6)
항만공항기술연구소(일본)






PARI(Port and Airport Research Institute, www.pari.go.jp)
1946년 설립, 독립행정법인
2011년 예산규모 : 350억원
2011년 인력현황 : 임원 4명, 관리직 18명, 연구직 79명
조직 : 7개 연구부서(조직) 및 3개 연구센터
주요 인프라 현황
- 실해역 관측센터(Hazaki oceanographic research center)
- 105m wave channel : 105m(L) x 3m(W) x 2.5m(D)
- Environmental intelligent basin : 29m(L) x 36m(W) x 1.3m(D)
- Large hydro geo flume : 185m(L) x 3.5m(W) x 12m(D)
- 35m wave flume : 35m(L) x 0.6m(W) x 1.3m(D)
- Coastal disaster channel : 50m(L) x 10m(W) x 4.5m(D)
18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3/6)
O.H. Hinsdale Wave Research Lab.(미국)
 Oregon State University(OSU)
 1972년 구축
 실험 인프라
- 단면수로 : 104m(L) x 3.7m(W) x 4.6m(D)
- 평면수조 : 48m(L) x 26.5m(W) x 2.1m(D)
 실험분야 연평균 예산규모 : 20억원
 실험분야 운영인력 : 연구직 2명, 기술직 1명
 NEES, Network for Earthquake Engineering Simulation
(http://nees.org)
- 미국 과학재단 지원사업
- 미국내 14개 대학이 사업지원을 받아 지진 및 지진해일 관련
대형 실험 수행
- OSU의 경우, NEES 사업을 통해 운영예산(약 $100만) 지원
(실험실 유지관리비로 활용)
- 사업지원을 받은 타 연구자와 공동연구 수행
19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4/6)
Deltares(Netherlands, Delft Hydraulics)
 1927년 설립, 독립컨설팅 및 전문연구기관
 주요 인프라 구축현황
(1) Atlantic Basin : 75m(L) x 8.7m(W) x 1.3m(H), 흐름(3CMS) 및 다방향 파랑 재현(2009년 구축)
(2) Delta Basin : 50m(L) x 50m(W) x 1m(D), 다방향 불규칙파 재현
(3) Delta flume : 240m(L) x 5m(W) x 7m(D)
(4) Scheldt flume : 110m(L) x 1m(W) x 1.2m(D)
(5) Pacific basin : 30m(L) x 22.5m(W) x 1.5m(D) : 구조물 안정성 검토 전용 수조
 Hydralab
- 미국의 NEES 프로그램과 같은 성격의 연구인프라 조직
- 1997년도에 시작. 현재 유럽내 15개 국가 30개 연구소 및 대학으로 구성
- Large wave flume/Special purpose wave flume/Basin for coastal & offshore research 등 7개 분야
- 연구인프라, 실험기법, 연구결과의 공유 및 공동연구 수행
(1)
(2)
(3)
(4)
(5)
20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5/6)
Large Wave Flume, GWK(독일)
 실험인프라 현황
- GWK : 309m(L) x 5m(W) x 7m(H)
- 불규칙파, 고립파(Solitary wave) 재현
 조파성능
- 최대파고 : 규칙파 기준 2m
- 재현주기 : 1sec~12sec
21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6/6)
제안 실험인프라 시설 및 규모
2차원 대형수로
 수로제원 : 270m (길이) x 5m (폭) x 10m (깊이)
 최대파고 : 규칙파 기준 3.0m (유효파고 2.4m) 이상
※ 고립파 1.5m 이상 재현 가능 규모
 파랑-흐름 복합수로 : 유속 1.5m/sec 이상
3차원 대형수조
 수조제원 : 70m (길이) x 40m (폭) x 4.5m (깊이)
 최대파고 : 규칙파 기준 1.5m (유효파고 1.2m) 이상
※ 고립파 0.5m 이상 재현 가능 규모
22
해외설계(애로사항)
해외사업 설계시 애로사항
 진출 대상국의 정보 부재
 입찰정보 부족
 기업 규모의 한계
 해외 선진업체의 시장 선점
 진출 대상국 설계기준 및 법에 대한 이해 부족
 국제 설계기준의 이해 부족
 현지 업체 기술 및 관리 능력 부족
 해외 발주처와의 기술적 해결능력 부족
 언어 및 문화장벽
23
제안사항
I. 설계기준 개선
II. 보강설계지침 정립
 체계적/지속적인 연구개발
 국제 기준(BS, CEM 등) 접목
 설계기준서의 영문화
 피해사례 원인분석 및 대책수립
 보강설계 요소기술 확보
 구조형식별 표준 보강지침 구축
해양수산부
“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
III. 실대형 실험인프라 구축
IV. 상설조직 운영
 실해역 실증수준의 인프라 구축
 해안항만/연안침식 실증
 해양에너지 실증
 국제 기준/연구성과 지속 분석
 설계지침/설계사례집 작성
 기술자(설계자 등) 교육
24
감사합니다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