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설국_.

역사의 외딴 섬, 설국
2015. 4. 14
하자센터
Contents
•
가와바타 야스나리란 어떤 작가인가?
•
노벨문학상 수상의 배경
•
<설국>은 어떤 작품인가?
•
가와바타 문학에 대한 비판적 읽기
두 명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
가와바타 야스나리(1968) →
“훌륭한 감성으로 일본인의
마음을 표현했다”

오에 겐자부로(1994)
“새로운 인간의 모습을 추구…
현대세계의 문제에 대해
평화주의의 입장에서
발언하고 행동했다”
3
가와바타 야스나리

1899년 오사카에서 출생

1920년 구제제일고등학교 졸업(재학 중 문예부 활동), 도쿄제국
대학 영문학과 입학

1921년 영문학과에서 국문학과로 전과

1924년 대학 졸업, <문예시대> 창간하여 ‘신감각파’ 운동 전개
* <문예전선> (1924)의 창간
* ‘신흥문예’의 전성시대 개막
4

1934년 <문예간화회> 회원이 됨. <설국> 집필 시작

1935년부터 <설국> 발표 시작

1937년 첫 <설국> 단행본 출간, 제3회 문예간화회상 수상

1941년 관동군 초청으로 만주여행

1945년 패전

1948년 <설국> 결정판 출판

1968년 노벨문학상 수상

1972년 자살
5
노벨문학상 수상의 배경
E.G. Seidensticker(1921-2006)
6
 콜로라도 대학 재학 중, 해군일본어학교에서 일본어 공부
 제2차 세계대전 때, 해병대 일본어 통역요원으로 종군
 패전 후, 귀국하여 1947년 국무성 외무국 들어감.
 이듬해 GHQ 외교부국의 일원으로 도일. 그때 도쿄대학에
서 일본문학을 전공.
 1956년 <설국>의 영어번역본 출판
7
8
『설국』에 대해-성립과정
발표순
서
발표 당시의 제목
발표시기
1
저녁노을의 거울(夕景色の鏡)
1935년1월
2
하얀 아침거울(白い朝の鏡)
1935년1월
3
이야기(物語)
1935년11월
4
헛수고(徒労)
1935년12월
5
억새꽃(萱の花)
1936년8월
6
불베개(火の枕)
1936년10월
7
공치기노래(毛毬歌)
1937년5월
11
 앞의 7편을 엮어 단행본 『설국』발행(1937.8)
 이후 다음과 같이 두 편을 추가로 발표
▪ 눈 속 화재(雪中火事, 1940.12)
▪ 은하수(天の河, 1942.8)
 1948년 12월 결정판 『설국』 발간
 결정판까지 13년, 하지만 줄거리는 <은하수> 발표 시점
에서 거의 완성.
 작품의 성립기간은 1935년-1942년까지의 7년간
12

『설국』 성립 전후의 주요 사건
▪ 1931.9 만주사변, 1932.3 만주국 건국
▪ 1933.4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
▪ 1934.12 워싱턴 해군군축조약 파기 선언
▪ 1937.7 중일전쟁 발발
▪ 1938.11 <동아신질서> 성명
▪ 1941.12 진주만 공습, 태평양전쟁 발발
13
『설국』-내용
 주요 등장인물 : 시마무라, 고마코, 요코
 주요 내용 : 설국의 온천장을 무대로 시마무라, 고마코, 요
코 사이의 삼각관계. 시마무라가 설국을 세 번째 찾았을
때 요코가 자살을 함으로써 삼각관계는 파국을 맞이하고,
시마무라는 설국과의 결별을 결심하며 끝남.
 시마무라의 관심의 추이
▪ (부인)→고마코→요코→고마코→(부인)
▪ 도쿄→[도쿄↔설국]→도쿄
14
『설국』-작품세계의 구도

관심의 이동과 계절의 변화
▪ 첫 설국 방문 : 5월 하순. 고마코를 만남.
▪ 두 번째 설국 방문 : 그 해 12월 초순. 설국으로 향하는 기차 안에
서 요코를 만남.
▪ 세 번째 설국 방문 : 이듬해 9월 하순. 자신을 도쿄로 데려가 달라
는 요코의 청을 시마무라가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시마무라는
고마코에게 다시 애정을 느낌. 이 사건을 계기로 요코는 자살하
면서 삼각관계를 파국을 맞이함.
▪ 계절의 변화를 따라 시마무라의 의식도 변화
15
 설국=근대화에서 소외된 지역
▪ 설국의 모델 : 니이가타 현(新潟県)의 유자와(湯沢) 온천
▪ 우라일본(裏日本) : “혼슈의 일본해(동해)에 접한 일대. 겨
울에 눈이 많음, 근대화가 추진된 오모테일본(表日本, 혼
슈의 태평양 연안)에 대비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말”→근대
화가 뒤쳐진 지역의 의미
▪ “접경지대의 긴 터널” : 미쿠니(三国)산맥의 시미즈(清水)터
널
16
17
 일상과 비일상의 왕복
▪ 도쿄=일상 공간, 설국=비일상의 공간
▪ 시마무라의 이동
일상→[비일상↔일상]→일상
근대→[전통=전근대↔근대]→근대
18

시마무라에게 요코와 고마코
▪ 시마무라 : 무용평론가. 전통무용에서 서양무용으로 관심 전환. 그
이유는 서양인의 춤을 직접 볼 수 없다는 사실에서 ‘즐거움’을
찾아냈기 때문. (비현실적인 것에 대한 동경)
▪ 고마코 : “인생은 ‘헛수고(徒労)’, 그래도 살아간다.” (허무함 속에
존재하는 생의 의지)
▪ 요코 : “높은 울림, 그대로 밤의 눈으로부터 메아리쳐 올 것 같은
…슬플 정도로 아름다운 목소리” (비현실적인 아름다움)
19
『설국』에 대해-주제
 사건의 전환점
“그렇게 말하고 긴장이 풀린 건지 약간 젖은 눈으로 그를 바라다
보는 요코에게 시마무라는 이상한 매력을 느끼자, 어떻게 된 일
인지 오히려 고마코에 대한 애정이 거세세 타오르는 것 같았다.”
 요코의 부탁=일상과 비일상의 경계 혼란
 그런데 그런 비일상은 일상과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
할 때만 존재할 수 있다.
20
 삶의 태도에 관한 서양과 일본의 차이
• 서양: 목적론적 세계관→작위(作爲)
• 일본: 주어진 환경에 최대한 만족하며 삶=생을 향유하는 것→자연(自
然)
 시마무라가 느끼는 허무함의 원인:
• 일본인의 서양화
 <설국>이 제안하는 것:
• 서양화(근대화)를 거부할 수 없다면,
• 전통적 공간(자연적 공간)의 ‘위안’을 통해 삶을 지속해 가는 것!
21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일본미>론
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 「아름다운 일본의 나」(1968)
▪ 자연과의 합일
“봄은 꽃 여름은 두견새 가을은 달 겨울은 눈 맑고 시원하네” (도겐)
→ 계절의 변화 속에서 미의식을 느낌
▪ 예술의 목표=선악과 행불행의 초월
“불계에 들기는 쉬워도 마계에 들기는 어렵다”(잇큐)
▪ 무(無)의 사상
“삼라만상이 흥취에 차 있으나 사실은 허망하며, 그러나 허망함이 삼라만상으
로 빛나는 찰나에 함축…”
22
가와바타 문학 삐딱하게 읽기(1)
 가와바타는 전쟁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 『설국』은 중일전쟁(1937)과 태평양전쟁(1941)의
와중에 쓰였지만, 거기에 진행 중인 전쟁의 흔적
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게다가 작자 가와바타는
전쟁협력을 거부하는 태도를 취하지도 않았다.
▪ 그렇다면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전쟁관은 어떤 것
일까?
23
가와바타 문학 삐딱하게 읽기(2)

가와바타의 궁극적인 관심대상은 무엇인가?
▪ 소설은 ‘설국’의 자연과 그곳에서 벌어진 연애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가와바타는 설국이라는 전통적 공간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하지만 시마무라에게 설국은 도쿄라는 일상적 공간과 대비되는
비일상이며,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머무는 일시적인 공간에 불
과하다.
▪ [도쿄=근대=일상]와 [설국=전통=비일상] 에 대한 가와바타의 생
각은 어떤 것인가?
24
가와바타 문학 삐딱하게 읽기(3)
 서양주의와 일본주의는 모순적인가?
▪ 가와바타의 관심은 『설국』을 계기로 서양(모더니즘)에서 일
본(전통주의)으로 전환되었다고 간주된다.
▪ 가와바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것은 달리 보면 서양인들
에게 『설국』 이 전례 없는 <새로운 문학>, 즉 <진정한 모
더니즘 문학>으로 간주되었음을 의미한다.
▪ 그는 일본적 전통의 묘사에서 진정한 모더니즘 실현의 가능
성을 본 것은 아닐까?
25
가와바타 문학 삐딱하게 읽기(4)

가와바타의 <자연>과 전후민주주의
▪ 일본 전후사상은 정의롭지 못한 전쟁이 저지되지 못한 이유를 서
양에서 볼 수 있는 자유의식을 갖춘 <근대적 개인>의 형성 실
패에서 구했다. (근대적 개인=전후민주주의의 기초)
▪ 그런데 가와바타는 일본문화의 본질을 서양과 달리 자연 혹은 외
부세계와 대립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과의 일체화를 지향하는 것
이라고 말한다. (근대적 개인의 불가능성)
▪ 가와바타에게 전후민주주의이란 무엇인가?
2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