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Document

 목차:
1. Carl Gustav Jung?
2. 융의 이론1:무의식
3. 융의 이론2:페르소나
4. 융의 이론3:동시성
 칼 구스타프 융:
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ˈkarl ˈgʊstaf ˈjʊŋ],
1875년 7월 26일- 1961년 6월
6일)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이다.
 바젤대학교와 취리히대학교에
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의사
가 되였다.
융의 이론1:무의식
 개인 무의식
 집단 무의식
 개인적인 무의식
 무릎을 까딱이기
 무의식 적으로 화를 내기
 계단 오르기
 Ect…
 집단 무의식
 집단 무의식-인류의 먼 과거에 대한 기억
 원형 - 동물의 본능과도 같다
 그림자-원시적인 측면으로 남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감춰진 면즉 사람들이 되고 싶어하지 않은 면.(자신의 어두운 면)
 집단 무의식
 조상으로 부터 물려받은 기억이나 이미지
 1980년 프로이트
무의식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일이
저장되는 곳으로 생각
 융은 인간의 무의식은 이런 개인적인 차원의 무의식 뿐만 아니라 인
류의 먼 조상, 더 나아가 인류 이전의 선행 인류 및 동물의 조상 때
습득된 이미지로 구성되는 집단 무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한
다.
 집단 무의식은 본능과 마찬가지로 타고나고 물려받는 것인데 , 어떤
계기를 통해서 의식의 층으로 올라오면서 구체적인 형태를 띠게 된
다
 무의식은 인류가 생존하는 한 지속된다.
 무의식을 의식화 하라.
 매 순간마다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동기에
의해서 지금의 행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차려라. 자
신에 대해서 ‘무의식-알지 못하는 의식’이라는 특성을
가진 마음의 부분들을 최소화하라
무의식을 의식화 하지 않으면 무
의식이 우리 사람의 방향을 결정
하게 되는데 우리는 바로 이런 것
을 두고 운명이라고 부른다.
-칼 융-
융의 이론2:페르소나 이론
페르소나(가면)
 페르소나(Persona) 이론:
 원래 페르소나는 그리스의 고대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일
컫는데 심리학적인 용어로 심리학자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가면)를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페르소나를 쓰
고 관계를 이루어 간다고 한다.
• 대체로 사회에 적응하기 위
해서는 어떤 종류의 가면을
써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요구간의 타협점에 도랄 목적
 페르소나는 어릴 때부터 가정교육이나 사회교육을 통해
서 형성되고 강화된다.
 예:
 직장인으로
 학생으로
 부모로서
 자식으로
 Ect..
 페르소나 팽창(열등감과 자책감)
 개인이 자신의 삶의 목표와 사회가
요구하는 페르소나를 동일시하여 그
에 의존하여 살아가다 보면, 자신의
본모습을 잃게 되고, 그것이 극단적
상태에 이르면 여러 가지 신체적, 정
신적인 문제들이 생긴다. 이런것을
페르소나 팽창이라고 한다.
융의 이론3:동시성
 우리가 직면하는 불가사이의 현상
-우연인가?
 이것을 합리적인 인과율로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인가 다른 미지의 연관으로
맺어진 심리적 평행현상이라고 생각
하여,
이를 공시성 또는 동시성이라고 이름
붙혔다.
 동시성 원리:
 서로 다른 두 개의 사건이 그 사이에 아무런 인과 관계도 없지만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듯이 보이는 사건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다.
 Ex1)융이 B시의 호텔에서 뒷머리에 몹시 심한 통증을 느낌. 그 시
간 그의 환자 중 한 명이 권총 자살을 함
 Ex2)융이 중심의 상징과 자기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황금
의 성 모양을 한 만달라를 그렸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황금의
꽃의 비밀’ 이란 연금술서의 해제의 집필을 부탁받았고 그 책에서
황금 성의 만달라 그림을 발견
 Ex3)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 일상에서의 동시성.
 동시성들은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매 순간마다 일어난다.
거기에는 그들의 인생에서의 아주 작은 일과 세계적으로
큰 일 사이에 연관이 있으나, 그들은 그것을 느끼지 못한
다.
 동시성과 무의식의 연관성:
 우리는 모두 의식과 무의식을 갖고 있는데 개개인의 무의식은 서
로 연결이 되어있다고 한다.
 가족이나 친한사람
 모두 하나의 뿌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