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다운로드

Download Report

Transcript 파일 다운로드

채 소 해
충
한경대학교 원예생명과학대학
원예학 전흥용
채소작물의 특징
•재배 작물의 종류가 많음
– 엽채류, 근채류, 과채류 등
•재배양식 및 재배작형이 다양함
– 양식 : 노지재배, 시설재배 (온실, 비닐하우스)
– 작형 : 촉성재배, 반촉성재배, 억제재배
•단지화 및 재배면적 협소로 의한 연작재배가 일반적
•소면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 많음 (텃밭)
채소해충의 특징
• 재배작물 다양
→ 해충발생 다양(병해충에 의한 피해 약 전체의 30~50%)
• 연중 재배로 해충의 지속적 발생 가능
• 주변에서 재배지로 계속 유입되어 발생
• 시설재배 확산으로 분포 확대
• 단지화, 연작재배 증가로 특정 문제 해충 발생 증가
• 미소해충 발생 많음 : 대부분 약제저항성을 보임
• 과도한 농약살포로 약제저항성 해충 증가
• 교역에 따른 외국 해충 유입 증대 : 총채벌레, 가루이 류
채소해충의 변화 요인
 재배양식의 변화로 인한 해충 발생양상 다양화
• 촉성, 반촉성 재배 증가로 난지형 해충 증가
• 동일지역 단지화, 연작 및 작물, 사람의 빈번한 이동에 의
한 해충의 이출입 확대
• 전반적으로 나방류 등 몸집이 큰 해충은 감소하는 반면
응애류, 진딧물류, 온실가루이, 총채벌레류등의 미소 해
충 발생 증가
• 연중 다발생 및 연작에 따른 토양해충, 특히 선충류에 의
한 피해가 증가
 방제 수단의 변화
• 화학적 방제로 인한 천적 감소 및 생태계 교란
• 약제 저항성 해충 발생 증가
•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해충들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기
술의 개발이 요구
 재배면적의 증가
• 소비량 증가에 따른 단지화로 피해 증대
 사회적 여건의 변화
• 교역량 증가에 다른 유입해충 증가
- 온실가루이, 꽃노랑총애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가루이 등
• 90년 이후 각종 외래 해충 국내 유입 : 수입구근, 절화류,
분화류
해충의 발생과 환경
 해충의 번식과 환경
- 해충의 특징
변화된 환경조건에 적응력이 뛰어날뿐아니라 대부분 몸집
이 작고 이동성이 뛰어나 적합한 환경을 찾아 적응하는 능
력이 뛰어남
- 대부분 몸집이 작고 날개가 이동이 편리하고 적은 먹이로
도 생존이 가능
- 각 환경조건에 따른 산란력, 암수비율, 발생 횟수에 크게 좌
우 : 환경이 좋은 조건에서는 빠른 성장 및 증식력을 가지고
환경이 나빠지면 이동이나 휴면의 기간을 가짐
 생활 장소의 변화와 해충 발생
- 시설 농업의 발달로 과거에는 노지에서 월동하거나 불가능
한 해충들이 휴면기 없이 연중발생하고 있음
- 재배법 다양화, 재배 토양특성의 변화로 인한 병해충발생
상 변화 : 뿌리혹선충
 품종의 변화와 해충 발생
- 같은 작물에서도 품종에 따라 내충성 정도의 차이 발생
- 재배지 특성에 알맞은 품종 선택
- 향후 품종 육성시 병해충 저항성 측면 고려가 필요
 약제 저항성과 해충 발생
- 1950년대 유기합성 농약 등장 : 해충 방제에 대한 낙관론으
로 약제방제 위주의 해충 방제
- 천적 생물군의 감소, 생태계교란 등의 부작용
-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을 통한 약제개발 비용 증가, 약제
가격 인상,
- 약제살포 농도 횟수 증가를 통한 경영비 증가 등의 부작용
발생
채소해충 분류군
해충과
목
종
메뚜기
3
8
총채벌레
3
노린재
매미
딱정벌레
나비
목
해충과
종
파리
7
17
10
벌
3
3
9
26
선충류 (2)
11
17
10
52
달팽이류
3
5
9
58
응애류
3
7
23
113
기타 (2)
2
2
국내 총 14목 86과 300 여종 이상 기록
목별 주요 채소해충
목
해
충
메뚜기
섬서구메뚜기, 귀뚜라미, 땅강아지
총채벌레
파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비단노린재
매미
진딧물류,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딱정벌레
풍뎅이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나비
거세미나방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담배나방, 배추좀나방, 목화바둑명나방
목별 주요 채소해충
해
목
충
파리
고자리파리, 굴파리류, 호박과실파리
벌
무잎벌
선충류
뿌리혹선충류, 뿌리썩이선충류
달팽이류
명주달팽이, 민달팽이, 들민달팽이
응애류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뿌리응애, 녹응애
기타
알톡토기, 쥐며느리
채소작물 별 주요해충
작 물
배추, 무
해
충
무테두리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거세미나방류, 도둑나방, 파밤나방, 배추흰나비,
무잎벌레, 벼룩잎벌레, 씨고자리파리, 명주달팽이
가 지
점박이응애, 차응애, 싸리수염진딧물, 오이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큰28점박이무당벌레
토마토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왕담배나방, 아메리카잎굴파리, 녹응애
고 추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거세미나방류, 담배나방, 오이총채벌레, 담배가루이
채소 작물별 주요 해충
작 물
감 자
해
충
감자수염진딧물, 청동방아벌레, 큰28점박이무당벌레,
감자나방, 거세미나방, 오이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오이, 수박,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오이총
채벌레, 목화바둑명나방, 혹파리, 뿌리혹선충
참외
파, 양파,
마늘
뿌리응애, 파총채벌레, 파좀나방, 파밤나방, 파굴파리,
고자리파리
딸 기
딸기잎선충, 들민달팽이, 점박이응애, 딸기뿌리진딧물,
딸기꽃바구미, 목화진딧물, 애못털진딧물
해충의 가해 및 피해 형태
 갉아먹는 피해
나방류 주로 유충이 꽃, 잎, 열매 등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 기 때문에 다
른 해충보다 육안으로 쉽게 관찰. 대부분 나방류는 잎 뒷면에 작은 벌
집모양으로 군집을 형성하여 알을 낳기 때문쉽게 발생을 확인
배추흰나비, 도둑나방 유충 등 : 작물의 줄기, 잎, 뿌리 등을
갉아 먹어서 피해를 줌
28점박이무당벌레
파밤나방
해충의 가해 및 피해 형태
 갉아먹는 피해
- 굴파리류, 좀나방 유충 : 잎 속으로 들어가 굴을 파고 식해
하여 표피만 남기는 피해를 줌
- 엽속에 산란하고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잎 조직 내에서
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하다가 다 자라게 되면 잎의 표피를
뚫고 나와 잎 위나 땅 위에서 번데기. 어른벌레는 산란관으
로 구멍을 뚫고 흡즙하여 피해를 주기 때문에 잎 표면에 흰
색의 줄무늬와 작은 반점들이 많이 생긴다.
굴파리피해
 즙액을 빨아먹는 피해
- 진딧물, 노린재 등 : 구침을 가지고 있어 잎, 줄기, 과실에
침을 박아 즙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생장을 저해함
- 즙액을 빨아먹을 때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경우에는 피해
가 훨씬 큰 경우가 있음 : 진딧물, 가루이, 총채벌레 등
목화진딧물
주홍날개꽃매미
 입으로 갉아 즙액을 빨아먹는 피해
- 총채벌레류 : 식물조직을 갉아서 즙액을 빨아먹는 입모
양을 가지고 있음
- 피해받은 조직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반점이 생기고 약
해진 조직에 균이 번식하여 부패하게 됨
- 특히 절화류나 과실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림
 산란에 의한 피해
- 나방류, 굴파리, 총채벌레류
알을 식물조직에 낳을 때 산란관으로 조직을 파괴하여 상처
를 내고 알낳은 부위는 부풀어 오름
총채벌레 산란
아메리카잎굴파리
총채벌레 피해 의심
 비정상적인 생장에 의한 피해
• 뿌리에 2령 유충이 침입하여 혹을 형성하는 것과 잎속 에
침입하여 잎을 탈색시키는 증상을 나타내지만 대표적인 식
물기생성 선충은 뿌리에 혹을 형성하는 뿌리혹선충 .
• 뿌리혹 선충은 뿌리에 침입한 후 이동 분산하여 정착한 후
유충은 특수한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여 거대세포(다핵세
포)를 형성. 거대세포 쪽으로 양분이 집중적으로 이동.
• 식물자체는 영양실조. 혹 이 형성된 뿌리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기능 저하. 지하부의 피해가 클수록 지상부가 빈약해
지며 절간 이 짧고 엽색이 변하며 낙엽이 조기.
뿌리혹 선충 피해 증세 및 피해 뿌리
뿌리혹선충(성충)
 비정상적인 생장에 의한 피해
- 먼지응애류는 한두 마리만 가해하여도 흡즙시 분비하는 타
액의 독성에 의해 잎이 쭈그러들며 생장을 저해시킴
• 애벌레와 어른벌레가 진딧물과 같이 식물체의 즙 액을 빨
아먹어 식물체의 잎과 새순의 생장이 저해되거나 퇴색 되
며 발생이 많을 경우 시들음이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죽음
• 배설물인 감로가 분비된 곳에 그을음병이 발생하여 광합성
을 저해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바이러스병을 옮긴다. 대 발
생의 경우에는 박멸이 어렵고 흰색의 작은 어른벌레가 날
아다니므로 작업에도 큰 불편.
-
차먼지응애 및 피해 증세
전흥용 : (010)825-8768
NHRI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