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특강자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5차특강자료

한국외대 노어과 교수 김 현 택
2011.04.01
-CT (Computed Tomography) / CAT (Computed Axial
Tomography) 촬영을 통해 신체 내부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음
-러시아 문화를 하나의 에코시스템으로 가정하고, 그것의 두뇌
에 해당하는 러시아 문학을 CAT scanning 해볼 것임
-어느 대장암 전문가의 의견
: “땅딸막하고 자기 주장이 아주 강한 사람에게 대장암이 많다.”
(신체적 특징에 대한 경험적 관찰+성격에 대한 주관적 판단)
-시간적 공간
: 기독교 도입 이후 현재까지 약 천년의 역사
-지리적 공간
: 동서 횡단 축 (블라지보스토크에서 상트 페테르부르크까지)
남북 종심 축 (아열대 지대부터 툰드라까지)
-자연 풍경
: 높은 산이 없는 평원 지대
-인종적, 종교적 다양성
-단일 언어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민족어와 사투리
-식물계: 초원-혼합림-침엽수-이끼와 관목
-독특한 공간 개념
: “러시아의 하늘은 넓다”
“외로운 평원에 서있는 교회”
“멀리 퍼져나가는 종소리(soundscape)”
-988년 비잔티움에서 정교회 도입
: “예배 의식이 참으로 아름다웠다”
“아름다움이 세계를 구원한다”
-“성스러운 책, 즉 성경”을 다시 쓰는 작가들
: 도스토예프스키 / 톨스토이 / 불가코프
-성자전 집필 전통
: 체르느이세프스키 <무엇을 할 것인가?>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고리키 <어머니>
-대표적 성자의 이미지
: 유순한 순종형 - 보리스와 글렙
투사형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성상화를 통해 도달하는 피안의 세계
: 성모상 앞에서 기도하던 어머니의 모습을 기억하는
알료샤 카라마조프
-성자 바보
: 푸시킨 <보리스 고두노프>
수리코프 <모로조프 공작부인>
-베르쟈에프 “인간 삶에 역동성을 부여하는 두 신화는 시원과
종말에 관한 신화이다. 이 중 러시아 인들의 정신 세계를 사로
잡은 것은 종말론적 신화이다.”
-푸시킨 <청동의 기사> / 고골 <죽은 혼> / 도스토예프스키
<악령> / 블록 <12> / 불가코프 <거장과 마르가리타>
-정교회의 믿음에서 가톨릭의 연옥에 해당하는 중간 지대는
부재: 협상과 계약은 악마의 영역에 속하는 것
-표도로프가 주장한 “세상을 떠난 우리 조상들의 부활”
-고통의 길을 걷는 순교자
: 아바쿰 <성저전> / 라지시체프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서 모스크바로의 여행> / 만젤쉬탐 / 아흐마토바 /
샬라모프 / 브로드스키
-푸시킨의 시 <예언자>
-러시아 상징주의자들의 세계관/현상계와 정신계
-동양과 서양에 걸쳐있는 러시아
-유럽과 다른 역사적 경험
: 몽골의 지배 / 러시아를 우회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사이의 갈등
-모스크바와 상트 페테르부르크의 대치구도
-“러시아는 유럽으로부터 영원히 낙후된 변방” : 차아다에프
-“러시아의 독특한 위치 때문에 유럽이 경험한 실수를 러시아는 피할
수 있음”: 게르첸
-“기독교적 사랑과 희생을 통해 러시아는 유럽을 구원할 것”
: 도스토예프스키
-1830년 대 말부터 시작된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 사이의 논쟁
-서구 문물은 러시아적 맥락에서 굴절되고 변화된 형태로 수용
: 표트르 대제 개혁의 성격에 대한 논쟁
-핍박 받는 노동자 농민 및 하급관리에 대한 애정
-검열을 피하기 위한 ‘자가출판’ 또는 ‘서랍에 넣어둔 원고’
-인텔리겐치야의 기존의 질서에 도전
: 벨린스키/게르첸 <누구의 잘못인가?>
도브로류보프 <오블로모프주의란 무엇인가?>
체르니세프스키 <무엇을 할 것인가?>
-잉여인간
: 그리보에도프의 차츠키 / 투르게네프의 루진 /
곤차로프의 오블로모프
-긍정적 인물
: 투르게네프의 바자로프 / 체르니세프스키의 라흐메토프 /
고리키의 파벨
-강인한 여성
: 푸시킨의 타치야나 라리나 /곤차로프의 올가 일리인스카야
/ 글라드코프의 다샤 추말로바 / 불가코프의 마르가리타
-서구 문예 사조나 사상이 순차적으로 유입되지 못한 데서 온
혼란
-시간적 지체 극복을 위한 고유의 문학 형식 탐색 욕구
-불가능한 것을 추구하거나 기대를 배반하는 글쓰기
제르자빈 <펠리차> / 푸시킨 <에브게니 오네긴>/
고골 <죽은 혼> / 체르니세프스키 <무엇을 할 것인가?>/
도스토예프스키 <죽음의 집의 기록>/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 파스테르나크 <의사 지바고>/
솔제니친 <수용소 군도> / 아나톨리 김 <아버지 숲>
-고립되어 있지 않고 열려있음
(푸시킨, 고골, 레르몬토프, 도스토예프스키, 나보코프)
-인접 예술과의 활발한 교류
-다양한 문학 경향의 공존
-러시아 문학 전통과의 단절 없는 대화
-소위 말하는 ‘저주 받은 질문들”에 대한 지속적 탐구
-탁월한 번역 전통과 출판 문화
-문학과 예술을 대하는 러시아 인들의 태도
-러시아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동시에 함유
: 도스토예프스키가 프랑스 실존주의와 아인슈타인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