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File

김소월
김진희
목차
산 그림
산 - 김소월
전체 줄거리
산에 대하여…
1 연
2 연
3 연
4 연
전체 줄거리
• 시메산골, 십수갑산이라 불리어지는
산골에서 십오년이나 정분이든 연인을
두고 다른 지역으로 떠나야 만하는
화자의 설움과 그리움을 그리는 시
• “하룻길 칠팔십 리를 가는데 육십리는
돌아서서 갑니다. 가야 합니다. 돌아갈
수 없습니다. 잊을 수 없는 정 때문에
괴로워하는데 고갯길에 산새가 웁니다.”
선생님과 함께읽는 김소월中…
산에 대하여…
• 이별의 시
• 3 음보
• 민요조
1 연
•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 산새도
운다는 뜻은 화자도 운다는 뜻
(상징적/의인법)
• 즉 산새에게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켜서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 산새는 왜우노, 시메산골 / 영 넘어갈라고
그래서 울지= 시메산골을 떠나는 것이
슬퍼서 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의인법)
• ‘오리나무’를 쓴 이유는? *운율? *이정표?
2 연
• 눈은 나리네, 와서 덮이네. = 차갑고
외로운 화자의 마음 (비유법/상징)
• 오늘도 하룻길 / 칠팔십리 / 돌아서서
육십리는 가기도 했소 = 7-80리나되는
먼 거리중 60리나 되는 거리를
되돌아갔다는 화자의 그리운 마음의
표현. 이는 다시 되돌아 가려는 화자의
마음을 보여줌 (과장법)
3 연
• 불귀, 불귀, 다시 불귀, / 삼수갑산에서
다시 불귀. = ‘불귀’의 반복 (반복법)
• 불귀 =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죽음의
의미?
• 이는 반복되어 되돌아가는 머뭇거림과
그리움을 보여준다
• 사나이속이라 잊으련만 = 화자의
남성스러움을 보여준다 (남성적 화자)
• 십오년 정분을 못 잊겠네 = 두고 온
연인을 그리워 하는 것을 보여준다
4 연
• 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눈 = 자신이
오르는 산은 차갑고 험한 길, 연인이 있는
들은 따듯하고 정겨운 곳 (상징적)
• 산새도 오리나무 / 위에서 운다 = 1 연과 4
연의 수미상관의 구조 (다시 한번
반복함으로 자신의 그리운 감정을 표현한다)
•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 연인을
떠나는 길은 고개 처럼 험란하고 험곡한
길이라는 인상을 준다 (비유법/은유법)
상징법
•
•
•
•
•
산새
눈
산
들
고개
• 산새 = 화자를 상징
• 눈 =
외로움/공허함/그리움/
차가운
• 산 = 자신이 가야 하는
길
• 들 = 연인이
있는곳/그리운
고향/돌아 가고싶은 곳
• 고개 = 힘겨운 길/고통
비유법
•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 눈은 나리네, 와서
덮이네
•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 산새를 자신에
빗대어 비유함
• 눈은 화자의 심정을
비유함
• 삼수갑산에 가는
길이 힘든 길이라는
것으로 ‘고개’를
써서 비유함
반복법
•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 불귀 불귀, 다시
불귀
• ‘눈’
• 1연과 4연의
수미상관구조로
반복적으로 쓰임
•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강조
• 자신의 심정을
강조함
과장법
• 오늘도 하룻길 /
칠팔십리 / 돌아서서
육십리는 가기도 했소
의인법
• 산새도 오리나무 /
위에서 운다 / 산새는 왜
우노, 세메산골
영넘어갈라고 그래서
울지
서프라이즈 퀴즈
• 왜 삼수갑산에 가는
길을 고개의 길이라
표현 했을 까요?
• 본 시는 작가의
여성적인 면모가
드러나있다고
생각하나요? 만약
그렇다고 생각 하면
이유를 말해봅시다.
서프라이즈 퀴즈
• 시인은 왜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를 반복해서
썼을까요? 시인이
노린 효과는
무엇일까요?
• 시인이 왜 시의
제목을 ‘산’이라
붙였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