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의 예전

Download Report

Transcript 말씀의 예전

종교개혁교회의 예배
(정일웅, pp.95-120;
James F. White, 개신교예배, pp.49-130 )
1.기본개념
종교개혁가들의 예배 개혁은
1.루터
2.칼빈
두 사람의 예전을 밝히는 것이다.
2.루터의 예배개혁
1)”교회의 바벨론 유수”에서-성만찬에 관한 그의 논문
(1)평신도에게 잔을 주지 않는 것
a)성만찬에는 은총과 표징이 있다
b)물론 은총이 더 중요하기는 하지만, 표징과 은총은 다 주
어져야 한다
c)잔을 주지 않는 것은 표징을 다 주지 않는 전제적인 행위
이다.
- 성경에만 근거하고, 아주 상식적으로
2.루터의 예배개혁
(2)화체설
a)로마교회 화체설(그들은 실체 변화라 번역함)은 아리스
토텔레스 철학에서
-온갖 미신적인 것의 뿌리가 여기에 있다
b)공재설: 성찬의 요소들은 참 떡과 참 포도주인데,
그 가운데 그리스도의 참 살과 참 피가 있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인식론적으로가 아니라 은혜의 경험으로서)
2.루터의 예배개혁
(3)성만찬을 희생으로 보는 것
우리는 그리스도께 은혜를 입은 것이지,
우리 자신의 희생으로 하나님께 나가
는 것이 아니다
2.루터의 예배개혁
2)말씀
“Concerning the Order of Public Worship” (교회 예배순서에
관하여)
(1)“하나님의 말씀의 설교와 기도가 없다면 그리스도인의
집회는 절대로 모이지 말아야 한다”(루터저작집 ⅬⅢ.11,
정일웅 p.96. )
(2)성경적 근거가 없는 전설 등이 예전화되어서는 안 된다
(3)예전은 공로적 행위가 아니다-예전 개혁은 복음의 의를
나타내는 것
2.루터의 예배개혁
*일반적으로-오히려 예배는 자국어로 행
하여 지게 하고
-성직자 혼자 하는 성찬 기도(secret) 과
감하게 축소되었다
:하나님은 말씀하시고 성도는 듣는다는
원칙
2.루터의 예배개혁
3)세례론
-그의 만인제사장론과 연관이 되어 있다.
:세례를 받음으로 그는 하나님 앞에서 제
사장이
되는 것이다.
-만인이 제사장됨의 시점을 명확하게 제공
하기 때문에 또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2.루터의 예배개혁
4)결어: 우리는 루터가 가진 말씀, 성만찬, 세
례라는 예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를 살
펴보았다.
루터의 예전개혁은 죽음의 상황을 두려움
에서 소망으로 바꾸려한 조치였다
포괄적으로 “독일미사”의 예전 5원칙(정일
웅, p.98)
2.루터의 예배개혁
5)루터의 예배순서(p.99)
①입례송(찬송-시편)
⑨성찬요소의 준비
②자비송(Kyrie Eleison)
⑩성찬의 대화(권면)
③예배를 위한 기도(collect)
⑪성찬 제정의 말씀
④서신서 낭독
⑫축복(감사의 기도)
⑤찬송-할렐루야(층계송)
⑬주기도문-평화의 입맞춤
⑥복음서 낭독
⑦니케아 신조
⑧설교
⑭어린양 찬송과 성찬거행
⑮인사와 축복
⑯아론의 축복의 기도
2.루터의 예배 개혁
1.위의 순서는 1529년 독일 미사를 따른 것
2.성찬 제정사 다음의
분병례에서는 빵을 높이 들어 올렸는데,
이것에는 그리스도를 기념한다는 의미만
담았음
(개혁교회는 받아들이지 않음)
3.칼빈의 예전
*기본개념:
(1)그의 예전은 스트라스부르그에서 Bucer의 영향으로 형
태지워진 것이다
(*루터는 Bucer가 자신과 다른 정신을 가졌다고 확인한 바
있다. 칼빈은 많은 부분 부서의 영향을 받았고, 예전의 경
우는 특히 더 그렇다)
(2)제네바에서 자신이 행한 것보다 스트라스부르그 예전이
더 칼빈의 뜻에 맞는 것이었다고 볼 수도 있다(Bucer는
당시 예배학의 최고 전문가로서 개혁교회뿐 아니라 성공
회 기도서에도 영향)
3.칼빈의 예전
1.Bucer의 예배 묘사
회중들이 일요일에 함께 모이면
목사는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위해 기도하도록 권
면한다
그리고 모든 회중을 위해 목사가 하나님께 죄의 고백을 드리고
용서를 위해 기도하며, 사죄의 선언을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회중은 짧은 시편이나 찬송가를 함께 부른다.
그리고 목사가 짧게 기도한 후,
사도들의 서신을 읽고,
가능한한 간단히 설명을 한다.
3.칼빈의 예전
그리고 회중들은 십계명이나 기타 다른 것을 노래한다.
그 후에 목사가 복음서를 읽고,
설교를 한다.
설교가 끝나면 회중들은 운율에 맞추어 사도신경과 같은
신조를 노래로 한다
목사가 지도자들과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하고
특별히 회중들이 그리스도의 죽으심을 기념하는 가운데서
그들의 믿음과 사랑과 은혜가 더욱 충만해지기를 간구한
다
3.칼빈의 예전
그리고 그와 함께 성만찬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그리스도를 기
념하는 가운데서
자신들의 죄에 대하여 죽고
기쁨으로 자신들의 십자가를 지고
믿음 안에서 더욱 강건해지도록 권면을 한다
또한 십자가 위에서 우리를 위해 자신의 생명과 피를 드리신 그리
스도의 무한하신 은혜와 자비하심을 믿는 마음으로 그 앞에 나
오도록 권한다
권면이 끝나면 목사는 주의 만찬에 관계된 복음서의 내용이나 고
전 11장의 바울 서신을 읽는다
3.칼빈의 예전
그리고 목사는 회중들 사이로 주님의 떡과 잔을 분
배한다
그 때 회중들은 찬양의 찬송을 다시 부른다
그 후 목사는 짧은 기도와 함께 성찬식을 끝맺고
회중들에게 강복선언을 한 후,
주님의 평강 속에 돌아가도록 한다
이것이 우리가 매주일 거행하는 성만찬 형식이다
Maxwell, 예배의 발전과 그 형태, p.140.
3.칼빈의 예전
2.Bucer 와 Calvin예배순서비교
<Bucer>
말씀의 예전
<Clvin>
말씀의 예전
①죄의 고백
①예배의 부름(시124:8)
②속죄의 말씀
②죄의 고백
③용서의 선언
③죄의 속죄를 위한 기도
④시편송, 찬송가 혹은 키리에
⑤영광송
(용서의 말씀/사죄의 선언/십계
명 찬송-응답송은 키리에)
⑥성령임재를 위한 기도
④운율시편송
⑦운율 시편송
⑤성령임재(조명)를 위한 기도
⑧성경봉독(복음서)
⑥성경봉독
⑨설교
⑦설교
3.칼빈의 예전
성만찬 예전
①헌금
②성물준비(사도신경 노래)
③중보기도와 성찬기도
④주기도문
⑤권면
⑥성찬제정사
⑦성체분할
⑧분병분잔
⑨성찬참여
⑩성찬후 기도
⑪아론의 강복(폐회)
성만찬 예전
①헌금
②중보기도
③주기도문 해설
④성물준비(사도신경노래)
⑤성찬기도
⑥주기도문
⑦성찬제정사
⑧권면
⑨성체분할
⑩분병분잔
⑪성찬참여(시편이나 성경낭독)
⑫성찬 후 감사기도
⑬시므온의 찬미/눅2:29-32
⑭아론의 강복선언
3.칼빈의 예전
3.1545년 제네바 예식서 서문
(Maxwell,158)
우리는 죄의 고백으로 시작하여, 율법서
나 복음서의 성구로 용서의 선언을 한
다. 예수 그리스도는 스스로 의로우시
며 생명을 가지신 분이기 때문에 우리
는 그분을 통하여 의로와지며 새생명
을 누리는 것이다
3.칼빈의 예전
… 우리는 계속해서 시편송, 찬양의 찬송,
복음서봉독, 신앙고백(사도신경등), 헌
금을 한다… 그리고 복음서의 봉독과
설교, 신앙고백은 매우 생동감 있고 활
기차게 진행된다…
3.칼빈의 예전
이어서 우리는 모든 인류의 구원을 위해
서, 그리고 그리스도의 삶이 우리 안에
서 더욱 불타오르도록 기도드린다. 그
리스도의 삶은 잃어버린 자들을 찾아
구원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을 위해 기도한다.
3.칼빈의 예전
이어서 우리는 성만찬 예전을 통하여 실
로 예수 그리스도를 받게 되므로… 우
리는 신령과 진정으로 그분께 경배드
린다. 우리는 경외와 찬양과 감사로 신
비한 성만찬을 받는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우리는 예배를 진행하는데,
이것은 사도와 교부들 시대의 고대 교
회와 일치되는 것이다.
3.칼빈의 예전
*아론의 축복 서원(민6:24-26), 즉 축도
(아론의 축복을 축도로 사용한 것은
주께서 승천하실 때 이 말씀으로 축복하
셨다는 루터의 가정에서 나온 것인데,
Maxwell<p.109>은 무모한 것이었다고 평
가한다)
3.칼빈의 예전
4)칼빈의 예전
(1)제네바 시의회와의 불화
-1438년 추방시 칼빈의 요구에서 성만찬 부분이 특히 강력하였다.
-1441년 귀환 후에도 칼빈은 더 많은 성만찬을 요구했다
(2)신학적 견고성과 균형
-강요, 신앙문답서, 예전서 등을 근거로하여
-말씀과 성찬은 은혜의 방편(쯔빙글리와 달랐다)
-성만찬은 늘 하지는 않았어도 신학적 균형을 가졌다
3.칼빈의 예전
(3)성만찬은 연4회 순서는 단순하게
-남아 있는 칼빈의 예전은 그의 의도가 다
반영되었는지 의문을 일으킨다
(4)카톨릭을 따라하는 것을 싫어하여
“고대 교회의 방식에 따른 기도 형식과 성
례전 집례법”을 기록(maxwell pp.1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