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 서쪽

Download Report

Transcript 동쪽 서쪽

과학
2-1-3
달의 운동
달의 공전
① 방향 : 서에서 동으로 (반 시계 방향 )
② 속도 : 1일에 약 12~13도씩
-> 공전주기 약 27.3일
③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함
-> 햇빛을 반사함
-> 위치에 따라 위상이 다양하다.
방위
동쪽
서쪽
방위
와 시 동쪽
각
오후 6시
서쪽
동쪽
북
쪽
북쪽
서쪽
서
동쪽 쪽
오전 6시
오후 12시
탐구 ) 달의 위치에 따른 위상
변화 관측
나. 활동방법
1) 학습지의 달에 태양 빛을 받아서 반사
하는
부분을 색칠한다.
- 달은 항성이 아니므로 빛을 낼 수 없
다.
태양의 빛을 받는 부분을 생각하여
노란색으로 색칠한다.
달
지구
오후 6시
오전 12시
오후 12시
오전6시
2) OHP 필름에 인쇄된 그림을 가위로
자르고
지평선을 매직으로 색칠한다.
3) OHP의 동그라미에 십자모양으로 칼
집내고
할핀을 꽂는다.
4) 학습지의 종이 지구에 할핀을 꽂고
뒤편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인다.
5) 지구에 있는 사람을 돌려가면서
달의 위상변화를 확인한다.
달의 관측 시각
동( )쪽
(1) 지구의 자전으로 달을 포함한 천체는
에서 서
15˚
( ) 쪽으로 한 시간에 ( )씩 이동한다.
(2) 달은 지평선 위에 있는 시간이면서 밤에만
관측 가능하다.
같은 날
저녁 7
시
15 ˚
서쪽
동쪽
음력 7일 저녁 6시
달의 관측 시각
(3) 달은 지구 둘레를 하루에 약13˚
( )씩
( 동
)에서 ( 서
) 으로 공전한다.
(4) 매일 같은 시각에 관측할 때 달은
(
13˚
) 동쪽에 위치한다.
음력 8
일
저녁 6
시
서쪽
동쪽
음력 7일 저녁 6시
매일 초저녁 (같은시간)에 관측되는 달의 위
매일 새벽 (같은시간)에 관측되는 달의 위상
달이 뜨고 짐에 따른 시간
(5) 달이 뜨고 지는 시각
: 달은 매일 약 ( 50 )분씩 늦게 뜨고 진다.
➡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달이 지구 주
위를
공전하기 때문
음력 15일경
오후 6시
음력 16일경
오후 6시
13 ˚
달을 보려면 지구가 13 ˚ 만
자전해야 하므로 그 시각이
달이 13 ˚만큼 공전했기 때문에
약 50분이다.
같은 시각에 보이지 않는다.
위상
뜨는 시각
지는 시각
삭
6시경
18시경
초승달
9시경
21시경
상현달
12시경
24시경
보름달
18시경
6시경
하현달
24시경
12시경
그믐달
3시경
15시경
달의 공전 주기
1. 항성월 : 약 (27.3 )일,
별을 기준으로 한 바퀴
2. 삭망월 : 약 (29.5 )일,
삭~삭 or 망~망까지
※ 항성월과 삭망월이 차이가 나는 이유?
달이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공전하기 때문에
삭망월
항성월
27.3일
29.5일
달의 자전(동주기자전)
① 자전방향 : 서->동
② 자전속도 : 약 12~13도/일
③ 자전주기 : 약 27.3일
달의 자전 주기 = 달의 공전주기(항성월)
=약 27.3일
달 표면의 무늬 변화
=>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아서
항상 같은 면만 보인다.
달 표면의 무늬 변화
=>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아서
항상 같은 면만 보인다.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을
Ⅱ. 태양계와 지구 – 2. 태양계의 역학
7. 달의 공전과 자전
달이 공전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학습목 달의 위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표
항성월과 삭망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달의 한쪽 면만을 관찰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1. 달의 공전
2. 달의 공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
3. 달의 공전 주기 - 삭망월과 항성
월
4. 달의 자전
화수고등학교. 이상길
1. 달의 공전 :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달에 한 바퀴씩 도는 운동
① 공전 방향 : (서) → (동)
② 공전 속도 : 약13°/일 → 공전주기 약 27.3일
③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함 → 햇빛을 반사 → 위치에 따라 위상이 다양
2. 달의 공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
① 위치변화 : 매일 밤 같은 시각에 달을 관측하면 약 13°씩 (서)→(동)으로 이
동
② 뜨는 시각 : 매일 50분씩 늦어짐 →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달이 공전하기
때문
③ 모양(위상) 변화 : 삭→초승→상현→망→하현→그믐
► 달이 보이지 않을 때를 _____ , 오른쪽 반이 보일 때를 _____ ,
달의 모양(위상) 변화와 뜨고 지는 시
각
위상
뜨는 시
각
지는 시
각
삭
6시경
18시경
9시경
21시경
12시경
( )시경
18시경
6시경
( )시경
12시경
초승
달
상현
달
보름
달
하현
달
그믐
달
► 뜨고
3시경
15시경
지는 시간은 몇 시간 차이인가?
► 달의 각 위치에서의 위상을 그릴 줄 알아야 한다. (특히 하현달의 위상에 조심!!)
[초저녁에 관측되는 달의 위치(음력)과 위상]
[새벽에 관측되는 달의 위치(음력)과
위상]
► 달의 남중 모습 : 초저녁 → 상현, 새벽 → 하현
► 일자별 초저녁의 달의 이동과 위상 : 서(초승달) → 동(보름달)
일자별 새벽의 달의 이동과 위상 : 서(보룸달) → 동(그믐달)
► 달의 관측시간 : 초승달에서 보름달로 갈수록 → 관측 시간 길어짐
(Why?)
보름달에서 그믐달로 갈수록 → 관측 시간 짧아짐
[탐구] 달의 공전 및 관측된 달의 모습이다.
㉮ B의 위치에 있는 모양의 달을 볼 수 있는 시간과 방향은? → 초저녁, 서쪽하
늘
㉯ 밤중에 가장 오래 동안 관찰 할 수 있는 달의 위치는? E
㉰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에서 보름 간격으로 관측된 달의 모습이다. 이
와 같은
모양으로 관측되는 달의 위치를 왼쪽 그림에서 각각 고르시오.
Ex1. 다음 그림은 달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에서 달의 위상은 초승달이다.
② B위치의 달은 새벽에 잠깐동안 보인
다.
③ B보다 C에 위치할 때 달이 더 늦게 뜬다.
④ C위치의 달은 초저녁에 서쪽으로 진
다.
⑤D
위치의
달은어느
한밤중에
Ex2.
오른쪽
그림은
날 달의남중한다.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①
것은?
달의 위상은 그믐달이다.
② 동쪽 하늘을 찍은 것이다.
③ 해 뜨기 전 새벽에 찍은 것이다.
④ 이 사진을 찍기 직전에 개기 월식이 일어났다.
⑤ 이 달은 해가 뜨고 얼마 지나지 않은 아침에 떴
Ex3. 그림 (가)-(다)는 우리나라에서 보름동안 관측한 달의 위상변화를 순서없
이 나타낸
것이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관측한 시간 순서는 (나)→(다)→(가)이다
② (가)는 자정에 서쪽하늘에서, (나)는 새벽에 남쪽하늘에서 관측된다.
③ 밤에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은 (나)보다 (다)가 짧다.
④ 달의 위상이 (다)일 때, 지구에서는 태양의 코로나가 관측될 수 있다.
⑤ 지구에서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보이는 이유는 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기 때문이다.
Ex4. 그림 (가)는 서울에서 어느 날 관측한 달의 모습이며, (나)는 태양-지구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가)의 달을 관측한 시간과 관측 방향, 공전 궤도에서
(가)의
달을 관측한 달 위치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관측 시간 관측 방향 달의 위치
관측 시간 관측 방향 달의 위치
① 새벽
동쪽 하늘
B
② 새벽
서쪽 하늘
A
③ 저녁
동쪽 하늘
B
④ 저녁
서쪽 하늘
A
⑤ 저녁
서쪽 하늘
B
3. 달의 공전 주기 - 삭망월과 항성월
① 삭망월 : 달의 모양 변화를 기준으
로
하는 달의 공전주기.
► 삭에서 삭, 또는 망에서 망으로
변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약 29.5일
② 항성월 : 별을 기준으로 하는 공전주기
► 달이 별자리를 기준으로 지구 둘레를 한 바퀴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약 27.3일
③ 삭망월과 항성월이 다른 이유 : 달이 지구 둘레를 ( 공전 )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
Ex1. (삭망월과 항성월) 그림은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는 지구와, 지구 둘레를
공전
하는 달을 나타낸 것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항성월과 삭망월을 나타내는 달
의
이동 구간을 기호로 나타내시오.
㉯ 그림에서 θ와 θ’만큼 이동하
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각각 쓰시오.
►B→C까지가는데걸리는시간은?
㉰ 항성월과 삭망월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ᄀ. 두 별 S는 같은 별에 해당한다.
ᄂ. 달이 B에 있을 때는 음력 15일경이다.
ᄃ. A에서 B까지 가는 동안 달은 한 바퀴 자전한다.
ᆯ. A에서 C까지 가는 동안 약 27.3일이 걸린다.
4. 달의 자전 : 달이 자전축을 중심으로 한 달에 한 바퀴씩 도는 운동
① 자전 방향 : ( 서 ) → ( 동 )
② 자전속도 : 약13°/일, 자전주기 → 약 27.3일
[탐구] 지구에서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
(가)
(나)
(다)
(라)
(마)
► 달의 위상이 달라지더라도 지구에서 볼 때 항상 같은 면만 보이는 이유
는
Ex1. 위 그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ᄀ. (가)는 새벽에 동쪽하늘에서, (마)는 초저녁에 서쪽 하늘에서 관측된
다.
ᄂ. (나)는 초저녁부터 자정까지 약 6시간동안 관측된다.
ᄃ. 밤에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은 (다)가 가장 길다.
ᆯ. (다)에서 (라)로 갈수록 태양과 달의 거리가 멀어진다.
Ex2. 다음 <보기>에서 달의 자전으로 인한 현상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지구에서는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다.
ㄴ. 지구에서 보이는 달 표면의 무늬가 항상 같다.
ㄷ. 삭망월이 항성월보다 약 2.2일 더 길다.
Ex3. 만약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지 않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① 삭망월과 항성월이 같아진다.
②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지 않는다.
③ 지구에서 달의 모든 면을 볼 수 있다.
일정하다.
⑤ 달의 모양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④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이 항상
Ⅱ. 태양계와 지구 – 2. 태양계의 역학
8. 일식과 월식
학습목표 일식과 월식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일식
2. 월식
3. 일식과 월식이 삭과 망에서 매번 일어나지 않는 이유
1. 일식 : 달이 태양을 가려 태양이 보이지 않는 현상
① 개기일식 : 태양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
► 달의 본 그림자 속에 들어 가는 지역.
② 부분일식 : 태양의 일부가 달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
► 달의 반 그림자 속에 들어 가는 지역.
③ 금환일식 : 태양의 가장자리 부분만 둥글게 보이는 현상.
► 달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멀리] 떨어져 있을 때 일어난다.
일식이 나타날 때의 태양, 달, 지구의
위치
㉮ A지역, B지역, C지역에서 일어난 일식의 종류를 각각 말하시오.
㉯ A지역, B지역, C지역에서 관측되는 달의 위상을 개략적으로 그려 보시
오.
2. 월식 :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 보이지 않는
현상
① 개기 월식 : 달 전체 → 지구의 본 그림자 속
② 부분 월식 : 달의 일부 → 지구의 본그림자 속
► 개기 월식 : 햇빛이 지구의 대기를 동과하는 동안 붉은 색의 파장이 굴절되어
달의
표면에 도달 → 붉게 보인다.
▣ [정리] 개기일식과 개기월식의 비교
구분
㉮ 관측 장소
㉯ 일어나는 시간
개기 일식
개기 월식
달 그림자가 미치는 좁은 지역
(낮)
밤이 된 모든 지역
수분
수십분
㉰ 태양,달,지구 위
태양-달-지구 일직선(삭)
태양-지구-달 일직선(망)
치
► 월식이 일식에 비해 지속시간이 더 긴 이유 : 지구의 그림자 > 달의 그림자
► 일식과 월식의 진행방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3. 일식과 월식이 삭과 망에서 매번 일어나지 않는 이유
→ 달의 공전 궤도(백도)와 태양의
공전궤도(황도)가
( 5° ) 정도 기울어져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일식과 월식의 진행 방향 : A → B
► 달은 지구 주위를 서에서 동으로 공전하므로 지구에서 보면 월식은 달의
[오른쪽/왼쪽] 부터 가려진다.
cf. 일식 발생 시 태양은 [오른쪽/왼쪽]부터 가려진다.
Ex1. 그림은 월식이 일어나는 동안 북반구에서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
하여
나타낸 것이다. 설명으로 옳은 것은?
ᄀ. A가 B보다 먼저 촬영한 것이다.
ᄂ. 이 날 태양-달-지구의 순으로 일직선을 이루었다.
ᄃ. 월식이 일어나는 시각에 밤이 되는 모든 지역에서 관
측된다.
A
Ex2. 그림은 우리나라 부근을 지나간 달의 본그림자의 궤적과 이동 방향을 나
타낸
것이다.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ᄀ. 이 날 달의 위상은 보름달이다.
ᄂ. A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날 때, B에서는 금환일식이
일어난다.
ᄃ. 일식 때 태양이 가려지는 비율은 B보다 C에서 크다.
B
C
Ex3.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관측한 일식의 진행과정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르
면?
㉮ 일식과 월식이 일어날 때의 달의 위치는 각각 어디인
가?
㉯ 지구에서 볼 때 달이 하현달 모양으로 관측되는
위치는 어디인가? D
㉰ 하루에 달을 가장 오랜 시간 동안 관측할 수 있는
것은 달이 어느 위치에 있을 때인가? C
►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관측한 일식의 진행과정이다. 옳은 것은?
① 이날은 태양-달-지구 순서로 배열하였다.
② 이날 달의 시직경은 태양보다 컸다.
③ 이 지역에서는 부분일식만 관측되었다.
④ 일식이 B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오른쪽부터 가
려진다.
⑤ 일식은 달이 삭일 때 항상 일어난다.
Ex4. 다음 그림과 같이 전구와 스티로폼 공을 이용하여 모형 실험을 하였다. 이때 전구
는 태양을,
스티로폼 공은 달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으로 모두 고르면?
ㄱ. 태양이 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ㄴ. 달이 삭의 위치에 있을 때 관찰할 수 있다.
ㄷ. 실험과 같은 천문 현상이 실제로 일어나면 태양의 오른쪽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Ex5. 다음 그림은 어느 날 월식이 일어나는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촬영한 것이
다.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이 날은 부분 월식만 관측되었다.
② 달이 삭의 위치에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③ 이 날 지구의 그림자는 달의 지름보다 작았다.
④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A에서 B방향으로 월식이 진행되면서 사진이 촬영되었다.
춘분
동지
하지
추분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
뜨는시각:
남중시각:
지는시각:
관측가능시각:
관측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