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Download Report

Transcript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Inventory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2006. 8. 24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총량과 김대곤
차 례
Ⅰ
연구 배경 및 목표
Ⅱ
연구 추진체계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1차년도 주요 연구결과
Ⅴ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Ⅵ
2차년도 연구목표 및 내용
Ⅶ
2차년도 사업성과 및 추진계획
Ⅷ
2차년도 연구 일정
Ⅸ
주요 연구성과 및 고찰
Ⅰ
연구 배경 및 목표
1. 연구 배경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2. 연구 목표
1. 연구 배경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연구배경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범정부적 대
책 마련 필요
기후변화협약(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른
대응책 마련 시급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으로 배출계수개발
및 관리업무 환경부로 일원화
배출계수 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
연구개발의 필요성• 중요성
국내 특성 반영한 배출계수 도출 요구
온실가스 배출원에 대한 재평가 필요
배출계수의 통계방법 및 기준 제공 요구
향후 배출량 전망과 예측 요구
자연생태계의 온실가스 발생, 제거량 추
정필요
온실가스 배출원자료 통합관리기반 구축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 작성 및 배출계수 개발
환경부 기후변화대책관련 용역 추진현황(’99-’05)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한국대기환경학회
온실가스
저감조치의
환경적 편익분석
KEI
기후변화협약
대응체제 연구
KEI
기후변화협약 대응
환경부문
종합계획수립
KEI
온실가스
저감 목표 설정
및 배출권 거래제도
활용방안 마련
KEI
자동차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NIER
자동차공해연구소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범사업
시행방안연구
KEI/고려대/에경원/
공단/에코프론티어
환경부문의
온실가스 저감
잠재력 평가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대기오염배출업소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NIER 대기물리과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환경부문
전략연구
환경관리공단/고려대/
한림대/건국대
온실가스 집약도
목표설정 및
배출권거래제도와의
연계방안 연구
KEI
자동차부문
온실가스저감대책
연구사업(2차년도)
NIER
자동차공해연구소
과제성과물에 대한 통합 관리 필요
환경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조사
및 통계구축
환경관리공단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추진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
환경관리공단/
에코프론티어
IPCC 작성지침 (2006) 요약
(Pre-publication Draft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및 산림(토지이용). 폐기물 등
5개 부분별 온실가스 배출통계 작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
1.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추정방법론
- Default Method 포함
2. 산업공정 및 생산품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추정방법론
3. 농업, 산림, 토지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추정방법론
4. 폐기물처리방식에 따른 온실가스 추정방법론
5. 기타 – NOx와 NH3의 질소 성분에 의한 N2O 배출량 추정방법론
2. 연구 목표
(연구기간 2005. 4~2008. 3)
세부목표
온실가스 배출계수 연구자료의 종합 수집 및 평가
온실가스 측정방법 표준화 개발 및 제도화(연속측정방법 도입타당성)
국내특성이 반영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실측 개발(Tier 2, 3 method)
온실가스 배출원자료 신뢰성에 대한 부문별 평가 및 조사 우선순위 도출
국내환경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신뢰성 있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자료 구축
Ⅱ
연구 추진체계
1. 연구추진체계(총괄)
2. 연구진행체계(주관기관)
1. 연구 추진체계(총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온실가스 Inventory 구축
산림 이산화탄소 흡수량 대푯값 산정
산림의 메탄 산화량 측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총량과/환경관리공단
국내 연구결과의 종합분석 및 평가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체계 검토
국가 조사 우선순위 도출
국내실정을 고려한 부문별 국내 배출계수 개발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 선정
주요인자의 관리체계 조사
국내 배출량 목록 검증 방안 작성
개발된 배출량 목록 및 전망 프로그램 검증 및 타당성 평가
국내외 온실가스 배출/추계 현황 및 배출량 산정방법론 조사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Ⅰ
 온실가스(N2O, CH4)의 모니터링 기법 확립
 온실가스 측정을 위한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구축
 온실가스 (N2O, CH4) 측정방법의 표준화(안) 마련
서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Ⅱ
국외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사례조사
배출원별 중요성 및 향후 경향성 평가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개발
전망 프로그램 사용방법 지침서 작성
기술개발 추진체계
온실가스 측정방법 표준화
배출량 전망 프로그램 개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작성
주요 배출원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재평가 및 배출계수 개발
시멘트,
철강,
석회
화학산업
제지
소각시설
수송
매립지,
하폐수
처리장
자연생태계
(산림)
2. 연구진행체계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총량과/환경관리공단
•수송, 제지 및 석회부문의 CO2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체계 분석
•국내 조사된 온실가스 배출원
관련 연구자료 분석 및 평가
•대기배출원 조사 프로그램
(SODAM)을 이용한 조사업소
선정, 현장조사, 굴뚝 채취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수송 및 화학산업에 대한 CO2
배출원 목록 및 배출계수 개발
•배출원의 상대적 중요성 평가
•배출원별 향후 경향성 평가
•시멘트,철강,소각로, 화학산업
(2차년도 계속) 등 환경기초시설
에 대한 CO2 배출원 목록 및 배
출계수 개발
1 차년도(2005)
2 차년도(2006)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및 배출
계수 개발
•CAPSS 산정 배출량과의 비교
검토
•타기관 배출량과의 비교 검토
•산정방법론의 문제점 검토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의 불확도 평가
•개발된 배출계수 인증 (IPCC)
•국내 온실가스 배출원자료의
통합관리 기반 구축
3 차년도(2007)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대상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2. 조사대상 사업장 선정 SOP
3. 산업부문 공정해석 및 배출계수 산정 SOP
4. CO2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1. 조사대상 온실가스 배출원 목록
조사대상 배출원 목록
Tier1
Tier2
Tier3
(코드,이름) (코드,이름) (코드,이름)
Tier1
(코드,이름)
04
0
7
기타산업공정
1
0
폐기물 처리 및 재생업
1
3
자연적 오염원
화학 및 합성제품
01
유기화학물질 제조
24111 석유화학계 기초유기화합물
24119 기타기초 유기화합물 제조
02
무기화학물질 제조
24129 기타 기초무기화합물
05
05
01
기타화합물질 제조
24131 무기안료 및 기타 금속산화물 제조업
금속공정
02
05
철
27111 제철 및 제강업
# ■ : 1 차년도 대상업종
01
Tier2
(코드,이름)
Tier3
(코드,이름)
광물 생산
26311 시멘트제조업
소각
90221 지정외 폐기물 처리업
90222 지정폐기물 처리업
생물배출원
00001 산림
■ : 2차년도 대상업종
배출원(SCC) 분류방법 예
04 – 01 – 24111 – 005 - 004
Level1 (2자리) : Level2 (2자리) :
Tier1 코드
Tier2 코드
Level3 (5자리) :
Level4 (3자리) :
Level5 (3자리) :
표준산업분류업종
코드 or Tier3 코드
세부 배출원(시설)
수준 (제품, 공정 등)
세부 배출원(시설) 수
준 (배출시설,연료 등)
2. 조사대상 사업장 선정 SOP
대기배출업체 DB자료(SODAM)에 등록된 전체사업장(1-3종) 파악
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국내 1~3종 사업장 분석
:IPCC(2006]에 제시된 제품 및 공정에 해당되는 사업장을 대상
1. 유기화학제품 : 자율환경관리협약 대상 사업장을 포함하여,
조사대상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전체 사업장 선정
2. 무기 및 기타 화학제품 : 조사대상 제조공정에 해당되는 전체 사업장 선정
문헌 조사를 통한 대표 배출공정 및 배출구 확인 후 연료종류 및 생산 제품군 분석
선정된 사업장과의 개별접촉을 통한 검증
최종 조사 대상사업장으로 선정
3. 산업부문 공정해석 및 배출계수 산정 SOP
공정해석 및 배출계수 산정 과정
단계별 연구 내용
1단계 : 사전조사
 각 부문별 대상사업장 선정 : 자료 조사 ⇒ 배출원 선정
 문헌 조사 : 국제 온난화 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 분석
 사전 조사 : 대상 사업장의 업종 및 배출원 검증
배출계수 산정
현장 조사
3단계
사전 조사
2단계
2단계 : 현장 본 조사
 배출원 조사표 작성 [공정해석]
- 생산공정 및 배출(방지)시설 확인
- 탄소물질수지
-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특성 검토
 시료채취 및 검증 자료 확보
- 시료 채취 및 분석
- 배출특성 값의 검증 자료 확보
- 배출특성 자료 수집
3단계 : 배출계수 산정
배출계수 산정
1단계
측정자료 검증 자료 등급 자료 집단화 배출계수 계수 등급
업종별 대기배출 특성자료
배출계수의 D/B 및 목록 구축
4. CO2 시료채취 및 분석 방법
측정장비
구
분`
이산화탄소 측정기
장비명
Portable Gas Analyer
규
PG - 250(HORIBA)
격
측정범위
0 ∼5/10/20 vol% CO2
측정항목
NOx, SO2, CO, CO2, O2
원
리
비분산 적외선법
CO2 측정방법 : 대기공정시험방법-NDIR method, EPA Test Method 3A
 고정오염원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O2와 CO2 농도 실시간 연속측정
 측정원리
-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연속적으로 채취하여 그 중 일부를 분석
- Performance specification과 test procedure 수행
- UV, NDIR Analyzer, Fluorescence 사용
Ⅳ
1차년도 주요 연구결과
1. 조사대상 배출원 및 배출계수 총괄
2. CO2배출계수 산정 결과
1. 1차년도 조사대상 배출원 및 CO2 배출계수 총
괄
대분류
(Tier 2)
사업장명
배출계수
산출건수
[개]
측정
스택
(개)
소성시설(킬른)
5개 사업장
A등급
[1]
23
열풍로, 소결로
코크스로, 전기로, 가
열로, 소둔로
5개 사업장
B등급
[12]
41
D등급
[6]
9
업종명
측정
대상시설
광물생산
시멘트제
조업
철
제철 및
제강업
소각
지정외
폐기물
처리업
지정
폐기물
처리업
3개 사업장
소각로
(킬른 및 스토커)
3개 사업장
총 4개 업종, 16개 사업장에서 시설별19건의 배출계수 산정
2. 1차년도 CO2 배출계수 산정 결과
폐기물 소각시설
처리대상 폐기물
배출시설
방지시설
본 연구
등급
1.94
D
1.50±1.86E-02
(1.49~1.51)
D
소각시설
(스토커)
1.97
D
소각시설
(로타리킬른)
1.36
D
1.26
D
1.64±2.19E-01
(1.41~1.83)
D
소각시설
(구동화격자식)
지정 폐기물
처리업
지정외 폐기물
처리업
배출계수
[CO2 ton/ 폐기물 소각량(ton)]
소각시설
(로타리킬른)
소각시설
(스토커)
방지시설
미설치
방지시설
미설치
소각시설
(킬른&스토커)
IPCC
1.88
(추정치)
시멘트 제조 (소성시설)
단위공정
소성공정
배출시설
소성시설
(로타리킬른)
방지시설
방지시설
미설치
배출계수
[CO2 ton/크링커 생산량 (ton)]
본연구*
등급
9.01E-01±2.15E-01
(5.71E-01~1.30)
A
IPCC
5.1E-01
※ EPA : 9.52E01
철
단위
공정
강
배출시설
제
조
본 연구
방지
시설
IPCC
배추계수 값
가열로
소결로
소둔로
열풍로
전기로
등급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BFG, LDG)사용량
(m3)
B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사용량(m3)
B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사용량(m3)
B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사용량(m3)
B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BFG) 사용량(m3)
B
3.15E-01
CO2 ton/강(steel) 제품
생산량(ton)
B
1.32E-03
CO2 ton/공정부생가스(BFG) 사용량(m3)
B
1.99E-02
CO2 ton/공정부생가스(COG) 사용량(m3)
B
COG:3.0E-03
CO2 ton/B-C유 사용량 (ton)
B
B-C유 : 3.175
CO2 ton/LNG 사용량 (ton)
B
LNG : 3.038
CO2 ton/B-C유 사용량 (ton)
B
B-C유 : 3.175
CO2 ton/강(steel) 제품
생산량(ton)
B
1.0E-03~
1.5E-03
2.31E-03
8.23E-04±7.02E-05
(7.56E-04~8.97E04)
1.61E-01
6.70E-04±3.15E-05
(6.48E-04~6.92E04)
8.33E-04±2.86E-05
(8.13E-04~8.54E04)
가열로
일관
제철
공정
배출계수 단위
방지
시설
코크스로
코크스로
가열로
일반
제강
공정
가열로
가열로,소둔로
전기로
미설치
4.89±1.06
(3.84E+00~5.93E+0
0)
1.71E-01±6.72E-02
(1.30E-01~2.25E01)
4.24
7.38E-02±9.69E-02
(1.05E-02~2.52E01)
-
COG :
3.0E-03
-
1.0E-03~
1.5E-03
BFG : 2.0E03
Ⅴ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산업부문 CO2 배출특성 분석 및 배출계수 산정
• 총 4개 업종의 배출시설별 CO2 산정지침 및 배출특성 분석
산업공정
• 총 19건의 배출계수 산정 (건)
산업별 : 시멘트 제조(1), 폐기물소각(6), 철강부문(12)
등급별 : A 등급(1), B 등급(12), D 등급(6)
배출계수외 국가 고유 배출특성 값 구축
신뢰도 향상을 위한 실측방법 정립 및 배출량 검증
• NDIR method를 이용한 공정특성 분석 및 실시간 연속 측정
• IPCC 산정지침에 따른 배출량 및 실측 배출량의 비교/검증
Ⅵ
2차년도 연구목표 및 내용
2차년도 연구목표 및 내용
연구목표
연구내용
분야별 특성화된 온실가스 배출계수 산정
화학산업에서 발생하는 CO2 평가
국가 고유 특성 값 개발
국내특성을 반영한 실측 기준
배출계수 개발 (Tier 3 method)
국내특성을 반영한 국가 고유특성값
개발 (Tier 2 method)
온실가스 배출특성 자료 DB 구축
산정론에 따른 배출량의 비교 분석
정확한 국가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반 구축
산정론에 따른 배출량 분석 (불확도 검증)
배출량 보고 양식에 따른 배출량 산정
기준 마련
석유화학, 무기 및 기타화학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특성 자료 구축
Ⅶ
2차년도 사업성과 및 추진계획
1. IPCC 배출량 산정론 (Tier1, Tier2, Tier3)
2. CO2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결정
3. 2차년도 조사대상 사업장
4. 제품별 CO2 배출흐름도 예
5. IPCC 배출량 산정방법론 예
6. 배출량 산정 방법론별 CO2 배출특성 조사표 개발 예
1. IPCC의 배출량 산정론 (Tier 1, Tier 2, Tier 3)
배출량 산정방법
구분기준
대분류
RA
(Top-down)
기술형태별
(technologic
type) 산정유무
*RA : X
*SA : O
이용자료
특징
Tier1
IPCC에서 제시한 배출계수
default 값, 에너지 공급 통
계 혹은 제품생산량
배출량 산정시 가장 간단한 방법이며,
오차가 타 방법에 비하여 큼.
Tier2
탄소 물질수지, 발열량 등
(country-specific data),
활동도
Tier 1 방법과 비교하여 좀더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가능함.
Tier3
플랜트수준의 배출계수
(plant-level emission
data), 활동도
가장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가능함
Tier 2보다 더욱 자세한 자료를 요구
소분류
SA
(Bottom-up)
참조 : IPCC의 가이드라인의 배출량 산정론 (IPCC, 2006)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Sectoral Approach (Tier 3, Tier 2)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 임.
국가배출량을 IPCC에 보고할 경우 기술형태별 배출특성이 고려된 Bottomup 형식의 Tier 2, 3로 산정하는 것이 정확.
본 연구는 실측을 통한 배출계수 (Plant-level emission Factor)와
제조공정별 연료, 원료 분석을 기준으로 한 자국의 배출특성 고유 값
(country-specific data)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함.
탄소물질수지등 고유값 : Tier 2 방법론에 적용
플랜트수준의 배출계수 : Tier 3 방법론에 적용
2. CO2 배출량 산정 방법론의 결정
석유화학
Source : Pre-publication Draft 2006 IPCC Guide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eat for each
feedstock and
petrochemical.
START
Are both the
type of feedstock used and process
known?
Collect
feedstock
Noand
the process
data1.
Yes
Yes
Are plant specific
emission factors
available?
Estimate emissions
using Tier 3 plantspecific
Emission factors.
Yes
No
No
Is petrochemical
and carbon black
production a key
category and is
this subcategory
significant ?
No
Is it the
process that is
unknown?
Yes
Are byproducts
transferred out
of the process?
Subtract carbon from
carbon balance.
Yes
No
Assume
default
process.
No
Are the activity
data for all carbon
flows available?
Yes
No
Is it the
feedstock that
is unknown?
Yes
Assume
default
feedstock.
Yes
Is supplementary
fossil fuel
transferred into
the process?
No
BOX 2: Tier 1
No
BOX 4: Tier 3
Estimate emissions using
Tier 1 (product-based)
default emission factors.
Estimate emissions using
Tier 1 default emission
factors.
Add carbon emitted to
carbon balance.
Estimate emissions
using Tier 2 carbon
balance.
BOX 3: Tier 2
BOX 1: Tier 1
무기화학 (암모니아)
START
BOX 3: Tier 3
Use the plant-specific total
fuel data as basis for the Tier 3 method
and subtract plant-specific CO2
recovered for urea production
and CO2 capture and storage (CCS)
Yes
Are total fuel
input and CO2
recovered data available
directly from plants?
BOX 2: Tier 2
Calculate total fuel requirement
by fuel type, calculate emissions,
And subtract CO2 recovered for
urea production and CO2
capture and storage (CCS)
No
Yes
Are ammonia production
data by fuel type and
process type available?
No
Is this a key
category ?
Yes
Collect data for the
Tier 2 or Tier 3 method.
No
Are national
Aggregate Ammonia
production data
available?
Yes
No
Gather production data or
use production capacity data.
Calculate emissions using
default emission factors and
national aggregate ammonia
production. Subtract CO2
recovered for urea production
if data are available from
national statistics
BOX 1: Tier 1
3. 2차년도 조사대상 사업장
제품군
배출원분류
(Tier 2)
업종
대상제품
메탄올
유기
화학
화학 및 합성
제품 유기화학물질
제조
24111 석유화학계
기초유기화합물
제조
24119 기타 기초
유기화합물 제조
에틸렌
에틸렌 디클로라이드(EDC)
비닐클로라이드 모노머(VCM)
에틸렌옥사이드
아크릴로 니트릴
무기
화학
기타
화학
화학 및 합성
제품 무기화학물질
제조
화학 및 합성
제품 기타화합물질
제조
24129 기타 기초
무기화합물
24131 무기안료 및
기타 금속산화물
제조업
암모니아
카본블랙
이산화티타늄
사업장 명
대한유화공업(주)
LG MMA㈜
동서석유화학(주)
한화석유화㈜
호남석유화학(주)
LG석유화학㈜
여천NCC(주)
삼성토탈주식회사
(주)롯데대산유화
(주)LG화학
㈜ SK 울산 Complex
로디아 폴리 아마이드㈜
삼성정밀화학
코리아카본블랙㈜
콜럼비안 케미컬즈 코리아㈜
동양제철화학㈜
코스모화학㈜
4. 제품별 CO2 배출흐름도 예
석유화학 (EDC)
CO2 발생
누출가스 CO2
플래어 CO2
누출가스 소각로
염소화탄화수소
누출가스 공정
1차원료
(에틸렌)
옥시염소화공정반응
1차원료
(에틸렌)
직접연소화공정반응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정제공정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생산
무기화학 (암모니아)
납사
산소
O2
부탄
C2H10
Scrubber
메탄개질
#1
질소
암모니아
Scrubber
#2
메탄산화
수소
CO2 발생
석유화학 (EDC)
제
품
방법론
5. IPCC 배출량 산정 방법론 예
배출원
(배출시설)
배출량 산정식
1. ECO2 (배출량) = PPi ×EFi×GAF
배출인자 (산정식 항목)
1. 전체 배출량
- 석유화학제품의 연간 생산량(PPi)
- 석유화학제품의 배출계수(IPCC) (EF)i
Tier 1
- 지리적 조정 인자(IPCC) (GAF)
2. PPi (제품 생산량) = ∑(FAi,k․SPPi,k)
2.원료 소비량을 이용한 제품량 추정
- 원료 소비량(FAi,k)
- 원료당 제품생산 factor(IPCC) (SPPi,k)
Tier 2
석유
화학
직접 염소화
처리 공정
(direct
chorination)
1. 전체 배출량
- 원료소비량(FAi,k), 원료의 탄소 함량(FCk)
- 1차 제품 연간 생산량((PPi), 1차 제품 탄소 함량(PCi)
- 2차 생산물의 연간 생산량(SPi,j),
2-1. SPEthylene,j = k(FAEthylene,k SSPj,k)
2-2. SPAcrylonitrile,j = Σk (FPAcrylonitrile,k․SSPj,k)
옥시염소화
공정
(oxychlorination
reaction)
Tier 3
1. ECO2 = [Σk(FAi,k․FCk)-{(PPi․PCi)
+Σj(SPi,j․SCj)}] (44/12)
※2번항은 에틸렌과 아크릴로니트릴만 해당
※2-2번항은 하나의 원료(프로필렌)를 사용하는
모든 아크릴로니트릴 생산방식에 한함.
1. ECO2i = ECombustion,i + EProcess Vent, i + EFlare, I
2. E
Combustion,i
= Σ k (FAi,k․NCVk․EFk)
3. EFlare, I = Σ k (FGi,k NCVk EFk)
2차 제품의 탄소 함량(SCj)
2. 에틸렌, 아크릴니트릴(AN)의 2차 제품 생산량 추정
- 에틸렌 : 원료 연간 투입량(FAEthylene,k),
2차 제품 팩터(IPCC) (SSPj,k)
- AN : 원료로부터 AN 연간 생산량 (FP Acrylonitrile,
k)
2차 제품 팩터(IPCC) (SSPj,k)
1. 전체 배출량(플랜트 고유 값 및 플랜트 고유 측정값)
- 연소되는 연료 혹은 공정 부생물 배출량
(ECombustion,i)
- 공정 vent로 부터의 배출량(EProcess Vent, i)
- 플레어 vent 폐가스부터의 배출량(EFlare, I)
2. 연소에 의한 배출량
- 연료 사용량(FAi,k), 연료 저위발열량(NCVk),
연료 배출계수(EFk)
3. 플레어 폐가스로 부터의 배출량
- 플래어 가스의 양(FGi,k), 저위발열량(NCVk),
플래어가스의 배출계수(EFk)
무기화학 (암모니아)
제품
방법론
Tier 1
배출원(배출시설)
-증기개질
배출량 산정식
Eco2=AP✕FR✕CCF✕COF
✕44/12✕Rco2
(steam reforming)
-변성공정
암모
니아
(NH3)
Tier 2
-탄산가스 제거공정
TFRi = ∑j(APij✕FRij)
Eco2 = ∑j(TFRi✕CCF✕COF
✕44/12)✕Rco2
-메타네이션 및
건조공정
Tier 3
-합성공정
TFRi = Σn TFRin
배출인자 (산정식 항목)
-암모니아 생산량
-연료사용량
(제품단위 생산량당)
-연료의 탄소함량
-연료의 CO2함량
-요소생산에 사용된
CO2회수율 = 44/60
-총 연료 및 원료사용량
-암모니아 생산량
-원료 사용량
(제품단위 생산량당)
-원료 중 탄소함량
-원료의 탄소산화율
-요소생산에 사용된
CO2회수율 = 44/60
-연료(원료)종류별
연료 요구량
-공정별 사용연료량
-저위발열량
-탄소함량
-CO2 측정결과
-배기가스유량
6. 배출량 산정 방법론별 CO2 배출특성 조사표 개발 예
Tier 1
IPCC 연료 사용량 초기값
물질
암모
니아
제품
생산량
제품생산
대비
연료
사용량
NH3 ton/yr
요소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CO2 비율
CO2
전환계수
제품
생산대비
CO2
배출량
연간 CO2
배출량
%
(44/12)
CO2 ton
/NH3 ton
CO2 ton/yr
불확도
연간
사용량
탄소
함량
계수
(CCF)
GJ/t NH3
± (%)
GJ/yr
kg/GJ
최근공정 - 유럽방식
보통의 개질 - 천연가스
30.2
6
15.3
1
3.6667
1.694
과잉공기 개질 - 천연가스
29.7
6
15.3
1
3.6667
1.666
Autothermal 개질 - 천연가스
30.2
6
15.3
1
3.6667
1.694
부분산화-메탄산화
36
6
21
1
3.6667
2.772
유럽의 고유값으로 이전
및 최근 공정
소비 에너지의 평균값 - 천연가스
37.5
7
15.3
1
3.6667
2.104
평균값 - 부분산화
42.5
7
21
1
3.6667
3.273
기타
-
-
-
-
3.6667
-
공정 구분
합계
탄소
산화율
(COF)
Tier 2
연료종류
물질
공정 구분
(활동도)
연료사용량
TFR
fuel ton/yr
암모
니아
NH3 생산
량
NH3
ton/yr
연료/
NH3 생산량
탄소함량
FR
CCF
COF
fuel ton/NH3
ton
%
%
연료산화율
CO2전환계수
(44/12)
최근공정 - 유럽방식
보통의 개질 - 천연가스
3.6667
과잉공기 개질
- 천연가스
3.6667
Autothermal 개질
- 천연가스
3.6667
부분산화-메탄산화
3.6667
유럽의 고유값으로 이전
및 최근 공정
소비 에너지의 평균값
- 천연가스
3.6667
평균값 - 부분산화
3.6667
기타
3.6667
합계
CO2단위 배출계수
요소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CO2 비율
CO2단위
배출량
%
ton/yr
제품별
연료별
CO2
ton/NH3
CO2ton/fuel ton
Tier 3
물질
공정 구분
연료종류
연료사용량
저위
발열량
탄소
함량
(활동도)
TFR
NCV
CCF
fuel ton/yr
TJ/Gg
kg/G
J
NH3 생산
량
측정농도
배기
가스
유량
CO2
배출량
CO2
NH3
ton/yr
%
m3/hr
kg/hr
가동시간
일일
연간
hr/da
y
일/yr
CO2단
위
배출량
ton/yr
최근공정 - 유럽방식
보통의 개질 - 천연가스
0
0
과잉공기 개질 - 천연가스
0
0
Autothermal 개질 - 천연가스
0
0
부분산화-메탄산화
0
0
유럽의 고유값으로 이전
및 최근 공정
소비 에너지의 평균값 - 천연가
스
0
0
평균값 - 부분산화
0
0
암모
니아
합계
0
CO2단위 배출계수
제품별
연료별
CO2
ton/NH3
CO2ton/fuel ton
Ⅷ
2차년도 현장조사일정
현장조사 세부계획
구분
일정계획
현장조사
공문발송
7. 7.
사전조사표 수취
07.10~
07.21
주요조사내용
비고
1. 사전조사표 송부
-
1. 사업장 주요 현황
2. 공정도, 배출특성 값 등
-
1. 서면 : 공정시찰, 해당배출시설 확정,
제품, 원료 현황 및 탄소함량
사전현장조사
07.24~
07.28
2. 조사표 작성 설명
3. 실측계수의 적절성 확인
-
4. 산정 배출계수의 논리가능 여부 확인
5. CO2 배출관련 자료확보
본 조사
07.31~
12.15
1. 측정 : CO2 실측
2. 서면 : 측정시간에 대한 세부 활동도
자료 및 배출특성 값 평가.
1. 2인 1팀
2. CO2 공정 및 주기
확 인 ( 측 정 시 간
결정)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