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Download Report

Transcript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제21차 대경콜로키움 발표자료
대구의 중장기 산업발전전략
2005. 3 . 29
장 재 홍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1
목차
Ⅰ. 대내외 여건분석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Ⅴ. 수요지향적 산업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Ⅵ. 계획추진 평가체계의 구축
2
Ⅰ. 대내외 여건분석
1. 세계 경제의 Mega-trend와 대응 방향
세계화
경쟁과 협력
지방화
지방이 경쟁단위
지식기반경제의
지식, 기술혁신이
도래
핵심 경쟁요소
지역혁신체제(RIS)
클러스터(Cluster)
IT, BT, NT 등
혁신과정의
기술혁명의 가속
시스템 구축
중국경제의
혁신주도형 경제
급부상
차별화, 고부가가치화
3
Ⅰ. 대내외 여건분석
2. 지역산업정책의 최근 동향
세계적 흐름
국내 정책환경 변화
• RIS, 클러스터 정책의 보편화
•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
• 중앙-지방간 역할분담체계 변화
• 지방대학에 대한 기대 고조
• 민간-공공부문간 협력 중시
• 고속철도 개통 등 인프라 개선
3. 대구의 산업발전 위상
• 1인당 실질 GRDP는 전국평균의 64.2%
• 제조업 1인당 부가가치는 전국평균의 56.4%
4
Ⅰ. 대내외 여건분석
4. 대구의 산업발전 여건-SWOT분석
1.
2.
3.
4.
1.
2.
3.
4.
광역고속교통의 중심지
우수한 인적자원 분포
양호한 산업입지여건
문화 • 환경 발전 잠재력
1.
2.
3.
4.
산업계의 연구개발 및 혁신기능 취약
생산자 서비스기능 취약
산학연연계 시스템 취약
산업 용지 및 재원 부족
강점요인
약점요인
기회요인
위협요인
배후지역의 세계적 산업집적
국가균형발전에의 중앙정부 의지
교통통신인프라의 급속한 발달
다양한 산업지원시설
1.
2.
3.
4.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전략산업 육성에 대한 경쟁심화
우수 인재의 역외 유출
지역 혁신문화 및 파트너십 취약
5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1. 대구의 미래상
 시의 대구 비전(“세계로 열린 동남의 수도 대구”)과 시정 기조(“기업하
기 좋은 도시”)를 역동적 산업발전 시각에서 재정리
세계적 경쟁력의
혁신클러스터 거점도시
기업하기 좋은 도시
창조와 혁신의 거점도시
 Best Partnership
 동남권의 R&D 허브 도시
 세계로 열린 도시
 RIS 구축의 선도 도시
 우수한 산업 Infra
 산ㆍ학ㆍ관 협력의 모범 도시
인재 중심 도시
기업가와 고급인재
양성의 거점 도시
우수인재가 모이고
정착하는 도시
6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2. 대구의 산업발전 비전
 비전 설정의 기본시각
• 대구의 미래상을 산업측면에서 구현
• 올바른 산업발전 기본방향 제시
• 목표-전략-정책수단 간의 정합성 확보
 대구 산업의 특징ㆍ제약요인ㆍ잠재력 분석
특징
• 저부가가치형 생산체제 및 생산체인의 단절성
• 전통 주력산업의 성장한계
• 맹아기의 지식기반 신산업
제약요인
• 성장동력의 고갈
• 혁신비친화적 지역 문화 – 사회자본의 취약
• 투입요소(용지, 재원)상의 제약
잠재력
• 풍부한 고급인력, 혁신잠재력 보유
• 동남권 중추기능 수행 잠재력 보유
• 새로운 혁신인프라 및 산업인프라
7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2. 대구의 산업발전 비전
대구의 산업발전 비전
세계적 경쟁력의
산업혁신클러스터
최종
목표
지속 가능한
신 성장동력 창출
중간
목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 활성화
동남권의
R&D 허브 구축
선도기업, 우수기업의
지속적 성장기반 구축
전략
선택과 집중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강점 활용극대화
거점 대학, 연구소 중
심의 혁신역량 강화
네트워킹 강화
산ㆍ학ㆍ연 연계 및
광역 혁신 네트워크
형성
산업 혁신 기반확충
S/W와 H/W의 균형
수급기반 구축 8및
혁신문화 함양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3. 산업발전 기본전략과 주요 정책과
제
전략구분
정책의 중심
주요과제
선택과 집중
전략산업의 선정, 클
러스터 형성
• 신 성장주도산업 발굴ㆍ육성
• 전략산업별 클러스터 거점 구축
•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지식ㆍ정보화
강점
활용극대화
거점 대학 및 연구소
중심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 핵심 부문 R&D 능력의 획기적 강화(DGIST 설립)
• 대학보유 혁신역량의 적극적 산업화
• 대학의 창업보육 및 기업지원기능 강화
• 교수, 학생의 비즈니스 마인드 제고
네트워킹
강화
기존 혁신자원의 효율
적 활용
• 대학-연구소간 분업 및 협력강화
• 생산-R&D-기업지원 클러스터간 연계 강화
• 배후지역과의 혁신네트워크 형성 및 합리적 기능 분담
• 지역대학, DGIST의 글로벌 산업협력 노드화 및 교수, 연구원의
에이전트화
산업발전기반
확충
소프트 인프라와 하드
인프라의 균형 있는
수급 기반 구축
• 지역인재의 역내 정착시스템 구축
• 전략산업 인력수급체계 정비
• 혁신친화적 지역문화의 함양
• 혁신기반시설 확충 및 산업단지, 유통ㆍ물류단지의 구조고도화
9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4. 산업발전지표의 설정
제조업 생산구조 변화전망
구
분
기
존
주
력
지
식
기
반
단
위:%
업종명
1988
1993
1997
2001
2007
2012
섬유
12.1
7.6
6.5
4.7
3.4
2.6
기계
3.7
3.6
4.9
4.3
4.2
4.3
자동차
6.1
8.3
10.5
8.5
7.6
6.8
소계
39.1
37.1
39.4
33.7
30.0
27.0
전자정보기기
2.7
3.3
9.4
23.7
25.5
26.9
30
반도체
1.8
2.9
6.0
11.8
13.5
15.5
20
구성비(%)
60
지식기반
50
40
메카트로닉스
0.9
1.5
1.8
0.8
1.0
기존주력
기타 제조업
1.1
10
생물산업
1.5
1.4
1.2
1.0
1.6
2.1
소계
10.5
13.1
22.9
41.2
46.4
50.9
0
1988
기타 제조업
50.3
49.8
37.8
25.2
23.7
1993
1997
2001
2007
2012 연도
22.0
10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4. 산업발전지표의 설정
계획 목표의 설정
 1단계 : 대구의 GRDP 성장 전망
전국
대구
94-01
02-08
09-13
04-13
94-01
02-08
09-13
04-13
전산업
5.8
5.9
5.1
5.4
2.6
4.6
3.9
4.2
제조업
8.9
6.8
5.6
6.1
-0.5
5.8
4.7
5.2
기존주력
10.0
6.2
4.9
5.5
0.6
5.1
2.0
3.4
지식기반
20.9
8.4
6.9
7.6
12.2
19.2
15.7
17.2
기타제조
0.3
5.5
4.2
4.7
-4.4
-0.1
-3.0
-1.7
• 현 추세대로라면 1인당 GRDP는 전국평균의 64.2%에서 58.0%로 하락
 2단계 : 대구의 GRDP 목표의 설정 (2004∼2013년)
• 1인당 GRDP를 전국평균의 64%에서 72%선으로 제고
• 연평균 6%이상의 GRDP 성장률 달성 필요
11
Ⅱ.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구상
4. 산업발전지표의 설정
계획 목표의 설정
 3단계 : 산업별 성장률 및 산업구조 전망
구분
전산업
기존주력
제
조
업
• 섬유
• 기계
• 자동차
지식기반
• IT
• MT
• BT
제조업 전체
산업별 성장률(’04~’13)
BASE
산업구조(’13)
VISION
현재(’01)
BASE(’13)
VISION(’13)
4.2
6.2
100.0
100.0
100.0
3.4
5.2
11.8
9.0
9.8
-3.8
5.1
10.4
0.4
5.9
11.3
6.3
2.1
2.7
2.4
1.8
4.5
3.3
1.8
4.4
17.2
21.6
1.8
3.8
5.4
24.0
7.1
9.6
28.7
11.2
13.8
0.4
0.5
0.2
2.0
0.8
0.5
2.8
1.1
0.7
5.2
7.7
21.5
19.6
21.0
• 현 주력 업종 구조의 재편
• 3대 신성장주도산업 비중 제고
12
⇒목표성률의 예상성장률 초과부분은 신성장주도산업 육성으로 달성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1. 대구의 전략산업 선정
선정 방법 및 과정
 산업의 발전정도 : 산업집적지 분석, 입지우위성 분석
 성장잠재력(growth potential) 분석 : 산업발전 역량 분석, 정책의지 분석
 기타사항 : 광역적 관점 분석(경북 산업집적 연계발전), 전문가 의견 수렴
미래 성장유망산업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군 고려)
산업발전정도 분석
성장잠재력 분석
산업집적지 평가
입지우위성 평가
산업발전역량 평가
- 대표집적지
- 입지계수
- 입지적합성
- 지자체 계획
- 유망집적지
- 지역할당효과
- 지역혁신역량
- 중앙정부 정책
광역적 관점 평가
정책의지 평가
전문가 의련 수렴
대구 전략산업 선정
13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1. 대구의 전략산업 선정
입지계수
※ 입지계수 : LQ
ij
=
지식
기반
산업
ij
/Q
j
=
Qi /Q
j 지역의 i 산업 구성비
전국의 i 산업 구성비
종사자수
부가가치
93
97
01
93
97
01
평가
결과
섬유
3.92
3.88
4.00
4.84
5.41
5.65
◎
기계
1.55
1.36
1.36
1.95
2.03
2.00
◎
자동차
1.15
1.49
1.35
1.03
1.30
1.13
○
소계
1.66
1.59
1.53
1.66
1.64
1.48
메카트로닉스
0.85
0.95
0.73
0.92
1.07
1.28
생물산업
0.08
0.17
0.20
0.03
0.51
0.60
신소재
0.28
0.50
1.05
0.13
0.28
0.79
소계
0.27
0.31
0.33
0.23
0.26
0.32
구분
기존
주력
산업
Q
주 : ◎ 매우 높음, ○ 높음
○
14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1. 대구의 전략산업 선정
변이-할당분석의 지역할당효과
※ 총 성장효과 = 전국성장효과 + 산업구조효과 + 지역할당효과
종사자기준
Z-score
부가가치기준
Z-score
평가결과
섬유
-4.00
-3.69
▼
기계
-0.04
0.25
자동차
0.94
1.63
소계
-3.22
-2.17
전자정보기기
0.52
0.54
메카트로닉스
0.07
0.22
생물산업
0.05
0.35
△
소계
1.06
1.64
◎
구분
기존주력산업
지식기반산업
◎
○
주 : ◎ 매우 높음, ○ 높음, △ 약간 높음, ▼ 매우 낮음
⇒ 특징 : 지식기반제조업의 합계가 지역할당효과 1.64로 매우 높음
15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1. 대구의 전략산업 선정
광역적 관점 분석
 기업의 입지양태 : 대도시에 기업 본사, 연구개발 기능, 디자인 기능
주변 지역에 표준화된 제품의 생산라인
 대구 : 연구개발역량, 인력공급, 혁신기반
경북 : 산업기반
⇒ 연계발전이 필요
– 구미의 전자산업집적지를 고려한 IT부품산업
– 울산의 자동차산업과 연계된 기계, 자동차(부품) 산업
전문가 의견 수렴
 지역균형발전 고려 : 효율성과 형평성 반영
 산업발전 전략 고려 : 지역 기술로드맵
16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1. 대구의 전략산업 선정
<전략산업의 선정 결과>
구분
기존
주력
산업
지식
기반
제조
업
지식
기반
서비
스업
섬유
의류
신발
석유화학
철강
기계
가전
자동차(부품)
조선
전자정보(부품)
반도체
메카트로닉스
정밀화학
생물
정밀기기
신소재
환경
항공ㆍ우주
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문화
관광
산업
집적지
◎
산업발전정도
특화
지역할당
효과
계수
◎
산업발전역량
입지
혁신
적합성
역량
◎
○
○
○
○
○
○
○
○
◎
○
광역적
관점
선정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책
요인
○
○
○
□
□
◎
○
17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2. 전략산업의 클러스터 형성방안
<대구광역권 발전축 : GDP Super Corridor>
구미
지식 창출
(연구개발)
지식 확산
(기업지원)
지식 활용
(산업생산)
물류 유통
(시장판매)
대구
경산
포항
-금오공대
-경북대
-계명대
- DIST
- 경산학원단지
(영남대 등)
-포항공대
-산업단지공단
-상공회의소
-KETI 구미분원
-대구 TP
-상공회의소
-S/W 타운
-대구경북개발연구원
-EXCO 대구
-경북 TP
-상공회의소
-포항 TP
-상공회의소
-S/W 지원센터
-경산자인산단
-포항철강단지
-구미국가산단
-서부 산업클러스터
-동대구 벤처밸리
-지식기반신산업
-구미산업물류기지 -종합물류단지
-종합유통단지
-서대구화물터미널
-항만
18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2. 전략산업의 클러스터 형성방안
<대구-마산-창원 성장축>
구미
지식 창출
(연구개발)
지식 확산
(기업지원)
지식 활용
(산업생산)
물류 유통
(시장판매)
대구
마산
창원
-경북대
-계명대
- DIST
-경남대
-창원대
-마산대, 창신대
-전문대, 기능대
-산업단지공단
-상공회의소
-KIET 구미분원
-대구 TP
-동대구 벤처 밸리
-상공화의소
-S/W 타운
-대구경북개발연구원
-EXCO 대구
-마산 상의
-산업단지공단
-중소기업사이버
지원센터
-구미국가산단
-서부지역 산업
-마산자유무역
지역
-금오대학
-구미1대학
클러스터
-구미산업물류기지 -종합물류단지
-종합유통단지
-서대구화물터미널
-자유무역지역
관리원
-마산항
-창원국가산단
-창원물류센터
19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2. 전략산업의 클러스터 형성방안
<연구개발 클러스터>
테크노파크(대구, 경북등 )
동대구벤처밸리
경북대
계명대
DGIST
경산학원단지
(영남대 등)
S/W 타운
대구경북개발연구원
EXCO 대구
상공회의소
<혁신 창출>
<혁신 거점>
<혁신 확산>
⇒ 동부지역 : 구미-대구-포항 성장축(GDP Super Corridor)에서 연구개발 중심
⇒ DIST : 10년후 동남권의 R&D 허브, 과학기술종합연구소
20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2. 전략산업의 클러스터 형성방안
<산업생산 클러스터 : 서부지역>
성서 산단
섬유개발연구원
서대구 산단
종합지원
센터
제3 산단
염색 산단
염색기술연구소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TP벤처공장
달성 산단 등
<산업생산>
<지원거점>
<기업지원>
⇒ 서부지역 : 구미-대구-포항 성장축(GDP Super Corridor) 및 구미-대구-창원
축
에서 산업생산 중심
⇒ 종합지원센터 : 장기적으로 기업지원 거점기관으로 확충 필요
21
Ⅲ. 전략산업 선정 및 클러스터 형성
2. 전략산업의 클러스터 형성방안
<일본 문부과학성의 클러스터 성공요인 평가표>
성공요인
1. 특정지역
2. 특정산업
내용
◎
○
△
1-1. 집적
이동거리
30분 이내
31-60분
61-120분
1-2. 위기의식
위기의식 공유
대부분
절반
2-1. 선택과 집중
유망성장산업과 관련산업
집중
저성장산업
2-2. 중심기업
중핵기업 존재
대기업 다수 존재 중소기업 몇 개 중소기업 1사
20%
정체산업
3-1. 중핵 연구개발 대학, 연구소 존재
해당산업내 500인
100-499인
이상 연구자
10-99인
3-2. 연계
산학연 연계정도
100인 이상
30-99인
5-29인
4-1. 벤처
해당산업의 벤처수
100사 이상
30-99사
5-29사
4-2. 대기업
대기업과 벤처기업 연계정도
10사 이상
5-9사
3-5사
5-1. 지원촉진요소
기관, 개인의 직원수
100인 이상
50-99인
10-49인
5-2. 만남의 장
형성기관 수
5기관 이상
3,4기관
1,2기관
6-1. 통찰력
공통적으로 인지하는 비전
대부분
절반정도
20% 정도
7. 타산업과의 융합 7-1. 융합
복합클러스터간 융합정도
활발
적당
조금
8. 글로벌 전개
8-1. 경쟁력
지역내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기업수 10사 이상
5-9사
3-5사
9. IPO실적
9-1. IPO
IPO 벤처기업 수
20사 이상
5-19사
1-4사
10. 인지도
10-1. 인지
지역공통의 이념, 의지
세계적 인지도
전국적 인지도 지역적
11. 생활문화수준
11-1. 기후, 풍토
정주조건
매력적
적당
3. 연구개발
4. 벤처기업
5. 지원/연계
6. 비전
◎ : 10점
○ : 7점
△ : 4점
Ⅹ : 0점
보통
22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1. 지역혁신체제의 개요
<지역혁신체제의 정의>
• 지역내 혁신주체들간의 신뢰와 호혜성을 토대로 지식의 창출ㆍ확산ㆍ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상호협력체제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통한 지역발전의 기본 구도>
지
역
혁
신
체
제
개 구
념 축
도 을
통
한
지
역
발
전
‘노하우’
성장의 선순환 구조
‘기술력’
‘기업가정신’
‘산업문화’
‘지식기반경제’
근접성에 기초한 협력과 파
트너십을 통한 누적적 학습
과정
‘경제의 글로벌화’
혁신
지역경쟁력
지역발전
장기적 고용안정
생활수준 향상
지속 가능한 발전
23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1. 지역혁신체제의 개요
<세계 주요 지역의 지역혁신체제 유형구분>
온타리오(캐나다)
글로벌화
지향형
한국
시애틀(미국)
아일랜드공화국
북아일랜드
기
캘리포니아(미국)
업
캠브리지(영국)
템즈밸리(영국)
바바리아(독일)
매사추세츠(미국)
바덴뷔르템베르크(독일)
혁
신
상호작용형
시
퀘백(캐나다)
카탈로니아(스페인)
스
템
덴마크
투스카니(이태리)
일본
지역내포형
자생형
네트워크형
중앙주도형
24
공적 거버넌스 시스템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1. 지역혁신체제의 개요
<지역혁신체제 기본모형>
지역의 사회 • 경제 • 문화적 배경
국가혁신기구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중앙부처
지식의 적용 및 활용 서브시스템
제품수요자
수직적 네트워킹
투입요소공급자
기 업
협력자
경쟁자
수평적 네트워킹
공적 거버넌스
서브시스템
•지방자치단체
•지역혁신협의회
지식• 자원 •
인적 자본의 흐름 및
상호작용
국가
혁신체계
지역 금융
서브시스템
초광역
혁신체계
국가혁신정책수단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타 지역혁신체계
지식의 창출 및 확산 서브시스템
기술중개기관
상호교류
• 협력
인력중개기관
공공연구기관
대학교
교육기관
글로벌
혁신체계
글로벌 혁신체계
• 국제기구
• 외국기업ㆍ대학ㆍ연구소
25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2. 대구의 혁신현황 및 수요분석
<혁신활동의 투입 측면>
 인구, GRDP에 비해 낮은 R&D 비중
-총 연구개발비는 전국의 1.5%, 연구인력과 수행조직 수는 2.6%
 지역 대학의 비중이 절대적
-대학 연구개발비는 전국 대비 8.2%이나, 공공연구기관과 기업체는 0.5~0.7%
 기업 R&D의 침체는 연구개발집약도가 낮은 주력 업종 구조에 크게 기인
<혁신활동의 성과 측면>
 신제품 관련 특허 등록건수는 전국의 1.5%
 공정개선 관련 실용신안 등록건수는 전국의 5.5%
=> 대구의 R&D활동은 과학 • 기술기반형이 아닌 기능 • 숙련기반형
<혁신지원기능에 대한 수요분
석>
 주력산업(섬유, 기계 • 금속, 자동차부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기업간 연계, 기업-대학간
연계가 극히 취약
- 100분위 기준 만족도가 25% 미만
26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3.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기본방
향
<대구의 산업별 RIS유형 검토>
기존 주력산업의 RIS 유형
 섬유 : 공공부문주도형, 글로벌화형
 기계ㆍ금속 : 자생형, 지역내포형
 자동차부품 : 자생형, 상호작용형
* 이상적인 것은 네트워크형 • 상호작용형 RIS
신성장주도산업의 RIS 유형 정립방향
 초기단계 : 공공부문주도형, 지역내포형 RIS 구축
 초기이후 : 최단시일 내 네트워크형, 상호작용형 RIS로 발전 추구
27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3.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기본방
향
<대구의 RIS 구축 기본전략>
산업군별 차별화
기업중심형
대학중심형
Meso-cluster형
기존주력산업
신성장주도산업
Micro-cluster형
기존특화산업
신규특화산업
광역적 관점 중시
 기존 주력산업의 역내 생산체인 취약
 신성장주도산업의 역내 클러스터 형성 미흡
 동남권 R&D 허브 기능 수행 필요성
네트워크 형성 전략
 참여자 상호간의 신뢰 확보가 핵심
- 호혜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
 이를위해 “문외한”의 선별, 올바른 인센티브 창안이 중요
28
- 참여자 선정, 시한 설정, 투명성/일원성, 엄정한 사업평가, 시의 전문성 강화 필요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3.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기본방
향
<대구광역권 혁신체제 구상도>
울진
생물(해양)
상주
생물(소재)
구미
전자ㆍ섬유
BIO
net
METEX
net
안동
생물(건강)
BIO
net
MEBITEX
Cluster
대구광역시
ME
net
포항
철강ㆍ신소재
생명공학
BIO
net
MEBI
net
ME
net
울산
자동차
• M : Mechatronics(기계, 메카트로닉스)
E : Electronics(전자부품)
BI(BIO) : Bio-Industry(생물)
TEX : Textile(섬유)
창원
기계ㆍ장비
29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시스템 설계의 기본방향>




서브시스템 상호간 상호작용적/상승적 네트워크 형성
기업의 수요(needs)에 효과적으로 부응
모든 기구/ 조직 구성에 산ㆍ학ㆍ연ㆍ관 협력 중시
지역 대학의 잠재 역량 활용 극대화
<공적 거버넌스 서브시스템>
 심의ㆍ조정기구, 기획ㆍ집행ㆍ관리기구, 평가기구의 구성이 핵심 과제
 중앙정부의 방침 또는 계획 반영
최상위 심의ㆍ조정기구
 최상위 결정자는 대구광역시장, 심의기구는 대구경북지역혁신협의회
 시장과 협의회 의장은 혁신 주도자(innovation champion) 역할 수행
 구성원은 비전, 지식ㆍ경험, 협력적 리더십을 겸비한 인사
30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기획ㆍ집행ㆍ관리기구
 지역혁신 활성화의 실질적 관건
 (가칭)대구혁신추진단 구성ㆍ운영
– 기업(산업계)의 요구에 체계적으로 부응
– 여타 서브시스템과의 적절한 대응관계 형성 긴요
 단장은 정무부시장 또는 식견, 전문성, 리더십을 겸비한 민간 인사
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균형 배치로 집행력과 창의성을 결합
→ 시너지 효과 추구
대구혁신추진단장
기획총괄팀
기업혁신
지원팀
혁신
네트워크팀
혁신
기반시설팀
재정금융
지원팀
31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 대구혁신추진단 운영체계 구축안 비교 평가
대구테크노파크
중심 안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중심 안
제3섹터형 기구
신설 안
정책 기획ㆍ입안 능력
△
○
○
정책 실행 능력
○
△
◎
정책 평가 능력
△
○
○
기업지원 능력
○
△
○
대외 협력 능력
○
○
◎
업무영역의 포괄성
△
○
◎
인적 자원의 충분성
△
△
○
조직 내부의 융화가능성
△
△
○
조직 운영의 유연성
△
△
○
지역 대표성
○
○
◎
설립ㆍ운영 기간ㆍ비용
○
○
△
△~○
△~○
◎
평가요소
종합평가
주 : △는 “미흡”, ○는 “보통”, ◎는 “우수”를 의미
32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지식 창출 서브시스템>
분야별 지식창출 거점 및 네트워크 구축
<전략산업별 연구개발단 구성>
IT
경북대 공대(전자공학부)주관
BT
경북대, 계명대 공동 주관
• 경북대 - 생물의약, 생물농
업
• 계명대 – 생물식품
MT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주관
섬유
섬산연, 염기연 공동 주관
<포럼, 포커스 그룹 구성>
포럼
기업, 지자체, 학계, 연구소
의 대표적 리더글로 구성
포커스 포럼별 특정 주제 관련 전문
그룹 가들로 구성
33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지역 대학의 혁신역량 강화
DGIST 설립ㆍ운영방안
 내재적 역량 강화와 대학간 협력체계 구축  대구ㆍ경북, 나아가 동남권의 R&D 허
브 기능 수행
– 시는 이를 장려ㆍ유도ㆍ지원
 IT, BT, NT 분야의 핵심역량 조기 확
 지역 대학의 역할에 대한 인식 재정립
보가 관건
– 지식자원의 최대 보유기관으로서 RIS 주
– 기업지원 등 부대 업무는 핵심 역량
도
확보 후 그 산업화 관점에서 추진
• 핵심 지식클러스터로서 기업형 대학 및
 사업영역, 입지, 거버넌스 구조 결정에
지역의 세계화 주도 기구 지향
있어 대구-경북의 파트너십이 중요
• 교수들은 소극적 학자에서 능동적 혁신
자로
 연구분야별로 지역 대학과의 협력적 경
쟁체제 구축에 주력
• 교육은 포괄형에서 맞춤형으로
 DIST와의 협력적 경쟁체제 구축
34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지식 확산 서브시스템>
 각 지원기구별 전문성을 살린 기능별 특화 지원체계 구축
 지원기구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정보중개기능
대구경북개발연구원,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지방중기청 등
기술중개기능
대구테크노파크, RRC, TIC, TLO(대학기술이전센터) 등
인력중개기능
대구인적자원개발회의, 대구인적자원개발센터 등
장소제공기능
EXCO대구, S/W타운 등
35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기업부문의 혁신네트워크>
경쟁업체
(제휴)
하청업체
(공동개발)
기업간
(설계개선)
(부품개선)
(공동개발)
(제품개선)
(공정개선) (제품개선
(아이디어) 요 구)
생 산
수요업체
(욕구만족)
판 매
36
Ⅳ.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4. 대구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
<지역금융 서브시스템>
< 혁신전략1 >
• 기술담보대출
• 벤처/창업금융 등
지역금융인프라
(환원금융체계)
과학기술체계
(대학, 연구기관 등)
산업생산체계
금융기관 (기업, 전략산업단
금융기관
기업
가계
지 등)
지자체
< 혁신전략3 >
• 금고업무
• 지역개발사업 등
금융기관
지원조정체계
(지자체,공공기관 등)
< 혁신전략2 >
• 자금공급
• 컨설팅/정보제공
• B2B 등
37
Ⅴ. 수요지향적 산업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1. 수요 및 공급전망
 미국 상무성 산하 노동통계국(BLS) 방법에 기초
 2002년 60.5%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13년에는 63.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
– 남자가 72.9%에서 73.9%로 1%P 증가
– 여자는 산업의 소프트화,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 확대 등에 따라 49.1%에서 54.2%로 5%P
이상 증가
 경제활동인구는 2002년 1,195천명(남자 694천명, 여자 503천명)에서 연평균 1.2%씩 증가,
2013년에 1,357천명(남자 755천명, 여자 603천명)에 이를 전망
경제활동인구 전망 결과
15세이상 인구 전망
2003
2013
연평균증가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경제활동인구 전망
전체
남
녀
전체
남
녀
전체
남
녀
1,986
2,132
0.71
951
1,021
0.71
1,035
1,111
0.71
60.8
63.7
0.3
73.0
73.9
0.1
49.5
54.2
0.5
1,207
1,357
1.18
694
755
0.83
513
603
1.63
38
Ⅴ. 수요지향적 산업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2. 대구 인적자원개발 전략과 정책 대안
1) 대구 지역 인적자원개발 체제 구축
① 대구광역시 인적자원개발회의 설립
 구성 : 대구광역시청(총괄ㆍ조정), 교육청, 노동청, 중기청, 상의, 기업, 대학 등
 역할 : 대구지역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제안ㆍ심의ㆍ의결기구
※ 교육부,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도 지역 인적자원개발기구를 경유하여 추진
 추진 방향 :
– 지역 산업ㆍ기업의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수요 반영 확대(예 : 영국의 LSC 등)
– 대구 지역혁신체계의 sub 시스템으로 구축ㆍ경북 등에 대한 광역 연계 지향
② 대구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 설립
 역할
– 대구인적자원개발회의 활동지원 및 정책개발
– 대구지역인력수급 분석ㆍ전망ㆍ정보 허브 기능
39
Ⅴ. 수요지향적 산업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2. 대구 인적자원개발 전략과 정책 대안
2) 대구 인적자원개발의 주요 과제
인적자원개발 인프라 구축
① 지역 인적자원개발 실행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② 지역 인적자원개발의 안정적 재원 확보
③ 지역 인적자원개발 및 산업인력 수급 정책 연구기구의 설치 및 운영
④ 지역 인적자원개발 및 산업인력 수급 관련 조사ㆍ연구 및 모니터링 정례화
⑤ 지역 인적자원개발 관련 담당자 대상 교육 강화 및 공동워크샵 등 개최
산업인력의 양성
① 전문대 이상의 산학연계 네트워크 제도화 ② 전략산업의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 강화
③ 지역내 특성화 고교의 확대와 내실화
④ 지역내 실업계고교 교육에 대한 지원 확대
40
Ⅴ. 수요지향적 산업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2. 대구 인적자원개발 전략과 정책 대안
산업인력의 조달ㆍ배분
① 지역 종합 인적자원개발 센터 및 네트워크 구축
② 지역 인적자원개발 관계자의 전문성 제고
③ 지역 중소기업 인턴쉽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산업인력의 재교육훈련
① 테크노파크 등을 중심으로 첨단재교육 시스템 구축
② 지역 중소기업 교육훈련 바우처 도입
③ 지역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컨설팅 및 인적자원개발 활성화
④ 지역 기술인력 원스톱 경력개발센터 설치 및 운영
41
Ⅵ. 계획추진ㆍ평가체계의 구축
심의
ㆍ
조정
기구
대구광역시장
대구인적자원개발회의
지식 확산 서브시스템
대구경북개발연구원
대구상공회의소
기획
ㆍ
집행
ㆍ
평가
기구
대구지방중기청
대구테크노파크
RRC, TIC
EXCO 대구
대학기술이전센터
S/W 타운
전략산업별 발전위원회
대구혁신협의회
시행정조직
대구혁신추진단
기획관실
기획팀
경제산업국
(기업지원과)
기업혁신
지원팀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혁신
네트워크팀
혁신
Infra팀
도시건설국
재정금융
지원팀
예산, 세정
담당관실
지역 금융 서브시스템
대구은행
벤처펀드
엔젤클럽
지식 적용ㆍ활용 서브시스템(기업 부문)
기업혁신역량강화
창업ㆍ유치지원
• 기업 R&D 지원
• 창업보육 활성화
• 기업내 학습조직 활성화
• 청년기업가 양성
• 기업내 혁신문화 함양
• 선도기업 유치
• 재교육ㆍ훈련 강화
범례 : ○ 는 신설 기구ㆍ조직, →는 수요표출 방향, →는 수요충족 방향
기업간 네트워크
• 수평적 네트워크 강화
• 수직적 네트워크 활성화
지식 창출 서브시스템
IT[
발전
위원회
네
발전
BT[ 위원회
트
워
크 MT[ 발전
위원회
과학기술진흥실
인적자원개발센터
정책
수요
자
<대구 산업발전 추진체계 총괄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섬유[
기초
ㆍ
인 응용
프
응용
라 ㆍ
산업화
발전
위원회
경북대
전문대
연구
개발단
과제별
연구팀
]
연구
개발단
과제별
연구팀
]
연구
개발단
과제별
연구팀
]
연구
개발단
계명대
과제별
연구팀
]
DKIS
T
산업별기술개발
ㆍ지원센터
산업인프라 확충
• 전략산업별 특화단지조성
• 교통ㆍ물류ㆍ정보통신ㆍ컨
벤션 인프라 확충ㆍ연계
42
• 혁신친화적 지역문화 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