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pt fn

우언(寓言)·사자성어(四字成語)
윤리문화학과 김혜지
정치외교학과
손일범
영어영문학과
채진
Ⅰ. 우언(寓言)
1.우언의 정의
2. 중국우언의 역사
Ⅱ.사자성어(四字成語)
1. 사자성어의 정의
2. 중국의 사자성어
3.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3. 우언의 구성과 문체상의 특색
4. 우언의 장·단점
5. 우언의 발전
우언의 정의
• 우언(寓言)이란 형상(고사)과
이론(우의)이 결합된 일종의
주변문체로 권유나 풍자의 의미를
기탁한 각종의 고사라 할 수 있다.
(一) 操 作 方 法
중국우언의 역사
• 1) 기원
중국 고대 우언은 그 역사가 유구하여,
대체로 기원전 6세기에 싹텄다고 볼 수 있다.
그 해 진陳에 내란이 일어나자 초(楚)장왕이 내란 평정을 핑계로
진을 멸망시키고 이를 갈라 초의 현(縣)으로 만들었다. 진나라
대부인 신숙시가 초 장왕에게 말했다. “소를 끌고 남의 밭을
지나가니 소를 빼앗았습니다. 소를 끌고 지나간 사람에게 분명 죄가
있으나 그렇다고 소를 빼앗은 것은 과중한 벌입니다.” 그는 이
비유로 진을 회복시켜 주어 제후의 비난을 면하도록 초 장왕에게
권유했고, 장왕은 신숙시의 말을 들었던 것이다.
- 『좌전』선공宣公 11년(589 B.C) -
처음에 위무자魏武子에게 애첩이 있었는데 아들이 없었다. 위무자가
병에 걸리자 위과魏顆에게 명했다. “이 여인을 반드시 시집보내 거라.”
병이 악화하자 또 말했다. “반드시 나와 함께 이 여인을 순장殉葬하거라. ”
위무자가 죽자 위과는 그 애첩을 시집보내면서 말했다. “병이 심하면
정신이 혼미해집니다. 나는 정신이 맑을 때의 분부를 따릅니다.”
輔國에서 전쟁을 할 때, 위과는 한 노인이 풀을 매어 두회(秦나라의
力士)를 막는 것을 보았다. 두회가 걸려 넘어지자 그를 잡았다. 밤이 되어
노인의 꿈을 꾸었는데, 그 노인은 말하는 것이었다. “나는 당신이
시집보낸 여인의 아버지요, 당신이 선인의 맑은 정신일 때의 분부를
따랐으므로 내가 풀을 매어 보답한 것이오.”
- 선공 15년(594 B.C) (魏顆嫁父妾) –
2) 우언명칭의 역사
• 중국 고대에 ‘우언(寓言)’이라는 말을 가장 일찍
사용한 책은 『장자』이다.
“천하는 침체하고 혼탁하여 올바른 이론을 펼
수가 없다. 그리하여 치언(巵言)을 늘어놓고,
중언(重言)으로 진실성을 더하고, 우언을
광범위하게 적용했다.”
-《천하(天下)》편“우언이 9할이요 중언이 7할이며, 치언은 일에
따라 매일같이 사용한다.”
-《우언(寓言)》편“우(寓)는 기탁한다는 뜻이다. 남이 내 말을
믿지 않기 때문에 남의 말에 기탁하는 것이다.
그리하면 열 마디 가운데 아홉 마디는 믿는다.”
-《석문(釋文)》편-
*우언 · 중언 · 치언의 구분
* 우언(寓言) 주지와 고사 간의 ‘기우(寄寓)’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광범위하게 이해되어, 흔히 이상을 기탁하는 수 많은
작품을 의미함.
* 중언(重言) 명인의 말을 인용하거나 그에 가탁(假託)한 것으로 무
게를 빌린다는 뜻.
* 치언(巵言) 주지의 설정이나 문장을 쓰는 데에 실제 인물, 또는 사
실의 제약을 벗어나 임의대로 발휘하여 변화 무쌍함을
의미.
•
•
•
“저설(儲設)은 대체로 자신의 학설과 주장을 이야기 가운데 저장해 둔다는
뜻이리라.”
- 『한비자』“은(隱)은 숨기는 것이다. 말을 꾸며 뜻을 숨기고 교묘한 비유로 사리를
일깨워 주는 것이다.”
- 유협의 『문심조룡(文心雕龍):諧隱』그밖에 어떤 것은 ‘계(戒)’, ‘설(設)’, ‘언(言)’, ‘지(志)’로 불렸다.‘
1917년에 이르러 마오뚠이 『중국 우언(초편)』을 편집하여
진한시대의 우언을 수집 정리했는데, 고대우언작품을 통일적으로
‘우언’이라 명명한 것도 대개 이 시기부터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3. 우언의 구성과 문체상의 특색
1) 우언의 구성
•
고사(故事)는 비유체 이고 우의(寓意)는 본체이다. 본체를
드러내는 방법은 다양하다. 작자가 직접 평론하거나 혹은
저명인의 말을 빌린다. 혹은 고사속의 인물로 하여금
말하게 하고나, 방관자적인 평론자를 끌어들이기도 한다.
또 부류별로 정리해 늘어놓고는 통일시켜 우의를
설명하기도 한다. 물론 본체를 말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즉
우의를 분명히 드러내지 않음), 바로 비유(比喩)중의
차유(借喩)와 같다. 또한 고사의 객관적 의미가 때로는
작자가 드러낸 우의보다 큰 경우도 있다.
2) 우언의 문체상의 특색
•
우언은 형상(고사)와 이론(우의)이 결합된 일종의 주변문체.
•
우언의 형상은 일반 서사 문학 작품 중의 형상과 달리 매우
간단하고 개괄적임.
•
우언의 형상은 또 서정 문학 중의 중국 고전 시가처럼
짧지만 긴 편폭의 것보다 나음.
•
우언은 형상의 조소성이 매우 크고 우의도 비교적 다양하고
자유롭다. 그러나 이런 조소성도 일정한 규율의 제약이 있음.
4. 우언의 장·단점
1) 우언의 장점
➀일반적으로 길이가 짧아 전하기에 편리하며 사회적으로 파급력 또한 높음.
➁현실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이론적 차원에서 개괄하고
인생에서 가장 이로운 것을 짧은 분량 안에서 결말로 표현.
➂의식적으로 형상 가운데 교육적인 것을 기탁하니, 형상적 사고(고사)와
논리적 사고(우의)가 가장 긴밀하게 결합된 것.
➃형상으로 감화하고 다시 논리로써 복종시키며, 광범위하고 직접적으로 각
시대의 사람들을 교육.
➄중국민족의 사유소질을 높였을 뿐 아니라 중국 민족의 전통적 미덕을
기르는데 커다란 역할을 함.
➅현실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면서 고도로 개괄적이고 추상적이기 때문에
융통성이 있어 각기 다른 시대의 사람들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취사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게 함. 그러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새로워짐.
➆민족 언어를 풍부하게 하는 데에도 기여한 바가 큼.
2) 우언의 단점
현실반영이란 면에서 다른 문학작품처럼
직접적이고 힘 있지는 못함. 비유로써 알려주는
것이고 또 짤막하기 때문임.
우언의 발전
• 우언의 시대구분
중국 고대 우언은 2천 년간의 기나긴
역사 속에서 여러 발전 단계를 거쳐
왔다. 우언 자체의 발전 상황 및 당시의
사회와 문학 배경에 따라 대체로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시대
특정
선진 우 양한 우 위진남 당송우
언
언
북조 우 언
언
원명청
우언
‘철리
우언’
(哲理寓
言)
‘해학
우언’
(諧謔寓
言)
‘권계
과도기
우언’
적 성질
(勸戒寓
言)
‘풍자
우언’
(諷刺寓
言)
1)선진(先秦)우언
•
선진은 중국 고대 우언이 탄생하여 생기 있게 갓
발전한 시기이다. 그 중 전국시대는 중국 고대
우언 창작의 황금시대이다. 당시의 우언 작품은
제자(諸子)산문에 집중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학파의 철학과 정치 주장을 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철리 우언(哲理寓言)’이라 한다.
이러한 선진우언은 신화·전설·시가 등으로부터
제재와 의인화 및 비유 등의 예술수법을 흡수하고
백가쟁명과 함께 성장하였다
-대표적인 작품 『장자』
『장자』우언은 일종의 철리 우언이다. 그 중요한 목적은 자연에 맡기고 생사를
동일시하며 성지(聖智)를 버리고 세속을 피해 양생(養生)하려는 장자의 철학주장을
선전하려는 것이었다.
-『장자』의 작품‘백정의 칼솜씨’감상.
한 백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그의 손이 닿는 곳이나 어깨를 기대는 곳,
그리고 발로 밟는 곳이나 무릎으로 누르는 곳에서는 뚜두두둑 뼈가 떨어졌다. 칼이 지나갈 때마다
설겅설겅 모두가 음률에 맞는 소리가 났다. 그 동작은 «상림(桑林)»의 춤과 같았으며,
절도는«경수(經首)»의 박자에 들어맞았다.
문혜군은 말했다. “아 아! 훌륭하도다. 재주가 어찌도 그리 좋단 말인가?”
백정은 칼을 놓고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道」인지라 기술이 뛰어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제가 소를 잡을 때에는 보이는 것이 모두 소였습니다. 삼 년이 지나자 완전한 소가 보이는 일이
없었습니다. 지금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으며, 감각은 사라지고 정신에 따라
움직입니다. 자연의 이치에 따라 큰 틈을 가르고, 큰 구멍을 따라 칼을 대고, 단단한 곳을 따라 칼질을
했습니다. 힘줄이나 질긴 근육은 건드린 적이 없으니 큰 뼈에 부딪칠 리가 있었겠습니까? 훌륭한
백정은 해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살을 자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백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뼈를 자르기 때문입니다. 지금 저의 칼은 십 구년이 되었으며 그 사이에 잡은 소는 수천마리나
됩니다. 그러나 칼날은 숫돌에 새로 갈아낸 듯합니다. 소의 뼈마디에는 틈이 있는데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틈이 있는 곳에 넣기 때문에 여유 있게 칼날을 움직이는데도 언제나
반드시 넉넉합니다. 그래서 십구 년이 지났는데도 칼날은 새로 숫돌에 갈아낸 듯합니다. 비록
그렇다고 해도 뼈와 살이 엉킨 곳을 만날 때마다 어려움을 느낍니다. 조심조심 경계하면서 눈은
그곳을 주시하고 동작은 늦추어 칼을 매우 조금씩 움직입니다. 그러면 뚜두두둑 뼈와 살이 떨어져
마치 흙이 땅 위에 쌓인 듯합니다. 그러면 칼을 들고 서서 사방을 둘러보며 만족스러운 기분에
잠깁니다. 그리고는 칼을 닦아 보관합니다.
문군구이 말했다. “훌륭하도다! 나는 백정의 말을 듣고서 양생하는 법을 배웠도다.”」
-「양생주(養生主)」-
작품 감상 ‘조삼모사로 원숭이 길들이기’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있었다. 이 사람이
원숭이에게 말하기를, “너희들에게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를 주겠다.” 하니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냈다. “그가 다시 ”그러면 아침에는 네 개,
저녁에는 세 개를 주마.“ 하고 말하자 원숭이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제물론(齊物論)」-
『장자』우언의 영향
• 『장자』우언의 후세에 대한 영향은 매우 큼. 선진 제자
가운데 공맹에 이어 노장이 중국 사상계에 끼친 영향만큼
우언의 영향도 큼.
• 장자의 예술적 경험(화려하고 풍부한 상상력, 남의 의표를
찌르는 과장, 세밀하며 핵심을 찌르는 묘사, 의인화 수법
등)은 중국 후대의 우언 창작의 기초를 굳힘
• 작품의 구성 형식은, 중심을 둘러싸고 많은 우언들이
배열되어 있는데, 200개의 우언이 각 편에 그 부류에 따라
배열됐다. 이는 『장자』만의 독창적인 것, 후일에 한비자의
‘우언군(寓言群)’에 영향을 끼침.
• 장자 우언 및 그 안의 용어를 후인들이 광범위하게 응용,
많은 것들이 성어로 요약되어 민족 언어를 풍부하게 하는 데
극히 커다란 작용을 함.
2) 양한(兩漢)우언
• 양한 우언의 제재와 수법은 대부분 선진 우언을
답습했다. 다만 주된 목적은 최초의 통일 봉건
제국을 한(漢)왕조가 영구히 통치하고자
함이었다. 즉 우언으로 역사의 경험과 교훈을
선전하여 정치상으로나 생활상으로 인류에게
권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권계우언’이라
부를 수 있다.
- 대표적인 작품『설원』과『신서』
• - 대표적인 작품 『설원』과『신서』
전한(前漢) 말에 유향(劉向)이 편집하였다.
책의 내용은 고대의 제후나 선현들의 행적이나 일화·
우화 등을 수록한 것이며 위정자를 설득하기 위한 훈
계독본으로 이용하였다.
『설원』과『신서』의 영향
『설원』과『신서』는 한인의 다른 이론
서적들과 마찬가지로 이전 사람의 것을 즐겨
모방하고 인습했으므로, 진부하고 남의 그늘에
의존한 결점이 있다. 그러나 양한 시대의 최대의
고사 전집으로서 많은 옛 고사와 전설을
보존했으며 세심한 구성과정을 거치고
가공됨으로써 서사가 간결하고 의론 전개가
유창하여 각개의 우언이 모두 교육적 의미를
풍부하게 지녔다. 이에 이들은 우언사에 있어
과거를 계승하고 후일을 여는 역할을 했다.
3)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우언
• 위진남북조는 중국 역사상 대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철학 · 문학· 예술적으로 모두 분명한
과도기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언의
창작도 마찬가지로 후대문학의 번영을 위해
기초를 다지는 과도기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위진남북조 시대 우언의 수량은
선진시기의 작품에 훨씬 못 미치며 한 대의
작품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소림을 대표로 하는
‘소화집’의 출현이라는 특징을 들 수 있다.
4) 당송(唐宋)우언
• 이 시기는 중국 고대 우언 창작의 두 번째 고조기이다.
우언의 풍자성이 강화되고 철리성이 약화된 점이
특징으로, 이를 ‘풍자우언(諷刺寓言)’이라고 부를 수
있다. 우언에 독립된 편명을 붙이고 (예:「삼계三戒」)
우언을 따로 편집한 것 (예: 『애자잡설(艾子雜設)』)도 이
시기에 시작됐다.
• 당송 시대는 시가 · 산문 · 필기 · 전기(傳基)
·변문(變文)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되, 모두 이 시기의
우언에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시체(時體)의 우언이
탄생되었고, 산문과 필기 중에는 매우 많은 우수한 우언
작품이 들어있으며, 전기 중의 풍자소설과 당송시대의
풍자 우언의 관계를 밀접하게 하였다.
당(唐)대 대표적인 작품 ‘유종원의 우언’
• 유종원의 우언은 비록 양은 많지 않으나 전형적인
형상을 이루었으며 풍자성이 강하다. 이 우언들은
당대의 현실 생활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서,
전형적인 의의를 지닌 성공적인 우언 형상을 많이
그려내어, 각종 부패한 사회현상과 그 대표적인
인물들을 신랄하게 풍자했다. 그리하여 정치 철리
우언으로부터 사회 풍자 우언으로의 전환을
촉진했다. 따라서 중국 고대 우언발전사에서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했다.
작품 감상「부판전(蝜蝂傳)」
부판이라는 놈은 짐을 잘 지는 작은 벌레이다. 길을 가다가 무슨
물건이라도 맞닥뜨리면 주워서 머리로 올려 등에 진다. 무거워 지극히
힘들어도 그만두지 못한다. 그 등은 껄끄러워 물건이 쌓이면 흩어지지
않아, 끝내 엎어져서 일어나지 못한다. 사람이 가련히 여겨 그 짐을
치워 주어 걸을 수 있게 되면 또다시 가져다가 전과 마찬가지로
짊어진다. 게다가 높은 곳에 기어오리기를 좋아하여 힘이 다 빠져도
멈추지 않아 결국에는 땅에 떨어져 죽고 만다.
오늘날 재물 모으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재물을 보면 피하지 않고
집안의 재산을 증식한다. 그것이 자신에게 누를 끼칠 것이라는 사실은
모르고 오로지 재물이 쌓이지 않을까만 걱정한다. 힘에 부쳐 넘어질 때,
관직을 그만두게 하거나 자리를 옮겨주면 이를 탓한다. 만약 다시
기용되면 또다시 멈추지 않고 날마다 높은 자리와 많은 봉록을
생각한다. 탐욕이 심하여 위태로워 떨어질 지경에 이르고, 앞에서 죽는
것을 보면서도 경계할 줄 모른다. 비록 덩치가 커다란 사람이라는
존재들도 지혜는 작은 벌레와 같다. 슬픈 노릇이다!
-「부판전」-
유종원 우언의 영향
• 유종원 우언이 이룩한 최대의 예술적 성과는
선명한 우언 형상으로 사회 현실을 반영했으며,
각종의 어둡고 부패한 세력을 풍자하고
편달했다는 점이다.
• 그의 우언은 선진 우언과 인도불경 우언의
장점을 수용하여 중국 우언의 부흥을
촉진했으며, 후대의 풍자 우언에 귀중한 예술
경험을 제공했다.
5) 원명청(元明淸)우언
• 원말과 명대 초엽 및 중엽 이후에 두 차례에 걸쳐 우언 창작의
고조기가 있었다. 특히 명대는 명태조 주원장이 많은 역사가들이
칭송하는 황제지만, 그가 취한 많은 조치들은 몹시 잔혹하고
역행적이었다. 따라서 이렇게 전제적이고 어두운 사회의 사람들
사이에는 세상사를 웃어넘기며 냉소하고 풍자하는 인생 태도가
유행했고, 이에 우언 작품에도 골계와 풍자의 특색이 더해지게 되었다.
당시 많은 우수한 우언 작품의 공통적인 특색은 웃음으로 불평스런
마음을 표현했다는 점인데, 표면적으로는 생활 중의 작은 일이나
시시한 인물들을 조소하면서도 속으로는 봉건 전제의 각종 폐단에
대해 조소를 금치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소화의 수법을 흡수하여
해학과 유머의 특색을 형성하면서 전제주의 아래에서의 각종
암흑상을 냉소한 원명청 우언을 당송의 ‘풍자우언’과 구별하여
‘해학우언’이라 부른다.
•
대표작으로는 원대 『욱리자』,명대『중산랑전』,『현혁편』, 청대
『소득호』, 『요재지이』등이 있다.
Ⅱ. 사자성어(四字成語)
• 1. 사자성어의 정의
사자성어란 성어(成語), 고사성어(故事成語),
한자성어(漢字成語) 등과 함께 사용되는 용어로,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를 뜻함.
이러한 말들은 주로 굳어진 형태로 쓰여 교훈 ·
경구 · 비유 · 상징어 등으로 기능하고, 또
관용구나 속담으로 쓰이어 표현을 풍부하게
꾸며줌.
• 2. 중국의 사자성어
중국에서는 사자성어를 ‘성어(成語)’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성어들은 중국의 역사와 고전, 또는
시가(詩歌)에서 나온 말이 대부분이며, 그 전거만
해도 70남짓한 문헌과 200명 정도에 이르는 인물이
관련되어 있음.
예를 들어 <일망타진> <일거양득> <천고마비>와
같은 사자성어는 중국의 역사에서 나온 성어이며,
<전전긍긍> <유언비어> <대기만성>등은
『논어』의 고전에서, <청천벽력>은 시가에서 나온
성어임.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1)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
• - 의미 : 칼이 물에 빠지자 뱃전에
칼자국을 내어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칼을 찾는 다는 뜻으로
융통성이 없는 어리석음을 비유한
말이다.
• 【解释】:比喻不懂事物已发展变
化而仍静止地看问题
• 【出自】:《吕氏春秋·察今》》
:“楚人有涉江者,其剑自舟中坠
于水,遽契其舟曰:‘是吾剑之所
从坠。’舟止,从其所契者入水求
之。舟已行矣,而剑不行,求剑若
此,不亦惑乎?”
•
2)구밀복검(口蜜腹劍)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의미 : 입속에서는 꿀을 머금고
뱃속에는 칼을 품었다는 말로,
친한 체하면서 마음속으론 악한
생각을 품고 있다는 뜻.
-【解释】:嘴上说的很甜美,凡
里却怀着害人的主意。形容两面
派的狡猾阴险。
-【出自】:《资治通鉴·唐纪·玄
宗天宝元年》:“世谓李林甫
‘口有蜜,腹有剑’。”
3) 군계일학(群鷄一鶴)
(群: 무리 군, 鷄: 닭 계, 一: 한 일, 鶴: 두루미 학)
- 의미 : 여러 마리의 닭 가운데 한
마리의 학이 있다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들 속에 뛰어난 인물이
한 사람 섞여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解释】:象鹤站在鸡群中一样。
比喻一个人的仪表或才能在周围
一群人里显得很突出。
-【出自】:晋·戴逵《竹林七贤
论》:“嵇绍入洛,或谓王戎曰:
‘昨于稠人中始见嵇绍,昂昂然
若野鹤之在鸡群。’”南朝·宋·刘
义庆《世说新语·容止》:“嵇延
祖卓卓如野鹤之在鸡群。
4)난형난제(難兄難弟)
(難:어려울 난, 兄:맏 형, 難:어려울 난, 弟:아우 제)
- 의미: 형 노릇 하기도 어렵고
동생 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으로 어느 편이 더
우수하다고 말하기가 난처한
경우에 쓰는 말이다. 즉
우열을 구별하기가 힘든
경우를 말한다.
-【解释】:指共过患难的
人或彼此处于同样困境
的人。
5) 누란지위(累卵之危)
(累:여러 루, 卵:계란 란, 之:어조사 지, 危:위태할 위)
- 의미: 높이 포갠 알을 빗댄
것으로 조금만 건드려도
무너져 깨지고 마는
위태로운 상태를 말한다.
-【解释】:累:堆积。好比堆
叠起来的蛋,极容易打碎。
比喻情况极其危险。
-【出自】:汉·王符《潜夫论》
卷三:“居累卵之危而图泰
山之安。”《史记·范雎蔡泽
列传》:“秦王之国,危如
累卵,得臣则安。”
6) 대기만성(大器晩成)
(大:클 대, 器:그릇 기, 晩:늦을 만, 成:이룰 성)
- 의미: 큰 그릇은 오랜 시간이
걸려야 완성된다는 뜻으로 사람
또한 인물이 클수록 뒤늦게
성공한다는 말.
-【解释】:大器:比喻大才。指
能担当重任的人物要经过长期的锻
炼,所以成就较晚。也用做对长期
不得志的人的安慰话。
-【出自】:《老子》四十二章:
“大方无隅,大器晚成。”
7) 도원결의(桃園結義):
(桃:복숭아 도, 園:동산 원, 結:맺을 결, 義:뜻 의)
- 의미: 복숭아밭에서 의를
맺는다는 뜻으로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사사로운 욕심이나 야망을
뒤로한 채, 같은 목적을 향해
충성을 맹세하는 것을
말한다.
- 출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民间俗传 三国 时 刘备 、 关羽 、 张飞 在桃园结拜兄弟。
《三国演义》第一回:“ 飞 曰:‘吾庄后有一桃园,花开正盛;明日
当於园中祭告天地,我三人结为兄弟,协力同心,然后可图大事。’
玄德 、 云长 齐声应曰:‘如此甚好。’次日,於桃园中,备下乌牛白
马祭礼等项,三人焚香再拜而説誓曰:‘念 刘备 、 关羽 、 张飞 ,
虽然异姓,既结为兄弟,则同心协力,救困扶危;上报国家,下安
黎庶;不求同年同月同日生,只愿同年同月同日死。皇天后土,实
鉴此心。背义忘恩,天人共戮!’誓毕,拜 玄德 为兄, 关羽 次之,
张飞 为弟。”后遂为结拜兄弟,共同谋事的典故。《天地会诗歌选·
桃园结义刘关张》之一:“天下英雄居第一,桃园结义 刘 、 关 、
张 。”
8) 도탄지고(塗炭之苦):
(塗:바를 도, 炭:숯 탄, 之:어조사 지, 苦:괴로울 고)
-의미: 진흙의 수령이나 숯불
속에 떨어진 것 같은 고통을
나타낸 말로 생활 형편이
몹시 곤란함을 말한다.
-【解释】:形容人民处于
极端困苦的境地。
9) 맥수지탄(麥秀之嘆):
(麥:보리 맥, 秀:빼어날 수, 之:어조사 지, 嘆:탄식할 탄)
- 의미: 맥수란 보리밭이
무성한 모습을 말한다. 이
모습을 보고 사람들이
번화했던 옛날 도읍의
멸망을 회상하며 탄식했다고
한다.
10) 막역지우(莫逆之友)
(莫 : 말 막,逆 : 거스릴 역, 之 : 어조사 지,友 : 벗 우)
-의미: 서로 거스르지 않는
친구라는 뜻으로, 아무
허물없이 친한 친구를
가리키는 말.
-【解释】:莫逆:没有抵
触,感情融洽;交:交往
,友谊。指非常要好的朋
友。
-【出自】:《庄子·大宗师
》:“四人相视而笑,莫
逆于心,遂相与为友。”
11) 백아절현(伯牙絶絃)
(伯 : 맏 백, 牙 : 어금니 아, 絶 : 끊을 절, 絃 : 악기줄 현)
-의미: 백아(伯牙)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말.
-출전:《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
- 유래: 백아가 자기의 음악적 재능을
인정해 주는 친구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두 번 다시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12) 발본색원(拔本塞源)
(拔 : 뺄 발, 本 : 근본 본, 塞 : 막을 색, 源 : 근원 원)
- 의미: 나무를 뿌리째 뽑고
물의 근원을 없앤다는 뜻으로,
폐단의 근본 원인을 모조리
없앤다는 말.
-【解释】:本:根本,根源。
拔起树根,塞住水源。比喻
防患除害要从根本上打主意
。
-【出自】:《左传·昭公九年
》:“伯父若裂冠毁冕,拔
本塞原,专弃谋主,虽戎狄
其何有余一人。”
13) 삼고초려(三顧草廬)
(三: 석 삼, 顧: 돌아볼 고, 草: 풀 초, 廬: 풀집
-의미: 인재를 구하기 위해 세 번이나
시골로 내려가 사람을 찾음, 즉 참다운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마음을 쓰는 것을 말한다.
-유래: 후한 말,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융중에 기거하던 제갈량을 얻기 위해 몸소
제갈량의 초가집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던
일화에서 유래된 말이다.
【解释】:顾:拜访;茅庐:草屋。原为汉
末刘备访聘诸葛亮的故事。比喻真心诚意,
一再邀请。
【出自】:三国蜀·诸葛亮《出师表》:“先
帝不以臣卑鄙,猥自枉屈,三顾臣于草庐之
中
려)
14) 순망치한(脣亡齒寒)
(脣 : 입술 순, 亡 : 잃을 망, 齒 : 이 치, 寒 : 찰 한)
-의미: 입술이 없으면 치아가
시리다는 말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뜻.
-【解释】:嘴唇没有了,
牙齿就会感到寒冷。比喻利
害密要相关。
-【出自】:《左传·哀公八
年》:“夫鲁,齐晋之唇,
唇亡齿寒,君所知也
15) 연목구어(緣木求魚)
(緣 : 인연 연,木 : 나무 목, 求 : 구할 구, 魚 : 물고기 어)
-의미: 나무에 올라 고기를
얻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
【解释】:缘木:爬树。爬到树
上去找鱼。比喻方向或办法不对
头,不可能达到目的。
【出自】:《孟子·梁惠王上》:
“以若所为,求若所欲,犹缘木
而求鱼也。”
16) 일규불통 (一竅不通)
(一:한 일, 竅:구멍 규, 不:아닐 불, 通:통할 통)
-의미: '한 구멍도 통하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사리에
어두움을 비유하는 말이다.
- 유래: 은(殷)나라의 폭군
주왕(紂王)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解释】:窍:洞,指心窍。没有
一窍是贯通的。比喻一点儿也不懂
。
【出自】:《吕氏春秋·过理》:
“杀比干而视其心,不适也。孔子
闻之曰:‘其窍通,则比干不死矣
。’”高诱注:“纣性不仁,心不
通,安于为恶,杀比干,故孔子言
其一窍通则比干不见杀也。”
17) 유비무환(有備無患)
(有 : 있을 유, 備 : 갖출 비, 無 : 없을 무, 患 : 근심 환)
- 의미: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준비가 갖추어져
있으면 전혀 걱정이
없다는 뜻이다.
-【解释】:患:祸患,灾难
。事先有准备,就可以避
免祸患。
-【出自】:《尚书·说命中》
:“惟事事,乃其有备,
有备无患。”《左传·襄公
十一年》:“居安思危,
思则有备,有备无患。”
•
진(晉)나라의 도공(悼公)은 아주 총명한 왕이었다. 그
곁에는 사마위강(司馬魏絳)이라는 유능한 신하가
있었다. 그러던 어느 해 정나라가 출병하여
송(宋)나라를 침략하자 송은 진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진의 도공은 즉시 노(魯)와 제(齊),
조(曹)나라 등 12개국에 사신을 보내 연합군을
편성하여 위강의 지휘로 도성을 에워싸고 항복을
요구하여 마침내 정나라는 연합국과 불가침조약을
맺게 되었다. 한편 초(楚)나라는 정나라가 북방과
화친을 맺자 이에 불만을 품고 정나라를 침공하였다.
초나라의 군대가 강성함을 안 정나라는 초나라와도
화의를 맺었다. 이러한 정의 태도에 화가 난
12개국이 정나라를 다시 쳤으나 이번에도 진의
주선으로 화의를 맺자 정나라는 도공에게 감사의
뜻으로 값진 보물과 궁녀를 선물로 보내왔고 도공은
이것을 다시 위강에게 하사하려고 했다. 사마위강은
이를 거절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편안할 때에
위기를 생각하십시오(居安思危). 그러면 대비를 하게
되며(思則有備), 대비태세가 되어 있으면 근심이
사라지게 됩니다(有備則無患)." 도공은 이러한
사마위강의 도움을 얻어 마침내 천하통일의 패업을
이루게 되었다.
18) 일명경인(一鳴驚人)
(一: 한 일. 鳴: 울 명. 驚: 놀랄 경. 人: 사람 인)
- 의미: 한 번 울면 사람을
놀래킨다는 뜻으로, 한 번
시작(始作)하면 사람을 놀라게
할 정도(程度)의
대사업(大事業)을 이룩함을
이르는 말.
-【解释】:鸣:鸟叫。一叫就使人
震惊。比喻平时没有突出的表现
,一下子做出惊人的成绩。
-【出自】:《韩非子·喻老》:“
虽无飞,飞必冲天;虽无鸣,鸣
必惊人。”《史记·滑稽列传》:
“此鸟不飞则已,一飞冲天;不
鸣则已,一鸣惊人。”
19) 주지육림(酒池肉林)
(酒 : 술 주, 池 : 못 지, 肉 : 고기 육, 林 : 수풀 림)
-의미: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화롭고 사치스런
주연(酒宴)을 비유하는
말.
- 출전: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
- 유래
"주왕(紂王)은 술을 좋아하고
여자도 좋아하였다. 특히
달기(妲己)라는 여자를 사랑하여
그녀의 말은 무엇이나 들어 주었다.
…그는 사구(沙丘)에 큰 놀이터와
별궁을 지어 두고 많은 들짐승과
새들을 거기에 놓아길렀다. …술로
못을 만들고 고기를 달아 숲을 만든
다음(以酒爲池懸肉爲林) 남녀가
벌거벗고 그 사이에서 밤낮없이
술을 퍼마시며 즐겼다"고 하였다.
‘주지육림(酒池肉林)’은
‘以酒爲池’와‘懸肉爲林’을
줄여서 만든 것이다.
20) 지록위마(指鹿爲馬)
(指 : 가리킬 지, 鹿 : 사슴 록, 爲 : 할 위, 馬 : 말 마)
-의미: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일을
가지고 옳다고 속여서 타인을
공경에 빠뜨리는 것을 의미한다.
-【解释】:指着鹿,说是马。
比喻故意颠倒黑白,混淆是非。
-【出自】:《史记·秦始皇本
纪》:“赵高欲为乱,恐群臣不
听,乃先设验,持鹿献于二世,
曰:‘马也。’二世笑曰:‘丞
相误邪?谓鹿为马。’问左右,
左右或默,或言马以阿顺赵高。”
21) 조삼모사(朝三暮四)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물 모, 四 : 넉 사)
- 의미: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거나 남을
농락하여 자기의 사기나 협잡술
속에 빠뜨리는 행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解释】:原指玩弄手法欺骗人
。后用来比喻常常变卦,反复无
常。
【出自】:《庄子·齐物论》:“
狙公赋芧,曰:‘朝三而暮四。’众
狙皆怒。曰:‘然则朝四而暮三。’
众狙皆悦。名实未亏而喜怒为用
亦因是也。”
22) 청출어람(靑出於藍)
(靑 : 푸를 청, 出 : 날 출, 於 : 어조사 어, 藍 : 쪽 람)
-의미: '푸른색은 쪽[藍]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다'라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解释】:青:靛青;蓝:蓼
蓝之类可作染料的草。青是从
蓝草里提炼出来的,但颜色比
蓝更深。比喻学生超过老师或
后人胜过前人。
【出自】:《荀子·劝学》:
“青,取之于蓝,而青于蓝。”
23)창해일속(滄海一粟)
(滄 : 푸를 창, 海 : 바다 해, 一 : 한 일, 粟 : 조 속)
- 의미: 푸른 바다에 좁쌀
한 톨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고 보잘것없음을
비유한 말.
• 【解释】:粟:谷子,即
小米。大海里的一粒谷子
。比喻非常渺小。
• 【出自】:宋·苏轼《前
赤壁赋》:“寄蜉蝣于天
地,渺苍海之一粟。”
24) 청천벽력(靑天霹靂)
(靑 : 푸를 청, 天 : 하늘 천, 霹 : 벼락 벽, 靂 : 벼락 력)
- 의미: 맑은 하늘에
벼락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약동함을
비유하거나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이나 이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解释】:霹雳:响雷。晴天
打响雷。比喻突然发生意外
的,令人震惊的事件。
【出自】:宋·陆游《四日夜
鸡未鸣起作》诗:“放翁病
过秋,忽起作醉墨。正如久
蛰龙,青天飞霹雳。”
• 방옹이 병으로 가을을
지내고[放翁病過秋]
• 홀연히 일어나 취하여 글을
쓰니[忽起作醉墨]
• 정히 오래 움츠렸던 용과
같이[正如久蟄龍]
• 푸른 하늘에 벼락을
치네[靑天飛霹靂]
25) 타산지석(他山之石)
(他 : 다를 타, 山 : 뫼 산, 之 : 어조사 지, 石 : 돌 석)
- 의미: 다른 사람의 산에서
나온 돌을 가지고 옥을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과 실수도 자신을
바로 잡아 수양하는 데
유익할 수 있다는 말이다.
【解释】:比喻能帮助自己
改正缺点的人或意见。
【出自】:《诗经·小雅·鹤
鸣》:“他山之石,可以
为错。”
26) 토포악발(吐哺握發)
(吐 : 토할 토, 哺 : 먹을 포, 握 : 쥘 악, 髮 : 터럭 발)
- 의미: 먹던 것을 뱉고 감던
머리를 움켜쥐고 밖으로
뛰쳐 나간다는 뜻으로 귀한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 매우
정성을 다함을 뜻한다.
-【解释】:哺:口吕咀嚼着的
食物。吃饭时多次吐出口中
的食物,洗头时多次把头发
握在手中。比喻为了招揽人
才而操心忙碌。
-【出自】:《史记·鲁周公世家
》:“我一沐三捉发,一饭
三吐哺,起以待士,犹恐失
天下之贤人。”
27) 파죽지세(破竹之勢)
(破 : 깨뜨릴 파, 竹 : 대 죽, 之 : 의 지, 勢 : 기세 세)
- 의미: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강대해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解释】:比喻节节胜利
,毫无阻碍。
【出自】:《晋书·杜预传
》:“今兵威已振,譬
如破竹,数节之后,皆
迎刃而解。”
28) 파경중원(破鏡重圓)
(破 : 깨뜨릴 파, 鏡 : 거울 경, 重 : 거듭할 중, 圓 : 둥글 원)
- 의미: 깨진 거울이 다시
둥글게 된다는 뜻으로,
살아서 이별한 부부가
다시 만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解释】:比喻夫妻失散
或离婚后重新团聚。
【出自】:唐·韦述《两京
新记》卷三
29) 형설지공(螢雪之功)
(螢 : 개똥벌레 형, 雪 : 눈 설, 之 : 갈 지, 功 : 공 공)
- 의미: 가난한 사람이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
함을 일컫는 말.
【解释】:利用雪的反光读
书。形容读书刻苦。
【出自】:南朝梁·任彦升《
为萧扬州荐士表》:“至
乃集萤映雪,编蒲缉柳。
”注引《孙氏世录》:“
晋孙康家贫,常映雪读书
,清介,交游不杂。”
손강(孫康)은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넣을
돈이 없었다. 그래서 그는 늘 눈빛에 책을
비추어 글을 읽었다. 나중에 그는
어사대부(御史大夫)에까지 벼슬이 올랐다.
또 진(晉)나라의 차윤(車胤)이란 사람은
기름을 구할 수가 없어 여름이면 수십
마리의 반딧불을 주머니에 담아 그 빛으로
밤을 새우며 책을 읽어마침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다고 한다.
이 고사에서 비롯되어 어려운 처지에서
공부하는 것을 '형설지공' 또는 단순히
'형설'이라고 한다.
-이한(李瀚)의 《몽구(蒙求) -》
30)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 여우 호, 假 : 거짓 가, 虎 : 범 호, 威 : 위엄 위)
- 의미: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려 허세를 부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解释】:假:借。狐狸假借老
虎的威势。比喻依仗别人的势
力欺压人。
【出自】:《战国策·楚策一》
:“虎求百兽而食之,得狐。
……虎以为然,故遂与之行。
兽见之皆走,虎不知兽畏己而
走也,以为畏狐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