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진단·평가 시스템

Download Report

Transcript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진단·평가 시스템

장애인 정보화의 국제적 흐름과
한국의 전개 방향
김 용 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부 교수)
Ⅰ. 장애인 정보화의 개념과 필요성
 정보화 사회란?
누구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의 질적인 삶을 추구하는 사회
정보 양의 급격한 증가
산업사회와 정보사회의 비교
21C 정보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장애인 정보화의 필요성
 정보화 교육 지원 미비
 정보접근과 정보이용에 불편(정보격차 심화)
 보조공학 서비스 부족
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 부족
연구 목적
첫째, 장애인 정보화의 국제적 흐름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우리나라 장애인 정보화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본다.
셋째, 장애인 정보화를 위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 장애아동 발굴과 평생 맞춤서비스를 위한 진단·평가 지원
 보편적 설계와 서비스를 위한 공학적 지원
 장애유형, 정도, 연령별 필요한 정보 제공 지원
 효율적인 정보 이용을 위한 정보화 교육 지원
Ⅱ. 장애인 정보화의 국제적 흐름
1. 각국의 정보화 촉진 계획 수립과 실행
국가
정보화촉진 계획•실행
배경
미국
• 21세기 정보기술(IT2) 실행계획
•국가경쟁력 제고-정보기술 연구투자
유럽
• eEurope
• 혁신·지식에 기반을 둔 유럽건설
일본
• IT Japan for All
• 국가경제 회복
• Connecting Canadians
• 지식과 혁신을 통한 경제 활성화
• Singapore One
• 싱가포르 전체의 네트워크화
• Digital 21
• 범국가 차원 정보화 추진계획
캐나다
싱가포르
홍콩
2. 각국의 정보격차 해소 정책의 기본방향
국가
정보격차해소 정책 기본방향
• The Communication Act(1934)
•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Agenda for Action(1993)의 정책목표
미국
• The Telecommunication Act(1996)
• Technology Opportunity Program(2000)
• The Clinton-Gore Administration
: from Digital Devide to Digital Opportunity(2000)
영국
• Our Information Age : The Government's Vision(1998)
• IT for All 센터, 도서관 활성화
• UK Online(2000)
호주
• A Strategic Framework for the Information EconomyOverview
: Key Priorities for Action(1999)
일본
• IT Japan for All(2000
3. 각국의 장애인의 접근성 보장
국가
미
국
장애인 접근성 보장 관련법
장
애
인
복
지
분
야
•Rehabilitation Act(1973) : 504조
•Technology-Related Assistan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1988)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1990)
•Individuals with Disability Education Act(1990)
•Rehabilitation Act(1992) - 508조 (전자 및 정보기술 접근 조항)
•The Assistance Technology Act(1998)
정보 •Telecommunication Accessibility Enhancement Act(1988)
통신 •Television Decoder Circuitry Act(1990)
분야 •The Telecommunication Act (1996)
영 국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1995)
호 주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1992)
각국의 장애인의 접근성과 정보이용을 위한 관련법규 분석
 초기의 법규는 인간평등의 원리에 입각하여 제정
 장애로 인한 불이익 예방과 접근성 보장을 위한 법률 제정
 수요자중심의 정보접근 및 서비스를 보장하는 법규 시행
Ⅲ. 우리 나라의 장애인 정보화 현황과 문제점
1. 장애인 정보화 현황
장애인 정보화 관 련 법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복지법
•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 정보화촉진 기본법
• 전기통신 사업법
장애인 컴퓨터 이용 실태
일반인에 비교한 장애인 정보격차
구
분
컴퓨터보급
인터넷 이용률
장애인(%)
11.0
6.9
일반인(%)
50.4
37.1
격 차(%)
39.4
30.2
비고
장애인 2000. 6월
말
일반인 2000. 4월말
(자료 : 한국정보문화센터, 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정보화 교육
정보통신부: 정보화 교육의 일환으로 장애인 정보화 교육 실행
⇒ 1999년부터 2003년까지 42개 기관을 통해 연간 2만여 명을 교육
⇒ 2003년까지 총 100억 원을 지원하여 장애인 정보화교육장을 구축
정보통신부 연도별 장애인 교육목표 인원
교육
대상
장애인
(단위 : 만명)
비 고
교육
목표
인원
`98년
8
0.5
`99년
1.5
2000년 2001년 2002년
2
2
2
공공
민간
부분
부분
1.8
6.2
(자료:1999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장애인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 지원 기술 개발
< 시각장애 >
 시각장애인용 촉각·음성 기반 휴대 정보단말기 개발
 시각장애인용 윈도우 프로그램 개발
 시각장애인을 위해 웹 메뉴 및 문자·영상 데이타의 음성 출력기술
및 인터넷 Portal Site 개발
 시각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 보행안내 및 경보를 위한 장애인용 휴대단말기
< 청각장애 >
실시간·자동자막처리 기술 및 음성변환 기술 개발(2000년부터 3년간)
청각/언어 장애인용 휴대용 대화장치
수화전달을 위한 high frame
영상전화기 한글수화통역 시스템
< 지체장애 >
지체장애인을 위한 화면 키보드 개발
지체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애인 겸용 휴대폰 개발
2. 장애인 정보화의 문제점
정보화 기기 지원 부족
-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정보 부족
- 개발된 보조공학기기가 장애특성에 부적합
-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 부족
< 장애유형별로 컴퓨터의 불편사항 >
청각·언어장애
경고음확인불가
문자해독
시각장애
입력장애 (키보드, 마우스),
출력확인장애
(디스플레이,프린터)
GUI화면 상태 확인 불가,
환경설정(CMOS),
주변기기확인 (디스크삽입),
에러신호 확인 불가
지체장애
정신지체
키/기능 조작 곤란 (자판
키보드/마우스
크기 작음, 타이핑 에러),
마우스조작곤란 (미세조정,
클릭, 포인트,끌기)
파워 스위치 멈,
보기어려움, 시간지체
입력곤란
(이해,타이핑속도)
디스플레이
해석장애,
오동작 복귀곤란,
음성입력곤란
보조공학서비스 지원 기관 설립 및 운영
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교육적 활용을 모니터링
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제작·판매 기관과 정보의 교환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이나 구입장소를 소개
장애인 정보화 예산 부족
 정부 타부서의 정보화예산에 비교할 때 미흡
 경제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정보불평등, 정보격차 유도
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지원과 개발기관에 대한 지원방안 필요
장애인 정보화 교육 미비
컴퓨터교육 이수 경험 : 장애인 약 20%(일반 43%)
인터넷의 미사용 이유 : 사용할 줄 모른다(47.2%), 신체적인 조건(34.8%)
장애인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현황 : PC통신가입 장애인 0.33%(일반4.74%)
장애인 정보화 교육 문제점
 정보화교육서비스를 받는 대상이 한정적이다.
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단순하며 일반적이다.
교육 종료 후에 제공되는 이점이 없다.
현재 구축되어 있는 교육환경은 장애인들에게 적절하지 않다.
Ⅳ. 장애인을 위한 정보화 추진 방향 : 종합서비스 시스템 구축
국내·외 정보화 현황과 문제점 분석
⇒ 정보화에 대한 법률과 정책이 제한적이고 의무규정이 미흡
⇒ 제공되는 정보가 단편적, 정보의 접근이 불편
장애인을 위한 정보화 추진 방향
 장애발굴과 평생 맞춤 서비스를 위한 진단평가 지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공학적 지원
 고용·복지·노동·교육 및 재활 등에 관련된 정보 제공 지원
 정보화 교육 등에 관한 교육 지원
⇒ 종합적 서비스 : 연령, 장애정도, 교육정도 등에 따라 맞춤식
1. 진단·평가 지원서비스
 서비스의 대상을 파악하는 장애아의 발굴
 장애 유형, 장애정도, 연령 등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분석
 최초의 장애 발견에서부터 평생동안 계속적으로 지원
웹 기반의 전문가형 진단·평가 시스템
모든 서비스의 시작이 되는 장애아동의 판별과 성장과정에 따른 적합한
정보 지원과 공학 지원, 그리고 교육 및 재활 지원 계획을 수립
보조공학기기 진단·평가 시스템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조공학 기기들을
개별적 요구에 적합하게 선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형 시스템
전문가형 시스템
(Expert System)
DB
기초자료(성명,연령,가족관계 등 일반적 사항)
지적능력, 사회정서적 능력, 언어능력
지각 및 운동 능력, 시각·청각·신체적 능력
인공지능
Inferential
Engine
사용자
⇒ 지원 대상을 파악하는 장애아동 판별
⇒ 진단·평가에 따른 적절한 정보, 교육 지원 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진단·평가 시스템
개인의 요구와 기능을 분석하여 적합한 보조공학 기기를 지원하는 맞춤서비스로
지속적인 사후 서비스, 가족 교육 지원
장애인의 기능분석
공학적 접근이 가능한
신체 능력 분석
학습 능력 분석
보조공학기기 결정
공학적 접근에 대한의
사소통 능력 분석
2. 공학 지원 서비스
1)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
: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권을 보장하는 개념
< 보편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조건 >
-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개념의 적용
-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기, 서비스,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발
- 정책결정 및 사업추진의 각 단계에서 수요자 참여
- 재정보조정책 강화
2) 보조공학(Assisted Technology)기기와 소프트웨어
<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나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치 필요
 음성으로 처리해 주는 장치인 음성합성장치
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출력하는 점자프린터
 컴퓨터의 내용을 촉각으로 판독하는 무지점자기
 폐쇄회로를 통하여 기존의 인쇄물이나 그림 등을 확대는 CCTV
⇒ 음성합성장치를 제외한 정보통신기기들의 수입 의존 : 고가 장비
⇒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을 위하여 웹에 보편적 설계의 개념이 도입 필요
⇒ 공공기관과 지원센터에는 화면 확대를 위한 대형모니터나 CCTV의 구비 필요
⇒ GUI환경에 적합하고 호환성이 높은 음성지원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개발
< 청각 · 언어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
청각을 대체할 수 있는 기기 필요
 특수 전화, 문자통신, 수화통역, 화상통신, 자막방송
 휴대용 문자통신 단말기
 폐쇄자막(Closed Caption) 방송용 TV
 다양한 특수 전화기
(골도전화기,필담전화기,음량조절전화기,보청기 호환용 전화기 등)
⇒ 통신중계서비스, 자막방송 등의 확대 필요
⇒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자막용을 함께 개발하도록 지원
⇒ 청각장애인들의 자막수신기를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
< 지체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
이동과 정보 접근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공학 기기 필요
 손의 사용이 불편한 지체장애인
: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는 특수입력장치 필요
( 대체키보드, 스틱, 스위치, Head Pointer 등 )
 손, 발, 입 등의 신체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 눈으로 입력하는 장치, 뇌파를 이용하는 장치, 호흡을 통한 장치
⇒ 국내에는 전문적인 생산업체 부족
⇒ 2001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재활·테크노파크 사업단
: 지체장애인용 컴퓨터 인터페이스
지체장애인 컴퓨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개요>
•개
발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 재활 테크노파크사업단
• 일반 키보드를 모니터 위에 그대로 옮겨 놓음
• 마우스를 통하여 키보드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입력작업을 가능
• HELP기능, 매크로 기능, 단축키 기능, 스킨기능, 간편 마우스 기능
지체장애인 컴퓨터 인터페이스
<주 요 기 능>
• 화면의 하단-상단에 띄워 한글, 영어, 기호의 3가지 자판의
문자 입력
• 화면 키보드 좌측에 자주 사용하는 간편 문장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신속하게 검색하여 입력
• 기본적으로 화면 키보드를 개발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손이
없는 사람을 위한 Foot Mouse를 부착하여 쓸 수 있도록 함.
• 지체부자유인의 장애 특성에 맞게 화면 키보드소프트웨어에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쉽게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
<대
상>
- 동작 제어가 어려워 다른 제어장치를 우발적으로 건드릴 수 있는 장애인
- 신체적인 변형이나 운동기능의 저하로 인해 키보드의 조작이 어려운 장애인
- 양손 혹은 한쪽 손이 없는 지체부자유인
- 양손의 근력이 떨어지는 지체부자유인 및 고령자
- 기타
< 정신지체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
주의집중과 기억을 촉구하는 컨텐츠 구성 필요
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자료
: 흥미 유발, 동기부여, 즉각적인 피드백, 강화를 제공
 수업 이론의 적용
 조작이 편리한 특수 간편입력장치
< 보조공학기기와 소프트웨어의 활용 예 >
화상채팅을 통한 만남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단, 2001년 9월부터)
- 중소도시에 있는 C요양원(장애인 시설)
- 특수학교에 재학, 시설 내에 설치된 순회학급에서 교육
화상채팅 진행
요일
화
수
목
금
자원봉사자
한OO
김OO
김OO
정OO
대상학생
전OO
이OO
최OO
이OO
김OO
이OO
전OO
이OO
대화시간
내용
오전 11시 30분 - 12시
·동화구연. 시낭송
·장애극복 사례 소개
·생활하는 이야기 나누기-서로의 생활, 취미, 생각 등
보조공학기기 : 사운드카드가 내장된 컴퓨터, 헤드폰, 화상카메라
지체장애인용 컴퓨터 인터페이스
화상통신을 이용한 중증장애아동의 지도
<화 면 구 성>
실제화상통신모습
화상통신을 이용한 중증장애아동의 지도
실제화상통신모습
<반
응>
- 학 생 :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어요. 더 많이 했으면 좋겠어요.
- 보육사 : 아이들이 집(숙소)에 와서 화상채팅 했다고 자랑하고 그래요.
재미있어 하는 것 같아요. 집에도 인터넷이 설치되었으면
좋겠어요.
- 교 사 : 현재까지는 별 무리 없이 진행되고 있어요.
이 기회를 통해 아이들이 더 넓은 세계를 알고 자신들의 꿈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3. 정보 지원 서비스
 장애인 복지를 위한 정보의 미흡
 분산되어 있는 장애인 정보로 인한 정보 제공의 비효율성
청년기이후
고용과 복지
( 노동부 )
장애 유아의 발견과 보육
( 보건 복지부 )
장애인
정보 지원
서비스
사용자
학령기 장애학생의 교육
( 교육부 )
1) 분야별 필요한 정보의 종류
< 직업 정보 지원 >
< 복지 정보 지원 >
사회·문화·의료 서비스
개인직업적성
지역사회의 복지 기관
장애인 직종 및 직무
장애인 관련 법·정책
장애인 취업 기관 정보
자원봉사 및 상담
직업훈련프로그램 정보
보조공학 및 기기 지원
< 교육 및 재활 정보 >
재교육 프로그램 정보
교육·재활·치료적 서비스
교육·재활·치료 학교, 기관
조기교육
교사 및 전문가 교육
부모교육 및 재택 교육
2) 장애인을 위한 정보 통합 서비스
장애인 정보 통합 시스템
교육DB
고용DB
복지DB
DB
회원관리
DB
장애유형
연령
지역
정보특성
접속통계
Accessible Web Site Design
 교육 및 재활, 고용, 복지 정보의 통합 장애유형, 연령, 지역, 정보 특성 고려
 종합적이고 연속적으로 정보 제공
 포탈 사이트(portal site)의 형태로 제공
4. 정보화 교육 지원 서비스
교육서비스를 체계적·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평생교육서비스 체제 구축
 교육 수혜 기회 확대
: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 서비스 실시
 재정적인 투자와 물리적 지원
 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연속성 확보
 대학 전문 연구기관 및 IT 업계와의 유기적·상보적인 관계 수립
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연속성 확보
기본필수 과정
전문과정
기초과정
인터넷활용과정
멀티미디어 개발과정
웹개발과정
•운영체제
•OA
- 워드,파워포인트
- 스프레트시트
•인터넷사용
•기본응용프로그램
- 압축 - PC통신
•웹브라우저사용
•웹검색
- 단순, 복합검색
- DB검색
•전자우편
•유 스 넷
•HTML
•Tool 활용
•그래픽제작
- 포토샾
- 페인트샾
•동영상 제작 및 편집
•전자출판(DPT)
•HTML
•웹 에디터
•웹애니메이션
•그래픽
•웹서버구축
및 활용
직업훈련과정
자격증 과정
기본
전문
•컴퓨터활용능력
•워드프로세서
•인터넷관련능력
•기능사
•그래픽스자격과정
•밀티미디어관련
•네트워크관련
- MISE, MCP, SCJD
•웹관련
• OA 고급과정
•웹제작 및 활용 고급과정
•전산시스템 DB개발 및 관리
•사업체에서 활용하는 Solution 관리
대학 전문 연구기관 및 IT 업계와의 유기적·상보적인 관계 수립
IT 업계
대학연구기관
교육기관
인원및
전문교육내용
요구
직무내용분석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전략
교육과정 개발
위탁교육
교육훈련
채용
평가
결론
1. 장애인의 접근성과 정보이용을 위한 관련법규
 인간평등의 원리에 기초하여
장애인에게도 동등한 공학의 혜택을 위해 제정
 교육 및 재활, 복지, 직업생활에로 연장
 장애로 인한 불이익을 예방하고 다양한 공학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
 기회균등보다는 수요자중심의 정보접근 및 이용에
기초한 법규 제정과 시행
2. 우리 나라의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정책
 정보 접근성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지만 내용이 제한적
 의무규정이 약한 선언적 수준이어서 실효성이 낮음
 비장애인 중심의 정보통신기술, 정보화교육으로
장애인 정보격차 초래
3. 종합적인 서비스
 장애 영역, 연령, 요구에 맞는 정보와 보조공학기기 등을
위한 진단·평가시스템
 진단·평가된 결과로 접근권을 위한 보조공학 및 소프트웨어 등
공학적 지원 시스템
 교육·재활과 고용, 복지 등에 대한 정보 지원 시스템
 장애인 정보화를 위한 정보화 교육 시스템
장애인종합서비스시스템
(One-Stop 맞춤서비스)
진단 ∙ 평가시스템
(Expert System)
발견 서비스
요구정보서비스
보조공학서비스
맞춤검색시스템
(지능형 복합검색)
공학지원시스템
정보제공시스템
보조공학기기
및
소프트웨어
지
원
교육 ∙ 재활정보
접
근
권
고 용 정 보
복 지 정 보
장애영역
연
령
교육 시스템
기초과정
전문과정
자격증과정
직업교육과정
위탁교육
교육훈련
온라인교육
교육프로그램 및 기관
재활프로그램 및 기관
부모교육
교사 및 전문가교육
직종 및 직무 정보
취업정보
프로그램 정보
오프라인교육
I T 관련업체
사회 문화 의료 정보
법 및 정책정보
자원봉사 및 상담정보
교육과정개발
대학연구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