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도시의 그린벨트 도시의 이해 그린벨트란?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7장 도시의 그린벨트 도시의 이해 그린벨트란?

도시의 이해
제7장 도시의 그린벨트
그린벨트란?
도시의 팽창을 억제하고
도시주변지역의 개발행위
제한을 위해 설치된 공지와
저밀도의 토지이용지대
1. 형태
2. 목적
 도시로의 인구집중 억제
-> 도시과대화 방지
 녹지대형성, 자연환경 조성 및 보호
 대도시 공해문제 심화 방지
 위성도시의 무질서한 개발과 중심도시와 연계화 되는 것
을 방지
 안보상의 저해요인 제거
3. 그린벨트의 시작
• 우리나라 그린벨트 제도
* 한양금산제도
- 금산을 정해서 그 안에서 농사, 집을 짓는 일을 제제
-> 조선후기 한양의 인구 증가로 효력이
약해졌으나, 구한말 까지 유지된 제도.
* 1971년 7월 30일 서울 ~ 1977년 4월 18일
여천지역까지 14개 도시 권역에 설치
• 세계의 그린벨트 제도
* 영국
- 1935년 런던도시계획위원회에서 제안
- 1938년 그린벨트법 제정.
- 1947년 도시농촌계획법을 제정.
(지방정부의 지역개발시 그린벨트 개발계획 수립을 의무화)
- 2차세계대전 이후 막강한 정부의 권한과 기능
으로 인해 강력한 계획제도 도입
- 1955년 계획정책지침2호 제정 확립.
- 런던 이외의 지방정부 별로 그린벨트 설치 확대
하여 현재까지 시행
* 영국 그린벨트 제도의 목적
- 중산층의 자연 상태의 개방성 선호
- 대토지소유자의 수효가 상대적으로 소수
- 일반시민이나, 시민환경단체들의 지지
*독일
- 1891년 아디케스법을 제정
<토지이용규제, 개발이익의 국가환수를 처음으로 제도화>
- 개발허용지역, 개발억제지역으로 구분
* 미국
- 개발권 양도제 : 임의지역에서 도시화로 인구증가가 이뤄질 경우
개발권과 이용권을 분리해 지역문제 해결
개발권 양도제 내에 토지이용권은 토지소유주에게 남겨두되
개발권은 공공기관에게 양도 할 수 있음.
-> 공공선을 위해 환경, 경제면에서 불건전한 토지이용과 개발을 배제.
* 일본
- 1956년 수도권정비계획법 제정, 1965년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
<사실상 폐지>
4. 그린벨트의 관한견해
• 조정론
- 전면
해제까지는 아니여도 현실 여건에 맞추어서
제한을 점차적으로 조정
•
보전론
- 도시 관련법에 적시된 몇 개의 조문으로는 그린
벨트 보전에 한계.
‘개발제한구역’이 아닌 ‘국토보존지역’으로 격상
하여 적극적인 관리 필요
ex) 환경부 1998년 12월 28일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시
안에 대한 의견” 발표
1. 제도개선의 방향
: 도시환경 유지를 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여
제도의 기본틀 유지하되 구역조정으로 인해 불합리하게
지정된 지역과 지역주민의 불편을 최소화
2. 도시권별 구역 전체 해제
: 과학적, 객관적인 검토로 도시확산 우려와 환경상 나쁜
영향 예상 되지 않는 도시권에 한정
3. 일부 해제도시권의 구역조정
: 상수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은 환경대책 마련 후 해제
여부 검토
4. 해제지역의 관리와 난개발 방지
: 도시권별로 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보전녹지지역 지정.
-> 무분별한 개발으로 인한 경관훼손, 수질오염 방지
•
해제론
- 무분별한 확산 진행으로 녹지지역의 의미 퇴색, 개발가능
지의 고갈로 그린벨트를 해제해서 개발
-> 문제점 : 그린벨트 내 거주 세입자들의 거처
문제 때문에 신중할 필요.
• 그 외 온건론, 강경론, 중간론 등
5. 그린벨트 관리방안
• 그린벨트가 국민의 삶의 질을 담보
해 줄 수 있는 생태 공간의 특성을
유지 하면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측면
이 반영되어야 함.
* 지속가능성
- 미래에 등장할 생태도시 건설을 위해 남겨두는
생태공간 개발제한지역이 아닌, 생태보전지역
* 친환경성
-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며, 건강한 도시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친환경주의 입장에서 접근
* 공공적 시민정신
-
원거주민의 땅을 사서 들어온 외지인은 처음엔 그린벨트가 개발제한구역
임을 인식 하나 시간에 흐름에 따라 재산권 침해와 활용에 대한 집착.
이에 원거주민도 보호, 시민환경도 지키면서 국토 환경을 생각하는 공
공적 시민정신의 고려
* 형평성
- 원거주민의 환경보존의 대가를 받지 못한 불이익과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한 원거주민들에게 적절한 혜택이 돌아가야 형평의식을 공유 할수
있다.
6. 앞으로의 그린벨트
• 현재 우리나라의 그린벨트 지정 후 계획이나 정책이 미흡하여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였는데 새로운 정책환경과 사회
적 욕구 변화에 따라 적합한 기능을 제공해야 하고, 세계 여러
곳의 그린벨트의 활용 사례를 토대로 지역여건과 주민의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에게 실질적인 그린벨트 지정과 관
리 권한을 이양하여, 도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바뀌어야 함
- 스포츠, 레저공간(골프장, 축구장, 박물관) 등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