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의 삶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할머니의 삶

7. 생각하는 힘
(1) 장 마
1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 사진의 사회적 배경은?
2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마

- 윤흥길-
시대적 배경을 알 수 있는 소재 :
빨치산, 빨갱이,6.25 전쟁
 소재를 통해 알 수 있는 시대적 배경 :
6.25 전쟁 직 후
3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다음 영화의 공통점은?
제공 : ㈜ 엠케이 픽처스, ㈜ 필름 쿡 플러스
4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 글들의 시대적 배경은?
5
홍
길
동
전
옥상
의
민들레
꽃
안
네
의
일
기
30
년
전
의
그날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학습목표
6

시대적 상황이 인물의 삶에
미친 영향을 말할 수 있다.

‘장 마’의 의미와 주제를 말
할 수 있다.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한국전쟁의 시대적 상황
7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마’의 사회적 상황
6․25 전쟁으로 인해
우리 민족간에
이념이 대립되는
비극적인 상황이 드러남.
8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마’의 문화적 상황
무속신앙(샤머니즘 사상)이
바탕이 됨:
무속은 한국의 전래 신앙임.
9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글의 구성 (줄거리)
구성
10
핵심내용
발단
할머니의 아들은 인민군, 외할머니의 아들은
국군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함
전개
외할머니의 아들인 외삼촌이 전사한 후, 두 할
머니의 갈등이 드러남
위기
빨치산에 대한 외할머니의 저주로 할머니와
외할머니의 갈등이 고조됨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글의 구성 (본문)
구성
11
핵심내용
위기
삼촌의 생환을 기다리며 준비에 여념이 없음
절정
외할머니의 극진한 대접으로 구렁이가 원한을
풀고 감
결말
할머니와 외할머니가 화해하고 장마가 끝남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소설 갈등 양상
남
→
외삼촌
(국군,
전사통
보 받음)
↕
↕
북
삼촌
(빨치산,
생환을
기다림)
12
→
→
외
할머니
↕
→
할머니
→
구렁이
의 출현
(갈등
해소의
실마리,
삼촌의
죽음과
환생)
2016-07-05
→
→
외
할
머
니
의
배
웅
할
머
니
의
졸
도
→
→
두
할
머
니
의
화
해
갈
등
의
해
소
→
민족
내의
갈등
(민족
분단
․
이념)
해결
가능
성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소재의 상징적인 의미
죽은 삼촌의 현신
전쟁으로 희생당한 우리 민족
구렁이
사건의 전환으로
갈등해소의 실마리가 됨
배경사상 무속신앙
(샤머니즘,토속신앙)
13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할머니 머리카락’의 의미
1. 모성애의 상징
2. 가족 간(민족 간)의 따뜻한
애정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
14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중시점의 특징 – 어린 ‘나’의 시
점
 어른들의 갈등을 순수한 어린이의 눈으로
관찰
 사건의 비극적 면모를 객관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념 문제를 균형 있게 다룸)
 용서와 화해를 통한 비극의 극복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15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이중시점의 특징 – 어른 ‘나’의 시
점
 독자의 이해를 돕고, 관찰자 시점의 한계
를 보완하고 있다.
 과거 회상을 통해 이념 대립이 가져 온 비극
을 강조하고 있다.
16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할머니의 삶
아들이 빨치산으로 생존을 알 수 없다.
가족들과 외할머니에게 불만이 강하다.
가족들에게는 불만을 직접 표출, 외할머니에게
간접 표출
 무당을 믿고 아들을 기다림.
 구렁이를 죽은 아들의 현신으로 받아 들임.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17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외할머니의 삶
아들이 국군 소위로 전사함.
빨치산인 아들을 둔 할머니와 갈등이 드러남.
구렁이를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삼촌, 외삼촌)
의 현신으로 간주함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18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두 할머니의 공통점
 민족적 비극의 희생자 (자식을 잃음)
 강한 모성애를 지닌 것이 싸움의 계기로 작용
했으나 화해의 실마리가 되는 역할도 함.
- 무속신앙 (토속신앙, 샤머니즘)이 강함.
19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동네 사람들의 반응
 방관자적 입장 – 겉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놀라움과 호기심으로 지켜봄.
 우호적 입장(구장 어른, 진구네 식구들)
- 삼촌의 생환을 믿지는 않지만 위로해 주고
걱정함.
20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마’의 해석상의 두 흐름 파악
가족사의 문제
제목
∙ 두 할머니의 갈등
∙ 삼촌을 맞이하기
위한 가족들의
준비와 노력
∙ 구렁이(삼촌의 현신)
. 외할머니의 배웅
. 두 할머니의 화해
<가족의 문제해결>
21
․제목이며
주된 배경
․한 가족
에게 닥친
불행이며,
남 , 북
이념 대립
에 의한
민족사의
비
극
2016-07-05
민족사의 문제
<확대 해석>
∙ 남북의 갈등
∙ 민족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
∙구렁이(상처를 지닌 민족)
∙ 외할머니
(민족의 치유 노력)
∙두 할머니의 화해
<분열된 민족 내부의
화해>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 마’와 주제의 연관성
제목이며 주된 배경
한 가족에게 닥친 불행
제
(이념의 대립이 몰고 온 오랜 갈등)
목 장마
★
남북한의 이념 대립으로 인한
민족사의 비극을 상징함
22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장 마’ 주제
전쟁의 와중에서 빚어진
한 가족의 비극과 그 극복
23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전쟁이 인간의 삶에 미친 영
향
6•25 전쟁
이념의 대립이 가져
온 가족간의 불행
이념적 갈등
우리 민족 분단
의 현실
24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핵심정리
갈래
현대 소설, 전후 소설★,
중편 소설
작
윤흥길
가
성격
사실적, 상징적, 토속적,
샤머니즘적(민간신앙)
한국 전쟁이
제
한 가족에게
재
준 상처
시대적 배경 6․25 전쟁
배
경
공간적 배경 농촌
사회적 배경 전쟁으로 인한 이념의 대립에서 오는 가족간의 갈등
시점
★★
25
· 1인칭 관찰자 시점
(어린 ‘나’와 어른 ‘나’의 이중적 시각)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형성 평가
26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1. 이 글에서 구렁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어느 것인가?
①
②
③
④
⑤
27
갈등 해소의 계기
전쟁의 끝남 암시
삼촌의 죽음 암시
토속적인 분위기 형성
소경 점쟁이의 효험 입증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2. ‘정말 지루한 장마였다’의 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건의 극적
반전이 이루어질
것임을 암시한다.
② 작품 속 시간이 등장인물들에게 실제시간보다
길고 지긋
지긋하게 느껴졌음을 암시한다.
③ 작품의 제목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구절로, 작품
속 사건
이 장마 기간에 진행되었음을 암시한다.
④ ‘장마’는 기후와 관련된 단순한 배경을 넘어서
한
가족이 겪어야 했던 고통과 비극을 암시한다.
⑤ 한 문장을 작품 전체의 마지막 결말로 삼음으로
28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써, 작품
2. 다음 글의 구성 단계상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3. 이 글의 두 할머니를 통해서 엿볼 수 있는, 6․25
전쟁 당시 우리 민족의 현실 대응 자세로 가장 알맞
은 것은 어느 것인가?
29
① 모든 것을 운명으로 여기며 체념하고 있다.
② 토속 신앙의 힘으로 현실의 아픔을 극복하
고 있다.
③ 부조리한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고 있
다.
④ 현실에 분노하지만 힘이 없어 안타까워하
고 있다.
⑤ 구조적인 문제점보다는 가족이나 자신의
문제에만
급급해하고 있다.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4. <수능 기출문제>「장마」의 갈등 구조를 다
음 표와 같이 도식화하였을 때, ㈎에 해당하는 장
면은 어느 것인가?
할머니의
졸도
외삼
촌
전사
소식
30
→
외할머
니의
저주
→
할머니와
외할머니
의 갈등
→
구렁이
의출
현
↗
↘
↘
↗
외할머니
의 구렁이
배웅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
두
할
머
니
의
화
해
㈎
4. <수능 기출문제>「장마」의 갈등 구조를 다
음 표와 같이 도식화하였을 때, ㈎에 해당하는 장
면은 어느 것인가?
① 할머니가 삼촌을 기다렸다.
② 할머니가 의식을 회복하였다.
③ 고모가 할머니에게 경과를 이야기
하였다.
④ 외할머니가 큰방으로 건너왔다.
⑤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31
2016-07-05
가좌고등학교 정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