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다감각 활용 (TPR-Multisensory Phonics): Frederic Vester: Multisensory Learning ● 심리학• 뇌 과학-기반 언어 학습법: 1.

Download Report

Transcript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다감각 활용 (TPR-Multisensory Phonics): Frederic Vester: Multisensory Learning ● 심리학• 뇌 과학-기반 언어 학습법: 1.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다감각 활용 (TPR-Multisensory Phonics):
Frederic Vester: Multisensory Learning
●
심리학• 뇌 과학-기반 언어 학습법:
1. 기존 지식-기반 학습: Existing Knowledge-based Learnin
2. Patricia Kuhl: Early Childhood Development
3. Leslie Hart: Proster Theory
4. Ebinghaus & Pinseular: 망각 전의 반복 연습
기억 회복 단기 기억의 영구 기억화
5. 숙달(Mastery) 및 자동 구사력(Automaticity)
6. Stephen Krashen: The Acquistion-Learning Hypothesis
a. Comprehensible Input b. Extensive Reading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1
다감각 활용 (TPR-Multisensory Phonics):Multi-sensory Learning
Frederic Vester: Denken, Lernen, Vergessen
Was geht in unsern Kopf vor, wie lernt das Gehirn,
und wann läβst es uns im Stich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2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3
apple BrE / ˈæpl / NAmE / ˈæpl / noun
word origin Old English æppel, of Germanic
origin; related to Dutch appel and German Apfel.
Meaning: a round fruit with shiny red or green
skin and firm white flesh.
Example: ♦ an apple pie ♦ apple sauce
♦ a garden with three apple trees
Excerpted from: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8th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om •egran •ate noun
BrE / ˈpɒmɪɡrænɪt / NAmE / ˈpɑːmɪɡrænɪt /
word origin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pome grenate, from pome, pomme ‘apple’ +
grenate, grain ''grain'= pomegranate’ ,
from Latin mālum, apple+granatum,'havingmanyseeds,’
from granum ‘seed’). [mālum=apple;malum=bad,evil
Meaning: a round fruit with thick smooth
skin and red flesh full of large seeds
Excerpted from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8th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omegranate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4
persimmon
per·sim·mon (per-sĭmʹən) noun
1. Any of various chiefly tropical trees of the genus Diospyros,
having hard wood and orange-red fruit that is edible only when
completely ripe. 2. The fruit of any of these trees.
[Of Virginia Algonquian origin.]
<Excerpted from The American Heritage(r)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Third Edition (c) 1996
per•sim•mon BrE /pərˈsɪmən/ NAmE / pərˈs ɪmən/ noun
WORD ORIGIN early 17th cent.: alteration of Algonquian pessemmins.
a sweet tropical fruit that looks like a large orange tomato
see also sharon fruit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8th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sharon fruit BrE /ˈʃærən fruːt
WORD ORIGIN from
/ NAmE /ˈʃærən fruːt / noun
Sharon, a fertile coastal plain in Israel.
a type of persimmon, especially the type that is grown in Israel
Jolly Phonics
Extra Getting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8th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2010Started
5
기존(旣存) 지식(知識)-기반(基盤) 학습(學習)
Students can learn
something unfamiliar
depending on
what they already know.
All learning must be
built
on previous learning.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6
기존(旣存) 지식(知識)-기반(基盤) 학습(學習)
基=其(그 기:음)+土(흙 토:뜻)
基本 • 基地 • 基金 • 基準 • 基礎
基盤 • 基幹 • 基層 • 基督敎 • 國基 • 塩基
Properties of solutions can be classified as
acidic, neutral, and alkaline. 용액의 성질은
산성(酸性 acidic), 중성(中性 neutral), 염기성
(塩基性 알칼리성 alkalin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염기(塩基): 산(酸)을 중화(中和)시키며, 물에 녹으
면 수산화물(水酸化物)이온이 나옴. 수산화나트륨
ㆍ수산화칼륨ㆍ수산화암모늄, 잿물 따위
기존(旣存) 지식(知識)-기반(基盤) 학습(學習)
基=其(그 기:음)+土(흙 토:뜻)
基本 • 基地 • 基金 • 基準 • 基礎
基盤 • 基幹 • 基層 • 基督敎 • 國基 • 塩基
Properties of solutions can be classified as
acidic, neutral, and alkaline. 용액의 성질은
산성(酸性 acidic), 중성(中性 neutral), 염기성
(塩基性 알칼리성 alkalin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염기(塩基): 산(酸)을 중화(中和)시키며, 물에 녹으
면 수산화물(水酸化物)이온이 나옴. 수산화나트륨
ㆍ수산화칼륨ㆍ수산화암모늄, 잿물 따위
• 염기도(鹽基度): 산(酸)의 한 분자(分子)가 전리(電
離)하여
• 내는 수소(水素)이온의 수(數). 수소 이온 하나를 내
면 1 염기산(塩基酸), 둘이면 2 염기산(塩基酸) 이
라 함.
• 염기성(塩基性): 알칼리와 같이 염기(塩基)를 나타
내는 성질, 알칼리성. 붉은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키고 산(酸)과
• 중화(中和)하여 염(塩)을 만드는 것.
• 염기성 반응(塩基性反應): 염기성(塩基性)을 나타
내는 화학 반응.
• 붉은 리트머스지가 푸른빛으로 변하는 따위
Properties of solutions can be classified as
acidic, neutral, and alkaline. 용액의 성질은
산성(酸性 acidic), 중성(中性 neutral),
염기성(塩基性 알칼리성 alkaline)으로 구분할 수
있다.
Soap water is an alkaline solution. 비눗물은
염기성 용액이다.
The baking soda is a base, while the lemon juice
is an acid. 베이킹소다는 염기성이지만 레몬
주스는 산성이다.
• finish a sandwich in an instant
•
샌드위치를 순식간에 먹어 치우다
• devour three bowls of noodles in a moment
•
순식간에 국수 세 그릇을 집어세다
• 순식간(瞬息間) a brief instant, a moment
• 순식간에 in an instant
• 순식간(瞬息間)
• 瞬 字源: 形聲文字 目(뜻: 눈 목)+ 舜(음: 순임금 순.
• 원 뜻:한 자리에서 짧은 시간에 빨리 뛰다)
• 息= 自+ 心. 會意文字
• 間= 門+ 日. 會意文字
• 閒= 門+ 月. 會意文字
한자(漢字)의 육서(六書)
• 象形字(상형자): 山, 川, 日, 月, 明
• 指事字(지사자): 上, 下, 中, 一, 二, [天•地], 三
• 四[呬 (쉴 희)의 원자(原字)인 四를 가차함.
•
•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 전문(篆文)은
四 를 가차(假借)해서 사용함.
이고, 고문(古文)은 희(呬)의 원자인
• 五[二+x=五行: 木, 火,土,金,水]. 單獨指事: 상징적 부호만 사용: 上,下
•
합체지사(合體指事): 상형자(象形字)에 符號를 추가하여 만든다: 本,
• 會意字(회의자): 息, 間, 閒,
• 形聲字( 형성자): 基, 瞬, 指,按, 雲, 腰
• 假借字(가차자): 印度, 亞細亞, 伊太利,
• 轉註字(전주자): 樂(풍류악)→樂(즐길 락)→ 樂(좋아할 요);
• 更(고칠 경) → 更(다시 갱)
指 자원(字源) 形聲字
才(手) [뜻] +旨 [음+뜻] = 指.
手[손 수 부, 속칭 재방 변]: 手를 意符(의부)로 하여 손의 각 부위의 명칭이나, 손의 동
작에 관한 문자(文字)를 이룸. 변(邊)이 될 때에는 才(재)의 꼴을 취함:
旨(뜻 지=음(音)): 旨는 ‘맛있다’의 뜻. ‘맛 있는[旨] 것에 (식지食指) 가
움직이는 모양에서, ‘손가락, 가리키다’의 뜻을 나타냄. 또 가리키는 焦點(초점)
의 뜻에서 ‘뜻, 취지’의 뜻도 나타냄. 출처: 民衆書林, 漢韓 大字典.
식지(食指) [발음 : 식찌] 명사
[같은 말] 집게손가락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있는 둘째 손가락).
手[손 수 부, 속칭 재방 변]: 手를 意符(의부)로 하여 손의 각 부위의
명칭이나, 손의 동작에 관한 문자(文字)를 이룸: 拇, 掌, 拳, 招, 扶, 拿, 拾, 持,
挂=掛, 捕, 技, 投, 抗, 折, 抱, 押, 捺, 掃, 授, 推, 揚,
換, 握, 揭, 搾, 摩, 摯, 擁, 操, 擧, 據, 攀, 攝, 攪.
변(邊)이 될 때에는 才(재)의 꼴을 취함.
旨(뜻 지=음(音)): 旨는 ‘맛있다’의 뜻. ‘맛 있는[旨] 것에 (식지食指)
가 움직이는 모양에서, ‘손가락, 가리키다’의 뜻을 나타냄. 또
가리키는 焦點(초점)의 뜻에서 ‘뜻, 취지’의 뜻도 나타냄. 출처:
民衆書林, 漢韓 大字典.
식지(食指) [발음 : 식찌] 명사
[같은 말] 집게손가락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있는 둘째 손가락).
붕어-빵 [발음 : 붕ː어빵] 명사
1 . 붕어 모양의 틀에 묽은 밀가루 반죽과 팥소를
넣어 만든 풀빵.
2 . 서로 얼굴이 매우 닮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존 지식인 붕어와 빵을 합성하여 붕어 모양으로 구워 낸 풀빵이란
뜻의 신조어가 생겼다. 그 뜻을 비유• 확장하여 서로 얼굴이 닮은 사람
이란 둘째 뜻으로도 쓴다. 이처럼 언어의 생성 •발달과 그 이해 습득은 이와 같이 기
존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한자(漢字) 의 육서(六書) 생성과 이해 습득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양은(洋銀) ①구리, 아연(亞鉛), 니켈 따위의 합금(合金). 은빛 광택(光澤)이 나며, 녹이
슬지 아니하고 단단하여 은(銀) 대신(代身)으로 많이 쓰임 ②서양(西洋)의 은전(銀錢)
양은[洋銀] nickel silver; German silver. 붕어빵.
양은 그릇 nickel silver ware.
+
금성판 뉴에이스 韓英辭典 (c) 金星出版社 1994.
sil•ver•ware [sílvər wàir] noun
1. metal tableware: metal knives, forks, and other items of tableware
2. silver items: items made of silver or silver plate, especially tableware
Dictionary, 2002
Encarta World English
백동(白銅) 백통[白-] nickel; white brass; cupronickel.백통돈[전/화] a nickel coin).
백동-화[白銅貨] 백동화 [-똥-] 1 = 백통돈. 2 조선 조 26대 고종 29(1892)년에 주조된 2전 5푼짜리 화폐.
Link: www.fll.co.kr”나눔의 광장” “조기 언어 교육에 관한 뇌 과학의 새로운 발견”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arly Learning 조기 학습(早期學習)
Language Skills 언어 기능(言語技能)
The Brain 뇌(腦)
Ecosystem 생태계: 생물과 환경의
상호 의존 관계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16
Early Learning, Critical Period, Brain-friendly Language Learning
The ‘critical period‘ for language
Native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39
Age of Acquisition of New Language
critical period’ for language acquisition from age three (3) to seven (7)
The ‘
:
조기 언어 교육의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출생 후 7개월까지는 세계 6,000종의 모든 언어를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나 그 후부터는
이 능력이 점점 쇠퇴해 간다.
15세가 지난 후의 외국어 학습은 지극히 어렵다.
critical period를 지난 학습자에게 외국어를 가르치려면
외국어 특유의 음소와 문형 패턴을 학습자의 뇌회로에
구축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이 과정을 생략한 외국어 학습은 효과가 없다.
Infant perception of
/ra/-/la/
American
Infants
Japanese
Infants
/ra/-/la/ 두 음의 차이를 정확히 구별하고 인식하는 수준:
생후 6-8개월 기간: 미-일 유아 모두가 65% 정도 정확히 구별하고 인식했다.
생후 10-12개월 기간: 미국 유아는 80%, 일본 유아는 50% 정도 구별하고 인식했다.
Critical Period Idea를 입증하는 실험.
하늘색 세로줄이 critical period를 나타낸다.
출생 후 6-8개월 된 어린이는 미국 유아나 일본 유아나
다 같이 /ra/와 /la/의 음을 65% 정도 정확하게 구별
하여 인식한다. 그러나 출생 후 10-12개월이 되면 미국
어린이는 두 음의 차이를 80% 구별하는데 반하여
일본 어린이는 50% 수준으로 떨어진다. 일본어에는
/ra/와 /la/의 두 가지 음이 없고 하나의 음 /ラ/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어도 /라/밖에 없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 학생은 river와 liver를 구별하기 힘들다.
행동과 연관시켜 어린이에게 영어의 모음 /a/와 /i/의 발음을 배우게 하는 실험.
/a/를 발음할 때는 장난감을 상하로 흔들면서 방울을 울린다.
/i/를 발음할 때는 장난감을 좌우로 흔든다. 방울은 울리지 않는다.
Automaticity: Automatization of Proster
Figure 1
Automaticity 획득 전의 뇌 단층도.
작업 기억이 100% 가동되고 있다.
새로운 작업 수행의 여력이 전혀 없다.
Figure 2
Automaticity 획득 후의 뇌단층도.
작업 기억이 10%만 가동되고 있다.
작업 기억의 여력이 90%나 남아 있어서
하던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새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Jolly Phonics Extra Getting Started
Proster 자동화(Automatization of Proster) 전후의 작업 기억 활동 변화
28
Automaticity 획득 전의 동작.
Automaticity 획득 후의 동작.
공을 쥔 장갑을 목표에 겨냥하면서
투구(投球)할 팔을 뒤로 가져간다.
투구법을 배우는 중이므로 동작 하나
하나에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 두 가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여력이 없다.
3루의 주자를 돌아보면서 1루로
공을 던진다. 투구(投球)의 숙달도가
Automaticity 수준에 도달했으므로
3루의 주자를 감시하면서 1루로 공을
던질 여력이 있다.
Effective Learning Paradigm 효과적 학습 전범(典範)
RHR 이론
위 그림은 인간의 뇌의 mechanism이다. 언어는 듣는 것만으로는 오른쪽 귀로 들어가
왼쪽 귀로 빠져나갈 뿐이며, 머리 속에는 거의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 영어음성을 뇌
의 장기기억영역(長期記憶領域)에 보존하려면, 먼저 잔음영역(殘音領域 Auditory)에
영어 음성을 입력하고, 이 잔음 (殘音)이 머리 속에서 소실(消失)되기 전에 큰 소리로
잔음 문장(殘音文章)을 복창(復唱)해야 한다. 이 과정을 몇 십 번 반복하는 동안에 영어
음성은 중기 기억 영역(中期記憶領域 Working Memory)로 옮겨지고, 최종적으로는
장기기억 영역으로 보내진다. 그림처럼 잔음 영역, 중기 기억 영역, 장기 기억 영역 사
이의 언어 음성은 상하로 왕래하고, 그것을 반복하는 동안에 점점 장기 기억 영역으로
언어 음성이 침투하여 정착한다. 이 mechanism을 RHR (Recursive Hierarchical
Recognition)라고 부른다. recursive [rik:rsiv] adj. 1 되풀이 사용되는, 회귀할 수 있는. 2 귀납[반복]적인.
4년간 서울대생 3121명 인터뷰, 그들의 특징 추출한 조남호씨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공부를 재미로 한다. 그 ‘재미’는 노력한 성과에 대한 쾌감이다.
그들은 공부를 게임처럼 여긴다.” /이덕훈 기자
①서울대생은 이해 집착자
"미적분 문제을 풀 경우, '미적분(微積分)'이란 용어(用語)의 한자(漢字) 뜻을
완벽하게 이해(理解)한다.
②서울대생의 계획표(計劃表)엔 '여지(餘地) '가 있다
치밀하게 분·초 단위로 통제하며 공부할 거라는 생각은 편견이었다.
시간표는 '시간(時間) 단위(單位) '가 아니라 '학습량(學習量) 단위(單位) '로 짰다.
[출처] 본 기사는 2014년 4월 5일자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언어의 통달(通達 Mastery)과 자동 구사력(Automaticity)
획득의 효과적 방법
1. 다단계로 나누어
2. 비약하지 말고, 점진적으로
3. 기존 지식을 토대로 새 지식을 습득하면서
4. 목표 언어 특유의 핵심 programs와 prosters를
5. 학습 전범(Learning Paradigm)에 따라
6. 지속적•규칙적 연습과 활용을 통해
7. 뇌의 영구 기억에 최대한 구축해야 한다.
Watch와 Learn의 단계에서 학습이 끝나서는 안 된다.
한국 학생들의 언어 구사력 부족은 Practice와 Perform
의 단계를 소홀히 하기 때문이다.
배운 것도 연습과 활용을 하지 않으면 소실된다.
Hear it!
Say it!
See it!
Type it!
Own it!
Use it!
Hear it! Say it! See it! Type it!까지는 Watch와 Learn의 초기 학습
과정이다. Own it!와 Use it!는 숙달 연습을 위한 Practice와 Perform의
과정이다. 이 단계를 지나야 Automaticity에 이른다.
과도한 비용•시간•노력을 투입하고도
한국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빈약한 이유
Automaticity란 행동의 수순을 의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이 단계에 이르면 새로운 작업을 병행해서 수행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빠른 속도로
건반을 두드리면서도 잘못 치는 법이
없는 것은 숙달 연습으로 숙달도(Mastery)가 자동 구사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새 악보를
받으면 악보에만
집중하지 어느 손가락으로,
어느 key를 언제, 어떻게 칠 것인가를 생각하지 않는다. 영어도
숙달도가 Automaticity에 도달해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기억심리학을 창시한 Ebinghaus 박사는, 학습 후 10분이 경과
하는 시점부터 망각이 시작되며, 20분 이내에 47%, 2일 후 66%,
6일 후 75%, 31일 후에는 79%가 기억에서 소실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참조: 오른쪽 망각 곡선]
또한 후속 망각 주기로 이행되기 전에
복습을 해야 망각 도상의 기억이
회복되며, 복습 회수 증가에 비례해서
복습 소요 시간도 줄어든다는 사실도
밝혀 냈다.
10분 후 복습하면 1일 동안 기억되고,
다시 1일 후 복습하면 1주일 동안,
다시 1주일 후 복습하면 1달 동안,
다시 1달 후 복습하면 6개월 이상 기억된다.
복습 없이 영어 단어를 하루 10개씩 암기해가면 30일 후에는 암기
했던 300개의 단어 중 270개는 망각되고 30개만 남는다. 이 상태로
방치하면 1년후까지 기억에 남아 있는 단어는 3~4개에 불과할 것이다.
인간의 기억력은 컴퓨터와는 달라서 한번 입력된 것이 그대로 보존되는
것이 아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망각의 피안으로 사라진다.
Ebinghaus의 망각 곡선에서는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발견
하게 된다. 반복하는 횟수가 많아 질수록 공부하는 양이 적어도
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어떤 책을 한 번 공부하는데 7개월이 걸
린다면, 7번째 반복할 때는 1달도 안 걸린다는 것이다.
횟수가 많아 질수록 반복 소요 시간과 노력이 반비례해서 줄어
든다.
How the Brain Works
A New Understanding of
Hunan Learning, Emotion, and Thinking
Leslie A. Hart
The Concept of Proster
Proster Theory sees human behavior as resting on a two-cycle:
1. Choosing, from an existing repertoire, a program
that best seems to fit the observed action;
2. Putting the program into effect.
Prosters in Action
We can define learning as the acquisition
of collections of programs or prosters.
When we observe young children, the
process of acquiring more and more
programs, and more adequate, closely
related collections of programs, or
prosters, could hardly be more evident.
Here is a little girl working hard at using a
spoon. She turns it over, spilling the food,
often misses her mouth on the first try―but
with encouragement rapidly improves her
control. If her mother tries to guide her
hand to be helpful, the child will likely resist
and grow angry. She much prefers to do it
herself; if the mother insists on teaching, the
child may well refuse to attempt to feed
herself for several months. ON the other
hand, her obvious joy at succeeding leaves
little doubt of how "motivated" she is to
learn―her way.
A few weeks later her spoon-feeding proster has
developed so remarkably she can feed herself
quite well even while her attention is elsewhere.
The arm and wrist movements have smoothed
out, control has become very accurate.
Here is a boy learning to use the index of a book.
If he is allowed to learn his way, to make the
decision to look up what is wanted in the index
as well as to carry out the action, we will likely
find him well-skilled in the use of many kinds of
indexes a year later. If he sees a friend thumbing
through page by page, he may grab the book
away and use the index to speed the process.
Let us say that in this instance bias (a) is strongly inhibiting the
switches for programs (A) and (B), as indicated by double minus
symbols (--). Bias (b) is weakly inhibiting (-) switches for
programs (B), (E), (F). Bias (c) is weakly inhibiting switches for
programs (D) and (E). Bias (d) is weakly activating (+) for
programs (C) and (F). Summing up, we see these totals:
(A) … --
(B) … ---
(C) … +
(D) … --
(E) … 0 (+ and - cancel out)
Under these circumstances, program (C) would be
activated. If aborted, program (F) would be the next
choice. (If all programs were inhibited by biases, the
input to the proster would be refused and shunted out.)
To illustrate, only four bias inputs have been shown. In
reality, there could be thousands, so the switching
device would produce a far wider, extremely subtle
range of values by which one or another program would
be selected. For purposes of insight into behavior and
fostering of learning, we do not really have to worry
about the mechanism, once the concept of hierarchy of
prosters is accepted, at least for use as a model.
I have used the word “appropriate” with
reference to the choice of a program within a
proster. Smith defines it succinctly:
…The world is full of a restless energy: it is full,
in Whitehead’s phrase, of a constant and
unending “stream of happenings.” It is the
animal’s part to respond to these happenings in
an appropriate manner: a manner, in short,
which ensures the prolongation of its individual
life so that its progeny may perpetuate that of
the species.
To avoid Purpose Tremor:
Prevent Working Memory from Interfering
with the Activation of Proster−Automatic
Activation of Collection of Programs or
Prosters.
By means of
1. Autogenic Training,
2. Educational Self-hypnosis
Students can learn
something unfamiliar
depending on
what they already know.
All learning must be
built
on previous learning.
The Proster Theory
Leslie A. Hart, Human Brain and Human
Learning, 3rd Edition,
Books for Educators, Inc., 2002, Washington
Leslie A. Hart, How the Brain Works –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Learning, Emotion, and Thinking,
Basic Books, Inc., 1975 , New York
(32 years ago)
The term proster is a neologism, from a
compression
of the words program structure (pronounced
‘prosster).
A proster is a collection of programs, all for
the same general purpose.
A proster for locomotion would provide
programs for
Walking, Running, Going uphill or down,
Hopping, Jogging, Skipping, and so
forth.
All relate to the pattern of advancing by
repeated steps of some kind. All the
programs have the common purpose of
getting to some other place on foot. A
program can be run off much the same way a
loop of magnetic tape can be run off on a
tape player. And, like a tape player, only one
program at a time can be selected and put
into use.
1. Unity: the brain has only one basic
organizational form—programs, in
prosters, in hierarchies.
2. Availability: Since the brain functions by
programs, it can function only to the
extent that programs, as of the moment,
have been established. This means that
one can do only what one has
previpously learned to do (p. 176, Leslie
Hart, ibid).
Individuals will cease investing effort
in a problem if they doubt their ability
to solve it —if they have no
expectation of success. (p. 210, Dr.
Jerome Ke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