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Document

Flow Lines and Flow Nets
 Flow
line(유선)
• 지하수가 대수층을 통과하는 선
 등방성
대수층을 통과하는 경우
• 등수압선과 직각으로 만남
 이방성
대수층을 통과하는 경우
• 등수압선과 비스듬히 만남 : 이방성의 정도,
이방성 타원형에 대한 최대경사의 방향
Flow Lines and Flow Nets
 Flow
nets(유선망) : 유선들의 network
 Cedergren(1989) : 유선망 만드는 법
• 조건 : 균질, 등방, 완전포화, 정상류, 토양과
물은 비압축성, laminar flow, Darcy law 적용,
모든 경계 조건 알고 있음
 경계
조건
• No-flow boundary : 인접한 유선들이 이 경
계와 평행, 정수압선은 이 경계와 직각
Flow Lines and Flow Nets
 경계
조건
• Constant head boundary : 수두가 이 경계
위의 모든 지점에서 일정, 이 경계는 또 하나
의 정수압선이 됨, 유선은 이 경계와 직각으로
만남, 인접한 정수압선은 이 경계와 평행
• Water-table boundary : 함양이 일어난다면
유선은 지하수면과 비스듬히 만남, 함양이 일
어나지 않는다면 유선은 지하수면과 평행
Flow Lines and Flow Nets
 지하수
유동량
Kph
q' 
f
• q’ : 대수층의 단위폭당 유동량(L3/T)
• K : 수리전도도(L/T)
• p : 인접한 유선에 의해 둘러싸인 유선경로
(streamtube)의 수
• h : 총 유선길이에 대한 수두 변화(L)
• f : 전체 유동경로를 따라 두 개의 인접한 등
수압선에 의해서 둘러싸인 사각형의 수
Flow Lines and Flow Nets
 지하수
유동량 예제
• 수리전도도(K) : 23 ft/day
• 그림 5.11 의 유동계에서 단위폭당 유동량?
• p = 4, f = 8, h = 40 – 24 = 16
Kph 23 ft / d  4 14 ft
q' 

 180 ft 3 / d
f
8
Refraction of Flow Lines
 수리전도도가
다른 두 지층을 통과할 때
유동 방향이 변한다(Hubbert, 1940).
K1 tan 1

K 2 tan 2
Steady Flow
in a Confined Aquifer
 Darcy’s
law 적용(그림 5.16)
dh
q '  Kb
dl
• b : 대수층의 두께(L)
• dh/dl : 정수압면의 기울기
• q’ : 단위폭당 유동량(L2/T)
Steady Flow
in a Confined Aquifer
 원하는
위치에서의 수두(그림 5.16)
q'
h  h1 
x
Kb
• h : 원하는 위치 x 의 수두 (L)
• x : h1 로부터 떨어진 거리
• q’ : 단위폭당 유동량(L2/T)
• K : 수리전도도(L/T)
• b : 대수층 두께(L)
Steady Flow
in a Confined Aquifer
 예제
•
•
•
•
•
피압 대수층 : 두께 33 m, 폭 7 km
두 개의 관측정 : 유동 방향으로 1.2 km apart
well 1 의 수두 : 97.5 m
well 2 의 수두 : 89.0 m
수리전도도 : 1.2 m/d
 What
is the total daily flow of water
through the aquifer?
Steady Flow
in a Confined Aquifer
dh
Q   Kb  width
dl
97.5m  89.0m
 1.2m / day 33m 
 7000m
1200m
 2000m3 / day
Steady Flow
in a Confined Aquifer
 well
h1 에서 0.3 km 떨어져 있는 곳의
수두?
q'
h  h1 
x
Kb
(2000m 2 / day) /(7000m)
 97.5m 
 300m
1.2m / day 33m
 97.5m  2.2m
 95.3m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지하수면이
항상 유동 영역의 상부 경계
를 형성하므로 유동량 결정을 어렵게 함.
 지하수면의 경사는 상수가 아니다. 유동
방향으로 증가한다.
 Dupuit(1863) 가정
• (1) 수리 경사도 = 지하수면의 경사
• (2) 지하수면의 경사가 작은 경우,
• 유동방향은 수평, 정수압선은 수직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Dupuit
equation
1 h12  h22
q'  K (
)
2
L
•
•
•
•
q’
h1
h2
L
: 단위 폭당 유동량
: 원점의 수두
: 원점으로부터 L 떨어진 곳의 수두
: 유동 길이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2
2
(
h

h
w
2
1
2 )x
h  h1 
 ( L  x) x
L
K
•
•
•
•
•
•
h : x 지점에서의 수두
x : 원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h1 : 원점의 수두
h2 : 원점으로부터 L 떨어진 곳의 수두
L : 원점으로부터 h2 가 관측된 지점까지 길이
w : 함양률(L/T)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w
= 0, no infiltration or evaporation
2
2
(
h

h
2
1
2 )x
h  h1 
L
•
•
•
•
•
h : x 지점에서의 수두
x : 원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h1 : 원점의 수두
h2 : 원점으로부터 L 떨어진 곳의 수두
L : 원점으로부터 h2 가 관측된 지점까지 길이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q’ : 단위폭당 x 지점에서의 유동량
• d : 원점으로부터 분수령(water divide)까지 거리
• hmax : 분수령에서의 수두
K (h  h )
L
q' x 
 w(  x)
2L
2
2
1
2
2
L K (h12  h22 )
d 
2 w
2L
2
2
(
h

h
w
2
1
2 )d
hmax  h1 
 ( L  d )d
L
K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
•
•
•
•
•
•
비피압 대수층 : 모래층, 두께 31 m
수리전도도 : 0.0020 cm/s, 유효공극률 : 0.27
관정 1 에서의 수두 : 10 m
관정 2 에서의 수두 : 7.5 m
관정 간의 거리 : 175 m
(A) 단위폭당 배출량
(B) 관정 1 에서의 지하수의 속도(평균 선형 속도)
(C) 두 관정의 가운데 지점에서의 수두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A) 단위폭당 배출량
•
•
•
•
•
비피압 대수층 : 모래층, 두께 31 m
수리전도도 : 0.0020 cm/s, 유효공극률 : 0.27
관정 1 에서의 수두 : 10 m
관정 2 에서의 수두 : 7.5 m
관정 간의 거리 : 175 m
1 h12  h22
1
102  7.52
2
q'  K (
)  1.7(
)  0.21m / d
2
L
2
175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B) 관정 1 에서의 지하수의 속도(평균 선형 속도)
•
•
•
•
•
비피압 대수층 : 모래층, 두께 31 m
수리전도도 : 0.0020 cm/s, 유효공극률 : 0.27
관정 1 에서의 수두 : 10 m
관정 2 에서의 수두 : 7.5 m
관정 간의 거리 : 175 m
Q
q'
0.21
vx 


 0.08m / day
ne A ne h1 0.2710
Steady Flow
in an Unconfined Aquifer
• (C) 두 관정의 가운데 지점에서의 수두
•
•
•
•
•
비피압 대수층 : 모래층, 두께 31 m
수리전도도 : 0.0020 cm/s, 유효공극률 : 0.27
관정 1 에서의 수두 : 10 m
관정 2 에서의 수두 : 7.5 m
관정 간의 거리 : 175 m
2
2
(
h

h
2
2
2
2 87.5m
1
2 )x
h  h1 
 (10m)  [(10m)  (7.5m) ](
)
L
175m
 8.8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