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실험에 의한 앵커기초의 내진성능 평가 (김민규 / 한국원자력원구원)
Download
Report
Transcript 동적 실험에 의한 앵커기초의 내진성능 평가 (김민규 / 한국원자력원구원)
2010. 9. 2.
2010 KEPIC-Week Structural Session
김민규, 최인길
개요
실험개요
시험체 제작
실험방법
실험결과
앵커파괴하중 산정
결론
2
미국의 SQUG(Seismic Qualification Utility Group)
에서 1971년 발생한 San Fernando 지진 이후 설비
정착부를 주요 취약부위로 확인.
국내에서는 미국의 표준심사지침을 토대로 하여 1999
년 10월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 안전심사지침서”에
서 균열이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된 앵커에 대한 앵커
강도 감소효과를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요건을
제시하지 못하므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입장을 취함.
앵커의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정적실험, 기계진동에
대한 여러 수치해석적, 실험적 논문들이 발표되고는
있으나 지진하중과 같은 동적하중에 대한 실험을 통한
연구는 부족함.
3
Fo
he
m
ea
r
ct
br
at
er
io
m
n
al
Ag
fa
tig
in
g/
ue
en
d
G
of
re
as
lif
e
e
le
ak
ag
e
Irr
M
ad
ec
i
a
ha
tio
ni
n
ca
ll
oa
Te
ds
m
pe
ra
tu
re
Pa
St
rti
re
cl
ss
es
re
la
xa
tio
n
Th
Vi
lw
ca
ob
je
tig
ue
s
at
ta
ck
Fa
ig
n
re
e
ur
sm
an
i
al
ic
ha
ni
M
ec
C
st
io
n
n
C
io
os
M
oi
O
rg
SC
ro
s
Er
or
C
Number of Occurrences
120
100
LER 1999-2008
NUREG/CR 6679
NUREG/CR 6679 (LER 1985-1997)
80
60
40
20
0
Aging Mechanisms
Distribution Comparison of SPC Degradation
Occurrences over Aging Mechanism
*structures and passive components (SPCs)
4
실험목적
◦ 콘크리트 기초가 열화 손상된 원전설비의 내진 성능 평가
콘크리트 기초 균열의 형태가 설비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추후 보강진행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실험내용
◦ 주파수응답함수(FRF)측정
Impact Hammer 가진을 통한 시험 단계별 주파수 응답함수 측정
Mode 분석을 통한 실험 모델의 검증
◦ 진동대 실험
원자력 발전소 설계기준에 준한 인공지진파 입력
앵커부 파괴시 가속도 응답을 통한 파괴하중 산정
5
무균열 시편
관통균열 시편
측면균열 시편
6
콘크리트 공시체 압축
강조 (28일)
◦ 설계강도 280kg/cm2
공시체
번호
파괴하중 시편크기 공칭강도
(MPa) (mm x mm) (kg/㎠)
1
32.84
100x200
335
2
32.35
100x200
330
3
34.31
100x200
350
7
콘크리트 기초와 진동대의
조립
토크렌치를 이용한 상부구
조물 조립
8
9
Work
Station
Impact
Hammer
Front End
1차모드
10
파괴시점
P1
P2
P3
P4
파괴시 P1 지점의 가속도
인공지진파: US NRC Reg. Guide 1.60 Design Spectrum
11
무
균
열
관
통
균
열
측
면
균
열
11Hz
13.63Hz
8.25Hz
11.5Hz
10Hz
8.75Hz
12
13
무균열 실험체
점증시험(7/4)
P4
Input 가속도(g)
최대가속도시험(7/4)
Input 가속도(g)
진
동
대
P1
앵커강재
파과시점
P1 지점의 가속도
앵커강재
파과시점
P1 지점의 가속도
질
량
중
심
14
관통균열 실험체
점증시험(7/4)
P4
최대가속도시험(7/4)
Input 가속도(g)
Input 가속도(g)
진
동
대
P1
앵커강재
파과시점
P1 지점의 가속도
앵커강재
파과시점
P1 지점의 가속도
질
량
중
심
15
측면균열 실험체
점증시험(4/4)
P4
Input 가속도(g)
최대가속도시험(4/4)
Input 가속도(g)
진
동
대
P1
콘크리트
콘파괴시점
콘크리트
콘파괴시점
질
량
중
심
16
실험체
무균열
실험조건
점증실험
최대가속도실험
점증실험
관통균열
최대가속도실험
파괴가속도
(P1, g)
하중조건
PGA
(P4, g)
4/4
0.49
5/4
0.54
6/4
0.67
7/4
0.82
1.28
볼트 인장파괴
7/4
0.79
1.47
볼트 인장파괴
4/4
0.46
5/4
0.52
6/4
0.67
7/4
0.80
1.42
볼트 인장파괴
7/4
0.82
1.39
볼트 인장파괴
10.00
3/4
0.38
8.25
최대가속도실험
1차모드
고유진동수
11.00
11.50
13.63
점증실험
측면균열
파괴모드
4/4
0.46
0.95
콘크리트
콘파괴
4/4
0.45
1.06
콘크리트
콘파괴
8.75
17
앵커강재 파괴(무균열, 관통균열)
18
콘크리트 콘파괴(측면균열)
19
해석모델 및 모드 형상
해석모델
1차 수평모드
2차 수평모드
해석에 적용한 정착부 동특성
시편
무균열
관통균열
측면균열
고유진동수(Hz)
11.5
10.0
8.7
회전강성(MN․m/rad)
3.0
2.2
1.65
감쇠(%)
2.5
3.5
2.5
20
주파수응답함수
시간이력해석
1.6
test
analysis
0.002
Acceleration(g)
무
균
열
Inertance(g/N)
0.003
0.001
0
4
8
12
Frequency(Hz)
16
0
20
30
1.6
test
analysis
0.002
Acceleration(g)
Inertance(g/N)
10
Time(sec)
0.001
0
test
analysis
0.8
0
-0.8
-1.6
0
4
8
12
Frequency(Hz)
16
20
0
10
20
30
Time(sec)
1.6
0.003
test
analysis
0.002
Acceleration(g)
Inertance(g/N)
-0.8
20
0.003
측
면
균
열
0
-1.6
0
관
통
균
열
test
analysis
0.8
0.001
test
analysis
0.8
0
-0.8
-1.6
0
0
4
8
12
Frequency(Hz)
16
20
0
10
20
30
Time(sec)
21
무균열
관통균열
측면균열
진동대실험(g)
1.47
1.39
1.06
해석모형(g)
1.49
1.58
0.93
비교
(진동대/해석)
0.99
1.14
0.98
22
무균열 콘크리트 예상파괴강도
N cbn
AN co
AN co
edN cN cpN N b
측면균열 콘크리트 예상파괴강도
AN c
N cbn
edN cN cpN N b
AN co
ANco : 단일 앵커에 의한 콘크리트 파괴면의 투영면적
AN c
: 측면균열에 의한 콘크리트 파괴면의 투영면적
edN
: 가장자리 영향에 의한 수정계수(1.5hef 이상)
cN
: 균열 유무에 따른 인장강도에 의한 수정계수 (무균열, 선설치 앵커)
cpN
: 비균열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위한 인장강도에 대한 수정계수 (선설치앵커)
Nb
: 단일앵커의 기본 콘크리트 파괴강도
23
시편의 종류
예상파괴하중
(강재, MPa)
예상파괴하중
(콘크리트, MPa)
무균열
44.364
33.373
관통균열
44.364
33.373
측면균열
44.364
23.176
24
실험과 설계강도의 비교
무균열
관통균열
측면균열
파괴형태
앵커강재파괴
앵커강재파괴
콘크리트파괴
진동대실험(kN)
47.408
44.828
34.186
설계시(kN)
44.364
44.364
23.176
진동대/설계
1.067
1.010
1.475
무균열
관통균열
측면균열
진동대실험(kN)
49.225
49.225
34.186
설계시(kN)
33.373
33.373
23.176
진동대/설계
1.475
1.475
1.475
콘크리트 파괴하중의 예측
25
진동대 실험시 구조물 정착부의 동적 거동 특성이 변
화됨.
무균열, 관통균열 시편은 콘크리트파괴 이전에 앵커강
재의 파괴가 먼저 발생하였으며, 측면균열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콘파괴가 발생함.
관통균열의 경우 균열로 인한 앵커의 성능저하는 크지
않음.
실험의 콘크리트 파괴하중은 설계치 보다 약 1.475배
크게 나왔으며, 이는 설계에서 콘크리트의 내부균열을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평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됨.
측면균열의 경우 콘크리트 기초에서 파괴가 발생하였
으며, 약 30%의 내진성능 저하가 나타남.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