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위험 인식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위험 인식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위험 인식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논문요약본]
2012년 3월 17일
양정은
Introduction
• 촛불집회 이후 한국사회와 위험 관련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진행
• 그러나 위험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현상에 대한 기술 혹은 미디어의 역할, 효과
에 대한 부분에 집중
• 한국사회의 위험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와 분석이 필요
예) 한국인들은 어떤 위험을 더 위험하다고 느끼고 어떤 위험을 덜 위험하다고
느끼는가? 한국인의 위험인식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특징은 무엇인가?
예) 위험 상황에서 공중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체들은 어떻게 공중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가?
Purpose of the study
1. 문화적 요인들과 한국인의 위험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 한국인들은 어떤 위험을 더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어떤 위험을 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가?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은 한국인의 위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어떠한
문화적 요인들이 한국인의 위험 인식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문화적 특성이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은 위험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위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한국인이 가진 문화적 특성은 위험 주체에 대한 신뢰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Literature Review
위험에 대한 인식(risk perception)
Heuristics
통제가능성
분배의 공평성
익숙함….
과학적 지식
통계적 수치, 확률
과학자, 전문가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위험은 사회적, 문화적 구성물 (social & cultural construct)
일반인
Literature Review
문화적 요인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위험 인식에 대한 기존의 문화적인 접근
Cross-cultural
Cultural Theory
Psychometric Approach
• Douglas & Wildavsky (1982)
• Slovic (1993)의 dread-unknown
• Cultural bias가 사람들의 위험
차원에 따른 70개 risk 분석
인식을 결정: 위험은 문화의 산물
• 주로 Western 국가들 간 비교
• group/grid 차원에 따라
• 중국, 일본, 한국 대상으로도 이
Egalitarian, Hierarchy,
루어짐.
Individualism, Fatalism
• 위험의 차원에는 차이 없었으나
• 각 typology별 위험인식의 차이
위험 인식에는 차이 나타남
• 주로 intra-cultural setting에서
차이에 대한 기술
실증연구의 부족
차이의 원인으로 문화적 요인 지적
연구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결과
(ex) individualism-collectivism
다른 문화변수와 함께 고려되거나,
그러나 실증적인 검증은 되지 않음
Emic 변수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
Literature Review
문화적 고유변수에 대한 관심: 위험 인식을 설명할 수 있는 한국 고유(emic) 변수
• 체면은 권위주의와 집단주의적 성격을 모두 가짐
• 권위에 대한 인정, 권위에 순응하려는 경향을 보임
체면
• 사적(personal)인 상황보다 공적(public)인 상황에서 더 발현
• 체면민감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불안 수준이 높아짐
(위험 회피성향이 높아짐)
• 한국인의 대표적 집단주의 정서
우리 (Weness) & 정
• 한국인의 ‘우리’의식은 ‘정’이라는 감정을 기반
• 그러나 실증연구에서 정과 우리는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사
회적지원추구에 대해 반대의 결과를 보였음. 결과적으로 정은
위험회피와 정(+)의 관계를, 우리는 위험회피와 음(-)의 관계
체면/정(우리)과 위험인식 간의 관계는 실증적으로 검증되어야 함
선행연구에 의하면 신뢰, 위험의 귀인(attribution)에 영향을 줄 수 있음
Literature Review
문화, 신뢰 그리고 위험 인식
 위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문화적 요인은 위험 인식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선행 변수를 통해 영향을 주기도 한다.
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 변수: Trust (신뢰)
 오늘날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패의 원인으로 학자들은 대부분 ‘신뢰의 부족’을 들고 있음
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에 대한 신뢰가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때 신뢰는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된다.
Culture
Trust
Risk
Perception
Literature Review
위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문화와 신뢰의 관계
Source characteristics
위험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주체의 속성은 어떠한가?
(expertise, concern care, honesty,
openness…)
Culture
trust
Message Strategy
위험 메시지에서 강조하는 속성은
무엇인가?
(competence vs goodwill)
•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적 요인과 신뢰 선행변수 간의 관계가 일부 입증됨
(예: Power distance/체면의식은 expertise를 통한 신뢰 형성, collectivism/정(情)은
goodwill을 통한 신뢰형성)
• 그러나 많은 부분 실증적 검증이 필요.
Research Questions
 문화적 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던 실증연구 부족
 따라서 이 연구는 탐색적 방법론인 ‘심층인터뷰’를 통해 한국인의 위험 인식과 문화적 특
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함.
 심층인터뷰를 통해 발견된 변인간의 관계를 기초로 향후 정량적 분석 가능.
RQ1. 한국인들의 문화적 특성은 위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한국인들이 심각하게 느끼는 위험은 어떤 위험인가?
(2) 어떠한 문화적 요인들이 한국인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RQ2. 한국인들의 문화적 특성은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한국인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나는 독특한 문화적 특징은 무엇인가?
(2) 위험 상황에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체들(기업, NGO, 정부)에 대한 한국인들의
신뢰 수준은 어떠한가? 각 주체들에 대한 신뢰/불신의 이유는 무엇인가?
(3) 위험 상황에서 정부 신뢰를 구성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정부 신뢰를 구성하는 요인
중, 한국인들이 특별히 중요하다고 여기는 요인은 무엇인가?
Methodology
심층인터뷰
• 기간 : 2011년 8월
• 대상 : 20명의 전문가 대상 (총 20명) : 대부분 10~20여 년의 경력. 커뮤니케이션 분야 뿐
아니라 갈등/위험과 관련된 다양한 기관에서 일하고 계시는 전문가들과 인터뷰 진행.
- PR전문가 (5)
- 연구원 (1)
-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혹은 박사과정 (3)
- NGO (5)
- 기자 (2)
- 정부기관 (3)
- 기타 (1)
•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기초로 질문하였으며, 자세한 의견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계속하여 프
로빙(probing)을 통해 심층적인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
- 대부분 최하 1시간~최고2시간 까지 인터뷰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녹취 기록
Results_In-depth Interviews
1. 한국인들이 심각하게 인식하는 위험
현재위험
(1) 경제적 위험
(2) 식품 위험
(3) 국가 안보 위험
“일상에서 가장 크게 피부로 느끼는 위험”
“한국인들은 나도 남들처럼 살아야 한다라는
의식이 강하기 때문에 빈부의 격차, 소득 양극
화를 더 크게 느끼는 경향 있을 수도”
“식품위험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위험. 위험 포
착은 빠르나 대책이 미온적이라 반복하여 발생”
“국가안보는 태생적 위험. 늘 정치적으로 이용”
미래위험
(1) 고령화 사회
(2) 핵/원자력 관련 위험
(3) 환경 위험
“고령화는 결과적으로 다양한 범죄나 사회문제
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
“일본 같이 철두철미한 나라에서도 발생했는
데..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최근 강남에 있었던 홍수 사례를 봐도 그렇고”
“환경변화는 재앙의 수준..”
Results_In-depth Interviews
2. 한국인의 위험 인식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
집단주의적 위험 인식
(1) 외부의 위험 규정
(2) 냄비 근성
(3) 집단적 위험 분배
(4) 대의명분
“언론이 위험 확산에 큰 역할 하는 듯”
“옆집에서 라면사러 가면 가만히 있던 나도 따
라서 라면사러 가고..”
“냄비근성이 있어서, 위험의 확산도 빠르고 또
위험의 소멸도 빠르고”
“남들도 다 똑같이 겪고 있는 위험은 감수함”
“내가 남보다 못해서도 안되고, 또 남이 잘되는
것도 못 봐줌”
“risk taking을 위해 대의 명분이 필요”
“도덕성에 대한 강조”
개인화된 위험 관리
(1) 위험 관리 책임의 개인화
(사적 네트워크 의존)
(2) 위험 불감증 존재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는 사회”
“사적시스템이 공적시스템보다 더 도움이 됨”
“개인의 관리 능력을 벗어나는 위험에 대한
불감증, 막연한 낙관주의 존재”
“사고들을 보며…사고 당하는 것은 팔자다라고”
Results_In-depth Interviews
3. 한국인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
체면 의식
(1) 권위에 대한 존중
(2) 극단적 커뮤니케이션
(3) 비공식적, 간접적 커뮤니케이션
(이중 커뮤니케이션)
정, 우리 의식
(1) 상호 이해 도모 (+)
(2) 내집단 이기주의 (-)
“우리나라에선 직위가 곧 전문성, 능력”
“리더의 메시지를 더 신뢰하는 경향”
“회피하거나, 공격적이거나”
“저 사람이 나에게 와서 무릎을 꿇어야 그게
해결이라고 생각”
“체면 때문에 공개된 자리에선 속 얘기를 못해”
“신부님이나..오피니언 리더를 통해 전달하면,
신부님 말씀이니까 내가 따르겠다…이렇게”
“상대에게 정이 든다는 것은 상대를 이해하게
된다는 것”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대화는 이해+정의 교류”
“일단 반대편이면 무조건 배척하고 보는”
“정부와 소통이 안된다고 하는 사람들이 정부
와 똑같은 짓을 하죠”
Results_In-depth Interviews
4. 위험 커뮤니케이션 각 주체들에 대한 신뢰/불신의 이유
기업
(+) 전문성, 경쟁력
(- ) 도덕성, 진정성 떨어짐
NGO
(+) 진정성, 진심
(- ) 전문성 떨어짐, 점점 영리기관처럼 변질
정부
(+) 전문성, 역량 동원 능력
(- ) 진정성, 진심, 투명성, 존중….떨어짐
기업
“그나마 진정성
있는 조직”
“기업은 전문성이나
역량은 있다, 그게
기업의 경쟁력”
“기업의 도덕성, 진
실성은 의심스러움.
반기업정서 존재”
NGO
“전문성 없으며,
대안없는 비판”
“너무 많아져서
엔지오끼리 경쟁.
기업화”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부에게 지나친
책임을 요구”
정부
“정부가 전문성,
역량은 있으나 소수
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게 문제”
Results_In-depth Interviews
5. 정부신뢰의 구성요소
역량
(1) 지식 knowledge
(2) 능력 ability
선의
(1) 감정에 대한 이해
(2) 리더십
(3) 진정성
- 진심(의도)
- 공정성
- 투명성
(4) 존중
- 이해당사자 참여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선의(Goodwill)이란..
“감정에 대한 이해는 기본 중의 기본”
“감정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으면,
이후의 메시지는 수용되기 어려울 것”
“리더가 나서야 뭔가 진정성 있다고 생각”
“정부는 늘 뒤에 뭔가 다른 의도가 있는
것 같고, 실제로도 그랬고”
“처음부터 시민단체, 주민 등 이해당사자
들과 논의하는 절차가 제도화 되어야”
“사안이 발생하면 일단 숨기려고부터”
“내가 관련된 문제인데, 내 의견은 전혀 반
영되지 않는다는 분노, 소외감”
“국민은 우매하다는 수직적 국민관”
Discussion
 한국인들은 특히 경제적 위험을 가장 심각한 위험으로 느끼고 있었음 .
- 서양의 연구결과와 차이 (Fisher et al (1991) 질병, 사고 등이 가장 심각한 위험으로 인식)
- 한국인들의 상대적 박탈감, 남에게 보이는 것을 중시하는 체면의식 등에 귀인
 한국인의 위험인식은 집단주의적 특성을 강하게 보이고 있음. 한편 낮은 사회신뢰로 인하
여, 위험의 관리는 대부분 사적 연결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개인화되는 경향을 보임.
 한국인들의 중요한 문화적 요인인 체면과 정/우리성은 위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 한국인들의 지나친 체면 의식은 종종 소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던 반면, 정/우리성은 소통에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갖는 것으로 나
타남.
 위험 상황에서 위험 주체들에 대한 신뢰 형성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한국적 상황에서는 ‘감정에 대한 이해와 위로’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됨. 또한
선의가 강조되었는데, 때로는 위험 관리 주체의 역량에 대한 평가조차 선의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