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식_학생용

Download Report

Transcript 김근식_학생용

김정은 체제의 북한: 정치와 경제
경남대학교
김 근 식 교수
1. 수령제의 특성
- 유일절대권력 체계 : 수첩 받아 적기
- 수령의 무오류성 : 업적은 수령에게, 잘못은 아래에게
- 피포위 의식(under-siege consciousness)과 유격대 국가
1. 수령제의 특성
1. 수령제의 특성
1. 수령제의 특성
- 유일절대권력 체계 : 수첩 받아 적기
- 수령의 무오류성 : 업적은 수령에게, 잘못은 아래에게
- 피포위 의식(under-siege consciousness)과 유격대 국가
1. 수령제의 특성
1. 수령제의 특성
- 유일절대권력 체계 : 수첩 받아 적기
- 수령의 무오류성 : 업적은 수령에게, 잘못은 아래에게
- 피포위 의식(under-siege consciousness)과 유격대 국가
1. 수령제의 특성
1. 수령제의 특성
- 유일절대권력 체계 : 수첩 받아 적기
- 수령의 무오류성 : 업적은 수령에게, 잘못은 아래에게
- 피포위 의식(under-siege consciousness)과 유격대 국가
2. 수령제의 평가
- 체제위기 버티기에 기여
- ‘Rally-Around-The-Flag effect’
- ‘비겁한 자여 갈테면 가라, 우리는 붉은기를 지키리라.’
- 체제위기 극복 난망
- 국가와 사회의 동맥경화증
- 2001년 김정일의 ‘신사고’
3. 집단주의와 조직생활
-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 어버이 수령, 어머니 당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사회주의 대가정
- 총화와 상호비판
- 남과 북 : 가벼움의 과잉과 경건함의 과잉
4. 장성택 처형과 김정은 체제
(1) 장성택 숙청의 原因과 根因
-
세습권력의 ‘홀로서기’ 작업
-
‘제한적’ 유일영도체계와 훈척세력(戚臣과 功臣)
-
장성택 세력과 反장성택 세력의 이권다툼과 권력투쟁
(2) 장성택 처형과 체제 안정성
-
공포정치의 효과
-
권력의 안정성 증대 vs. 체제 안정성 약화
-
엘리트간 균열 가능성
-
체제 효율성 약화
-
시장세력(비공식경제)의 기득권과 정치권력
5.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1) 안정성
- 수령 생존시 치밀한 후계체제 준비: 10. 8 담화
- 수령제 시스템의 위력
- 김정은의 리더십
- 군부에 대한 인사권 장악
(2) 불안정성
- 수령의 지위와 역할?
- 경제발전 등 정책적 성과 여부?
- 권력 엘리트의 균열?
5.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6. 김정은 체제의 변화?
-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필요조건
- 경제적 위기
- 정치적 불만
- 권력 엘리트의 균열
- 대외적 요인 : 동독 붕괴시 소련 vs. 지금의 중국
- 수령제의 정당화 기제로서 적대적 대외환경
- 북미 적대관계와 남북 대결관계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1) 5M(money, market, mobiles, motor cars, middle class)
그림<1> 북한의 실질 GDP 성장지수: 한국은행 추정치(1989-2012)
(1998년=100)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2) 식량사정 개선 추세
<표 1> 북한 영양실조 영유아 비율 조사 결과
조사 기간
조사대상 지역
만성 영양실조(연령
대비 신장 <-2 SD)
급성영양실조(신장
대비 체중 <-2SD)
저체중(연령 대비
체중 <- 2 SD)
1998년 9~10월
130개 군 단위 지역
62.3%
15.6%
60.6%
2000년 5월
전국
45.2%
10.4%
27.9%
2002년 10월
전국
39.2%
8.1%
20.1%
2004년 10월
7개 도 및 1개 시
37.0%
7.0%
23.3%
2009년 9~10월
전국
32.4%
5.2%
18.8%
2012년 9~10월
전국
27.9%
4.0%
15.2%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2) 식량사정 개선 추세
<표 2> 북한의 최근 식량소비 상황: 소비수준별 가구 비율
2011
2012
2013
(단위 %)
Poor
Borderline
Acceptable
전체
66
28
6
협동농장 주민
40
47
13
배급대상 주민
73
23
4
전체
27
40
32
협동농장 주민
24
30
45
배급대상 주민
26
37
37
전체
34
51
16
협동농장 주민
28
45
28
배급대상 주민
38
54
8
- 주식용 곡물 증산과 부식용 농산물 증산
- 사경지 경작, 시장거래, 식품가공업 발전
- 절대적 기준으로는 식량사정이 어렵지만 고난의 행군 시절보다는 현저히 나아지고
식량 자급률이 상승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3) 대외교역과 외화수급 상황
-
남북 교역과 북일 교역을 대체 능가하는 북중 교역 급증
-
대중국 광산물 수출 증가: 5.24 이후 남북관계의 정치적 요인과 별도로 중국 측 경제적 요인과 원자재 가격 상승
-
관광, 인력송출, IT 등 기타 외화수입원
-
북한 수입품목 증가는 식품과 석유 외에 산업용 중간재, 자본재, 기타 수송기기 등 북한 내부 산업경제 필요물자
-
통계 잡히지 않는 비공식 북중무역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4) 비공식 경제의 성장
-
비공식 소득의 비중 3분의 2 이상
<표 5> 가계 총소득에서 비공식 소득의 비중 추이 (김병연.양문수)
(단위: %)
-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6
2007
60.5
71.0
69.1
76.2
69.0
66.6
73.3
80.0
73.4
74.9
생계형 활동부터 기업형 활동까지 다양함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4) 비공식 경제의 성장
-
비공식 경제 비중은 증가 추세
<표 6> 북한의 개인 위탁경영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설문 문항
조사연도
평균(%)
지방산업공장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2005년
11.5
2009년
23.6
2005년
11.0
2009년
21.4
2005년
40.1
2009년
51.3
2005년
54.4
2009년
58.5
2005년
41.5
2009년
46.7
2005년
32.9
2009년
41.0
중앙공업공장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국영) 상점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식당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서비스업체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무역회사 중 사실상 개인 운영 비중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5) 이동전화와 자동차
-
휴대전화 가입자 200만 돌파
-
평양뿐 아니라 전국 도시에서 개통
-
평양 교통체증
-
이동전화 및 자동차 보급률은 북한과 소득수준 비슷한 나라에 비해 낮은 편
<표 7> 인구 100명당 이동전화 이용자 수
-
방글라데시
케냐
네팔
우간다
에티오피아
쿠바
북한
남한
2005
6
13
1
5
1
1
0
82
2009
46
49
19
29
5
6
0.4
100
2013
74
71
69
(46)
22
(15)
8
108
비공식 경제가 활발하다는 증거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6) 국가 재정과 공식 경제
-
공식 경제의 부분적 회복과 사경제로부터 재정수입 징수 노력으로 실질적
재정 규모 회복세
-
재정관리 체계 혼란과 관료 부패 증가
7. 최근 북한의 경제상황: 나아지고 있다.
(7) 결론 : 경제 회복 추세
-
2005년 이후 완만한 회복세
-
경제호전의 주원인: 비공식 경제의 양적 및 질적 성장
-
대외경제환경: 중국 성장과 자원 수입 수요 증대 및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8. 경제 회복과 정치 변동
- 경제회복은 利權의 증가를 의미
- 포기할 수 없는 物質的 토대가 구축
- 경제적 이권과 정치적 엘리트의 결합
- 엘리트의 수평적 균열(Cleavage)
- 수령의 조정력 약화
8. 경제 회복과 정치 변동
- 경제발전과 민주화의 상관관계
출처: Samuel Huntington,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Norman and London (1991), p. 62
9. 북한 변화를 위한 대북정책
- 화해협력과 평화공존의 대북정책 : 북한 변화?
- 압박과 봉쇄의 대북정책 : 북한 붕괴?
- 우호적 대외환경 조성으로 피포위 의식 해체 필요성
- 수령제의 정당화 기반 완화 필요성
- 개방과 교류의 ‘창’
- 경제회복 촉진과 엘리트의 균열
- 친남도 제고
- 평화적 흡수통일 : 비폭력적 통일
- 남남갈등 해소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