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와자본주의

Download Report

Transcript 소외와자본주의

사회학 고전읽기 III 제1
강
칼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수고>
김 호 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1
마르크스와 서구 근대사
칼 마르크스 (1818 – 1883)
당시 서구의 상황
박사 학위 취득 (1841)
프랑스 7월 혁명 (1830)
프랑스 망명 (1843)
영국 제1차 선거법 개정 (1832)
<경제학-철학 수고> 집필 (1844)
독일 관세동맹 (1834)
벨기에 망명 (1845)
영국 차티스트 운동 (1838-48)
<공산당 선언> 발표 (1848)
프랑스 2월 혁명 (1848)
영국 망명 (1849)
미국 남북전쟁 (1861-65)
<자본론> 1권 출간 (1867)
프랑스 파리 코뮨, 독일 통일 (1871)
2
마르크스의 사회학
 마르크스 사회이론의 몇 가지 쟁점
1) 마르크스의 재발견 : 1960년대 이후
2) 마르크스 사회사상의 연속과 단절 :
‘젊은 마르크스’와 ‘성숙한 마르크스’
3)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의 두 조류
- 비판적 마르크스주의 : 루카치, 비판이론
-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알튀세르
4) 사회변혁이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동구의 현실사회주의
-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3
젊은 마르크스와 성숙한 마르크스
 젊은/성숙한 마르크스, 초기/후기 마르크스의 구분
1) <독일 이데올로기>(1847)를 전후로 하여 초기와 후기 마르크스 사상
을 구분하는 문제
- 연속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초기의 철학적 탐구가 후기의 경제적 분석
의 기초가 되고 있다고 주장함 : Bertel Ollman
- 연속성을 부정하는 이들은 초기의 연구와 후기의 자본주의 분석 사이
에는 인식론적 단절이 존재한다고 주장함 : Louis Althusser
2) 이는 결국 <경제학-철학 수고>에서 제시된 소외론을 마르크스 전체
사상에서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의 문제임.
4
<경제학-철학 수고>
 <경제학-철학 수고>의 구성
1) 첫 번째 초고
- 노동임금; 자본의 이윤; 지대; 소외된 노동
2) 두 번째 초고
- 사유재산의 관계
3) 세 번째 초고
- 사유재산과 노동; 사유재산과 공산주의; 욕구, 생산과
분업; 화폐; 헤겔의 변증법과 철학 일반에 대한 비판
5
소외란 무엇인가
 소외(Entfremdung, alienation)의 의미
1) 근대 자본주의에서 가장 주목할 현상 중 하나는 노동자와 그
가 생산한 재화(상품)의 분리임. 이 과정에서 노동자는 하나의
상품으로 전화됨.
2) 노동을 통해 자연을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주체로서의 노동자
는 그가 생산한 결과물인 객체와 같은 게 돼 버렸으며, 이는 결국
주체성의 상실과 객체에의 복종을 가져 왔다는 것이 마르크스
소외론의 핵심을 이루고 있음.
3) 소외에 대한 마르크스의 문제틀은 포이어바하가 <기독교의
본질>에서 분석한 종교적 소외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마
르크스는 그러한 논리를 자본주의와 노동에 대한 분석에 적용하
고 있음.
6
소외의 네 과정 (1)
 소외는 네 가지 과정을 통해 진행됨.
1) 생산활동으로부터의 소외
- 노동자들은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불 받음.
- 생존을 위해 노동하기 때문에 노동은 지루하고 무의미
한 과정이 됨.
2) 노동의 생산물로부터의 소외
- 노동의 결과인 생산물을 노동자는 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는 자본가에게 귀속됨.
- 자본가는 이윤을 남기기 위해 그것을 시장에서 판매함.
7
소외의 네 과정 (2)
3) 동료 노동자들로부터의 소외
- 마르크스에 따르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연으로부터 자신
들이 생존에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협력하는 경향이 있음.
- 자본주의 아래서의 노동은 다른 노동자들과의 경쟁을 유발
시키고, 이는 결국 동료 노동자들로부터의 소외를 가져 오게 됨.
4) ‘유적 존재’로부터의 소외
- 마르크스에 따르면, 인간은 동물과 구별되는 ‘유적 존재’으로
서의 특징을 지님. 자연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을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인 노동은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대표적인 특성임.
- 앞서 지적된 다양한 노동의 소외는 노동의 의미를 훼손함으
로써 유적 존재의 삶으로부터의 소외를 가져 오게 됨.
8
소외론과 마르크스 사상
 소외된 노동의 원인
- 무엇이 이러한 소외된 노동을 가져왔는가. 마르크스는 자본
주의의 사유재산과 노동임금에서 그 원인을 찾음.
- 따라서 소외된 노동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유재산의 철폐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를 제시
함.
- “사유재산의 적극적 지양은 인간적 생활의 획득으로서, 모든
소외의 적극적 지양이며, 그러므로 종교, 가족, 국가 등에서 자신
의 인간적인, 다시 말해서 사회적인 현존으로 인간이 귀환한 것
이다.” (<경제학-철학 수고>, 129쪽)
 소외와 물신숭배
- 소외라는 말은 이후 마르크스 저작에서 거의 사라지지만, 그
문제의식은 <자본론>의 ‘상품의 물신숭배’로 다시 나타남.
9
소외론의 현재적 의미
 소외론과 현대 비판 사회이론
- 이론적으로 볼 때, 소외론은 독일의 관념론과 영국의 고전경제
학을 결합시키려는 시도를 보여주지만, 그 결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님.
- 소외론과 물신숭배론은 20세기 현대사회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루카치의 ‘물화’ 이론, 비판이론의 ‘도구적 이성’ 비판은 기
본적으로 소외론의 문제의식과 연관되어 있음.
 소외론과 현대사회
- 주목할 것은 자본주의의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마르크스의 통찰이 여전히 현대인들의 삶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문제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임.
- 무한경쟁을 강제하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대상과의 거리감
과 그로 인한 낯섬의 경험은 현대인들이 갖는 본질적인 숙명인
것처럼 나타나고 있음.
10
소외와 한국사회
 한국사회 분석에서 소외론이 갖는 함의
1) 압축 자본주의 발전을 경험한 만큼 한국사회에서 소외는 매우
예각적인 현상으로 나타나 왔음.
- 경우에 따라 소외는 노이로제 등 왜곡된 정신구조 형성이나
자살 등 극단적인 자기파괴 행동으로 드러나기도 함.
2) 소외된 노동의 현실
-“하루 14시간 / 손발이 퉁퉁 붓도록 / 유명브랜드 비싼 옷을
만들어도 / 고급 오디오 조립을 해도 / 우리 몫은 없어, / 우리 손
으로 만들고도 엄두도 못내 / 가리봉 시장으로 몰려와 / 하청공
장에서 막 뽑아낸 싸구려 상품을 / 눈부시게 구경하며 / 이번 달
엔 큰 맘 먹고 물색 원피스나 / 한 벌 사야겠다고 다짐을 한
다.”(박노해, “가리봉 시장”, <노동의 새벽>)
11
더 읽을거리
 칼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1>, 두레.
 칼 마르크스, <자본론>, 비봉.
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거름.
 앤서니 기든스,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이론>, 한길사.
 김호기 편, <마르크스주의 소외론 연구>, 청아.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