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충돌 예방을 위한 공항 생태환경조사 연구

Download Report

Transcript 조류충돌 예방을 위한 공항 생태환경조사 연구

조류충돌예방을 위한 생태환경조사 연구용역
한국공항공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업의 개요
조류충돌 발생 현황
조류 생태환경 조사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조류 유인요소 분석
조류충돌예방 활동
향후 계획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 과업의 범위
3. 공정진행 현황
4. 과업수행 계획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
경로에 위치 하여 대규모 철새이동이 주기적으로 나타남
공항 인근지역 개발로 조류 서식지가 감소하여, 넓은
초지를 보유한 공항으로 조류가 유입
증가하는 조류충돌사고로 항공사가 공항에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사례가 증가
항공기 운항 증가로 인한 항공교통량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조류충돌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음
8
6개월(180일)
공정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준비
조류생태환경 조사
대상지 관련 자료 수집
조류충돌예방 활동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GIS를 이용한 서식지 환경 분석
서식지 관리방안 제시
관리방안의 실효성 검증
해외공항답사 및 학회 참석
해외 선진사례 수집 분석 및
관계규정 정비
해외 조류충돌정보 체계모델 조사 및
공항 관리사례 수집
해외 조류관련기관 개최 세미나, 논문,
보고서 자료 수집
국내외 관계규정 조사
국내외 관계규정 개정 및 기준 수립
조류종별 충돌위험성 평가방법 제시
국내 실정에 적합한 모델 개발
업무개선 관리를 위한 평가모델 및
지침 제시
위험성 평가체계 및
교육 절차 수립
조류퇴치 장비 및 기법의 효용성 검증
공항별 적합한 퇴치기법 및 장비 제시
국내외 조류퇴치 전문교육과정
현황파악
효과적인 조류퇴치 전문교육프로그램
제시
자문회의
자문단 회의
보고회
월간보고
보고회(착수,중간)
착수보고
자문회의
1차년도
최종보고
자문회의
자문회의
중간보고
최종보고
Step. 4 관리방안 도출
관리방안 도출
Step. 3 자료 분석
문제점 파악
기존 방법 검증
기초 자료 수집
Step. 2 현장 조사 및 검증
Step. 1 자료수집 및 현황 파악
조류충돌 발생 현황
(단위 : 건)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계
공항구역
72
61
36
48
53
270
공항구역 밖
30
41
36
30
38
175
장소불명
30
17
20
82
45
194
합계
132
119
92
160
136
639
09’~13’ 국내 조류충돌 발생 건수(국토해양부. 2013)
조류 생태환경 조사
1. 공항 별 조류서식 특성
5km
 공항 내부 활주로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경 5㎞ 설정
 공항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여 조사
 시·공간적 분포 모델 및 조류회피모델 구축을 위해
06-09시, 09-12시, 12-15시, 15-18시의 시간대 별
자료 구축
 공항 인근 주요 조류서식지 조사 포함
김포공항
김해공항
제주공항
종수, 개체수
78종 6,751개체
69종 11,506개체
77종 4,196개체
우점 분류군
(科별 분석)
참새과(참새),
백로과(황로, 중대백로, 왜가리 등),
비둘기과(집비둘기, 멧비둘기),
오리과(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흰죽지 등),
붉은머리오목눈이과(붉은머리오목
눈이) 등
오리과(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오리, 흰죽지, 고방오리 등),
참새과(참새),
백로과(황로, 중대백로, 왜가리,
쇠백로 등),
뜸부기과(물닭, 쇠물닭),
붉은머리오목눈이과(붉은머리오목
눈이) 등
참새과(참새),
비둘기과(집비둘기, 멧비둘기),
종다리과(종다리),
제비과(제비),
갈매기과(괭이갈매기, 재갈매기)
등
김포공항
김해공항
제주공항
멸종위기I급
매 1종
매 1종
매 1종
멸종위기II급
큰기러기, 새호리기, 물수리,
알락개구리매, 새매, 참매,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8종
새호리기, 물수리, 흰목물떼새
3종
물수리, 벌매
2종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매, 알락개구리매,
새매, 참매
5종
황조롱이, 매, 원앙, 개구리매
4종
황조롱이, 매, 두견이
3종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
1. 조류회피모델과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모델
2.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모델의 분석
3.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모델의 적용
 현재 단계에서는 기존 IFIS 자료(공항 내부 조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조류 종별 충돌위험성과 심각성을
산출하는 방법인 ‘위험성평가모델(Risk Assessment Model)-인지된 위협요인 및 상황과 관계된 위험성을 정량〮·정성
적으로 규정하는 모델’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위험성평가모델을 통해 충돌위험성과 심각성이 높다고 제시된 종들을 중심으로 향후 다양한 분석에 반영
할 예정임
(예) 실제 공간분포패턴 분석 및 잠재 분포패턴 추정, 복합적 모델 구축에 반영(가중치 부여 등)
 본 분석에서는 국가별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중인 위험성평가모델(Risk Assessment Model)중 대표적 사례
인 캐나다와 호주, 이탈리아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음
 향후 ’조류회피모델(BAM, Bird Avoidance Model)-조류레이더를 이용해 모니터링 한 자료와 환경자료에 기초한 GIS와 접
목되어 수리적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지도상에 조류와의 충돌 위험 정도 표현’구축에 반영함
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의 공항에서 많이 이용하
고 있는 조류 충돌 위험도 평가모델 방법은, 항
공기와 조류가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매트릭
스 기법을 이용해 평가함
 조류의 기초적인 정보와 과거의 충돌 정보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방법(단일 매트릭스)과, 개체수
나 공간이용 등 좀더 추가적인 정보를 통해 예측
하는 방법(다중 매트릭스)으로 구분됨
 다중 매트릭스의 경우 조류 충돌에 직접적인 위
협이 될 수 있는 조류의 크기(몸무게) 또는 조류
무리의 크기(집단 이동인지 단독 이동인지)를 통
해 충돌의 ‘심각성’을 계산하고, 조류 종별 풍부
도(개체수) 및 관찰 빈도, 그리고 조류무리가 발
견된 지역이 전체 공항면적의 몇 %에 해당하는
지 등을 통해 충돌의 ‘가능성’을 평가함
 조류의 생태적 특이성과 항공기의 운항정보를 포함한 모델로 이탈리아에서 개발됨
 주요 특징
- 조류를 생태적 특이성, 몸의 크기, 사회적 행동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종 수준이 아닌 그룹 수준으로 분류
- 조류 충돌에 따른 항공기의 손상 정도를 수치화
- 조류 충돌 위험성 지수를 표준화시켜, 위험성 지수의 공항 간 비교에 용이함
 BRI2의 산출
1) 1단계 : GFi (조류의 그룹 팩터) 산출
BSi
GFi = Wi × Ag i ×
× EOFi 95
T FN
EOF 지수
구분
조류 종의 그룹에서 i 번째 그룹의 평균 몸무게
1
손상 없음
Agi
i 번째 그룹의 특이적 집단 지수(aggregation index)
2
최소
항공기 운항이 잠시 지연되는 정도의 손상
Bsi
i 번째 그룹의 연평균 항공기-조류 충돌 횟수
3
보통
운항은 가능하지만, 안전예방차원에서 착륙 또는 이륙을 중지
함
공항에 이착륙하는 평균 항공기 운항횟수
4
높음
엔진이 멈추거나 항공기를 강제 착륙을 요구하는 정도의 손상
i 번째 그룹의 조류와 항공기가 충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항공기의 손상정도
5
심각
항공기를 복귀시킬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손상
GFi
조류의 그룹 팩터(특이적 사항)
Wi
TFN
EOFi 95
설
명
충돌은 하였으나 손상된 곳이 없음
목
종
무게(g)
왜가리
1,100
황새목
백로과
백로류
840-1,100
기러기류
1,500-4,000
기러기목
오리과
오리류
1,000-2,000
수리과
독수리
6,800-14,000
매목
매과
황조롱이
4,200-4,600
도요과
도요새류
250-500
도요목
물떼새과 댕기물떼새
130-330
갈매기과
갈매기류
500-2,200
비둘기목 비둘기과
비둘기
350-700
할미새과
종다리
50
찌르레기과 찌르레기
50-100
멧새과
멧새
30
참새목
참새과
참새
30
까치
300
까마귀과
까마귀
600
닭목
과
제비과
꿩과
제비
꿩
30
1,100
김포공항
9
9
9
10
9
9
9
2
6
9
9
0
3
9
9
9
김해공항
9
9
9
10
5
9
9
9
1
9
9
1
1
7
9
8
제주공항
4
7
6
7
2
6
4
1
5
9
9
0
3
9
9
8
9
9
9
9
9
6
 IFIS를 바탕으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김포·
김해·제주공항에서 포획 또는 퇴치한 조류 목록
과 조류 현황
 색상의 명암은 포획 또는 퇴치된 조류의 개체수
정도를 나타냄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개체수가
많고, 흰색에 가까울수록 적음)
 0~9까지의 숫자는 공항 별로 각 종이 관찰된 총
햇수(연도 수)를 나타냄 (예, 9 - 9년간, 5 - 5년
간 포획 또는 퇴치됨)
 조류 개체수 자료는 IF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음. 항공기 이착륙과 관련되어서는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제공
하는 공항 별 통계 자료를 이용하였음
 2005년도 부터 2013년도까지 각 공항 별로 기록된 조류 충돌에 따른 정보는 한국공항공사에서 제공한 “전국공항 조류
업무 현황” 보고서 자료를 이용하였음. 그러나 조류 충돌에 대한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고, 특히 종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
종의 생태적 특이성(예, 서식지, 먹이 등), 몸의 크기, 사회적 행동
(예, 무리 또는 독립생활) 등을 기초하여 생성한 조류 종의 그룹
그룹ID
그룹명
그룹에 속하는 조류 종
1
백로류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등
2
오리류
오리 및 기러기류 등
3
맹금류 (대형)
독수리 등
4
맹금류 (소형)
황조롱이 등
5
바다새 (소형)
도요물떼새류 등
6
바다새 (대형)
갈매기 등
7
비둘기류
비둘기 등
8
무리의 크기가 작은 산새류
종다리류, 멧새류 등
9
무리의 크기가 큰 산새류
찌르레기, 참새류 등
10
까치 및 까마귀류
까치, 까마귀 등
11
제비류
제비 등
조류 충돌 위험성 지수(BSI2)를 계산하는데 이용된 공항 별 자료
그룹ID
W
EOF95
1
2
3
4
5
6
7
8
9
10
11
1050
3000
10400
4400
303
1350
525
40
60
450
30
4
4
1
2
4
4
4
1
1
1
2
김포
김해
제주
Ag
BS
Ag
BS
Ag
BS
10.15
49.11
0.63
3.20
10.59
1.73
5.67
3.65
27.87
10.11
32.93
0.1
3.0
0.1
0.1
1.0
0.1
0.1
1.0
0.1
0.1
1.0
14.53
6.60
1.10
1.47
13.17
1.00
4.64
2.82
26.12
4.51
8.81
0.1
0.1
0.1
1.0
0.1
0.1
0.1
0.1
0.1
0.1
0.1
2.49
2.28
1.14
1.40
11.31
9.89
4.13
2.81
19.40
22.50
6.06
0.1
3.0
0.1
0.1
0.1
0.1
0.1
6.0
0.1
0.1
1.0
 현재 세계 다수의 공항에서 검증되고 활용되고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한 조류 충돌 위험성 예측의 평가
결과, 김포공항은 도요류와 기러기류가 충돌위험성이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1월부터 3월까지는
충돌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 김해공항의 경우는 왜가리, 오리류 및 도요류가 충돌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1월부터 3월 그리고
11월부터 12월까지 위험성지수가 높게 평가되었음
 제주공항의 경우 도요류와 까마귀류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5월과 10월의 이동시기 그
리고 8월의 번식시기에 충돌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음
 평가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소 상이하며, 평가방법에 따른 이러한 오차는 공항 내에서의 조류 충돌 위험성
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한 가지 방법이 아닌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는 것이 평가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됨. 최종보고서에서는 본 과업의 현장 조사자료를 반영한 모델 구축 및 분
석을 통해 공항 특성에 맞는 모델을 제시할 것임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1. 공간분석의 배경 및 목적
2. 공간분석 과정
3. 공간분석 결과
 특정 시기, 특정 장소에서의 조류의 분포는 조류 종별 생태유형에 따른 결과임
 조류충돌 예방을 위한 경관과 조류 분석은, 시기·계절적 차원, 거시적 공간 차원, 미시적 경관 및 환경
속성 차원에 따라 계층적이고 유기적인 접근법을 통한 분석이 필요함
 조류의 분포 패턴과 다양한 시공간적 요인들간 상호관계 분석을 이해하고 향후 조류충돌의 예방 및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함
• 경관요소와 조류분포와의 관계 분석
• 조류충돌 고위험 조류 중심으로 분포 요인 설명
• 확장된 공간 규모의 조류분포 추정
• 조류충돌 저감을 위한 토지 이용 및 관리 방안 제시
조류 유인요소 분석
1. 선행 연구 사례
2. 공항 내 잠재 먹이원
3. 조류 위 내용물 분석
자연
자연 서식지에서의
서식지에서의 조류
조류
먹이원에 대한 문헌조사
해외
공항에서의
조류
해외
공항에서의
조류
먹이원
먹이원
연구사례
문헌조사
연구사례
문헌조사
 공항 내에서 조류를 유인하는 주요 요소는 물(습지)
과 먹이원임
 따라서 공항 내를 이용하는 주요 조류들의 먹이원에
대한 조사∙분석은 퇴치방안 마련에 필수적임
 이를 위하여 공항 내 주요 종들의 자연 서식지에서
의 주요 먹이원, 그리고 해외 공항에서의 먹이원 연
구사례에 대한 문헌조사와 국내 공항(본 사업)에서
의 현장조사 결과와의 비교∙분석 수행
국내 공항에서의
조류 먹이원
국내 공항에서의
및 분석
조류 현장조사
먹이원 현장조사∙분석
 특히 여름철 주요 위협조류인 황로와 겨울철에 큰
무리를 형성하는 종다리, 그리고 텃새로서 연중 공
항 내에 서식하는 황조롱이에 대한 문헌조사 수행
 또한 사체 수집을 통한 조류의 식이물(위 내용물) 분
석을 통하여 실제로 조류가 어떤 먹이를 섭취하였는
지 확인함으로써, 조류와 먹이원 간의 관계를 파악
하고 근본적인 조류 퇴치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각 지점에서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방법(sweeping)으로  실제로 조류가 공항 내에서 어떤 먹이를 섭취하였는
50 m씩 채집
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체 수집을 통한 조류의 식이물(위 내
 현장에서 채집된 곤충 및 절지동물 등의 무척추동물은
지퍼백에 옮겨 담은 후 냉동보관
 실험실에서 80% 에탄올로 액침 표본을 만든 후 동정 및
습중량 측정을 통한 먹이량 분석
용물) 분석 수행 중
 식이물 분석결과와 각 종별 먹이원에 관한 문헌조사 결과,
그리고 공항 내 곤충류
현장조사 결과 간의
비교∙분석 실시
 향후 공항 내부의 조류
잠재먹이원 관리를 통한
근본적인 조류 퇴치방안
공항 초지에서 곤충 채집 모습
조류 먹이원 액침 표본
마련
종다리 위
내용물 확인
중백로 위
내용물 확인
조류충돌예방 활동
1. 국외 사례
2. 국내 현황
3. 조류충돌예방을 위한 장비 검토
 조류 충돌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맹금류를 관리하기
위해 공항 내 6곳에 맹금류 트랩(trap)을 설치하였음
 맹금류 트랩은 무선통신망과 연결되어 조류가 포획되
었을 때에 곧바로 조류퇴치팀에 연락되도록 함
 포획된 맹금류는 조류가락지와 wing tag를 부착하여 지
속적으로 공항 내에서의 생태와 이동에 대해 모니터링
을 수행
공항 내 도래하는 맹금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
스마트폰으로 자동으로 전송된
포획상황 문자메시지
보유장비
공항
김포
김해
제주
총기사용
엽총실탄,
공포탄
공포탄
엽총실탄,
공포탄
차량
4
2
(1)
3
폭음
폭음기 경보기 확성기 엽총
경보기
-
(30)
-
20
0
9
15
21
25
-
-
-
12
4
(9)
12
공기총
-
-
-
신호총
기타
-
까치포획틀(2)
너구리포획틀(2)
야간투시경 (1)
반짝이테잎 (2)
그물망(3)
-
-
포획틀 (4),
까치트랩 (2)
열영상카메라 (1),
방제차량 (1),
모아제초기 (3)
오토바이(6)
까치포획틀(1)
독수리모형(10)
코요테모형(2)
반사테이프(4)
스케어리맨(1)
 김포공항
-김포공항은 고정식 장비의 이동배치 주기를 월 1회
로 변경함
 김해공항
-김해공항은 2014년 6월에 폭음경보기 구입
 제주공항
-분기별로 연 4회 장비를 이동배치, 학습효과를 낮추
려는 노력을 시행 중
구분
김포공항
김해공항
제주공항
조류퇴치
총 14명
총 15명
총 14명
전담요원
(공사지원 2명, BAT팀 12명)
(공사 4명, 공군 11명)
(공사지원 2명, BAT팀 12명)
 김포공항
-2009년에 부족한 인력을 일부 충원함
-공항외곽에 대한 퇴치활동도 일부 이루어지고 있음
주요활동
공항 내 조류서식지 및 공
지역
항 외곽(반경 100m)
근무시간
오전6시-오후11시, 3교대
오전6시-오후11시, 1일 1인
오전6시-오후10시, 3교대
근무형태
일근 1명(반장)
특수근무 11명
-A조 6명/B조 5명
근무시간
-06:00~20:00 (4~5)
-06:00~15:00 1명
-14:00~23:00 1명
A:06:00~15:00 1명
B:13:00~22:00 1명
K:06:00~18:00 1명
L:06:00~13:00 1명
H:06:00~22:00 1명
(K:수,토,일)(L:목,금)
A:06:00 ~ 14:00 2명
B:08:00 ~ 19:00 3명
C:14:00 ~ 22:00 3명
D:08:00 ~ 16:00 1명
월~토:9명, 일:8명
공항 내 조류서식지
공항 내 조류서식지
 김해공항
-공군의 지원가능 일이 아닌 휴일은 자체 인력이 부족
하여 적극적인 퇴치활동이 사실상 어려움
 제주공항
-2009년에 부족한 인력을 일부 충원함
-BAT팀 인력에 비해 퇴치차량이 부족한 상황임
제주공항의 가스 폭음기
 가스 폭음기의 효과는 조류의 학습효과를 최
소화 하는 것이 관건임
 현재 사용중인 폭음기의 경우 LPG를 이용한
고정식이 대부분으로 터지는 시간이 일정하여
조류의 학습효과를 최소화 할 수 없어 효과를
보지 못함
캐나다 빅토리아 국제공항에서 사용중인 이동식 폭음기
 현재의 고정식은 이동 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으므
로 이동식 폭음기를 도입하여 자주 이동시킴으로
써 조류의 학습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
 리모컨을 이용한 원격조정이 가능함
 폭음 시점을 Random하게 설정할 수 있어 학습효
과를 최소화함
 AIROPR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류의 퇴치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퇴치기법과 장비
의 효과는 특정 자극에 의해 수반되는 조류의
행동과 관련되어 있고, 그 효과는 주변 환경조
건과 같은 다양한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종-특
RELATIVE EFFECTIVENESS OF AVIAN REPELLENT TECHNIQUES
이적으로 나타남
 조류의 시각적(visual), 촉각적(tactile), 청각적
(auditory) 자극 및 화학물질(chemical
repellents), 물리적 장벽(physical barriers)을 이
용한 퇴치기법들의 상대적인 효과에 대한
평가결과 예시를 보여주고 있음
Source: Adapted from Cleary and Dickey (2010).
Effectiveness: G = Good; F = Fair; P = Poor; N = Not Recommended.
Aircraft birdstrike avoidance radars
 네덜란드의 TNO사에서 개발한 조류 관찰 레이
더 시스템으로, 네덜란드 공군, 벨기에 공군, 프랑
스 공군에서 사용 중
 조류충돌예방을 위해 공항관리지역 전체를 커버
할 수 있고, 약 360도 범위에서 3D로 조류정보가
표시되며, 실시간으로 정확한 고도 정보 및 조류
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를 전달
ROBIN Lite 3D FMCW
 종의 식별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조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조류의 생
태 분석, 서식지 관리 정보를 보여주고, 실시간
으로 위험 지역이나 조류 충돌 위험을 항공교통
관제에 표시
EZplex의 Sairen 조류 기피제
 미국 FDA의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천
연식품 첨가물로 구성하여 조류나 인체에 무해하며 식물 및 토양과 환경에도
문제가 없는 친환경적인 조류 퇴치제
 환경부 및 각 공인기관의 테스트를 거친 특허 출원 10-2010-0027001 제품임
 피해 현장과 서식 형태에 따라 적합한 맞춤 시공이 가능하며, 여러 가지 타입
의 Sairen중 현장에 맞게 선택할 수 있음
 타사 제품에 비해 소비자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시공(설치) 할 수 있도록 제작
된 상품임
Sairen 구조물용 조류기피제 및 설치모습
 외부 환경요인에 변질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2년 이상 기능의
지속성을 가지고 있음
 특히 고온(70℃), 저온(-20℃)에서도 경화되지 않고 기능성을 안정적으로 유지
함
 우천(폭우)시에도 점도가 좋아 유실되지 않음
 가격
 ₩1500/ Kg(L) 당
향후 계획(2차년도 계획)
주요
공정
조류생태
환경 조사
세부 공정
현재
향후
공항별 조류
서식 특성
• 8-11월(여름, 가을) 조류조
사를 통한 조류 군집 특성
파악
• 12-2015. 7월 조류조사를 통한 연간 조류 군집 특성 파악
• 시기, 계절, 지역 등 다양한 시공간 수준에서의 조류군집 특성 분석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 8-11월(여름, 가을) 조류의
시공간적 분포 자료 구축
• 경관 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조류분포모델링 구축과 공간적 확대
조류 유인요소 분석
• 공항 내부 중심의 조류 유
인 요소 현황 파악
• ICAO 기준의 공간적 규모를 대상으로 한 공항 외부를 포함한 주요 조류유인요소 파악 및 지도화
작업
• 곤충채집과 사체를 이용한 조류 위 내용물 분석 및 결과를 관리계획 반영
• 최근 9년간의 공항내부
IFIS자료를 이용한 매트릭
스 Modelling분석
• 조류의 시공간적 분포모델과 연동한 조류회피모델(BAM-Bird Avoidance Model) 구축
•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조류충돌 위험평가 모델 구축
국내 현황 파악
• 현재 운용중인 장비 종류,
규모, 운용 실태 파악
• 일부 장비의 효용성 검토
(폭음기)
• 운용 장비의 효용성 검토(실험적 접근을 통한 정량화)
• 경보기, 공포탄 등
국외 사례
• 해외 주요 공항의 관리사
례 자료 수집
• 일본, 미국, 캐나다 현지 답
사 및 다양한 국가의 사례
수집
• 국가 및 지역의 조류군집 특성에 대응하는 상황특이적 예방활동 사례 분석과 국내상황과의 비교
를 통해 적합한 활동 기준 제안
• 신규장비 동향 파악을 위한 해외 답사 및 세미나 참석
• 국내외 관계규정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제시
• 해외사례 수집 및 국내 실정에 알맞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
조류충돌
예방 활동
세부 연구내용
조류충돌 예방을 위한
신규 장비 검토
• 포획장비- 넷건, Bal chatri
trap, clap net 제작
• 퇴치장비- 페인트볼 건
• 조류감시카메라 운용 및 효과 검증
• 조류기피제 효과 검증
• RFID와 Radio tracking을 이용한 개체인식 Tagging system 적용 및 추적 연구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관 요소와 조류 분포의 양적·질적 상관관계 분
석을 통해 조류 분포 모델 구축 및 구현
〮 경관 요소(토지피복) 분류 레이어(Layer) 생성
- 대분류 혹은 중분류의 분류 기준에 따르는 폴리곤(Polygon)
+
〮 조류의 시공간적 분포 Point 레이어 생성
〮 조류의 행동범위와 공간적 해상도를 고려한 격자망 생성
+
〮 격자망에 대응하는 조류 자료와 경관자료의 Spatial Joining
 현재 제시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모델은 각 공항에서 기존에 조사된 IFIS 자료를 이용한 것임.
 본 조사가 시작된 2014년 8월부터 김포, 김해 및 제주공항에서 시∙공간적인 조류 및 환경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으며, 조사 완료 시에는 12개월간의 공항 내외의 시∙공간적인 조류 모니터링 자료가 수집됨.
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공항 특이적인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모델을 평가할 수 있음.
 이에 IF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공항 특이적인 모델을 수립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한 평가 결과를
제시할 예정임
 향후
1) 조류 충돌에 따른 실질적인 경제적 손실에 대한 평가
2) 충돌사고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종별 위험 지수
3) 고도에 따른 충돌위험의 정도를 고려한 향상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모델을 제시할 것임
 경보기와 공포탄의 효과 검증을 위해 자극-반응
(Stimulation-Reaction) 실험을 수행하여 정량적 자료 생성
 경보기 효과 검증의 경우 시기∙계절 및 지역(공항)에 따른
대상종의 종류와 범위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음성 선택
 향후 방법 자체의 효용성 검토 결과 도출과 더불어 조류생
현재 경보기 운용 방식의 문제점:
태조사자료를 연계하여 시기∙계절 및 지역(공항) 특이적인
퇴치를 목적으로 하는 종에 최적화 되어 있지 않으며,
운용 방법(시기, 위치 등을 제시)
경보기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국내 종의 소리가 아님
도입 비용
도입 기대 효과
구분
총 도입 비용
포함 내용
- 카메라 시스템 및 모니터링 시스템
- 통제 장치
- 인스톨 및 시험 운영
- 조류 전문 인력의 교육, 컨설팅 ,
운영 컨설팅 (약 3~6개월)
금액
약 $ 600,000 / 1개 시스템
 ’13년 기준 조류충돌 사고 건수는 총 136건이었으며, ‘14년 8월까지 111건의
조류충돌이 일어났음
 공항 별로는 김포공항이 9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공항 95건, 제주공항 65
건, 광주공항 25건, 울산공항 15건 등 순으로 나타났고 이 중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엔진부위 충돌이 185건으로 가장 많았음
10%
조류 초기 발견 및
대응으로 인해
연간 사고율 감소 시
$1 million
연간 인명 및 재산
손실 감소 기대
실험군 1
대조군 1
 조류 밀도와 잠재 먹이원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지역
에서 실험군(Experiment group)과 대조군(Control
group)을 선정하여 조류기피제 효과 검증
 공항 내 유입 조류의 주요 취식지인 초지에 친환경
조류기피제를 살포하여 살포 전∙후 조류 밀도 변동
정량화. 실험군과 대조군 간 밀도 차이 비교∙분석
실험군 2
대조군 2
 조류 포획 후 고유의 ID를 가지는 Tag를 부착
 RFID 시스템은 조류가 주로 이용하는 횃대 등의 구조물에
PIT Tag
Antenna
Tag와의 교신이 가능한 안테나를 설치하여 Tag를 부착한
조류가 방문한 시·공간 자료를 취득함. 조사자가 안테나를
이용해 능동적으로 조류의 위치를 파악하는 Radio tracking
을 병행함
 조류 자동 탐지시스템, 현장 조사 결과 등과 더불어 조류의
분포와 서식지 이용 패턴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 제공
Reader
을 할 것으로 기대함
 2015년 2월부터 적용 예정
 특히 개체 인식이 가능한 점은 특정 조류의 체류 기간, 공항
내부로의 재유입 여부 파악 등의 정보를 제공
 문제점: 포획 및 사살에 의한 자료의 소실 위험이 큼

오리류나 백로류, 도요〮물떼새류 등의 수조류 뿐만 아니라 소형조류들까지도 유인하며, 이들을
먹는 황조롱이와 같은 맹금류까지 유인하는 효과를 가져옴

따라서 골프장 건설 시 습지를 조성하지 않거나 불가피할 경우 그 면적을 최소화하며, 분수대
를 도입하여 새들이 앉지 못하게 하거나 습지 표면을 그물망 등으로 덮어 조류 유입을 막음

모든 수로의 사면은 직강화 하여 조류 유입 방지

어류나 곤충류, 양서〮파충류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습지 바닥을 콘크리트 등으로 조성함으로써
백로류 등의 서식을 방지함

특히 열매를 맺는 장과(berry)류의 나무나 가을과 겨울에도 열매가 남아있는 수종은 먹이를 제
공하여 주요 조류 유인요소가 되므로,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를 심는 것이 좋음

또한 나무는 소형 조류들에게 둥지장소를 제공하는 한편 은신처로도 기능할 수 있으며, 초본류
중에서도 여뀌, 왕싱아, 쇠비름, 명아주, 계요등, 뱀딸기, 기장, 수크령, 강아지풀 등은 특히 조류
가 선호하는 먹이자원이므로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